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89B1 - 귀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귀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89B1
KR102125389B1 KR1020190002699A KR20190002699A KR102125389B1 KR 102125389 B1 KR102125389 B1 KR 102125389B1 KR 1020190002699 A KR1020190002699 A KR 1020190002699A KR 20190002699 A KR20190002699 A KR 20190002699A KR 102125389 B1 KR102125389 B1 KR 10212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ricle
incision
shape
core material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식 filed Critical 박종식
Priority to KR102019000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귀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교정장치는,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심재 및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의 귓바퀴홈에 삽입되는 교정부; 접착층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귓바퀴와 연결되는 두피에 접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귀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on ears}
본 발명은 귀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는 청각기관으로 소리를 듣는 중요한 감각기관인 동시에 눈, 코, 입과 함께 사람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고, 귀의 모양은 귓바퀴의 모양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귓바퀴의 모양은 귓바퀴의 일부가 접히는 것과 같이 정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귓바퀴의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성인의 경우에는 성형수술 등을 통하여 바로 잡을 수가 있으나, 수술적인 방법은 회복을 위한 기간이 길고, 수술에 따른 통증 및 치료비가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귓바퀴의 모양이 비정상적인 신생아의 경우에는 귓바퀴의 모양을 바로잡아 1개월 내지 3개월 정도 교정하면 귓바퀴의 모양이 정상적인 모양으로 교정되는 비수술방법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귓바퀴의 안쪽인 귓바퀴홈에 딱딱한 플라스틱 소재의 귓바퀴 교정구를 삽입하고,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귓바퀴 교정구를 귓바퀴에 고정하였다. 이 경우, 단순히 접착테이프만으로 귓바퀴 교정구를 고정함으로써, 귓바퀴 교정구가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귓바퀴홈에서 쉽게 이탈이 되거나 이러한 이탈을 방지할 목적으로 과도한 테이핑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나이가, 과도한 테이핑은 귓바퀴 등에 염증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동안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귀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심재 및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의 귓바퀴홈에 삽입되는 교정부; 접착층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귓바퀴와 연결되는 두피에 접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귀 교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심재의 측부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심재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 모서리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 모서리부를 마주보는 상기 심재의 모서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에는 상기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귓바퀴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서 상기 귓바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절개부는 절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절개부 중 하나는 나머지보다 절개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 중 상기 절개길이가 긴 제1절개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영역에는 상기 절개길이가 긴 제1절개부의 절개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는 단부에서 상기 외피를 향한 방향으로 절개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보조접착테이프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접착테이프는 상기 귓바퀴홈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를 연결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귓바퀴홈에 삽입된 교정부가 두피에 접착된 부착부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두피에 지지됨으로써, 교정부가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동안 보다 견고하며 효과적으로 고정되며 귓바퀴홈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부착부의 일면이 두피에 접촉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심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심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1절개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연결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연결부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X축방향은 전방을 나타내고,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귀 교정장치(100)가 귓바퀴(10)의 모양을 교정하도록 사용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에서는 귓바퀴(도 1의 10 참조)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교정장치(100)는 교정부(110), 부착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00)는 귓바퀴(10)의 모양을 교정한다.
보다 상세히, 귓바퀴(10)는 도 1과 같이 귓바퀴(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적으로 상하방향(예컨대, 도 1에서 볼 때 Z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귓바퀴(10)는 일부가 귓바퀴홈(11)을 향해 접히는 것과 같이 비정상적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00)는 접힌 귓바퀴(10)를 펴는 것과 같이 비정상적인 귓바퀴(10)의 모양을 정상적인 귓바퀴(10)의 모양으로 교정할 수 있다.
교정부(110)는 심재(111) 및 외피(112)를 포함한다.
심재(111)는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심재(111)는 도 1과 같이 비정상적인 귓바퀴(10)의 모양을 정상적인 귓바퀴(10)의 모양으로 교정할 수 있는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심재(111)는 외력에 의해 모양이 휨 변형되고, 변형된 모양이 유지될 수 있다.
심재(11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심재(111)는 티타늄, 은, 향상기억금속 등 모양의 변형 및 변형된 모양이 유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심재(111)는 도 3과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심재(111)는 도 1과 같이 귓바퀴(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피(112)는 심재(111)를 감쌀 수 있다. 이때, 외피(112)의 내부에는 심재(11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2a)이 형성된다.
외피(112)는 도 1과 같이 심재(11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용공간(112a)은 외피(112)의 내부에서 심재(11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외피(112)의 모양은 심재(111)의 모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심재(111)는 외피(112)에 수용되어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외피(112)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피(112)는 심재(111)의 모양에 따라 효과적으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고, 귓바퀴홈(11)에 삽입될 때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외피(112)는 소정의 탄성 및 강성을 가지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심재(111)는 외피(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심재(111)의 모양을 변형시킬 필요가 있거나 심재(111)의 교체가 필요할 때, 심재(111)를 외피(112)에 대해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외피(112)의 일측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용공간(112a)과 연통하는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방구는 도 1과 같이 외피(112)의 귓바퀴(10)를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심재(111)는 외피(112)에 결합될 때 개방구를 통해 수용공간(112a)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심재(111)는 외피(112)에서 분리될 때 개방구를 통해 수용공간(112a)에서 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재는 외피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정부(110)는 귓바퀴홈(11)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 내부에 심재(111)가 수용된 외피(112)는 귓바퀴홈(11)에 삽입된다. 이 경우, 교정부(110)는 귓바퀴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며 비정상적인 귓바퀴(10)의 모양을 정상적인 귓바퀴(10)의 모양으로 교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피(112)에는 도 1과 같이 외피(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으로 걸림돌기(113)를 잡고 귓바퀴홈(11) 외부로 당김으로써, 외피(112)를 귓바퀴홈(11)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113)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돌기(113)는 외피(112)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기(113)는 도 1과 같이 2개가 제공될 수 있으나, 걸림돌기(113)의 수는 외피(112)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접착층(121)이 형성된 일면이 귓바퀴(10)와 연결되는 두피(30)에 접착된다. 다시 말해, 부착부(120)는 귓바퀴(10)에 인접한 두피(30)에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두피(30)에 대해 면접촉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된 교정부(110)를 두피(30)에 대해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부착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교정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귓바퀴홈(11)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도 1과 같이 귓바퀴(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두피(30)에 대해 넓은 면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두피(30)의 굴곡진 외형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두피(30)의 외형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예컨대, 부착부(120)는 외피(112)와 같은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접착층(121)은 도 2와 같이 두피(30)를 마주보는 부착부(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21)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접착층(121)은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테이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121)의 일면은 두피(30)에 접착되고, 접착층(121)의 타면은 부착부(120)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층(121)은 접착제가 부착부(120)의 일면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부착부(120)에 형성된 접착층(121)에는 도 4와 같이 보호필름(122)이 부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1의 부착부의 일면이 두피에 접촉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귓바퀴(10) 및 교정부(11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보호필름(122)은 접착층(121)의 두피(도 2의 30 참조)를 마주보는 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필름(122)은 부착부(120)가 두피(30)에 접착되기 전 접착층(121)을 보호하고, 부착부(120)가 두피(30)에 접착될 때 제거될 수 있다.
보호필름(122)의 양단부에는 도 4와 같이 각각 부착부(120)의 양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부착부(120)를 두피(30)에 접착할 때 보호필름(122)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22a) 중 어느 하나를 잡고 보호필름(122)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착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절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120)는 제1절개부(123)를 통해 부착부(120)의 연장방향으로 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귓바퀴(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 및 곡선 형상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두피(30)의 굴곡진 외형 역시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부착부(120)는 제1절개부(123)를 통해 다양한 귓바퀴(10)의 연장길이 및 곡선 형상, 또는 두피(30)의 굴곡진 외형에 대응하여 펴짐으로써 귓바퀴(10)에 인접한 두피(30)에 효과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두피(30)에 효과적으로 접착될 수 있고, 교정부(110)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절개부(123)는 도 1과 같이 부착부(120)의 귓바퀴(10)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서 귓바퀴(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절개부(123)는 부착부(120)의 교정부(110)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서 교정부(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도 1과 같이 귓바퀴(10)의 연장방향으로 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절개부(123)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절개부(123)는 절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절개부(123)는 도 1과 같이 3개가 제공될 수 있다. 3개의 제1절개부(123)는 도 1과 같이 귓바퀴(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부착부(120)의 귓바퀴(10)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서 귓바퀴(10)에 가까워지는 방향에 대한 수직한 방향, 즉 귓바퀴(10)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절개부(123)의 수는 부착부(12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외피(112)와 부착부(120)의 타면을 연결한다. 이때, 교정부(110)는 연결부(130)에 의해 두피(30)에 접착된 부착부(120)와 연결되어 두피(30)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외피(112)와 연결되는 제1영역(131) 및 제1영역(131)과 부착부(120)를 연결하는 제2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130)는 도 2와 같이 횡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131)은 일단부가 외피(112)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피(112)에서, 즉 귓바퀴(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영역(131)은 두피(30)에 대해 이격되어 외피(112)와 연결되고, 부착부(120)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영역(132)은 일단부가 제1영역(13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두피(30)를 향해 연장되어 부착부(120)의 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영역(132)은 도 2와 같이 부착부(120)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제1영역(131)과 제2영역(132)의 사잇각이 90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제2영역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착부에 대해 수직에 가깝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사잇각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사잇각은 60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의 범위 중 임의로 선택된 값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연결부(130)는 도 2와 같이 교정부(110) 및 부착부(120)와 함께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공간은 교정부(110), 연결부(130) 및 부착부(1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귓바퀴(10)의 일부는 교정부(110)가 귓바퀴홈(11)에 삽입될 때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교정부(110), 연결부(130) 및 부착부(120)의 측벽에 지지될 있다. 따라서, 교정부(110)에 의해 교정되는 귓바퀴(10)의 모양은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영역(131)과 제2영역(132)의 사잇각이 예각을 형성하는 경우, 귓바퀴(10)의 일부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교정부(110), 연결부(130) 및 부착부(120)의 측벽에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되고, 삽입공간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ㄱ자 형상의 연결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귓바퀴를 향하는 내측면이 귓바퀴의 모양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에는 제2절개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부착부(120)가 펴질 때 부착부(120)를 따라 펴지며, 외피(112)와 부착부(120)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절개부(133)는 도 1과 같이 연결부(130)의 부착부(120)와 연결되는 단부에서 외피(112)를 향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절개부(133)는 제2영역(132)의 부착부(120)와 연결되는 타단부에서 외피(112)와 연결되는 제1영역(131)의 일단부를 향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외피(112)와 같은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00)는 귓바퀴홈(11)에 삽입된 교정부(110)가 두피(30)에 접착된 부착부(120)와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어 두피(30)에 지지됨으로써, 교정부(110)가 귓바퀴(10)의 모양을 교정하는 동안 보다 견고하며 효과적으로 고정되며 귓바퀴홈(1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심재(111')의 측부는 도 5와 같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3의 심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귓바퀴(도 1의 10 참조)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심재(111')는 도 5와 같이 외피(112')의 수용공간(112a')의 바닥면을 마주보는 측부가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심재(111')의 측부에는 수용공간(112a')의 바닥면의 반대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심재(111')는 보다 용이하게 휨 변형될 수 있고, 제작에 소비되는 재료의 양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112a')의 바닥면은 도 5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심재의 요철모양에 대응하는 요철모양이, 즉 심재의 오목부에 대응하여 심재를 향해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공간(112a")의 내측면 모서리부는 도 6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수용공간(112a")의 내측면 모서리부를 마주보는 심재(111")의 모서리부는 수용공간(112a")의 내측면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3의 심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귓바퀴(도 1의 10 참조)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심재(111")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외피(112")의 외측면을 수용공간(112a")의 내측으로 가압(도 6의 실선화살표 참조)할 때, 수용공간(112a")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도 6의 점선화살표 참조), 사용자는 수용공간(112a")에서 돌출된 심재(111")를 수용공간(112a")으로부터 용이하며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부(120')에 형성된 제1절개부(123a', 123b', 123c')는 도 7과 같이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절개부(123a', 123b', 123c') 중 하나(123a')는 나머지(123b', 123c')보다 절개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도 1의 제1절개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귓바퀴(도 1의 10) 및 교정부(도 1의 11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제1절개부(123a', 123b', 123c')는 도 7과 같이 3개가 제공될 수 있다. 3개의 제1절개부(123a', 123b', 123c') 중 부착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123a')는 부착부(120')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나머지 두 개의 제1절개부(123b', 123c')보다 절개길이가 길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부착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123a')를 중심으로 2부분으로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고, 다양한 귓바퀴의 연장길이 및 곡선 형상, 또는 두피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펴질 수 있다.
부착부(120') 중 절개길이가 긴 제1절개부(123a')의 끝단과 연결되는 영역에는 절개길이가 긴 제1절개부(123a')의 절개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선(124')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절취선(124')은 도 7과 같이 부착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123a')의 끝단과 연결되는 지점부터 부착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123a')의 절개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절취선(124')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부착부(120')를 두피에 접착하기 전 부착부(120')를 펼칠 필요가 있는 경우, 가위 또는 칼 등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취선(124')을 따라 부착부(120')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의 일측에는 도 8과 같이 수납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도 2의 연결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귓바퀴(도 1의 10 참조)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수납홈(134')은 도 8과 같이 연결부(130')의 두피(30)를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납홈(134')은 제2영역(132')의 두피(30)를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134')에는 도 8과 같이 평상시 보조접착테이프(135')가 접철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접착테이프(135')는 일단이 수납홈(134') 내측면에 접착되고, 타단이 수납홈(134') 외부의 연결부(130')의 외측면에 가접착될 수 있다.
보조접착테이프(135')는 귓바퀴홈(도 1의 11 참조)에 삽입된 교정부(110)를 지지할 필요가 있을 때 귓바퀴홈에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접착테이프(135')는 타단이 가접착된 연결부(130')의 외측면에서 귓바퀴홈으로 연장되고, 귓바퀴홈 중 교정부(11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교정부(110)는 부착부(120)를 통해 두피(30)에 고정되며, 동시에 보조접착테이프(135')를 통해 귓바퀴홈에 지지됨으로써 귓바퀴홈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조접착테이프(135')의 접착면에는 보호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필름은 보조접착테이프(135')가 수납홈(134')에 수납되는 동안 보조접착테이프(135')의 접착면을 보호하고, 보조접착테이프(135')가 귓바퀴홈에 접착될 때 제거될 수 있다.
수납홈(134')의 개방된 측에는 도 8과 같이 지지측벽(136')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측벽(136')은 수납홈(134')에 수납된 보조접착테이프(135')가 수납홈(134')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에는 도 9와 같이 삽입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도 2의 연결부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귓바퀴(도 1의 10 참조)가 생략되어 되시되어 있다.
삽입홈(137")은 연결부(130")의 두피(30)를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외피(112)와 부착부(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홈(137")은 제1영역(131")에서 제2영역(132")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137")은 연결부(130")의 횡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삽입홈(137")은 도 9와 같이 연결부(130")의 횡단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ㄱ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홈(137")에는 지지부재(138")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재(138")는 외피(112)와 부착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지지부재(138")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외피(112)와 부착부(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부(110)는 연결부(130") 및 부착부(120)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영역(131")과 제2영역(132")의 사잇각이 예각을 형성하는 경우, 지지부재(138")는 예각이 유지되도록 제1영역(131")과 제2영역(13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38")는 삽입홈(137")의 형상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138")는 도 9와 같이 삽입홈(137")의 형상에 대응하여 ㄱ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138")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교정장치(100)의 착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교정부(110)는 도 1과 같이 정상적인 귓바퀴(10)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심재(111)는 정상적인 귓바퀴(10) 모양으로 휨 변형될 수 있다. 모양이 변형된 심재(111)는 외피(112)의 수용공간(112a)으로 삽입되고, 외피(112)는 심재(111)의 모양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후, 교정부(110)는 도 1과 같이 귓바퀴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교정부(110)는 귓바퀴(10)의 모양을 정상적인 모양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후, 부착부(1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두피(30)에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120)는 제1절개부(123)를 통해 펴지며 두피(30)에 효과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귓바퀴
11: 귓바퀴홈
30: 두피
100: 교정장치
110: 교정부
111, 111’, 111”: 심재
112,112’, 112”: 외피
113: 걸림돌기
120, 120’: 부착부
121: 접착층
123, 123a’, 123b’, 123c’: 제1절개부
124’: 절취선
130, 130’, 130”: 연결부
133: 제2절개부
134’: 수납홈
135’: 보조접착테이프
137”: 삽입홈
138”: 지지부재

Claims (11)

  1.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심재 및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의 귓바퀴홈에 삽입되는 교정부;
    접착층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귓바퀴와 연결되는 두피에 접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심재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출되는, 귀 교정장치.
  2.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심재 및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의 귓바퀴홈에 삽입되는 교정부;
    접착층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귓바퀴와 연결되는 두피에 접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외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3.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심재 및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의 귓바퀴홈에 삽입되는 교정부;
    접착층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귓바퀴와 연결되는 두피에 접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귓바퀴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서 상기 귓바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절개부가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절개부는 절개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절개부 중 하나는 나머지보다 절개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 중 상기 절개길이가 긴 제1절개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영역에는 상기 절개길이가 긴 제1절개부의 절개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6. 귓바퀴의 모양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심재 및 내부에 상기 심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의 귓바퀴홈에 삽입되는 교정부;
    접착층이 형성된 일면이 상기 귓바퀴와 연결되는 두피에 접착되는 부착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는 단부에서 상기 외피를 향한 방향으로 절개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측부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 모서리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 모서리부를 마주보는 상기 심재의 모서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귀 교정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보조접착테이프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접착테이프는 상기 귓바퀴홈에 접착되는, 귀 교정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피와 상기 부착부를 연결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귀 교정장치.
  11. 삭제
KR1020190002699A 2019-01-09 2019-01-09 귀 교정장치 KR10212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99A KR102125389B1 (ko) 2019-01-09 2019-01-09 귀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99A KR102125389B1 (ko) 2019-01-09 2019-01-09 귀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389B1 true KR102125389B1 (ko) 2020-06-22

Family

ID=7114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99A KR102125389B1 (ko) 2019-01-09 2019-01-09 귀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3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33U (ko) * 1998-07-08 1998-10-26 이창섭 귀 교정장치
JP2003505151A (ja) * 1999-07-27 2003-02-12 マイケル ミラベ ソリベ, 人の外耳の形状を非観血的に矯正するための装置
WO2009014908A1 (en) * 2007-07-23 2009-01-29 Henry Stephenson Byrd Correcting misshaped ea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33U (ko) * 1998-07-08 1998-10-26 이창섭 귀 교정장치
JP2003505151A (ja) * 1999-07-27 2003-02-12 マイケル ミラベ ソリベ, 人の外耳の形状を非観血的に矯正するための装置
WO2009014908A1 (en) * 2007-07-23 2009-01-29 Henry Stephenson Byrd Correcting misshaped ears
KR20100090677A (ko) * 2007-07-23 2010-08-16 헨리 스티븐슨 버드 기형 귀 교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5825B1 (en) Surgical eye shield
US8167942B2 (en) Ear molding device for correcting misshaped ears
AU738314B2 (en) Behind the ear hearing aid system
US11284182B2 (en) Open audio device
JPS6147927A (ja) 眼鏡のフレームのつるの端片
JP6233994B1 (ja) 鼻当て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
KR102125389B1 (ko) 귀 교정장치
US20200146891A1 (en) Corrective apparatus for deformed external ear
US20010023695A1 (en) Nasal dilator
CN112566591A (zh) 下颌角度支撑用辅助器及含其的下颌角度矫正装置
JP4198886B2 (ja) 前眼房内への眼内インプラント
KR102399182B1 (ko) 귀 통증 완화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가드
CN113057778A (zh) 耳轮成型器及可调耳朵塑形机构
GB2304579A (en) Ear splint
WO2022116123A1 (en) Earpiece with stabilizer
US202400581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deling an ear
CN217938537U (zh) 手术用护眼贴
JPH06113001A (ja) 片耳装着型送受話器
CN212592604U (zh) 耳轮成型器及可调耳朵塑形机构
KR20230090512A (ko)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KR20240054751A (ko) 환자 맞춤형 귀 교정기
KR20220127111A (ko) 기밀용 에어튜브를 구비한 마스크
TWM594363U (zh) 減壓耳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