KR101498073B1 -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073B1
KR101498073B1 KR20150013179A KR20150013179A KR101498073B1 KR 101498073 B1 KR101498073 B1 KR 101498073B1 KR 20150013179 A KR20150013179 A KR 20150013179A KR 20150013179 A KR20150013179 A KR 20150013179A KR 101498073 B1 KR101498073 B1 KR 10149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angle
ston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1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to KR2015001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를 설치하기 위해 단열재에 천공한 구멍을 폐쇄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측을 향해 절곡되는 보강플레이트(32)(33)를 앵글(30)에 형성된 벽면결합부(31)의 좌우측에 형성하고, 석재결합부(34)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홈(34a)(34b)에 결합되는 티형결합부(32t)(33t)를 보강플레이트(32)(33)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부플랜지(41)를 상부커버(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고, 석재결합부(34)의 상부절반에 결합되는 상부앵글결합홈(42)을 상부커버(40)의 하단중앙에 형성하며, 하부커버(50)를 상부커버(40)의 안쪽으로 삽입하여 하부커버(50)의 외측면이 상부커버(4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겹치도록 설치하고,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51)를 하부커버(50)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석재결합부(34)의 하부절반에 결합되는 하부앵글결합홈(52)을 하부커버(50)의 상단중앙에 형성하고, 하부커버(50)에 형성된 수직후크(54)와 결합되는 수직걸림홈(44)을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형성하며, 상부커버(40)의 내부측면(46)에 형성된 삽입공간(48)으로 끼워지는 로케이트바(55)을 하부커버(50)의 상단부에 형성하고,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형성된 수평후크(49)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측면걸림홈(32a)(33a)을 보강플레이트(32)(33)의 측면에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Adiabatic materials seal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를 설치하기 위해 단열재에 천공한 구멍을 폐쇄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내외장 마감에 사용되는 석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칼이나 톱과 같은 절단도구를 이용해서 단열재(12)에 구멍(14)을 커팅해서 벽체(10)를 노출시킨 다음 노출된 벽체(10)에 앵커(13)를 설치한 후 석재(11) 고정을 위한 앵글(15)을 너트(16)와 앵커(13)을 이용해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단열재(12)에 형성한 구멍(14)을 통해 실내외의 열기 또는 냉기가 출입하면서 단열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사형 액상 발포재로 구멍(14)을 메우는 경우에는 앵글(15)과 앵커(13)가 발포재에 의해 오염되어 보수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단열재(12)가 벽체(10)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되면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우 단열재(12)가 벽체(10)로부터 이탈되거나 들뜨면서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앵글(15)이 단순하게 L자 모양으로만 절곡되어 있었기 때문에 석재(11)의 무게 때문에 절곡부위가 아래쪽으로 휘면서 외벽마감재가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271597 B1 KR 10-145730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앵커 설치를 위해 단열재에 천공한 구멍을 밀폐함으로써 이를 통해 실내외의 열기 또는 냉기가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단열재가 벽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앵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측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는 보강플레이트를 앵글에 형성된 벽면결합부의 좌우측에 형성하고, 앵글의 석재결합부 좌우측에 형성된 요(凹) 모양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티형결합부를 보강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단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부플랜지를 상부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고, 석재결합부의 상부절반에 결합되는 상부앵글결합홈을 상부커버의 하단중앙에 형성하며, 하부커버를 상부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안쪽으로 삽입하여 하부커버의 외측면이 상부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겹치도록 설치하고, 단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를 하부커버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석재결합부의 하부절반에 결합되는 하부앵글결합홈을 하부커버의 상단중앙에 형성하고, 하부커버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후크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수직걸림홈을 상부커버의 후면에 형성하며, 상부커버의 내부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후면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으로 끼워지는 로케이트바을 하부커버의 상단부에 형성하고, 상부커버의 후면에 형성된 수평후크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측면걸림홈을 보강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하여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의해 단열재에 형성된 구멍의 가장자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한 열기 또는 냉기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커버가 상부커버 내측으로 상입되어 하부커버의 외측면이 상부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부위를 통한 열기 또는 냉기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서로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된 상부앵글결합홈과 하부앵글결합홈에 의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및 석재결합부의 결합부위를 통한 공기흐름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한 열기 또는 냉기의 출입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부커버에 형성된 수평후크가 보강플레이트에 형성된 측면걸림홈에 걸리도록 되어 있고, 서로 결합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단열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재가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보강플레이트에 형성된 티형결합부가 석재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결합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부커버에 형성된 돌출부와 후면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으로 끼워지는 로케이트바에 의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석재고정구조와 벽체에 접착된 단열재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플레이트를 절곡하기 전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플레이트를 절곡하기 전 전개된 상태를 보인 상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형결합부를 펀치에 의해 성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도 5의 상태로부터 보강플레이트를 직각으로 절곡하고 티형결합부를 펀치에 의해 가압 성형한 것을 보인 저면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D-D'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는 보강플레이트(32)(33)를 앵글(30)에 형성된 벽면결합부(31)의 좌우측에 형성하고, 앵글(30)의 석재결합부(34) 좌우측에 형성된 요(凹)자 모양의 걸림홈(34a)(34b)에 결합되는 티형결합부(32t)(33t)를 보강플레이트(32)(33)의 하단부에 형성한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는 보강플레이트(32)(33)를 직각으로 절곡하기 전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30)의 벽면결합부(31)와 절곡라인(37) 사이에 형성된 절곡라인(37)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보강플레이트(32)(33)와 벽면결합부(31)가 평면에서 볼 때 ㄷ자 모양을 이루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32)(33) 하단에 형성된 티형결합부(32t)(33t)를 앵글(30)의 석재결합부(34)에 형성된 걸림홈(34a)(34b)에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60)를 이용해서 티형결합부(32t)(33t)를 가압 성형함으로써 티형결합부(32t)(33t)가 역(逆) "T"자 모양으로 변형되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부플랜지(41)를 상부커버(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고, 석재결합부(34)의 상부절반에 결합되는 상부앵글결합홈(42)을 상부커버(40)의 하단중앙에 형성한다.
하부커버(50)를 상부커버(40)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43)를 통해 안쪽으로 삽입하여 하부커버(50)의 외측면이 상부커버(4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겹치도록 설치하고,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51)를 하부커버(50)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석재결합부(34)의 하부절반에 결합되는 하부앵글결합홈(52)을 하부커버(50)의 상단중앙에 형성한다.
하부커버(50)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후크(54)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수직걸림홈(44)을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형성하며, 상부커버(40)의 내부측면(46)에 형성된 돌출부(47)와 후면(45)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48)으로 끼워지는 로케이트바(55)을 하부커버(50)의 상단부에 형성한다.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형성된 수평후크(49)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측면걸림홈(32a)(33a)을 보강플레이트(32)(33)의 측면에 복수개 일렬로 형성한다.
상부커버(40)의 내부측면(46)에 밀착되는 측판(56)을 하부커버(50)의 좌우측에 형성하여 하부커버(50)를 상부커버(40) 안쪽으로 삽입해서 결합할 때 측판(56)이 내부측면(46)에 밀착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벽체를 나타낸 것이고, 24는 앵커를 나타낸 것이며, 26은 앵커(24)와 앵글(30)을 체결하기 위한 너트를 나타낸 것이고, 28은 단열재(20)에 형성된 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36은 앵글(30)의 벽면결합부(31)에 형성된 앵커구멍을 나타낸 것이고, 27은 석재를 나타낸 것이며, 35는 석재(27)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앵글(30)의 석재결합부(34)에 설치된 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과정을 통해 앵글(30)을 벽체(22)에 설치하기 위해서 칼이나 톱 등의 절단도구를 이용 단열재(20)에 사각의 구멍(28)을 천공하여 벽체(22)를 노출시킨 다음 구멍(28)을 통해 노출된 벽체(22)에 앵커(24)를 설치한 후 앵글(30)에 형성된 벽면결합부(31)의 앵커구멍(36)으로 앵커(24)가 관통되도록 벽면결합부(31)를 벽체(2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너트(26)를 앵커(24)에 결합하게 되면, 앵글(30)이 벽체(22)에 고정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단열재(20)에 형성된 구멍(28)을 막기 위해 상부커버(40)를 석재결합부(3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우게 되면, 상부커버(40)에 형성된 상부앵글결합홈(42)이 앵글(30)에 형성된 석재결합부(34) 상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후 하부커버(50)를 석재결합부(34)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우게 되면, 하부커버(50)에 형성된 하부앵글결합홈(52)이 석재결합부(34)의 하부에 끼워지면서 동시에 하부커버(50)가 상부커버(40)에 형성된 개방부(43)를 통해 상부커버(40) 안쪽으로 진입되어 하부커버(50)의 외측면이 상부커버(4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부커버(40)에 형성된 돌출부(47)와 후면(45)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48)으로 하부커버(50)에 형성된 로케이트바(55)가 삽입되면서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가 전후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하부커버(50)의 외측 전면이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하부커버(50)가 상부커버(40)에 삽입될 때 하부커버(50)에 형성된 수직후크(54)가 상부커버(40)에 형성된 수직걸림홈(44)에 걸리면서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상호 결합된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를 단열재(20)를 향해 함께 밀어서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이동시키게 되면, 상부커버(40)에 형성된 상부플랜지(41)와 하부커버(50)에 형성된 하부플랜지(51)가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며, 동시에 상부커버(40)에 형성된 수평후크(49)가 보강플레이트(32)(33)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걸림홈(32a)(33a)에 걸리면서 상부커버(40)가 앵글(30)에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 및 앵글(3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단열재(20)에 형성된 구멍(28) 내의 공기와 외부 공기가 차단되므로, 열기 또는 냉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부커버(50)의 전면은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밀착되어 있고, 하부커버(50)의 측판(56)은 상부커버(40)의 내부측면(46)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의 밀착부분을 통한 공기 출입이 차단되며, 더욱이 로케이트바(55)가 삽입공간(48)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를 단열재(20)를 향해 밀 때 가하는 힘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51)가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재(20)의 구멍(28) 가장자리를 통한 공기 출입이 차단되고, 상부앵글결합홈(42)과 하부앵글결합홈(52)이 석재결합부(34)의 상하부에 절반씩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 및 석재결합부(34)의 연결부위를 통한 공기 출입이 차단된다.
한편, 석재결합부(34)에 석재(27)를 설치하게 되면, 석재(27)의 무게 때문에 석재결합부(34)가 아래쪽으로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때 보강플레이트(32)(33)의 하단부에 형성된 티형결합부(32t)(33t)가 석재결합부(34)의 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34a)(34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30)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 : 단열재 22 : 벽체
24 : 앵커 26 : 너트
27 : 석재 28 : 구멍
30 : 앵글 31 : 벽면결합부
32,33 : 보강플레이트 32a,33a : 측면걸림홈
32t,33t : 티형결합부 34 : 석재결합부
34a,34b : 걸림홈 35 : 핀
36 : 앵커구멍 37 : 절곡라인
40 : 상부커버 41 : 상부플랜지
42 : 상부앵글결합홈 43 : 개방부
44 : 수직걸림홈 45 : 후면
46 : 내부측면 47 : 돌출부
48 : 삽입공간 49 : 수평후크
50 : 하부커버 51 : 하부플랜지
52 : 하부앵글결합홈 54 : 수직후크
55 : 로케이트바 56 : 측판
60 : 펀치

Claims (1)

  1. 전방측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는 보강플레이트(32)(33)를 앵글(30)에 형성된 벽면결합부(31)의 좌우측에 형성하고, 앵글(30)의 석재결합부(34) 좌우측에 형성된 요(凹)자 모양의 걸림홈(34a)(34b)에 결합되는 티형결합부(32t)(33t)를 보강플레이트(32)(33)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부플랜지(41)를 상부커버(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하고, 석재결합부(34)의 상부절반에 결합되는 상부앵글결합홈(42)을 상부커버(40)의 하단중앙에 형성하며, 하부커버(50)를 상부커버(40)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43)를 통해 안쪽으로 삽입하여 하부커버(50)의 외측면이 상부커버(4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겹치도록 설치하고, 단열재(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51)를 하부커버(50)의 하단부에 형성하며, 석재결합부(34)의 하부절반에 결합되는 하부앵글결합홈(52)을 하부커버(50)의 상단중앙에 형성하고, 하부커버(50)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후크(54)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수직걸림홈(44)을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형성하며, 상부커버(40)의 내부측면(46)에 형성된 돌출부(47)와 후면(45)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48)으로 끼워지는 로케이트바(55)을 하부커버(50)의 상단부에 형성하고, 상부커버(40)의 후면(45)에 형성된 수평후크(49)와 결합되는 톱니모양의 측면걸림홈(32a)(33a)을 보강플레이트(32)(33)의 측면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KR20150013179A 2015-01-28 2015-01-28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KR10149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179A KR101498073B1 (ko) 2015-01-28 2015-01-28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179A KR101498073B1 (ko) 2015-01-28 2015-01-28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073B1 true KR101498073B1 (ko) 2015-03-03

Family

ID=5302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3179A KR101498073B1 (ko) 2015-01-28 2015-01-28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93B1 (ko) 2015-06-05 2015-10-05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632506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앵커 단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580B1 (ko) * 2014-12-16 2015-01-21 (주)제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580B1 (ko) * 2014-12-16 2015-01-21 (주)제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93B1 (ko) 2015-06-05 2015-10-05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632506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앵커 단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043B2 (ja) 独立通路密閉システム
US10422134B2 (en) Wall mounted receiver
KR101719297B1 (ko) 진동흡수용 내진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EP3334872B1 (en) Wall mounted receiver
KR102000228B1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1498073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밀폐장치
KR20100044971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170094819A (ko) 단열 보강구조를 갖는 건축용 메탈패널
US20180298605A1 (en) Fire barrier box for membrane penetrations
KR101731873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부재 시공 구조
JP2017002461A (ja) 外壁材の連結構造と外壁材用留め金具
JP6449070B2 (ja) 断熱床下構造及び断熱床下用人通口の施工方法
JP2006291646A (ja) パネル組み立て構造
KR20180001033U (ko) 복합창호
KR102015433B1 (ko) 커튼월
KR20170040914A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JP6393605B2 (ja) 目地構造
CA3034046A1 (en) Insulating box and method for electrical outlets, switches and light fixtures
KR102583703B1 (ko) 불연복합패널의 오픈조인트시공조립체
JP6368203B2 (ja) 屋根用伸縮継手装置
JPH0913795A (ja) 改装方立の取付構造および改装窓における連窓
JP7301442B2 (ja) パネルユニット
JP6875112B2 (ja) 外壁材用ジョイナ及びこのジョイナを用いた外壁材の接合部構造
JP5260394B2 (ja) 二次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外壁目地構造
JP2005030104A (ja) サッシ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