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90B1 -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 Google Patents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90B1
KR102105890B1 KR1020180097549A KR20180097549A KR102105890B1 KR 102105890 B1 KR102105890 B1 KR 102105890B1 KR 1020180097549 A KR1020180097549 A KR 1020180097549A KR 20180097549 A KR20180097549 A KR 20180097549A KR 102105890 B1 KR102105890 B1 KR 102105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spection
image
injection
coa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771A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이엑스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엑스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이엑스테크놀러지 (주)
Priority to KR1020180097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21Strea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testing or calibration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2Equipment for testing the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5Objects on a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01N2021/8918Met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바늘의 높이와 바늘의 직진도와 바늘 내에 형성된 바늘구멍의 직경, 그리고 주사바늘의 굽힘이나 이물질에 의한 막힘 여부를 검사하는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Medical needle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바늘의 높이와 바늘의 직진도와 바늘 내에 형성된 바늘구멍의 직경, 그리고 주사바늘의 굽힘이나 이물질에 의한 막힘 여부를 검사하는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료용 주사기는, 약물이 담기는 주사기 본체와, 본체 앞부분에 캡을 매개로 하여 끼워지는 주사바늘 및, 본체 안의 약물을 주사바늘 쪽으로 밀어내는데 사용되는 피스톤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을 제조할 때에는 상기 바늘구멍이 막히지 않고 잘 뚫려있는지 여부 즉, 주사바늘의 관통여부를 검사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작업들이 실제 제조 현장에서는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공정으로 여겨지고 있다.
왜냐하면, 워낙 가느다란 주사바늘에 형성된 바늘구멍이 잘 뚫려있는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부담이 상당히 크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사바늘의 중공의 바늘구멍의 검사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 10-467957호(2005년 1월 14일, 등록)에 "주사기 바늘의 유무 및 막힘 검사시스템"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주사기 바늘의 유무 및 막힘 검사시스템는 다수개의 주사기가 일렬로 장착된 지그의 주사기 및 바늘들을 각각 홀딩하는 홀딩장치와, 상기 홀딩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그에 장착된 주사기들 중에 바늘 또는 허브가 없는 주사기 튜브의 구멍을 막는 바늘유무 검사시스템와, 상기 홀딩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그에 장착된 각각의 주사기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장치와, 상기 홀딩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사기 바늘의 유무 및 막힘을 감지하는 센싱장치와, 상기 센싱장치의 유리관 상부에 배치되어 유리관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센싱핀을 하부로 밀어 내리기 위한 푸싱장치와, 상기 홀딩장치로 공급되는 주사기의 바늘 높이에 따라 센싱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사기 바늘의 유무 및 막힘 검사시스템는 바늘을 통해 분사되는 바람에 의해 유리관 내에서 센싱핀이 상승되기 때문에, 유리관 내의 먼지 등에 의해 유리관 내부로 바람이 분사되어도 센싱핀이 센싱장치의 높이까지 상승하지 못함으로써, 검사에러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주사바늘의 막힘 발생을 검사하는 장치나 방법 외에, 주사바늘의 높이나 두께, 및 폭을 포함하는 치수 정밀도와, 이물질의 잔류여부, 및 외관 기형의 발생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전용의 장치나 방법이 제안되지 아니한 관계로, 주사바늘의 안전성이 저해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KR 10-467957 B1 KR 10-1218184 B1 KR 10-1132203 B1 KR 10-10-1525700 B1 KR 10-2002-0017054 A KR 10-2011-0026922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카메라부를 통해 해당 주사바늘의 6측면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 및 이를 분석하여 주사바늘의 높이나 외경, 및 굽힘도를 검사하는 외형 검사공정과, 주사바늘의 바늘구멍 내 이물질의 잔류여부와 바늘구멍의 직경, 및 직진도를 포함하는 바늘구멍 검사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특히, 이송부에 의한 주사바늘의 측면상이 국부적으로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사바늘 거상구조를 마련하여, 주사바늘의 검사에 따른 정밀성과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한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는,
검사공간이 형성된 검사실과;
검사를 요하는 주사바늘을 직립되게 정렬하여 검사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검사실을 직립된 상태로 투입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을 상향 반사하는 복수의 상향 반사판들이 형성된 상향 반사갓부와;
상기 검사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향 반사갓부의 각 상향 반사판들에 의해 상향 반사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을 일괄 촬영하여,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검사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수득된 실검사 영상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준 검사영상을 대조하여, 실검사 영상과 표준 검사영상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여 주사바늘의 외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영상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판독 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에는, 검사실의 검사공간 내에 진입되어 검사영상의 촬영을 요하는 주사바늘을 일시적으로 상향 돌출시켜, 인접한 주사바늘에 의해 측면상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거상 헤드유닛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이송벨트에 주사바늘을 정렬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거상 헤드유닛은 이송벨트에 상향 투과하여 검사영상의 수득을 요하는 주사바늘을 거상하는 하나 이상의 거상 흡착핀을 갖는 거상핀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상핀 헤드는 이송벨트에 상향 투과하여 흡기력을 제공하여 주사바늘의 커넥터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 거상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상핀 헤드에는 흡착 거상핀에 의해 커넥터가 진공 흡착된 상태로 거상된 주사바늘의 바늘구멍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핀과; 상기 공기 주입핀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바늘구멍의 내압값을 계측하는 압력 계측센서가 부가된다.
또한, 상기 판독 검사부에는 압력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바늘구멍의 내압값을 통해 바늘구멍의 막힘여부와, 바늘구멍 내에 주입된 공기의 배기상태를 통해 바늘구멍의 내경값을 추출하는 공압 검사모듈이 부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립된 주사바늘의 외측에 등각으로 배치된 상향 반사판을 갖는 상향 반사갓부를 배치하여, 하나의 카메라부를 통해 검사를 요하는 주사바늘의 6측면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 및 이를 분석하여 주사바늘을 검사하도록 한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공정을 최소화하면서 주사바늘의 각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촬영시간의 단축과 검사영상의 판독에 따른 부하 발생이 최소화되어서, 주사바늘의 신속한 외관검사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송부에 거상 헤드유닛을 부가하여, 검사실 내로 진입된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수득하는 과정에 해당 주사바늘이 거상되어서, 안정적인 측면상의 수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거상 헤드유닛은 주사바늘의 커넥터를 흡착하는 흡착 거상핀과; 흡착 거상핀에 의해 바늘구멍 내에 상향 진입하여서, 바늘구멍 내에 공기를 토출하여 주입하는 공기 주입핀을 포함하여, 거상 헤드유닛에 의해 거상되는 주사바늘의 안정적인 고정과 함께, 공기 주입핀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주사바늘 내에 잔류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압력 계측센서와 공압 검사모듈에 의해 압력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바늘구멍의 내압값을 통해 바늘구멍의 막힘여부와, 바늘구멍 내에 주입된 공기의 배기상태를 통해 바늘구멍의 내경값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독 검사부는 검사영상 내에 핀홀과 주사바늘의 바늘구멍을 통과한 레이저빔의 광점의 형성여부와 광점의 형상, 및 형성지점을 통해 바늘의 굽힘발생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를 통한 주사바늘의 검사영상을 수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서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를 통한 주사바늘의 검사영상을 수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서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1)에 의해 복합 검사되는 의뢰용 주사바늘(이하, 주사바늘이라 칭함)은, 주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중공 커넥터와, 상기 중공 커넥터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바늘부재와; 상기 중공의 바늘부재를 커버하며,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캡이 조립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공간(11)이 형성된 검사실(10)과; 검사를 요하는 주사바늘을 직립되게 정렬하여 검사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이송부(20)와; 상기 검사실(10)을 직립된 상태로 투입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을 상향 반사하는 복수의 상향 반사판(31)들이 형성된 상향 반사갓부(30)와; 상기 검사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향 반사갓부(30)의 각 상향 반사판(31)들에 의해 상향 반사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을 일괄 촬영하여,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검사 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부(50); 및 상기 카메라부(50)에 의해 수득된 실검사 영상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준 검사영상을 대조하여, 실검사 영상과 표준 검사영상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여 주사바늘의 외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영상 검사모듈(61)을 포함하는 판독 검사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실(10) 내에는 외부와 차폐된 암흑의 검사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검사공간(11)의 일측에는 제 1 적외선 조명(12a)과, 상기 제 1 적외선 조명(12a)에서 발산된 빛을 검사공간(11)의 일측으로 분산시키는 제 1 빔 스프리터(Beam Splitter)를 포함하는 제 1 적외선 조명부(1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공간(11)의 타측에는 제 2 적외선 조명(13a)과, 상기 제 2 적외선 조명(13a)에서 발산된 빛을 검사실의 타측으로 분산시키는 제 2 빔 스프리터(Beam Splitter, 13b)를 포함하는 제 2 적외선 조명부(13)가 배치된다.
상기 이송부(20)는, 이송벨트(21)에 주사바늘을 직립되게 안착시켜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나, 진동에 의한 관성을 통해서 일렬로 정렬된 주사바늘들을 이동시키는 관성 이동수단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동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부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이송부(20)에 직립된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상향 반사하여 상부에 배치된 카메라부(50)에 입사하는 상향 반사갓부(30)는,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반사하는 상향 반사판(31)들이 등각도로 배치된 환형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 반사갓부(30)를 구성하는 6개의 상향 반사판(31)을 45° 경사각으로 배치하여, 검사공간(11)에 위치된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45°의 각도로 반사시켜 주사바늘의 상부 일지점에 배치된 카메라부(50)의 렌즈에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을 동시 입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50)는 6개의 상향 반사판(31)에 의해 반사하여 입사되는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동시에 촬영한 실검사 영상을 수득하고, 판독 검사부(60)의 영상 분석모듈(61)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본 검사영상과 카메라부(50)를 통해 제공되는 실검사 영상을 대조하여서, 이들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해당 주사바늘의 결함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 반사갓부(30)는 정역모터(32b)와 볼 스크루(32a)로 이루어진 승강유닛(32)을 통해 승강구조로 조립되어 정역모터(32b)의 정역회전에 의해 반사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카메라부(50)는 반사높이를 변경한 주사바늘의 측면상들을 수득한 복수의 실검사 영상을 수득하도록 한다.
즉, 상기 카메라부(50)는 정역모터(32b)의 정역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상향 반사갓부(30)의 승강작용을 통해, 일지점에 하강된 상향 반사갓부(30)가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반사시켜 입사한 1차 실검사 영상을 수득한 다음, 이지점에 상승된 상향 반사갓부(30)가 주사바늘의 측면상을 반사시켜 입사한 2차 실검사 영상을 각각 수득한다.
따라서, 상기 판독 검사부(60)의 영상 검사모듈(61)은 카메라부(50)를 통해 수득된 실검사 영상들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본 검사영상들을 상호 대조 판독하여서, 이들의 매칭여부를 통해 해당 주사바늘의 결함발생 여부를 검사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정역모터(32b)의 정역 회전을 통해 상향 반사갓부(30)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반사높이를 달리한 주사바늘의 측면상들을 일괄하여 촬영한 1차 실검사 영상과 2차 실검사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반사높이를 달리하여 수득한 1차 실검사 영상과 2차 실검사 영상의 개별적인 판독을 통해 주사바늘의 외형 검사에 따른 보다 향상된 정밀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20)는 이송벨트(21)에 주사바늘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검사실을 통과하면서 주사바늘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이송부(20)에 의해 주사바늘의 양측면상이 가려져서 주사바늘의 각 측부상을 전체적으로 수득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즉, 상기 이송부(20)의 이송벨트(21)에 안착되어 검사실(10)의 검사공간(11) 내로 진입된 주사바늘은 이송부(20)에 의해 양측부가 불가피하게 가려지고, 상향 반사갓부(30)는 이송부에 가려진 주사바늘의 양측부상을 반사하여 카메라부에 입사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갖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부(20)에 검사실(10)의 검사공간(11) 내에 진입되어 검사영상의 촬영을 요하는 하나 이상의 주사바늘을 일시적으로 상향 돌출시켜, 인접한 주사바늘에 의해 검사를 요하는 주사바늘의 측면상이 국부적으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거상 헤드유닛(70)을 부가한다.
상기 거상 헤드유닛(70)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벨트(21)에 상향 투과하여 검사영상의 수득을 요하는 주사바늘을 거상하는 거상핀 헤드(71)를 포함하며, 상기 거상핀 헤드(71)는 승강 엑츄에이터(70a)에 의해 이송부(20)에 승강구조로 배치된다.
상기 승강 엑츄에이터(70a)는 공압 실린더나, 전자기력을 이용한 리니어형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거상핀 헤드(71)는, 이송벨트(21)에 상향 투과하여 흡기력을 제공하여 주사바늘의 커넥터를 진공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 거상핀(7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20)의 이송벨트(21)에 안착되어 검사공간(11) 내에 위치된 주사바늘은, 거상핀 헤드(71)를 구성하는 흡착 거상핀(72)에 의해 이송벨트(21)에서 설정된 높이로 거상하여 일시적으로 상승되고, 결과적으로 거상된 주사바늘은 인접한 주사바늘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여 양측부가 인접한 주사바늘에 의해 가려지지 아니하므로, 카메라부(60)는 상기 거상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을 안정되게 반사하여 수득한 실검사 영상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상핀 유닛(71)에 이송벨트(21)에 상향 투과하여 주사바늘의 바늘구멍 내에 상향 진입하여서, 흡착 거상핀(72)들에 의해 커넥터가 진공 흡착된 주사바늘의 바늘부재에 형성된 바늘구멍 내에 공기를 상향 주입하는 공기 주입핀(73)과; 상기 공기 주입핀(73)을 통한 공기 주입에 따른 주사바늘의 바늘구멍 내에 형성된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계측센서(7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독 검사부(60)에는 공압 검사모듈(62)을 부가하여, 공압 검사모듈(62)은 압력 계측센서(74)를 통해 계측되는 바늘구멍의 내압값을 통해 바늘구멍의 막힘여부와, 바늘구멍 내에 주입된 공기의 배기상태를 통해 바늘구멍의 내경값을 추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상핀 헤드(71)에 형성된 공기 주입핀(73)을 따라 레이저빔을 수직으로 조사하는 빔조사 부재(75)를 배치하여,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50)를 통해 수득되는 실검사 영상에는 빔조사부(75)에 의해 주사바늘의 바늘구멍을 수직으로 통과한 레이저빔의 광점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거상핀 헤드(71)에 의해 이송벨트(21)에서 거상되는 주사바늘은 흡착 거상핀(72)들에 의해 진공 흡착된 상태에서, 공기 주입핀(73)을 통해 바늘구멍에 공기를 주입하여서 바늘구멍 내에 잔류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후, 상기 판독 검사부(60)의 공압 검사모듈(62)은 바늘구멍 내에 잔류된 내압값을 계측하여 바늘구멍 내의 내압값에 따라 바늘구멍의 막힘을 계측하고, 또 상기 판독 검사부(60)의 영상 검사모듈(61)은 실검사 영상에서 주사바늘의 바늘구멍을 통과한 레이저빔의 광점의 형성여부와 광점의 형상, 및 직경을 분석하여서, 바늘구멍의 막힘여부와, 바늘의 굽힘발생 여부, 및 바늘구멍의 직경을 검사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1)는 단일 카메라부(50)를 통해 해당 주사바늘의 6측면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 및 이를 분할 판독하여 분석하여, 주사바늘의 높이나 두께, 및 폭을 포함하는 치수 정밀도와, 이물질의 잔류여부, 및 외관 기형의 발생, 그리고 주사바늘의 굽힘이나 바늘구멍의 막힘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거상 헤드유닛(70)을 통해 인접한 주사바늘에 의한 사각영역의 발생없는 해당 주사바늘의 실검사 영상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거상핀 헤드(71)에 마련된 공기 주입핀(73)에 의한 공기의 주입과 압력 계측센서(74)를 통한 바늘구멍 내의 내압의 계측, 그리고 빔조사 부재를 통해 조사되어 바늘구멍을 투과한 레이저빔의 광점의 형성여부와 광점의 형상 및 직경을 분석하여서, 바늘구멍의 막힘여부와, 바늘의 굽힘발생 여부, 및 바늘구멍의 직경을 복합적으로 검사하여, 주사바늘의 이상 여부를 검사하므로, 주사바늘의 검사에 따른 보다 향상된 정밀성과 신뢰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주입핀(73)에 의해 바늘구멍 내에 공기가 주입되는 주사바늘은, 이송벨트(21)를 상향 투과하여 흡착 거상핀(72)들에 의해 방사구조로 흡착하여 고정되므로, 검사과정에 해당 주사바늘이 이탈하는 현상이 안정되게 예방될 수 있다.
1.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10. 검사실 11. 검사공간
12. 제 1 조명부 12a. 제 1 적외선 조명
12b. 제 1 빔 스프리터
13. 제 2 조명부 13a. 제 1 적외선 조명
13b. 제 2 빔 스프리터
20. 이송부 21. 이송벨트
30. 상향 반사갓부 31. 상향 반사판
32. 승강유닛 32a. 볼 스크루
32b. 정역모터
40. 하향 반사부재 41. 하향 반사편
42. 보조 반사편
50. 카메라부 51. 렌즈
60. 판독 검사부 61. 영상 검사모듈
62. 공압 검사모듈
70. 거상 헤드유닛 71. 거상핀 헤드
72. 흡착 거상핀 73. 공기 주입핀
74. 압력 계측센서 75. 빔조사 부재

Claims (5)

  1. 검사공간이 형성된 검사실과; 검사를 요하는 주사바늘을 직립되게 정렬하여 검사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검사실을 직립된 상태로 투입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을 상향 반사하는 복수의 상향 반사판들이 형성된 상향 반사갓부와; 상기 검사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향 반사갓부의 각 상향 반사판들에 의해 상향 반사된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을 일괄 촬영하여, 주사바늘의 각 측면상들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실검사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수득된 실검사 영상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준 검사영상을 대조하여, 실검사 영상과 표준 검사영상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여 주사바늘의 외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영상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판독 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에는, 검사실의 검사공간 내에 진입되어 검사영상의 촬영을 요하는 주사바늘을 일시적으로 상향 돌출시켜, 인접한 주사바늘에 의해 측면상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거상 헤드유닛이 부가되며,
    상기 이송부는 이송벨트에 주사바늘을 정렬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거상 헤드유닛은 이송벨트에 상향 투과하여 검사영상의 수득을 요하는 주사바늘을 거상하는 하나 이상의 거상 흡착핀을 갖는 거상핀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상핀 헤드는 이송벨트에 상향 투과하여 흡기력을 제공하여 주사바늘의 커넥터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 거상핀을 포함하고, 상기 거상핀 헤드에는 흡착 거상핀에 의해 커넥터가 진공 흡착된 상태로 거상된 주사바늘의 바늘구멍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공기 주입핀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바늘구멍의 내압값을 계측하는 압력 계측센서가 부가되고, 상기 판독 검사부에는 압력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바늘구멍의 내압값을 통해 바늘구멍의 막힘여부와, 바늘구멍 내에 주입된 공기의 배기상태를 통해 바늘구멍의 내경값을 추출하는 공압 검사모듈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7549A 2018-08-21 2018-08-21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KR102105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49A KR102105890B1 (ko) 2018-08-21 2018-08-21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49A KR102105890B1 (ko) 2018-08-21 2018-08-21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71A KR20200021771A (ko) 2020-03-02
KR102105890B1 true KR102105890B1 (ko) 2020-04-29

Family

ID=6980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549A KR102105890B1 (ko) 2018-08-21 2018-08-21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30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바늘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47B1 (ko) * 2022-12-07 2023-07-31 박삼규 비전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2741A (zh) * 2013-09-29 2014-01-15 无锡众望四维科技有限公司 注射器装针机的针管通堵检测装置
JP2015055588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ロゼフテクノロジー ウエハ側面検査装置
KR101497684B1 (ko) * 2013-11-07 2015-03-23 주식회사 대성자동화시스템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KR101525700B1 (ko) * 2013-12-09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054A (ko) 2000-08-28 2002-03-07 김수찬 자동화 결함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결함 검사 방법
KR100467957B1 (ko) 2003-04-01 2005-01-25 설재원 주사기 바늘의 유무 및 막힘 검사장치
KR20110026922A (ko) 2009-09-09 2011-03-16 주식회사 매크론 평판의 결함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132203B1 (ko) 2011-07-13 2012-04-06 박은동 주사 바늘 통기 검사장치
KR101218184B1 (ko) 2011-09-09 2013-01-03 (주)코맥 주사바늘 막힘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5588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ロゼフテクノロジー ウエハ側面検査装置
CN103512741A (zh) * 2013-09-29 2014-01-15 无锡众望四维科技有限公司 注射器装针机的针管通堵检测装置
KR101497684B1 (ko) * 2013-11-07 2015-03-23 주식회사 대성자동화시스템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KR101525700B1 (ko) * 2013-12-09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30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바늘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71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890B1 (ko) 향상된 정밀성을 갖는 의료용 주사바늘 복합 검사시스템
KR101456079B1 (ko) 프린트 기판의 검사 장치
JP3333048B2 (ja) 円柱体の検査装置
KR100710926B1 (ko) 표면 검사방법 및 표면 검사장치
KR101013573B1 (ko) 반도체 칩 외관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03729B1 (ko) 검사 장치
JP6959341B2 (ja) 半導体コンポーネント用の可視光及び赤外光による光学的な調査装置及び光学的な調査方法
KR20070040722A (ko) 기판 검사 장치
US10491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transparent objects
CN206281782U (zh) 检查设备及光学检测装置
CN109212282B (zh) 一种全自动探针检测台及其探针定位模组
JP2008235892A (ja) ウエハの縁部領域の欠陥の評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005641B2 (ja) 薬剤検出装置及び薬剤検出方法
US20150177236A1 (en) Combined chemiluminescence and elisa automated sample reader
DK2866023T3 (en) Canned pore inspection device
KR101961705B1 (ko) 의료용 주사바늘 검사장치
KR19990022929A (ko) 물체 표면 조사 방법 및 장치
TWI593955B (zh) 光偏折檢測模組及使用其檢測及誤差校正之方法
KR102283431B1 (ko) 피스톤링의 방향판별 및 계수검사를 위한 비젼검사장치
KR101657982B1 (ko) 엘이디 패키지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CN110411367A (zh) 曲面形状检查装置
TW202241258A (zh) 驗蛋裝置
KR101745764B1 (ko) 광학식 판재 표면검사장치 및 판재 표면검사방법
TW201732276A (zh) 視覺檢查模組、視覺檢查模組的焦距修正模組以及具有該模組的元件檢查系統
KR101923719B1 (ko) 바이오 메디컬용 채혈관의 외관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