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684B1 -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84B1
KR101497684B1 KR1020130134688A KR20130134688A KR101497684B1 KR 101497684 B1 KR101497684 B1 KR 101497684B1 KR 1020130134688 A KR1020130134688 A KR 1020130134688A KR 20130134688 A KR20130134688 A KR 20130134688A KR 101497684 B1 KR101497684 B1 KR 10149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needle
camera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자동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자동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자동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3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01N2021/889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providing a bare video image, i.e. without visual measurement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허브의 상단 중앙에 바늘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주삿바늘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에어니플에 안착고정된 고정지그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유입되는 유입가이드; 및 상기 유입가이드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가이드 상에 유입되어 일시 정지된 상기 고정지그 상의 다수 개의 상기 주삿바늘에 대하여 바늘 첨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촬상하여 상기 주삿바늘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수평촬상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촬상유닛은 상기 고정지그의 에어니플 상에 안착고정된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하여 사방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상기 주삿바늘의 둘레를 따라 90도 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4곳에 각기 촬영을 위한 제1카메라, 제2카메라, 제3카메라, 제4카메라를 가지는 제1수평촬상유닛, 제2수평촬상유닛, 제3수평촬상유닛, 제4수평촬상유닛으로 배치되며, 수직촬상유닛과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수평촬상유닛과 수직촬상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주삿바늘의 바늘 첨단부 형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데이터로 불량여부를 선별검사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에 대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수평촬상유닛과 수직촬상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주삿바늘의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은 물론 주삿바늘의 경사지게 가공된 첨단부가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과 같은 불량 주삿바늘 전체에 대한 선별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Apparatus of screening inspection for a bad injection syringes}
본 발명은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에 대한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삿바늘의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은 물론 주삿바늘의 경사지게 가공된 첨단부가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과 같은 불량 주삿바늘 전체에 대한 선별검사가 이루어져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는 종래에 다수의 주삿바늘이 삽입되어 이송되는 지그를 기울여 주삿바늘의 끝이 액체의 표면 쪽으로 향하게 한 후 반대쪽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는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여 선별검사가 되었다.
이때, 불량 주삿바늘로서 막힌 주삿바늘에서는 바람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지 않는 주삿바늘만을 골라서 수거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불량 주삿바늘을 선별검사할 경우에는 주삿바늘마다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골이 형성되지 않는 주삿바늘만 골라서 다른 것과 구별이 될 수 있도록 일일이 구부려야 하고, 구부려진 주삿바늘만 골라서 일일이 손으로 따로 수거하여야 하므로, 비능률적일 뿐만 아니라, 불량 주삿바늘을 확인하여 다른 것과 구별이 되도록 구부리는 사람과 구부려진 것만 골라서 수거하는 두 사람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상부에 주삿바늘의 끝에서 바람이 나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이 감지장치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주삿바늘을 구부리는 장치를 감지장치의 하부에 설치하여 다수의 주삿바늘이 삽입되어 이송되는 공지의 지그가 감지장치의 하부의 작업 위치에 왔을 때, 종래와 같이 에어콤프레서로 각각의 주삿바늘에 공기를 보내고, 주삿바늘의 상부의 감지장치에 의하여 주삿바늘의 끝에서 바람이 나오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주삿바늘을 구부리는 장치로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만 자동적으로 구부리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구부려진 바늘만 제거하면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불량 주삿바늘 선별검사를 위한 장치는 에어콤프레서 및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선별검사를 위한 장치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불량 주삿바늘 선별검사를 위한 장치는 주삿바늘의 바늘구멍이 막힌 경우의 불량 주삿바늘에만 국한되어 선별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불량 주삿바늘 중 하나인 경사지게 가공된 주삿바늘의 첨단부가 미세하게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주삿바늘의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은 물론 주삿바늘의 경사지게 가공된 첨단부가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선별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불량 주삿바늘 선별검사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5-0004852호 1995.5.2.등록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에 대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주삿바늘의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은 물론 주삿바늘의 경사지게 가공된 첨단부가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과 같은 불량 주삿바늘 전체에 대한 선별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허브의 상단 중앙에 바늘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주삿바늘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에어니플에 안착고정된 고정지그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유입되는 유입가이드; 및 상기 유입가이드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가이드 상에 유입되어 일시 정지된 상기 고정지그 상의 다수 개의 상기 주삿바늘에 대하여 바늘 첨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촬상하여 상기 주삿바늘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수평촬상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촬상유닛은 상기 고정지그의 에어니플 상에 안착고정된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하여 사방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상기 주삿바늘의 둘레를 따라 90도 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4곳에 각기 촬영을 위한 제1카메라, 제2카메라, 제3카메라, 제4카메라를 가지는 제1수평촬상유닛, 제2수평촬상유닛, 제3수평촬상유닛, 제4수평촬상유닛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과 제2수평촬상유닛은 상기 유입가이드 일측의 제1설치대 상에 상호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수직이동조절구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 조절되며, 상기 제3수평촬상유닛과 제4수평촬상유닛은 상기 유입가이드 타측의 제2설치대 상에 상호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구비되어, 상기 제2설치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2수직이동조절구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조절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제1설치대 상면의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과 제2수평촬상유닛 사이에는 제3설치대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3설치대 상에 제3수직이동조절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승강 이동되는 제5카메라를 가지는 수직촬상유닛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5카메라는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의 일면에 고정된 장착대의 상부 일면에 수직 하방 촬영이 가능토록 장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1설치대와 상기 제2설치대의 저면에는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 측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유닛이 더 밀착 설치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 제2수평촬상유닛, 제3수평촬상유닛, 제4수평촬상유닛 및 상기 수직촬상유닛을 통해 촬영된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한 수평 4방향과 수직 1방향의 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마이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수신된 5개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주삿바늘 첨단부의 형상을 판별하여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은 상기 제1카메라가 하부에 장착된 제1수평이동조절구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고, 상기 제2수평촬상유닛은 상기 제2카메라가 하부에 장착된 제2수평이동조절구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며, 상기 제3수평촬상유닛은 상기 제3카메라가 하부에 장착된 제3수평이동조절구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3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고, 상기 제4수평촬상유닛은 상기 제4카메라가 하부에 장착된 제4수평이동조절구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4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조작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이동조절구는 제1수평이동스크류의 제1수평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조절구는 제2수평이동스크류의 제2수평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며, 상기 제3수평이동조절구는 제3수평이동스크류의 제3수평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고, 상기 제4수평이동조절구는 제4수평이동스크류의 제4수평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수직이동조절구는 상기 제1설치대의 일측 상면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어, 판 상 중앙에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제1수직이동스크류의 제1수직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설치대와 함께 수직이동조절되며, 상기 제2수직이동조절구는 상기 제2설치대의 일측 상면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제2수직이동스크류의 제2수직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설치대와 함께 수직이동조절됨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는 제3수직이동스크류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3수직이동스크류의 제3수직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수직이동조절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촬상유닛과 수직촬상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주삿바늘의 바늘 첨단부 형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데이터로 불량여부를 선별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수평촬상유닛과 수직촬상유닛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에 대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수평촬상유닛과 수직촬상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주삿바늘의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은 물론 주삿바늘의 경사지게 가공된 첨단부가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과 같은 불량 주삿바늘 전체에 대한 선별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서 요부인 카메라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서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서 요부인 카메라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서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고정지그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유입가이드(100), 수평촬상유닛(200), 수직촬상유닛(250) 및 조명유닛(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가이드(100)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허브(11)의 상단 중앙에 바늘(15)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주삿바늘(10)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에어니플(21)에 안착고정된 고정지그(20)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촬상유닛(200)은 상기 유입가이드(10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가이드(100) 상에 유입되어 일시 정지된 상기 고정지그(20) 상의 다수 개의 상기 주삿바늘(10)에 대하여 바늘(15) 첨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촬상하여 상기 주삿바늘(1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촬상유닛(200)은 상기 고정지그(20)의 에어니플(21) 상에 안착고정된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사방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상기 주삿바늘(10)의 둘레를 따라 90도 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4곳에 각기 촬영을 위한 제1카메라(211), 제2카메라(221), 제3카메라(231), 제4카메라(241)를 가지는 제1수평촬상유닛(210), 제2수평촬상유닛(220), 제3수평촬상유닛(230), 제4수평촬상유닛(240)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평촬상유닛(200)은 제1수평촬상유닛(210), 제2수평촬상유닛(220), 제3수평촬상유닛(230), 제4수평촬상유닛(240)의 4개의 유닛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4개의 유닛으로 제공되는 수평촬상유닛(200) 중에서,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과 제2수평촬상유닛(220)은 상기 유입가이드(100) 일측의 제1설치대(300) 상에 상호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대(30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수직이동조절구(310)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 조절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4개의 유닛으로 제공되는 수평촬상유닛(200) 중에서, 상기 제3수평촬상유닛(230)과 제4수평촬상유닛(240)은 상기 유입가이드(100) 타측의 제2설치대(400) 상에 상호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구비되어, 상기 제2설치대(40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2수직이동조절구(410)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조절된다.
한편, 상기 제1설치대(300) 상면의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과 제2수평촬상유닛(220) 사이에는 제3설치대(50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3설치대(500) 상에 제3수직이동조절구(5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승강 이동되는 제5카메라(251)를 가지는 수직촬상유닛(25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5카메라(251)는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510)의 일면에 고정된 장착대(501)의 상부 일면에 수직 하방 촬영이 가능토록 장착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제1설치대(300)와 상기 제2설치대(400)의 저면에는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 측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유닛(260)이 더 밀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유닛(260)은 상기 제1설치대(300)와 상기 제2설치대(400)의 저면에 밀착설치되되, 상기 제1설치대(300)와 상기 제2설치대(400)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1설치대(300)와 상기 제2설치대(400)를 잇는 원형 링 타입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형 링 타입으로 제공되는 상기 조명유닛(260)은 원형 링 형상의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LED램프가 다수 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는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 제2수평촬상유닛(220), 제3수평촬상유닛(230), 제4수평촬상유닛(240) 및 상기 수직촬상유닛(250)을 통해 촬영된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한 수평 4방향과 수직 1방향의 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마이콤(미도시)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이콤(미도시)은 수신된 5개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주삿바늘(10) 첨단부의 형상을 판별하여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를 수행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마이콤(미도시)는 모니터링을 위한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 제2수평촬상유닛(220), 제3수평촬상유닛(230), 제4수평촬상유닛(240) 및 상기 수직촬상유닛(250)과 대응되는 5개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모니터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간편하게 불량 주삿바늘 선별에 대한 오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불량 주삿바늘 선별검사에 대한 장치의 오작동시 장치에 대한 작동오류를 해결한 후에 재가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서,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은 상기 제1카메라(211)가 하부에 장착된 제1수평이동조절구(21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카메라(21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고, 상기 제2수평촬상유닛(220)은 상기 제2카메라(221)가 하부에 장착된 제2수평이동조절구(22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카메라(22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조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3수평촬상유닛(230)은 상기 제3카메라(231)가 하부에 장착된 제3수평이동조절구(23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3카메라(23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고, 상기 제4수평촬상유닛(240)은 상기 제4카메라(241)가 하부에 장착된 제4수평이동조절구(24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4카메라(24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조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이동조절구들(213, 223, 233, 243)을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카메라(211, 221, 231, 241)를 통한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 영상을 최적의 해상도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수평이동조절구(213)는 제1수평이동스크류(214)의 제1수평손잡이(21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며, 상기 제1수평이동스크류(214) 양측으로 상기 제1수평이동조절구(213)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을 위한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평이동조절구(223)는 제2수평이동스크류(224)의 제2수평손잡이(22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며, 상기 제2수평이동스크류(224) 양측으로 상기 제2수평이동조절구(223)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을 위한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수평이동조절구(233)는 제3수평이동스크류(234)의 제3수평손잡이(23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며, 상기 제3수평이동스크류(234) 양측으로 상기 제3수평이동조절구(233)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을 위한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수평이동조절구(243)는 제4수평이동스크류(244)의 제4수평손잡이(24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며, 상기 제4수평이동스크류(244) 양측으로 상기 제4수평이동조절구(243)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을 위한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이동조절구(310)는 상기 제1설치대(300)의 일측 상면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어, 판 상 중앙에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제1수직이동스크류(311)의 제1수직손잡이(3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설치대(300)와 함께 수직이동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직이동스크류(311) 양측에는 상기 제1수직이동조절구(310) 및 상기 제1설치대(300)의 안정적인 수직이동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수직이동조절구(410)는 상기 제2설치대(400)의 일측 상면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제2수직이동스크류(411)의 제2수직손잡이(4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설치대(400)와 함께 수직이동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이동스크류(411) 양측에는 상기 제2수직이동조절구(410) 및 상기 제2설치대(400)의 안정적인 수직이동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510)는 제3수직이동스크류(511)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3수직이동스크류(511)의 제3수직손잡이(512)의 회전에 의해 수직이동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3수직이동스크류(511) 양측에는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510)의 안정적인 수직이동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바(미부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 의해 선별검사가 완료되어 불량 주삿바늘로 선별된 주삿바늘은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일측에 설치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수거장치(미도시) 측으로 상기 고정지그(20)가 이송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수거장치(미도시)에 의해 불량으로 선별된 주삿바늘(10)에 대하여서만 상기 고정지그(20)의 에어니플(21) 측으로 일정압력을 가지고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지그(20)로부터 불량 주삿바늘(10)을 수거함 측으로 수거되도록 하여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수거 처리가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에 의하면, 상기 수평촬상유닛(200)과 수직촬상유닛(250)이 구비됨으로써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주삿바늘(10)의 바늘(15) 단부에서 경사지게 가공된 부분인 첨단부 형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데이터로 불량여부를 선별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촬상유닛(200)과 수직촬상유닛(25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에어콤프레서와 바람 감지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요구됨이 없이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에 대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평촬상유닛(200)과 수직촬상유닛(250)이 구비됨으로써 주삿바늘(10)의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은 물론 주삿바늘(10)의 경사지게 가공된 첨단부가 구부러진 불량 주삿바늘과 같은 불량 주삿바늘 전체에 대한 선별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주삿바늘
11: 허브 15: 바늘
20: 고정지그 21: 에어니플
100: 유입가이드
200: 수평촬상유닛
210: 제1수평촬상유닛 211: 제1카메라
213: 제1수평이동조절구 214: 제1수평이동스크류
215: 제1수평손잡이
220: 제2수평촬상유닛
221: 제2카메라 223: 제2수평이동조절구
224: 제2수평이동스크류 225: 제2수평손잡이
230: 제3수평촬상유닛
231: 제3카메라 233: 제3수평이동조절구
234: 제3수평이동스크류 235: 제3수평손잡이
240: 제4수평촬상유닛
241: 제4카메라 243: 제4수평이동조절구
244: 제4수평이동스크류 245: 제4수평손잡이
250: 수직촬상유닛
251: 제5카메라
260: 조명유닛
300: 제1설치대
310: 제1수직이동조절구
311: 제1수직이동스크류 312: 제1수직손잡이
400: 제2설치대
410: 제2수직이동조절구
411: 제2수직이동스크류 412: 제2수직손잡이
500: 제3설치대 501: 장착대
510: 제3수직이동조절구
511: 제3수직이동스크류 512: 제3수직손잡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허브(11)의 상단 중앙에 바늘(15)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주삿바늘(10)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에어니플(21)에 안착고정된 고정지그(20)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유입되는 유입가이드(100); 및
    상기 유입가이드(10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가이드(100) 상에 유입되어 일시 정지된 상기 고정지그(20) 상의 다수 개의 상기 주삿바늘(10)에 대하여 바늘(15) 첨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촬상하여 상기 주삿바늘(1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수평촬상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촬상유닛(200)은 상기 고정지그(20)의 에어니플(21) 상에 안착고정된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사방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상기 주삿바늘(10)의 둘레를 따라 90도 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4곳에 각기 촬영을 위한 제1카메라(211), 제2카메라(221), 제3카메라(231), 제4카메라(241)를 가지는 제1수평촬상유닛(210), 제2수평촬상유닛(220), 제3수평촬상유닛(230), 제4수평촬상유닛(240)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과 제2수평촬상유닛(220)은 상기 유입가이드(100) 일측의 제1설치대(300) 상에 상호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 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대(30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수직이동조절구(310)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 조절되며,
    상기 제3수평촬상유닛(230)과 제4수평촬상유닛(240)은 상기 유입가이드(100) 타측의 제2설치대(400) 상에 상호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이격 구비되어, 상기 제2설치대(40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제2수직이동조절구(410)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대(300) 상면의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과 제2수평촬상유닛(220) 사이에는 제3설치대(50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3설치대(500) 상에 제3수직이동조절구(5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승강 이동되는 제5카메라(251)를 가지는 수직촬상유닛(25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카메라(251)는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510)의 일면에 고정된 장착대(501)의 상부 일면에 수직 하방 촬영이 가능토록 장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1설치대(300)와 상기 제2설치대(400)의 저면에는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 측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유닛(260)이 더 밀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 제2수평촬상유닛(220), 제3수평촬상유닛(230), 제4수평촬상유닛(240) 및 상기 수직촬상유닛(250)을 통해 촬영된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한 수평 4방향과 수직 1방향의 촬영 데이터를 전송받는 마이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수신된 5개의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주삿바늘(10) 첨단부의 형상을 판별하여 불량 주삿바늘에 대한 선별검사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촬상유닛(210)은 상기 제1카메라(211)가 하부에 장착된 제1수평이동조절구(21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카메라(21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고, 상기 제2수평촬상유닛(220)은 상기 제2카메라(221)가 하부에 장착된 제2수평이동조절구(22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카메라(22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며,
    상기 제3수평촬상유닛(230)은 상기 제3카메라(231)가 하부에 장착된 제3수평이동조절구(23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3카메라(23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고, 상기 제4수평촬상유닛(240)은 상기 제4카메라(241)가 하부에 장착된 제4수평이동조절구(243)에 의해 상기 주삿바늘(10)의 첨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4카메라(241)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조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조절구(213)는 제1수평이동스크류(214)의 제1수평손잡이(21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조절구(223)는 제2수평이동스크류(224)의 제2수평손잡이(22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며,
    상기 제3수평이동조절구(233)는 제3수평이동스크류(234)의 제3수평손잡이(23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되고, 상기 제4수평이동조절구(243)는 제4수평이동스크류(244)의 제4수평손잡이(245)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이동조절구(310)는 상기 제1설치대(300)의 일측 상면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어, 판 상 중앙에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제1수직이동스크류(311)의 제1수직손잡이(3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설치대(300)와 함께 수직이동조절되며, 상기 제2수직이동조절구(410)는 상기 제2설치대(400)의 일측 상면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중앙에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제2수직이동스크류(411)의 제2수직손잡이(4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설치대(400)와 함께 수직이동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직이동조절구(510)는 제3수직이동스크류(511)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3수직이동스크류(511)의 제3수직손잡이(512)의 회전에 의해 수직이동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KR1020130134688A 2013-11-07 2013-11-07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KR10149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688A KR101497684B1 (ko) 2013-11-07 2013-11-07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688A KR101497684B1 (ko) 2013-11-07 2013-11-07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684B1 true KR101497684B1 (ko) 2015-03-23

Family

ID=5302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688A KR101497684B1 (ko) 2013-11-07 2013-11-07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1965A (zh) * 2015-11-02 2016-03-09 温州通尔自动化有限公司 一种基于pc图像采集系统的注射器针头检测系统及方法
CN109396057A (zh) * 2017-08-18 2019-03-01 东莞倍力扣金属制品有限公司 混料异常分料装置
KR20200021771A (ko) * 2018-08-21 2020-03-02 이엑스테크놀러지 (주)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KR102546029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이중바늘 정렬 및 검사장치
KR102546030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바늘 검사장치
KR20230140076A (ko) 2022-03-29 2023-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니들 패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니들 패치 검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612A (ja) * 1993-01-11 1994-07-22 Hitachi Eng Co Ltd ボトルシールの外観検査方法及び装置
JPH08178859A (ja) * 1994-12-20 1996-07-12 Nippon Felt Co Ltd ニードル針自動検査装置
JPH08271444A (ja) * 1995-03-30 1996-10-18 Saitou Ika Kogyo Kk 医療用針検査装置
KR101218184B1 (ko) * 2011-09-09 2013-01-03 (주)코맥 주사바늘 막힘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612A (ja) * 1993-01-11 1994-07-22 Hitachi Eng Co Ltd ボトルシールの外観検査方法及び装置
JPH08178859A (ja) * 1994-12-20 1996-07-12 Nippon Felt Co Ltd ニードル針自動検査装置
JPH08271444A (ja) * 1995-03-30 1996-10-18 Saitou Ika Kogyo Kk 医療用針検査装置
KR101218184B1 (ko) * 2011-09-09 2013-01-03 (주)코맥 주사바늘 막힘 검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1965A (zh) * 2015-11-02 2016-03-09 温州通尔自动化有限公司 一种基于pc图像采集系统的注射器针头检测系统及方法
CN109396057A (zh) * 2017-08-18 2019-03-01 东莞倍力扣金属制品有限公司 混料异常分料装置
KR20200021771A (ko) * 2018-08-21 2020-03-02 이엑스테크놀러지 (주)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KR102105890B1 (ko) * 2018-08-21 2020-04-29 이엑스테크놀러지 (주)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KR20230140076A (ko) 2022-03-29 2023-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니들 패치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니들 패치 검사 방법
KR102546029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이중바늘 정렬 및 검사장치
KR102546030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바늘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684B1 (ko)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CN109934821B (zh) 一种零件缺陷检测方法及系统
KR101192331B1 (ko) 에어리어 카메라를 이용한 렌즈의 비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067647B1 (ko) 정밀나사용 헤드 측면부의 크랙검사장치
CN213456719U (zh) 曲面屏缺陷的检测装置
CN106872474A (zh) 零件立体视觉检测机及其检测方法
JP5880265B2 (ja) 基板収納設備
CN107362988B (zh) 一种电感外观自动检查设备
CN105984777B (zh) 主绳索张力测定装置及主绳索张力调整方法
CN110567973B (zh) 一种基于图像采集的活塞检测平台及方法
KR101177764B1 (ko) 오링볼트 검사장치
KR20150107355A (ko) 케이블 표면결함 검출장치
CN104897053A (zh) 可编程数字化机器视觉检测平台
CN106338847A (zh) 显示模组自动点亮检测机
WO2019124508A1 (ja) ワイヤ形状検査装置およびワイヤ形状検査方法
CN206609797U (zh) 零件立体视觉检测机
CN107430076A (zh) 用于物体、特别是金属盖板的光学检测装置及方法
KR101390753B1 (ko) 강구를 회전 및 직선 운동시키면서 강구의 결함을 검사하는 강구 검사장치
CN1976576B (zh) 表面安装机
CN108020474A (zh) 一种用于疲劳测试样品的质量检测系统
KR101249045B1 (ko) 정립광 입도 측정장치
CN110161054A (zh) 一种剔除废杯的纸杯检测装置
CN205361990U (zh) 手机马达电刷自动检测装置
KR20200031814A (ko) 콘택트렌즈 자동화 비젼 검사장치
CN115254680A (zh) 一种显示屏的异物自动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