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738B1 - 기형 귀 교정 - Google Patents

기형 귀 교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738B1
KR101497738B1 KR1020107003799A KR20107003799A KR101497738B1 KR 101497738 B1 KR101497738 B1 KR 101497738B1 KR 1020107003799 A KR1020107003799 A KR 1020107003799A KR 20107003799 A KR20107003799 A KR 20107003799A KR 101497738 B1 KR101497738 B1 KR 10149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plint
tacky
skin
bas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677A (ko
Inventor
헨리 스티븐슨 버드
씨. 케네스 프렌치
가렛 바커
Original Assignee
헨리 스티븐슨 버드
씨. 케네스 프렌치
가렛 바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395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77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헨리 스티븐슨 버드, 씨. 케네스 프렌치, 가렛 바커 filed Critical 헨리 스티븐슨 버드
Publication of KR2010009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3Horseshoe-shaped, e.g. crescent-shaped, C-shaped, U-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기형 귀를 교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부(103)를 통한 귀(1)의 통로를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된 개구(103)를 형성하는 기부 섹션(105), 및 기부 섹션(105)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며, 기부 섹션과의 사이에 격실을 형성하는 상부 섹션(102)을 이용한다. 제1 스플린트(31)는 삼각와(16)의 상지(17)와 대이륜(14)의 영역에서 기본적으로 귀(1)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는, 기부 섹션(105)의 전방 표면(107)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스플린트(32)는 주상와(12)의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귀(1)의 주상와 영역(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갑개 스플린트(71)는 이갑개(13)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이갑개(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형 귀 교정{CORRECTING MISSHAPED EARS}
본 출원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2007년 7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951,388호 및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2008년 5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113,452호에 관련한 것이며, 이들에 대한 혜택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기형 귀를 교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형 귀의 비수술적 교정에 관한 것이다.
귀는 귀의 특징적 형상을 형성하는, 피부로 덮여진 연골(cartilage)의 복잡한 배열로 구성된다(도 1 참조). 귀의 주요 구조 중 몇몇은 귀의 최외측 부분이면서 롤(roll) 또는 주연부(이륜연)를 특징으로 하는 이륜(helix)이다. 주상 와[scapha(또는 scaphoid fossa)]는 이갑개(concha)로부터 주상와를 분리하는 경계 굴곡부(defining curvature)를 형성하는 대이륜(antihelix)으로부터 이륜연을 분리한다. 대이륜은 두 개의 각(crus)을 갖는 Y-형 구조체를 발생시킨다. 두 개의 각은 Y의 분기부(fork)를 형성하며, 대이륜의 본체로 합쳐진다. 두 개의 각 사이의 영역은 삼각와(triangular fossa)이다. 이도(auditory canal)로 이어지는 깊은 리세스는 이갑개(conchal bowl)이다. 이는 경사 및 수직 구성요소를 갖는다. 수직 구성요소는 귀 돌출에 기여하며, 대이륜과 연속적이다. 조사에 따르면, 새로 출생하는 인구 중 40% 이상에 기형 또는 변형 귀 발생율이 존재한다. 선천적 이개 변형(congential auricular deformity)의 다양한 유형들 중 몇몇은 돌출 귀(prominent ear), 컵모양 귀(cup ear), 늘어진 귀(lop ear), 스탈씨 귀(Stahl's ear), 이갑개 각(conchal crus), 기형 귀, 이륜연 압착 및 탄저 I-II 수축 귀(Tanzer I-II constricted ear)가 있다.
돌출 귀는 성인에서 이륜연이 유양돌기(mistoid)로부터 15-18 mm, 유아에서 5 mm를 넘어 돌출하는 귀이다. 컵모양 귀는 삼각와의 상지(superior limb)와 대이륜의 불완전한 곡률 또는 형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구조체의 정상적 굴곡이 존재하지 않고 귀가 전방으로 "컵형상"을 형성한다. 늘어진 귀는 귀의 상부 1/3의 "리딩(lidding)" 또는 접힘을 특징으로 한다. "스포크(Spock)" 귀라고도 지칭되는 스탈씨 귀는 이륜연의 자연적 굴곡을 변형시키고 귀가 엘프 귀 같은 뾰족한 부분을 갖게 하는, 대이륜의 Y를 벗어나 연장하는 "횡방향 각(transverse crus)"을 특징으로 한다. 이갑개 각은 이갑개 바닥의 경사부를 가로질러 수직 이갑개 벽으로 연장하는 비정상적 각 또는 접힘부이며, 외이도의 높이에서 귀를 절반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형 귀는 상술한 부류에 들지 않는 귀 연골의 기이한 형상의 변형이다. 이들 귀는 골격의 다양한 부분에서 "주름형성", 접힘 또는 절첩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륜연 압착은 그 정상적 곡선 외형을 교란시키는 주연부의 내향 휘어짐(buckling)을 특징으로 한다. 탄저 I-II 수축 귀는 피부 및/또는 연골 부재 또는 결함의 점증적 중증 등급(severe grade)을 갖는다. 탄저 I 귀에서, 이륜연은 대이륜이 펼쳐지는 것을 막는 내부 주연부를 따른 피부의 결손 또는 결함이 존재하는 것처럼 내부로 말려진다. 탄저 II에서, 결손은 더 커지며, 실제로 주상와 연골에도 영향을 미친다. 귀의 이들 및 기타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시도에서 수술적 및 비수술적 수단 양자 모두가 사용되어 왔다.
기형 귀의 비수술적 교정을 위한 기술들이 설명되어 있다. 비록, 출생시 존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형 귀가 귀의 하나 이상의 인체조직적 구조체의 변형을 수반할 수 있지만, 이하에 제시된 기술은 하나 이상의 인체조직적 구조체의 변형을 교정하는데 맞춤화될 수 있다. 관련 귀의 인체조직적 구조체 중 몇몇은 대이륜, 삼각와의 상지, 이륜연, 이갑개 및 주상와 영역이다.
일 포괄적 태양에서, 귀를 위한 스플린트(splint) 시스템은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를 갖는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후이개 피부 표면(retroauricular skin surface) 상의 귀 후방에서의 제1 점착성 표면의 배치를 촉진하도록 성형된다. 제1 스플린트는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 내의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후이개 피부 표면과 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스플린트는 귀의 주상와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주상와 중공부(scaphal hollow)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한다. 전방 점착성 커버는 귀 위에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전방 점착성 커버는 제2 스플린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생체적합성 재료에 대해 접합된다.
다른 포괄적 태양에서, 기형 귀를 교정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 방법은 생체적합성 재료가 제1 점착성 표면에 의해 후이개 피부에 고정되도록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를 귀의 후방의 후이개 피부 표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스플린트가 제2 점착성 표면에 적용된다. 귀의 하부면은 제2 점착성 표면에 대해, 그리고, 제1 스플린트 위에 점착되고, 그래서, 제1 스플린트는 이 영역에서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구조를 조장한다. 제2 스플린트는 제2 스플린트가 전방 주상와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귀의 전방 주상와 영역 내에 삽입된다. 제2 스플린트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 점착성 표면을 갖는 전방 점착성 커버로 제 위치에 고정된다.
다른 포괄적 태양에서, 귀의 변형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 방법은 변형을 갖는 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륜연의 영역이 리드 오버될 때, 이륜연까지의 귀 하방 중앙(infero-medial)의 영역으로부터 이륜 위로 귀의 밑면(underneath aspect) 상의 영역까지 일 측면 상에 접착제를 갖는 테이프의 스트립이 감겨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접착제 유닛이 귀 위의 후이개 피부 표면에 제1 점착성 표면을 접착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상각(superior crus)의 변형이 존재할 때, 제1 스플린트가 귀의 하부면 상에 실질적으로 대이륜으로부터 이륜연까지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플린트는 상각을 재생하도록 성형된다. 귀의 하부면은 제1 스플린트가 존재한다면 제1 스플린트 위로, 그리고, 제2 접착제 상으로 말려질 수 있다. 주상와의 변형이 존재하는 경우, 주상와의 원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성형된 제2 스플린트가, 제1 스플린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스플린트와 중첩하지 않게 주상와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갑개의 변형이 존재하는 경우, 이갑개의 원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성형된 이갑개 스플린트가 이갑개의 영역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귀는 단일 점착성 표면이 제2 점착성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스플린트 중 하나 이상의 일부를 덮도록, 단일 점착성 표면을 갖는 커버로 덮여질 수 있다.
다른 포괄적 태양에서, 귀를 위한 귀 몰딩 시스템이 제시된다. 귀 몰딩 시스템은 기부 섹션 내에 귀가 배치되도록 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 기부 섹션을 포함한다. 기부 섹션은 후방 표면과, 전방 표면과, 전방 표면 상에 위치되어 전방 표면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주연부를 갖는다. 시스템은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서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전방 표면과 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귀의 주상와 영역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스플린트를 가지고, 제2 스플린트는 주상와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한다. 또한, 시스템은 캡이 귀를 덮도록 주연부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갭을 가져서, 귀와 제1 및 제2 스플린트에 안정화 압력을 인가한다.
다른 포괄적 태양에서, 인간의 귀를 위한 몰딩 장치는 기부 섹션과, 상부 섹션과, 제1 스플린트를 포함한다. 기부 섹션은 후방 표면과 전방 표면을 포함하고, 개구를 통한 귀의 통로를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된 개구를 형성한다. 상부 섹션은 기부 섹션과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기부 섹션과 상부 섹션 사이에 격실이 형성된다. 스플린트는 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며, 삼각와의 상지 및 대이륜의 영역 내에서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은 하기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몰딩 장치의 제1 스플린트는 기부 섹션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몰딩 장치는 귀의 주상와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스플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플린트는 주상와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몰딩 장치의 상부 섹션은 귀, 제1 스플린트 및 제2 스플린트에 안정화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제2 스플린트의 표면은 점착성일 수 있다. 몰딩 장치는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귀의 이갑개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이갑개 스플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상부 섹션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이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의 유지를 조장하도록 이갑개의 후방벽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반원형부를 가질 수 있다. 몰딩 장치는 이갑개 스플린트와 상부 섹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패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패드도 상부 섹션과 조합하여 이갑개 스플린트에 안정화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몰딩 장치는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구비한 생체적합성 재료의 스트립을 더 포함한다. 스트립은 귀의 베이스와 제1 스플린트 위의 이륜연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면 상에, 그리고, 스트립의 제2 점착성 표면 상에 피부 영역의 배치를 조장하도록하는 위치에서 기부 섹션의 전방 표면 상에 스트립의 제1 접착면의 배치를 조장하도록 형성된다.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은 후이개 피부 표면에 후방 표면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후방 표면 상의 점착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점착성 표면 및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가 후이개 피부 표면 상의 귀에 대한 후방에 제1 점착성 표면의 배치 및 제2 점착성 표면상에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의 배치를 조장하도록 형성된다.
단일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감싸기 재료(wrap-around material) 또는 접착제 스트립이 이륜연에 대한 하방 중앙의 영역에서 귀 상에 단일 점착성 표면을 사용하여 일 단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감싸기 재료는 이륜 둘레를 감쌀 수 있으며, 다른 단부는 하방 중앙 영역에서 피부를 확장시키도록 귀의 후방 형상면 상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감싸기 재료는 직사각형 치수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트립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치수들은 약 1/4 in(0.635 cm) x 약 1/2 in(1.27 cm)일 수 있다. 감싸기 재료는 사용 동안 아래의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감싸기 재료는 사용 동안 아래의 피부의 감염 및 허혈(ischemia)의 검출을 돕도록 구성된 투명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귀의 이갑개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갑개 스플린트는 이갑개의 후방 벽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반달 형상을 갖는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귀의 표면을 초과하여 돌출하기에 충분한 높이를 가지며, 이갑개 중공부에 특정하게 압력이 인가될 수 있게 한다. 압력은 전방 점착성 커버 및/또는 캡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귀의 정확한 인체조직적 형상을 조장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사용 동안 아래의 피부의 감염 및 허혈의 검출을 돕도록 구성된 투명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사용 동안 아래의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점착성 표면을 덮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커버 각각은 그 각각의 커버가 제거되기 전에 제1 및 제2 점착성 표면이 다른 표면들에 접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점착성 표면은 제2 점착성 표면 상에 귀가 배치되기 이전에 제2 점착성 표면 상에 제1 스플린트가 배치되고 제 자리에 유지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점착성 표면은 귀의 하부면에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귀가 후이개 피부 표면에 점착되어 귀의 원하는 성형을 달성하게 한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귀의 베이스 주변의, 그리고, 그 후방의 후이갑개 표면 상에서의 배치를 조장하도록 다양한 치수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플린트는 스플린트의 배치를 돕는 그 각각의 표면들을 덮는 점성 표면 재료를 갖는다. 제1 스플린트는 그 종방향 치수에서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으로 귀에 스플린트 작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제2 스플린트는 실질적으로 그 종방향 치수에서 원통형이며, 주상와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귀에 스플린트 작용할 수 있게 성형될 수 있다.
전방 점착성 커버는 귀의 변형을 교정하고 노출된 제2 점착성 표면을 덮도록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플린트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점착성 커버는 투명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전방 접착제는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은 후이개 피부 표면에 대한 부착을 조장하도록 접착재 재료를 그 위에 가질 수 있다. 제1 점착성 표면 및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가 제1 점착성 표면을 사용하여 후이개 피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점착성 표면은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에 부착되어 후방 표면 상에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을 때 후이개 피부 표면에 대해 후방 표면을 고정한다.
생체적합성 재료는 제1 점착성 표면이 귀를 둘러싸는 피부에 접착되고, 제2 점착성 표면이 후방 표면에 접착되도록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에 부합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캡과 귀 사이에 기낭(bladder)가 배치되어 기낭이 귀의 적어도 일부 상의 안정화 압력에 기여할 수 있다. 캡의 적어도 일부는 기부 섹션과 귀의 관찰을 허용하는 메시 또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기부 섹션, 캡 및/또는 메시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포괄적 태양에서, 기형 귀를 교정하는 방법은 기부 섹션과 상부 섹션 사이에 형성된 격실 내에 귀를 위치설정하는 것과,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스플린트를 위치시키는 것과, 제1 스플린트 위에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면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부 섹션은 기부 섹션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기부 섹션은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과, 귀의 통로를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된 개구를 갖는다. 제1 스플린트는 기부 섹션의 전방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면은 제1 스플린트가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의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구성을 조장하도록 제1 스플린트 위에 배치된다. 실시예들은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방 표면에 귀의 후방 형상면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표면에 대한 귀의 후방 형상면의 고정은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면 상의 피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방 표면 상에 생체적합성 재료의 스트립의 제1 접착면을 고정하는 것과, 제1 스플린트 위에 피부의 영역을 롤링하고 피부의 이 영역을 생체적합성 재료의 제2 점착성 표면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제2 스플린트가 주상와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귀의 주상와 내로 제2 스플린트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이갑개의 영역에서 귀의 정확한 인체조직적 형상을 조장하도록 이갑개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귀와 상부 섹션 사이에 패드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패드는 상부 섹션이 결합될 때 이갑개 스플린트 상에 원하는 양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조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귀의 기형을 교정하는 방법은 이륜에 대해 하방 중앙의 피부의 영역에 접착제 스트립의 제1 단부를 적용하는 것과, 이륜 둘레에 점착성 스트립을 감싸는 것과,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면 상의 피부의 영역에 제2 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착제 스트립은 단일 표면상에만 접착제를 갖는다. 제2 단부는 이륜에 대해 하방 중앙의 피부 영역에 인장이 인가되도록 고정된다.
이 방법은 귀의 베이스를 둘러싸는 피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을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섹션은 기부 섹션과 결합될 수 있으며, 원하는 양의 안정화 압력이 귀 상에, 그리고, 제1 및 제2 스플린트에 인가된다. 귀와 제1 및 제2 스플린트 상의 원하는 양의 안정화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조장하는 패드가 귀와 상부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세부사항이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귀의 주요 구조를 도시하는 해부도이다.
도 2a는 양면 점착성 요소의 2차원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양면 점착성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후방와 스플린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후방와 스플린트가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후이개 피부 상의 귀 배후에 배치된 양면 점착성 요소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후방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귀 배후에 배치된 양면 점착성 요소와 그 위에 배치된 후방와 스플린트를 도시하는, 측방향 시점으로부터 귀의 도면이다.
도 5는 후방와 스플린트,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 및 이갑개 스플린트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측방향 투시에 의한 귀의 도면이다.
도 6a는 감싸기 재료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b는 귀의 이륜에 적용된 감싸기 재료를 도시하는 귀의 측방향 투시로부터의 도면이다.
도 6c는 이륜에 적용된 감싸기 재료를 갖는 귀의 후방으로부터 전방까지의 도면이다.
도 7은 이갑개 스플린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양면 점착성 요소, 후방와 스플린트,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 및 단일 점착성 요소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측방향 투시에 의한 귀의 도면이다.
도 8b는 양면 점착성 요소, 후방와 스플린트,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 및 단일 점착성 요소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측방향 투시에 의한 귀의 도면이다.
도 8c는 단일 점착성 요소의 일 실시예의 2차원 도면이다.
도 8d는 단일 점착성 요소의 측부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9는 기형 귀를 교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는 기부 섹션과 상부 섹션을 갖는 클램 쉘의 분해도이다
도 10b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표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주연부를 갖는 상부 섹션을 갖는 클램 쉘의 분해도이다.
도 10c는 기부 섹션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기부 섹션의 전방 표면 상에 위치된 생체적합성 재료의 스트립을 도시하는 후방와 스플린트를 갖는 클램 쉘의 분해도이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1)는 피부에 의해 덮혀진 연골로 구성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귀의 다양한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기형에 의해 귀가 보기 흉한 모습을 갖게 된다. 다음 구조는 기형 귀를 토의할 때 관심 대상 구조 중 몇 가지이다. 대체로 귀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귀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관심 대상 구조는 이륜연(helical rim, 11)을 갖는 이륜(helix, 10)이다. 주상와(주상 오목부)(12)는 이륜연(11)과 대이륜(antihelix, 14) 사이에 위치된다. 대이륜(14)은 삼각와(16)의 상지(상각; superior crus)(17)와 하지[inferior limb(하각; inferior crus); 19]를 형성하는 각(crus, 15)을 갖는다. 이갑개(concha, 13)는 삼각와의 하지 아래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귓불(ear lobe, 9)은 귀로부터 아래로 매달려 있다. 후이개 피부 표면(18)은 귀의 기부로부터 연장된 것과 같은 것으로 후면도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이들 구조의 하나 이상의 비정상은 돌출 귀, 컵모양 귀, 늘어진 귀, 스탈씨 귀, 이갑개 각, 기형 귀, 이륜연 압착, 리딩과 탄저 I 및 II 수축 귀와 같은 귀 기형을 야기한다. 귀의 이들 및 기타 기형의 교정에 대한 비외과적인 접근은 기형 귀를 교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다음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성 표면(26)과 제2 점착성 표면(27)을 갖는 양면 점착성 요소(21)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1)에 대한 후방(또는 배후)의 위치 내에 후이개 피부 표면(18)의 피부 상에 위치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다. 양면 점착성 요소(21)는 소정의 치수로 절단된 하나의 재료 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신생아 및 유아 모집단 내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귀 치수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치수 및 형상의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예에서, 자와 캘리퍼스(caliper)를 사용함으로써 양면 점착성 요소의 적절한 크기가 선택될 수 있고 및/또는 치수 설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내부 만곡부(22)는 후이개 피부 표면(18) 상의 귀 기부 주위의 귀 배후에/귀 후방에 맞춰지고, 외부 만곡부(28)는 주변 귀의 치수보다 커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가 제2 점착성 표면(27) 아래에 부가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미리 제조된 양면 점착성 요소의 다양한 크기는 소정 범위 영역에 대해 측정될 수 있어서, 적절히 크기 설정된 요소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귀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아래로 부가되게 하는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예에서, 양면 점착성 요소(21)는 외부 만곡부(28)와 내부 만곡부(22)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생체적합성 재료(biocompatible material)로부터 제조될 있다. 예를 들어, 생체적합성 재료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머일 수 있다. 양면 점착성 요소(21)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만곡부(22)가 귀의 기부 배후에/후방에 그리고 귀의 기부 주위에 맞춰지도록 형상화된다.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 상의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이 낮은 빈도수의 피부 알러지, 염증 및/또는 감염을 일으키는 임의의 생체적합성 접착제일 수 있다. 이들 특성을 갖는 양면 점착성 요소(21) 및 접착제를 위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오랜 기간 동안 피부에 접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 물집이 생기게 할 수 있는 잦은 교체가 최소화된다. 몇 가지 실시예에서, 양면 점착성 요소(21)는 제1 점착성 표면(26)에 점착된 피부에 대한 시각적 접근을 허용하는 투명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몇 가지 실시예에서, 요소는 양면 점착성 요소(21) 아래의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하는 다공성 재료로 제조된다. 양면 점착성 요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예는 3MTM 테이프 제품 9917 또는 1522를 포함한다.
제1 점착성 표면 및 제2 점착성 표면은 제1 점착성 커버(24) 및 제2 점착성 커버(25)에 의해 각각 피복된다. 커버는 접착제를 격리시키고 필요한 경우에 크기 설정하고 형상화하기 위한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취급을 허용하는 임의의 재료로,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종이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는 적용 시에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다소간의 유연성을 허용하는 임의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커버가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요소가 피부 표면 윤곽에 몰딩(molding)될 수 있다. 커버는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대한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적용 시에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선택한 후에, 제1 점착성 커버(24)를 제거한 다음에 제1 점착성 표면(26)을 귀 배후에/후방에 후이개 피부 표면과 접촉되게 위치 설정시킴으로써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적용된다.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함으로써 그리고 위치 설정 시에 취급을 위한 접착제 없는 표면(adhesive free surface)을 제공함으로써, 제2 점착성 커버(25)는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소정 위치에 위치 설정한 후에, 제2 점착성 커버(25)가 제거되어 제2 점착성 표면(27)을 노출시킨다. 그런 다음, 귀가 제2 점착성 표면(27)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귀(1)의 하부 측(귀의 기부와 이륜연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면) 상의 피부가 제2 점착성 표면(27)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몇 가지 실시예에서, 상지(17) 기형의 교정이 요구되면, 제2 점착성 피부 상으로 귀를 적용하기 전에, 후방와 스플린트(31)가 제2 점착성 표면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스플린트(31), 예를 들어, 후방와 스플린트(splint)(31)는 가요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낮은 알레르겐성(allergenicity)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후방와 스플린트(31)는 기형이거나 결손된 상각이 있는 경우에 상지(17)의 영역인 귀의 형상을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스플린트는 다양한 크기(즉, 길이 및 직경)로 제조된다. 예컨대, 길이는 약 3/8" 내지 3/4", 바람직하게는 1/2"일 수도 있고, 직경은 약 6-12 프렌치(French), 바람직하게는 8-10 프렌치일 수 있고, 형상은 후방와 스플린트(31)를 적용한 사람이 귀(1)의 인체조직적 기형의 바람직한 보정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치수 및 형상이 결정된 후방와 스플린트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플린트의 종축을 통과하는 단면으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은 스플린트의 형상은 압박 괴사(pressure necrosis)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인체조직적 기형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반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린트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라면, 스플린트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가 상부(over) 피부 또는 하부(underlying) 피부를 손상시킬 수도 있는 예리한 에지를 줄이기 위해 만곡될 수 있더라도, 스플린트는 형상이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와 스플린트(31)는 귀의 인체조직적 기형의 보정을 위해 요구되는 형상으로 몰딩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즉, 길이와 직경)로 제조된다.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정확한 배치를 허용하는 자연적 점착성(natural adherence)을 갖는 규소화 표면과 같은, 점착성 표면 재료로 덮어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와 스플린트(31)는 귀의 밑면 피부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27) 상의 후이개 피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귀가 제2 점착성 표면(27) 상의 스플린트 위에 위치 설정될 때, (귀 밑면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점선으로 도 4b에 도시된) 후방와 스플린트(31)는 본질적으로 대이륜으로부터 이륜연으로 연장되고, 대이륜의 결손된 상각의 바람직한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귀를 형성하도록,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제2 점착성 표면(27)에 위치된다(도 4a 참조). 이러한 스틴팅(stinting)에 의해, 귀(1)가 그 자체를 더욱 정상적인 외관의 상지(17)를 갖는 귀로 재형상화되게 한다. 제2 점착성 표면(27) 아래에 그리고 후방와 스플린트(31) 위에 (필요한 경우) 귀(1)를 고정한 후에,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존재하는 경우에 인체조직적 기형을 보정하기 위해 주상와의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제2 스플린트(32), 예를 들어,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생체적합성 재료, 예컨대 가요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주상와(12)의 영역에 비정상 구조가 있는 경우에 귀의 형상을 보정하도록 설계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스플린트는 다양한 크기(즉, 길이 및 직경)와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이는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를 적용하는 사람이 귀(1)의 인체조직적 기형의 바람직한 보정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치수 및 형상이 결정된 스플린트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플린트의 종축을 통과하는 단면으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은 스플린트의 형상은, 피부의 압박 괴사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인체조직적 기형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반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스플린트는 주상와의 곡률과 근사한 길이방향 곡률(longitudianl curvature)을 갖고, 스플린트의 일 단부 또는 양단부가 하부 피부 또는 상부 피부를 손상시킬 수도 있는 예리한 에지를 줄이기 위해 만곡될 수 있다. 스플린트는 귀의 인체조직적 기형의 보정을 위해 요구되는 형상을 갖는 스플린트의 선택을 허용하는 곡률 변화량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다양한 크기(즉, 길이 및 직경)로 제조되는데, 이는 귀의 인체조직적 기형의 보정을 위해 요구되는 형상으로 몰딩가능하다. 예컨대,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의 길이는 약 1.5 ㎝ 내지 약 2.5 ㎝일 수 있고, 예컨대 직경은 약 10 내지 12 프렌치일 수 있다.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더욱 정확한 배치, 예컨대 규소화 표면을 허용하는 점착성 표면 재료로 덮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인체조직적 기형을 보정하기 위해 주상와(12)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영역(51)에서 후방와 스플린트(31)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되어서, 이에 따라 상지(17)의 형상을 유지하고, 2개의 스플린트들 사이에 압축된 조직에서 허혈 상해(injury)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단일 점착성 요소(81)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싸기 재료(61)는 일 측부 상의 점착성 표면(62)과, 점착성이 없는 대향 표면(63)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더라도, 점착성 표면(62)은 적용 전에 감싸기 재료가 박리되는 비점착면을 갖는 재료로 덮어질 수 있다. 점착성 표면(62)의 일 단부는 이륜연이 리드 오버되는(lidded over) 영역에서 이륜의 내부 표면 위에서 이륜연의 중간 그리고 하방에 있는 귀의 영역에서 피부에 적용된다. 이 후, 감싸기 재료(61)는 이륜연 주위에 랩핑되고(wrapped), 하방 중앙 영역에서 귀의 연골 및/또는 피부를 확장하기 위해 점착성 표면(62)의 타 단부를 사용하여 귀의 후방 형상면에 고정되어서, 리드 오버되는 영역이 더욱 일반적인 형태인 이륜연으로 보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싸기 재료의 하나 이상의 스트립은 이륜연이 리드 오버되는 영역에 사용된다. 또한, 감싸기 재료(61)는 귀의 이륜연 또는 다른 부분에 적용될 수 있고, 보정되는 기형에 따라 귀를 외형 형성화하도록 제2 점착성 표면(27)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감싸기 재료(61)는 생체적합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생체적합성 접착제를 갖는다. 감싸기 재료(61)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재료일 수 있다. 다공성 재료로부터 감싸기 재료(61)를 만듦으로써, 바로 밑의 피부가 숨 쉬는 것을 허용한다. 피부가 숨 쉬는 것을 허용하고 낮은 알레르겐성을 갖는 감싸기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감싸기 재료(61)는 긴 수명 동안에 적용될 수 있어서, 피부를 자극할 수 있고 물집(blistering)을 유발할 수 있는 빈번한 변화를 방지한다. 예컨대, 감싸기 재료는 쓰리엠(3M™)에 의해 제조된 것과 같은 접착제 스테리-스트립(STERI-STRIP™), 또는 마이크로포어(MICROPORE™) 외과용 테이프 또는 투명한 상처 클로저 스트립(closure strip),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갖는 재료일 수 있다. 감싸기 재료(61)는 기형을 보정하기 위해 이륜연 주위에 편리하게 권취되게 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예컨대, 감싸기 재료(61)의 형상 및 크기는 다른 크기 및 형상이 사용될 수 있더라도, 약 1/8 내지 1/4의 인치 폭, 예컨대 1/4" 폭의 치수와, 약 1/2 내지 3/4의 인치 길이, 예컨대 1/2"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감싸기 재료(61)는 바람직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되는 한 장의 시트로서 공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싸기 재료(61)는 투명하지 않다. 다른 실시예에서, 감싸기 재료(61)는 투명하다. 감싸기 재료(61)를 투명하게 만듦으로써, 귀에 감싸기 재료(61)를 적용한 사람이 이륜연 주위에 감싸기 재료(61)를 랩핑하여 인가되는 장력이 너무 큰 경우에 피부가 창백해지는(blanching) 것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창백함은 영역으로의 혈류가 제한되고 있어 물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투명한 감싸기 재료(61)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창백함이 관찰될 수 있고, 감싸기 재료(61)는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륜연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귀(1)에 적용된 후에, 감싸기 재료(61)의 어떤 노출 영역도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점착성 요소(81)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갑개 스플린트/몰드(71)는 형상화가능한 코팅된 스플린트이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단부에서 보았을 때, 약 5 내지 10mm 사이, 예컨대 7mm의 높이를 갖고, 약 3 내지 5mm 사이, 예컨대 3mm의 폭을 갖는 타원형[치수가 유사하고 압박 괴사를 유발할 수 있는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에지가 없는 한,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음]과 같은 대체로 곡선 형상을 갖는다. 스플린트의 길이는 약 12 내지 17mm, 예컨대 15mm이고, 이갑개의 배면벽에 끼워지기 위해 반달 곡선이 되도록 종방향으로 몰딩된다. 이갑개 스플린트는 이갑개 각을 압박/평탄화하는 기능을 하고, 이갑개의 경사진 플로어(oblique floor)를 가로질러 수직벽과 대이륜을 교란시킨다. 몰드가 이갑개의 배면벽 주위에 끼워지도록 설계되고, 압박 괴사를 유발하지 않게, 즉, 이갑개 각을 압박하기 위해 몰드에 목표하는 양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이갑개 각을 압박하도록 설계되는 한,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플린트는 가요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c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단일 점착성 커버(83)에 의해 피복된 단일 점착성 표면(82)을 갖는다. 대향된 단일 점착성 표면은 비점착성 표면(84)이다. 단일 점착성 요소와 접착제 모두는 낮은 알레르겐성의 생체적합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점착성 요소는 "3MTM"에서 제조한 "TEGADERMTM"과 "SMITH and NEPHEWTM"에서 제조한 "IV3000TM"과 같은 상처 드레싱일 수 있다. 단일 점착성 표면(82)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피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다공성이어서, 표면 밑의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점착성 요소는 비다공성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비투명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투명하여, 귀 밑에서 스플린트 및/또는 귀의 감염, 알러지 반응, 허혈, 및/또는 위치이상(malposition)을 검사할 수 있게 한다.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하고 낮은 알레르겐성을 갖는 단일 점착성 요소(81)를 사용함으로써,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긴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피부를 자극하고 물집을 유발할 수 있는 빈번한 교체를 피할 수 있다.
대향된 단일 점착성 표면은 비점착성 표면(84)이고, 이는 단일 점착성 요소(81)를 취급하기 위한 비점착성 표면을 제공하며 귀를 위한 비점착성 피복을 제공한다. 단일 점착성 요소는 어떤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목표하는 형상과 일치하게 절결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반원형 형상을 갖는 다양한 크기로 제공된다. 캘리퍼스나 자를 사용함으로써 귀(1)의 크기가 측정될 수 있고, 미리 치수설정된 요소의 선택으로부터 단일 점착성 요소(81)의 올바른 크기가 선택되거나, 재료의 시트(sheet)로부터 목표하는 형상으로 절결된다.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소정 크기로 절결되거나 선택되어,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외부 만곡부(28)의 반경보다 만곡부(85)의 반경이 약간 더 크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단일 점착성 커버(83)를 제거한 후, 단일 점착성 요소(81)는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위치에 놓여지고, 이갑개 및/또는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위치되는 귀의 적어도 일부분을 피복하여, 단일 점착성 요소(81)가 귀와 스플린트(들) 모두를 목표하는 위치에 유지하여 변형(deformity)을 교정하게 하며, 이갑개 각의 압박 또는 평탄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이갑개 스플린트에 압력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점착성 요소(81)가 양면 점착성 요소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갖는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단일 점착성 요소(81)은 외부 귀 위에 놓인 후, 고정된 귀(tacked down ear)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제2 점착성 표면(27)에 고정된다. 귀에 접착되지 않은 단일 점착성 표면(82)의 부분을 제2 점착성 표면(27)에 접착함으로써, 제2 점착성 표면(27)의 전체 점착성 표면이 피복된다. 단일 점착성 요소는 귀, 및 스플린트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 위에 외부 접척성 커버를 형성한다. 귀와 스플린트를 기형 귀의 교정을 위해 요구되는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유지하는 한, 단일 점착성 요소(81)과 양면 점착성 요소(21) 모두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점착성 요소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기형을 교정하는 데 요구되는 위치에 스플린트를 유지하기 위해 클램 쉘(clam shell)이 사용될 수 있다. 클램 쉘도 이갑개 스플린트에 압력을 제공하고, 이갑개 기형이 존재할 시 그 교정에 도움을 준다. 클램 쉘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생체적합성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클램 쉘(100)의 분해 구조도를 도시한다. 클램 쉘(100)은 기부 섹션(105)을 갖는 하우징(101)을 갖고, 상기 하우징(101)은, 기부 섹션(105)과 연속되게 형성되거나 영구적으로 부착된 주연부(104)와, 기부 섹션과 해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섹션(102), 예를 들어, 캡(102)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주연부(104)는 캡(102) 또는 기부 섹션과 캡 모두에 위치되어, 기부 섹션과 캡이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시 주연부 섹션이 존재하게 될 수 있다. 기부 섹션(105)은 기형을 교정하기 위해 귀가 삽입되는 개방부(103)를 갖는다. 기부 섹션(105)은 전방 표면(107) 및 후방 표면(108)을 가지며, 이 때 귀의 귓바퀴(pinna)는 개방부(103)를 통해 삽입된 후 전방 표면(107) 위로 놓인다. 기부 섹션은 전방에서 후방 표면으로의 하나 이상의 통로를 가질 수 있어서 기부 섹션(105) 밑의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표면(108)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착제로 피복될 수 있어서, 후방 표면(108)이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위치되게 한다[양면 점착성 요소(21)의 필요성을 없앰]. 접착제는 접착제 위에 적용된 껍질(peel-off)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위치되기 전에 후방 표면이 다른 표면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껍질 재료는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적용되기 전에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 표면(108)에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클램 쉘을 후이개 피부 표면에 접착하는 데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사용될 수 있다. 양면 점착성 요소는, 기부 섹션의 후방 표면(108)에 접착된 하나의 점착성 표면과, 후이개 피부 표면에 접착된 다른 점착성 표면을 갖는 기부 섹션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상 지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표면(107)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착제(접착제를 피복하는 껍질 재료와 함께 또는 그것 없이)로 코팅될 수 있거나, 전방 표면(107)에 접착된 후방 점착성 표면(112)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110)의 스트립, 및 전방 점착성 표면(111)으로 코팅될 수 있다.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스플린트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전방 점착성 표면(111) 또는 접착제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후방와 스플린트(31)에서 펴질 때 귀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표면(107)에 접착제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소정 위치에서 전방 표면(107)에 직접 몰딩되어 귀의 목표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이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 유지되게 하며, 접착제나 전방 점착성 표면(111)은 귀를 후방와 스플린트(31) 위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캡(102)은 중실 캡(solid cap)일 수 있으며, 또는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 섹션의 주연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관절 연결된(articulate)] 주연부일 수 있고, 귀 위에 놓인 복수의 구멍(또는 메시)을 갖는 표면과 경계를 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캡은 단일 유닛으로서 만들어지고, 구멍은 캡에 몰딩되고 및/또는 펀칭되어 복수의 구멍을 갖는 표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는 별도로 형성되어 무선주파수(RF) 또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주연부에 부착될 수 있다. 클램 쉘이 스플린트(들)의 위치를 체크하기 위해 및/또는 많은 압력이 가해지는 지점에 대해 귀를 체크하기 위해 닫혀질 때, 표면의 구멍/메시는 귀를 시각화시킨다.
캡(102)은 가역적으로 또는 해제가능하게 기부 섹션(105)에 부착될 수 있어서, 기부 섹션(105)과 캡(102)은 부착될 시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 귀(1)가 위치될 수 있는 격실을 형성한다. 캡은 귀와 스플린트에 안정화 압력을 가한다. 캡은 어떤 가역적 부착 기구에 의해서도 기부 섹션에 부착될 수 있는데, 예컨대, 2개 이상의 스냅(snap), 또는 힌지와 하나 이상의 스냅, 또는 후크와 루프 체결구, 또는 러그와 노치(lug and notch), 또는 래치형(latch type) 기구, 또는 견고하고 가역적으로 캡을 기부 섹션에 부착하는 모든 다른 형식의 체결 기구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귀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 귀(1)는 개방부(103)에 통과된다. 기부 섹션(105)의 후방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부착된다. 후방 표면(108) 상의 접착제가 기부 섹션(105)을 후이개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기부 섹션(105)은 후이개 피부 표면(18)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방 표면(108)에 꼭 맞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제2 점착성 표면(2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귀가 클램 쉘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기부 섹션(105)이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부착되면, 후방와 스플린트는 필요한 경우 기형 또는 결손 상각이 존재할 때 위치된다. 이는 전방 표면(107) 상에 몰딩된 후방와 스플린트를 상지(17) 영역의 귀의 형상을 교정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에 구비한 클램 쉘을 이용하거나, 후방와 스플린트(31)를 적소에 점착하기 위한 접착제 또는 전방 접착 표면(111)을 갖는 전방 표면(107)을 이용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갖지 않는 전방 표면(107) 상에 (점착성 표면을 가질 수 있는) 후방와 스플린트를 위치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귀는 후방와 스플린트(31) 및 기부 섹션(105)의 전방 표면(107) 위에서 펴지고 접착제 또는 (필요한 경우) 전방 점착성 표면(111)에 점착된다.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필요한 경우) 주상와에 배치되고 (필요한 경우) 이갑개 내의 이갑개 스플린트(71) 내에 배치된다. 이후, 캡(102)은 폐쇄된 위치로 스냅 결합되어, 귀(1)와 스플린트/스틴트/스텐트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소정량의 압력을 가한다. 캡(102)이 폐쇄되면, 스플린트를 적소에 유지되는 것에 부가하여, 캡은 이갑개 스플린트를 압착함으로써 귓바퀴 및 이갑개의 몰딩 및 성형(shaping)이 발생한다. 이는 스플린트 및 클램 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적 힘에 의해 이갑개 각의 평탄화를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프의 스트립이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를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포체 또는 기낭 또는 젤(gel)과 같은 압착 가능한 매체(106)가 귀와 캡(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 귀와 스플린트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캡(102)이 발포체/기낭/젤 상에 소정량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캡(102)이 폐쇄되면, 스플린트가 적소에 고정되는 것에 부가하여 개재된 발포체/기낭/젤은 이갑개 스플린트에 대해 압착되어, 귓바퀴 및 이갑개의 몰딩 및 성형이 발생한다. 이는 스플린트 및 클램 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적 힘에 의한 이갑개 각의 평탄화를 허용한다. 발포체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귀 및/또는 스플린트의 선택된 부분에 소정량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형 귀(1)를 교정하는 공정(900)의 일 실시예는 귀의 평가(902)로 시작된다. 이 공정은 귀 변형 및 교정의 가시화를 포함한다. 공정(900)의 단계들은 특정한 순서로 열거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어떠한 변형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903)이 공정을 종료시킨다. 하지만, 결정(903)이 하나 이상의 변형에 대해 포지티브(positive)라면, 이륜연(11)의 영역이 리드 오버되어 있는지에 대한 결정(904)이 이루어진다. 이륜연이 리드 오버되어 있다면, 감싸기 재료(61)가 영역 내부 하측으로부터 귀의 후방 형상면에 대한 이륜연(11) 주위의 이륜연의 리드 오버 영역으로 도포된다(914). 감싸기 재료가 배치된 후 또는 이륜연의 리드 오버 영역에 대한 네거티브 결정 후, 공정은 결손 또는 변형 상지(17)가 존재하는 지에 대한 결정(905)으로 진행한다. 결손 또는 변형 상지(17)에 대한 포지티브 결정(905)이 존재하면, 후방와 스플린트(31)가 귀의 교정을 위한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선택된다(915).
네거티브 결정(905) 또는 후방와 스플린트(31)의 선택(915)에 후속하여, 주상와(12)의 영역이 재생성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결정(906)이 이루어진다. 주상와가 재생성될 필요가 있다는 포지티브 결정(906)은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의 선택(916)으로 귀결된다. 그 후, 공정은 네거티브 결정(905)이 존재할 때와 같이, 이갑개(13)의 영역이 재생성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결정(907)으로 진행한다. 포지티브 결정은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이갑개 스플린트(71)의 선택(917)으로 귀결된다.
스플린트의 적절한 크기 및 형상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면,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제1 점착성 표면(26)이 후이개 피부 표면(18)의 영역에 가해진다(908). 선택된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상각이 재생되는 영역에서 양면 점착성 요소의 제2 점착성 표면(27) 상에 배치된다(909). 귓불(9)을 포함하는 귀(1)는 변형되면, 둘 사이에 후방와 스플린트(31)를 갖는 제2 점착성 표면(27) 위에서 펴진다(910). 그 후, 필요하다면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재생될 필요가 있는 주상와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911) 영역(51) 내의 후방와 스플린트(31)와 교차하지 않도록 처리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이갑개 스플린트(71)는 재생될 필요가 있는 이갑개(13)의 영역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점착성 요소가 이후 하나 이상의 주상와 및 이갑개 스플린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913) (존재한다면) 경우 제2 점착성 표면(27)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클램 쉘(100)이 사용될 수 있다. 클램 쉘이 사용되면, 공정(900)은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후이개 피부에 가해질 때까지 상술된 바와 같이 진행한다. 대신에, 귀는 제2 점착성 표면(27) 상에 배치되는(909) 클램 쉘 내에 위치되고[또는, 후방 표면(108)이 접착제를 갖는 경우 후방 표면이 후이개 피부 표면(18) 상에 직접 가해지고]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상각을 재생하기 위한 영역 내의 기부 섹션(105)의 전방 표면(107) 상에 배치된다(일부 실시예에서 이미 존재한다). 공정은 필요한 경우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 원하는 위치에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 및 이갑개 스플린트(71)를 배치하는(911) 상태로 계속된다. 이후, 스플린트를 적소에 고정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갑개 스플린트 상에 소정량의 압력을 가하기 위해 클램 쉘의 캡을 폐쇄한다(913).
기형 귀의 형상을 교정할 때, 상술된 시스템 처리 시간은 진단시의 유아 또는 신생아의 나이에 따라 결정된다. 더 빠른 진단은 처리 시간을 짧게 할 것이며, 예컨대, 처리가 생후 약 1주에 개시되면, 처리 시간은 6주 내지 8주의 범위를 갖는다. 하지만, 진단이 생후 3주까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처리 시간은 4달 내지 6달의 범위를 갖는다.
시스템은 최소 연성 조직 및/또는 연골 결핍을 갖는 변형과 함께, 그리고 탄저 II와 같은 더 큰 연골 결핍을 갖는 변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 변형의 예는 돌출귀, 컵모양 귀, 늘어진 귀, 스탈씨 귀, 이갑개 각, 기형 귀, 이륜연 압착, 탄저 I-II 수축 귀, 및 돌출귀 귓불 등이다. 후속하는 문단은 시스템 구성 요소가 다양한 귀 변형을 처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클램 쉘(100)은 다양한 귀 변형을 처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스탈씨 귀에서, 시스템은 주상와(12)의 일부를 통한 비정상 횡방향 각, 상지(17) 부재 및 이륜연의 리드 오버에 대한 교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후방와 스플린트(31)는 소실된 상지(17)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주상와(12)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록, 구성요소들의 적용이 특정 순서로 설명되지만,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이 유지되는 한 다른 적용 순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필요시, 귀의 전방 및 후방을 덮는 피부 상의 임의의 잉여 오일을 닦아내기 위해 알콜 스왑(alchol swab)이 사용되어 접착제가 피부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점착되게 한다. 또한, 필요시, 피부에 대한 약간의 벤조인(benzoin) 또는 마스티졸(등록상표)(MSATISOLTM) 같은 액체 접착제의 도포가 사용되어 귀 및 후이갑개 영역의 피부에 대한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접착을 추가로 돕는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대이륜으로부터 이륜연으로 연장하도록 적절한 크기의 후방와 스플린트(31)가 선택되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 횡방향 각을 가로지르지만 영역(51) 내의 후방와 스플린트 위로는 연장되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의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가 선택된다. 그후, 감싸기 재료(61)가 리드 오버된 이륜연(11)의 부분에 적용된다. 감싸기 재료(61)는 먼저 이륜의 내부 부분 상의 이륜연에 대한 하방 중앙 영역에 적용되고, 그후, 이륜연 둘레에 감싸지고 귀의 후방 형상부 상의 피부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귀가 당겨진 상태에서, 제1 점착성 커버(24)를 제거한 이후, 귀에 대해 배후/후방에서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적용된다. 제2 점착성 커버(25)가 제거되고, 후방와 스플린트(31)가 원하는 위치에서 제2 점착성 표면(27)에 부착되며, 그래서, 실질적으로 대이륜으로부터 이륜연까지, 대이륜의 상지(17)의 정확한 인체조직적 형상이 생성된다. 귀(1)가 펼쳐지고, 제2 점착성 표면(27)에 적용 또는 점착된다. 후방와 스플린트(31)와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 사이의 중첩을 피하면서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가 주상와(12)의 영역에 적용된다. 그후, 단일 점착성 커버(83)를 제거한 이후, 단일 점착성 요소(81)를 사용하여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 및 귀(1)가 제 위치에 추가 고정된다(도 8 참조). 단일 점착성 요소(81)가 귀 위에 배설되며, 따라서, 제2 점착성 표면(27)의 노출부를 포함하는 다른 귀 성형 구성요소들은 덮개를 제공하고, 유아 또는 신생아가 손으로 만지는 것으로부터 귀 성형 구성요소들에 대한 약간의 보호를 제공한다.
주상와 변형을 갖는 유아 또는 신생아에 대하여, 귀는 감싸기 재료가 사용되지 않는 점 외에는 스탈씨 귀와 똑 같이 처리된다.
이륜이 덮여지거나 리드 오버된 늘어진 귀 변형(그리고, 늘어진 귀의 덜 심한 형태인 리딩)에 대하여, 피부를 확장시키도록 덮여진 영역에서 이륜 둘레에 감싸기 재료(61)가 감싸진다.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적용되고, 후방와 스플린트(31)가 원하는 위치에서 제2 점착성 표면(27) 상에 위치된다. 그후, 리드 오버된 부분이 펼쳐진 상태로 제2 점착성 표면(27) 상에 귀가 점착된다. 후방와 스플린트(31)와 영역(51)에서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증하도록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가 주상와 내에 배치된다. 그후, 단일 점착성 요소(81)가 귀 및 스플린트 구성요소를 덮도록 적용된다.
탄저 I 및 탄저 II는 늘어진 귀와 유사한 외관이지만, 이륜연의 내부면 상에, 주연부를 펼치는 것을 막는, 피부(탄저 I 및 II)와, 연골(탄저 II)의 결손이 존재한다.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적용된다. 귀의 리드 오버 부분에 감싸기 재료(61)가 적용되고, 그후, 귀가 양면 점착성 요소(21)의 제2 점착성 표면(27) 상으로 펼쳐진다. 이는 이륜연의 결손 내부 피부를 신장시킨다. 탄저 II 수축 귀는 연골 결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더 작아질 수 있지만, 허용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그후, 귀를 덮고, 필요시, 다른 스플린트 구성요소를 덮도록 단일 점착성 요소가 적용된다. 귀가 뒤틀려져 근본적(in utero)으로 완전히 펴지지 않는 이륜연 압착에 대하여,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적용되고, 귀가, 제2 점착성 표면(27) 상으로 확장된다.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는 주상와(12)의 영역에 적용되고, 그후, 단일 점착성 요소(81)가 전방 주상와 스플린트(32)를 고정하기 위해 적용되어 귀가 점착된 이후 노출된 상태로 남아있는 양면 점착성 요소와 귀를 덮는다.
너무 멀리 돌출하고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불완전한 굴곡 및 형상을 특징으로하며, 이갑개의 수직 벽의 과다한 발달(over development)을 갖는 컵모양 귀에 대하여,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후이개 피부 표면(18)에 적용된다. 그후, 귀가 제2 점착성 표면(27) 상으로 점착된다. 이갑개 스플린트(71)가 귀의 이갑개(13)에 적용된다. 단일 점착성 요소(81)가 이갑개 스플린트(71)와, 귀와, 제2 점착성 표면(27)의 노출된 부분을 덮는다.
돌출 귓불에 대하여, 귓불(9)을 포함하는 귀를 펼치고 이를 제2 점착성 표면(27)에 점착하기 위해 양면 점착성 요소(21)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들을 개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 태양들이 하기의 추가 실시예들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1. 귀를 위한 스플린트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은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재료로서, 귀의 후방에서 후이개 피부 표면 상에 제1 점착성 표면을 배치하는 것을 조장하도록 성형되고, 귀는 대이륜과, 삼각와의 상지와, 이륜과, 이륜연과, 이갑개와, 주상와 영역을 구비하는, 생체적합성 재료와,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서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후이개 피부 표면과 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스플린트와,
귀의 이갑개 영역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이갑개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스플린트와,
귀 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2 스플린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생체적합성 재료에 부착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방 점착성 커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귀 스플린트 시스템은 단일 점착성 표면과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생체적합성 감싸기 재료를 더 포함하고, 감싸기 재료는, 감싸기 재료의 제1 단부가 이륜연에 대한 하방 중앙 영역에서 단일 점착성 표면을 사용하여 귀 상에 위치되고 감싸기 재료가 이륜 둘레에 감싸여질 수 있으며 감싸기 재료의 제2 단부가 하방 중앙 영역에서 피부를 확장시키도록 귀의 후방 형상면 상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귀 스플린트 시스템은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귀의 이갑개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이갑개 스플린트를 더 포함하고, 이갑개 스플린트는 전방 점착성 커버에 의해 인가된 압력이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의 유지를 조장하도록 이갑개의 후방벽 주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반달 형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4. 귀의 변형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이륜, 대이륜, 이륜연, 주상와, 상각 및 하각, 귓불, 베이스 및 이갑개 중 하나 이상의 변형을 식별하기 위해 귀를 평가하는 단계와,
이륜연의 영역이 리드 오버되었을 때, 이륜연에 대해 하방 중앙의 귀의 영역으로부터 이륜 위로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부 상의 피부의 영역까지, 일 측면상에 접착제를 갖는 테이프의 스트립을 감싸는 단계와,
귀 배후의 후이개 피부 표면에 제1 접착제를 접착함으로써, 제1 및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접착제 유닛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각의 변형이 존재할 때, 상각을 재생성하도록 성형된 제1 스플린트가 실질적으로 대이륜으로부터 이륜연까지 연장하도록 후이개 피부 표면과 귀 사이에 제1 스플린트를 배치하는 단계와,
귀의 베이스와 이륜연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부 상의 피부 영역을, 제1 스플린트가 존재한다면 제1 스플린트 위로, 그리고, 제2 점착성 표면 상으로 롤링하는 단계와,
주상와의 변형이 존재할 때, 제1 스플린트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스플린트와 중첩하지 않도록, 주상와의 원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성형된 제2 스플린트를 주상와의 영역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이갑개의 변형이 존재할 때, 이갑개의 원하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성형된 이갑개 스플린트를 이갑개의 영역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단일 점착성 표면이 스플린트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점착성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단일 점착성 표면을 갖는 커버로 귀를 덮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5. 귀를 위한 귀 몰딩 시스템이며, 시스템은
개구를 갖는 기부 섹션으로서, 개구는 기부 섹션 내에 위가 위치되도록 개구를 통해 귀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고, 귀는 대이륜과, 삼각와의 상지와, 이륜과, 이갑개와, 이륜연과, 베이스와, 이륜연 영역을 포함하고, 기부 섹션은 후방 표면, 전방 표면 및 전방 표면 상에 위치되어 전방 표면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주연부를 포함하는, 기부 섹션과,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서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전방 표면과 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스플린트와,
귀의 주상와 영역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주상와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스플린트와,
귀를 덮고, 귀와, 제1 스플린트와, 제2 스플린트에 안정화 압력을 인가하도록 주연부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한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귀 몰딩 시스템은 후이개 피부 표면에 후방 표면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후방 표면 상의 점착성 재료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7. 실시예 5의 귀 몰딩 시스템은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생체적합성 재료는 후이개 피부 표면 상의 귀 후방의 제1 점착성 표면의 배치 및 제2 점착성 표면 상의 후방 표면의 배치를 조장하도록 성형된다.
실시예 8. 실시예 5의 귀 몰딩 시스템은 단일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감싸기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생체적합성 감싸기 재료는 감싸기 재료의 제1 단부가 단일 점착성 표면을 사용하여 이륜연에 대한 하방 중앙 영역에서 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감싸기 재료의 제2 단부가 하중아 영역의 피부를 확장시키도록 귀의 후방 형상부 상이 피부의 영역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9. 실시예 8의 귀 몰딩 시스템에서, 감싸기 재료는
직사각형 치수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트립과,
사용 동안 아래의 피부가 호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재료와,
사용 동안 아래의 피부의 감염 및 허혈의 검출을 돕도록 구성된 투명 재료를 포함한다.
실시예 10. 실시예 5의 귀 몰딩 시스템은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귀의 이갑개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이갑개 스플린트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의 귀 몰딩 시스템에서, 이갑개 스플린트는 캡에 의해 인가된 안정화 압력이 이갑개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의 유지를 조장하도록 이갑개의 후방벽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반달 형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귀 몰딩 시스템은 기낭이 안정화 압력에 기여하도록 캡과 귀 사이에 위치된 기낭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3. 실시예 5의 귀 몰딩 시스템에서, 캡과 기부 섹션 각각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기형 귀를 교정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기부 섹션과, 기부 섹션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상부 섹션 사이에 형성된 격실 내에 귀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부 섹션은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과, 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치수설정된 개구를 갖고, 귀는 대이륜과, 삼각와의 상지와, 이륜과, 이륜연과, 이갑개와, 베이스와 주상와 영역을 포함하는, 귀를 배치하는 단계와,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 표면 상에 배열된 제1 스플린트를 배치하는 단계와,
제1 스플린트가 삼각와의 상지와 대이륜의 영역에서 귀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구조를 조장하도록 제1 스플린트 위에서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귀의 후방 형상부를 전방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방법에서, 전방 표면에 귀의 후방 형상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이륜연과 귀의 베이스 사이의 귀의 후방 형상부 상의 피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전방 표면 상에 생체적합성 재료의 스트립의 제1 점착성 표면을 고정하는 단계와,
제1 스플린트 위로 피부의 영역을 롤링시키고, 생체적합성 재료의 제2 점착성 표면에 피부의 영역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의 방법은 이갑개의 영역에서 귀의 정확한 인체조직적 형상을 조장하도록 이갑개의 영역 내에 이갑개 스플린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의 방법은 귀와 상부 섹션 사이에 패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드는 상부 섹션이 결합될 때 이갑개 스플린트 상에 원하는 양의 압력의 유지를 조장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20)

  1. 인간 귀(1)를 위한 몰딩 장치이며,
    후방 표면(108)과 전방 표면(107)을 포함하고 개방부(103)를 형성하는 기부 섹션(105)으로서, 개방부(103)는 개방부(103)를 통한 귀(1)의 통로를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되며, 귀(1)는 대이륜(14)과, 삼각와(16)의 상지(17)와, 이륜(10)과, 이륜연(11)과, 베이스와, 이갑개(13)와, 주상와(12)를 포함하는, 기부 섹션(105)과,
    기부 섹션(105)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며, 기부 섹션(105)과의 사이에 격실을 형성하는 상부 섹션(102)과,
    삼각와(16)의 상지(17)와 대이륜(14)의 영역의 귀(1)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전방 표면(107) 상에 배열된 제1 스플린트(31)를 포함하는
    몰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플린트(31)는 기부 섹션(105)과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스트립은 스트립의 제2 점착성 표면 상에, 그리고, 제1 스플린트(31) 위에 이륜연(11)과 귀(1)의 베이스 사이의 귀(1)의 후방 형상면 상의 피부의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조장하는 위치에서 기부 섹션(105)의 전방 표면(107) 상에 스트립의 제1 점착성 표면을 배치하는 것을 조장하도록 성형되는
    몰딩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귀(1)의 주상와(12)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스플린트(32)를 포함하고, 제2 스플린트(32)는 주상와(12)의 영역의 원하는 외형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몰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 스플린트(32) 상에 점착성 표면을 포함하는
    몰딩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갑개(13)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귀(1)의 이갑개(13)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이갑개 스플린트(71)를 포함하는
    몰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이갑개 스플린트(71)는 상부 섹션(102)에 의해 인가된 압력이 이갑개(13)의 원하는 인체조직적 형상의 유지를 조장하도록 이갑개(13)의 후방 벽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반달 형상을 포함하는
    몰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이갑개 스플린트(71)와 상부 섹션(10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패드를 포함하고, 패드는 상부 섹션(102)과 조합하여 이갑개 스플린트(71)에 안정화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몰딩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일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감싸기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적합성 감싸기 재료는, 감싸기 재료가 이륜(10) 둘레를 감싸고, 감싸기 재료의 제2 단부가 하방 중앙 영역 내의 피부를 확장시키도록 귀(1)의 후방 형상부 상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감싸기 재료의 제1 단부가 단일 점착성 표면을 사용하여 이륜연(11)에 대한 하방 중앙 영역에서 귀(1)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몰딩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후이개 피부 표면에 후방 표면(108)을 접착하도록 구성된 기부 섹션(105)의 후방 표면(108) 상의 점착성 재료를 포함하는
    몰딩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점착성 표면과 제2 점착성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적합성 재료는 후이개 피부 표면 상의 귀(1) 후방에 생체적합성 재료의 제1 점착성 표면을 배치하는 것 및 생체적합성 재료의 제2 점착성 표면 상에 후방 표면(108)을 배치하는 것을 조장하도록 성형되는
    몰딩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부 섹션(102)은 귀(1), 제1 스플린트(31), 제2 스플린트(32) 및 이갑개 스플린트(71)에 안정화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몰딩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7003799A 2007-07-23 2008-07-10 기형 귀 교정 KR101497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138807P 2007-07-23 2007-07-23
US60/951,388 2007-07-23
US12/113,452 US8136530B2 (en) 2007-07-23 2008-05-01 Correcting misshaped ears
US12/113,452 2008-05-01
PCT/US2008/069658 WO2009014908A1 (en) 2007-07-23 2008-07-10 Correcting misshaped e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677A KR20100090677A (ko) 2010-08-16
KR101497738B1 true KR101497738B1 (ko) 2015-03-03

Family

ID=3973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99A KR101497738B1 (ko) 2007-07-23 2008-07-10 기형 귀 교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136530B2 (ko)
EP (1) EP2187845B1 (ko)
JP (1) JP5496092B2 (ko)
KR (1) KR101497738B1 (ko)
CN (1) CN101842064B (ko)
AU (1) AU2008279445B2 (ko)
CA (1) CA2694293C (ko)
DK (1) DK2187845T3 (ko)
ES (1) ES2394855T3 (ko)
HK (1) HK1144371A1 (ko)
MX (1) MX2010000880A (ko)
PL (1) PL2187845T3 (ko)
WO (1) WO2009014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6530B2 (en) 2007-07-23 2012-03-20 Henry Stephenson Byrd Correcting misshaped ears
US8167942B2 (en) 2009-02-10 2012-05-01 Henry Stephenson Byrd Ear molding device for correcting misshaped ears
WO2010099180A2 (en) * 2009-02-24 2010-09-02 Robert Grant Koehler Support assembly for an ear
KR101173887B1 (ko) 2010-02-01 2012-08-14 이승용 귓바퀴 교정구
US8715347B2 (en) 2010-04-17 2014-05-06 Chondrocyt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shaping cartilage structures
CN103284825B (zh) * 2012-02-22 2016-05-11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 非手术用耳廓畸形矫形器
US9173762B2 (en) 2012-03-20 2015-11-03 Chondrocyte, LLC Retaining devices, retaining devices for use in reshaping ea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E202012003681U1 (de) 2012-04-13 2012-07-13 Steffen Schuster Vorrichtung zur Korrektur eines Ohrknorpels
CN102727342B (zh) * 2012-05-31 2014-03-12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用于耳廓再造手术的耳支架定位装置
ES2669618T3 (es) * 2013-01-02 2018-05-28 The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Aparato para corregir deformidades auriculares
US20140289936A1 (en) * 2013-03-15 2014-10-02 Wade Schalles Headgear
WO2014167381A1 (es) * 2013-04-09 2014-10-16 Penagos Diego Expansor tisular preformado para la reconstrucción auricular
US9439731B2 (en) 2013-05-28 2016-09-13 Chondrocyte, LLC Methods for reshaping cartilage structures
CN103876929B (zh) * 2014-04-18 2016-05-18 江苏德威兰医疗器械有限公司 具有穴位刺激功能的耳部矫形器
CN103892952B (zh) * 2014-04-18 2016-05-18 江苏德威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耳部矫形器
CN103919634B (zh) * 2014-04-18 2016-05-18 江苏德威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具有穴位刺激功能的耳部矫形器
WO2018053219A1 (en) * 2016-09-16 2018-03-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Ear splint to correct congenital ear deformities
CN106821569A (zh) * 2017-04-01 2017-06-13 南方医科大学 新生儿耳廓矫形器及其制造方法
CN107260375B (zh) * 2017-08-02 2023-04-07 傅兰轲 一种耳廓塑形固定器
CN107961103B (zh) * 2017-12-20 2023-10-31 彭磊 一种耳廓矫正器
CN108743031B (zh) * 2018-04-03 2020-05-01 韩军宁 耳甲腔及耳道畸形的整形方法
CN110872620B (zh) * 2018-08-29 2023-07-18 深圳市科迈今美生物医疗有限公司 一种用于产前无创诊断双侧杯状耳畸形的引物探针组件、试剂盒及其应用
CN109199698B (zh) * 2018-10-22 2023-08-29 南方医科大学 一种3d打印耳廓畸形抗瘢矫形器及其制备方法
KR102125389B1 (ko) * 2019-01-09 2020-06-22 박종식 귀 교정장치
CN111067684A (zh) * 2020-03-04 2020-04-28 林向上 一种耳廓形态矫形器及其制备方法
GR1009882B (el) * 2020-04-02 2020-12-02 Αθανασιος Δημητριου Αργυροπουλος Τεχνητος ναρθηκας αυτιου με τη χρηση τρισδιαστατου εκτυπωτη
RU2764502C1 (ru) * 2021-03-02 2022-01-17 Ооо "Платинентал" Способ отопластики при коррекции лопоухости, вызванной сочетанием увеличения высоты чаши ушной раковины и недоразвития противозавитка
CN114652514A (zh) * 2022-03-18 2022-06-24 中国人民解放军南部战区总医院 一种耳部矫正装置
WO2024039808A1 (en) * 2022-08-17 2024-02-22 EarGe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deling an e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71A (ja) * 1996-07-02 1998-01-20 Life Technol Kenkyusho 耳介の形態異常治療用矯正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522159A (ja) * 1998-08-12 2002-07-23 ソリベス,マイケル,ミラヴェット 外耳の形状を矯正する装置とその装置の使用
JP2003505151A (ja) * 1999-07-27 2003-02-12 マイケル ミラベ ソリベ, 人の外耳の形状を非観血的に矯正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9572A (en) * 1942-12-18 1944-01-18 Anna Jurovaty Ear shaper and protector
JPS4121394Y1 (ko) * 1964-06-24 1966-10-20
US3823713A (en) * 1972-11-10 1974-07-16 Richards Mfg Co Aural dressing
US4187838A (en) * 1977-08-15 1980-02-12 John Dubrowski Ear clip for flattening of protruding ears
US5433748A (en) * 1991-12-04 1995-07-18 Porex Technologies Corp. Auricular implant
US5295950A (en) * 1992-10-21 1994-03-22 Godley Frederick A Ear pressure dressing
US5615417A (en) * 1996-02-09 1997-04-01 Jackson; Claudia D. Ear protector
US5827212A (en) 1997-10-22 1998-10-27 Gaskill; J. Richard Splinting device for auricular hematoma
NZ537782A (en) * 2002-06-25 2007-06-29 Brian Michael Goulding A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ear of a subject from auricular haemotoma
US6912733B2 (en) * 2003-05-28 2005-07-05 Joannie F. Carrafield Helix shield and method of using
DK176217B1 (da) * 2003-09-18 2007-02-26 Michael Miravet Sorribes Tvinge til at korrigere det ydre öre
GB0517499D0 (en) 2005-08-26 2005-10-05 West Hertfordshire Hospitals N Surgical scaffold
US20080086067A1 (en) 2006-10-10 2008-04-10 Hay Duff M Ear compression device
US8136530B2 (en) 2007-07-23 2012-03-20 Henry Stephenson Byrd Correcting misshaped ea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71A (ja) * 1996-07-02 1998-01-20 Life Technol Kenkyusho 耳介の形態異常治療用矯正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522159A (ja) * 1998-08-12 2002-07-23 ソリベス,マイケル,ミラヴェット 外耳の形状を矯正する装置とその装置の使用
JP2003505151A (ja) * 1999-07-27 2003-02-12 マイケル ミラベ ソリベ, 人の外耳の形状を非観血的に矯正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0358A1 (en) 2009-01-29
MX2010000880A (es) 2010-05-19
JP2010534112A (ja) 2010-11-04
EP2187845B1 (en) 2012-09-05
HK1144371A1 (en) 2011-02-18
PL2187845T3 (pl) 2013-06-28
US20120136291A1 (en) 2012-05-31
ES2394855T3 (es) 2013-02-06
US8136530B2 (en) 2012-03-20
CA2694293A1 (en) 2009-01-29
WO2009014908A1 (en) 2009-01-29
JP5496092B2 (ja) 2014-05-21
CN101842064B (zh) 2012-02-22
AU2008279445B2 (en) 2013-02-07
DK2187845T3 (da) 2012-12-17
KR20100090677A (ko) 2010-08-16
US8491510B2 (en) 2013-07-23
AU2008279445A1 (en) 2009-01-29
EP2187845A1 (en) 2010-05-26
CN101842064A (zh) 2010-09-22
CA2694293C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738B1 (ko) 기형 귀 교정
US9023105B2 (en) Ear molding device for correcting misshaped ears
ES2266686T5 (es) Dispositivo de ostomía
AU777496B2 (en) A device for non-invasively correcting the shape of a human external ear
US20150328437A1 (en) Rectal tube securement device
EP3880142A1 (en) Corrective apparatus for deformed external ear
US20230301815A1 (en) Corrective apparatus for deformed external ear
JP4189021B1 (ja) 仮性包茎の治療具
CN113057778A (zh) 耳轮成型器及可调耳朵塑形机构
US202400581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deling an ear
GB2304579A (en) Ear splint
US20230172613A1 (en) Umbilical Orthesis Plug
CN212592604U (zh) 耳轮成型器及可调耳朵塑形机构
CN214073779U (zh) 一种耳廓矫形器
Sevil et al. Programming the Auricle
JPH09140737A (ja) 包茎治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