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927B1 - 중량물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927B1
KR101496927B1 KR1020130066803A KR20130066803A KR101496927B1 KR 101496927 B1 KR101496927 B1 KR 101496927B1 KR 1020130066803 A KR1020130066803 A KR 1020130066803A KR 20130066803 A KR20130066803 A KR 20130066803A KR 101496927 B1 KR101496927 B1 KR 10149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object
unit
base
revers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616A (ko
Inventor
고광빈
강석조
설장환
권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권영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Priority to KR102013006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9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베이스에 마련되며, 적재된 중량물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 베이스에 마련되며,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중량물을 파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반전 유닛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중량물이 예를 들어,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인 경우와 같이 중량물이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도 제1 및 제2 반전 유닛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손쉽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반전 장치{Overturning apparatus for heavy weight material}
본 발명은 중량물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 코아가 마련된 금형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에 대한 미세점검, 및 가공 시에는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반전하여야 하므로 중량물의 반전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중량물과 슬링 밸트 등으로 연결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에 반전 작업대로 이송하여 반전 작업대에 세운 후에, 인력으로 중량물을 밀어서 기울여 주는 방식으로 중량물에 대한 반전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슬링 밸트의 파손의 우려가 있어 중량물이 파손되거나 이탈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고, 반전 작업 시마다 중량물을 세운 후에 인력으로 밀어 주어야 하므로, 작업자가 근골격계에 질환이 발생할 가능이 있다는 문제점이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은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의 이송 작업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크레인의 대기 시간에 의하여 작업 시간이 길어지며, 반전 작업대에 세워진 중량물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반전 작업대가 전도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물의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킨 중량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량물의 반전 작업을 공정을 단순화시켜 중량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량물 반전 작업 과정에서 중량물이 파손되거나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는, 기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베이스에 마련되며, 적재된 중량물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 베이스에 마련되며,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중량물을 파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반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전 유닛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중량물의 일측 단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1 반전 유닛, 및 베이스에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중량물의 타측 단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2 반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량물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 파지부와 축 결합되어 제1 파지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또한, 제1 및 2 파지부는, 중량물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량물을 조여서 고정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2 파지부는, 중량물을 제1 및 2 파지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결합홀을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량물은, 그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중량물이 제1 및 제2 파지부에 파지될 때 결합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나사홈을 포함하며, 고정수단은, 결합홀을 관통하여 나사홈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지지부를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 유닛은, 베이스 마련되며, 제2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 및 안내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지지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블록을 안내 레일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블록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 유닛은, 중량물이 적재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이송 플레이트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번째, 중량물이 예를 들어,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과 같이 중량물이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도 제1 및 제2 반전 유닛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손쉽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두번째, 중량물의 반전 작업이 중량물을 인력을 통해 지면에 세우거나 기울이는 과정 없이 제1 및 2 파지부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반전 작업 시에 중량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전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세번째, 중량물의 전후, 및 높이 중심선과 제1 및 2 파지부의 전후, 및 높이 중심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의 반전 과정에 중심선의 불일치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으로 인해 중량물 반전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번째, 중량물을 제1 및 2 파지부의 슬라이더, 및 결합홀을 통한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및 2 파지부에 단단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의 반전 과정에서 중량물이 제1 및 2 파지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중량물에 의해 중량물 반전 장치 및 작업자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반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2 파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2 파지부 사이에 중량물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2 파지부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중량물을 제1 및 2 파지부에 고정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중량물이 고정된 제1 및 2 파지부를 회동시켜 중량물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0)는, 기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0), 베이스(100)에 마련되며, 적재된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300), 베이스(100)에 마련되며, 이송 유닛(300)에 의하여 이송된 중량물(W)을 파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반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중량물(W)이란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워 이를 인력으로 반전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대상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반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0)는, 베이스(100), 컨트롤 패널(200), 이송 유닛(300), 유압 유닛(900), 반전 유닛, 제1 구동 유닛(600), 및 제2 구동 유닛(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중량물 반전 장치(10)의 기저면을 형성하며, 중량물 반전 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 패널(200)은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후술할 이송 유닛(300), 제1 및 2 구동 유닛(600)(800), 유압 유닛(900) 등 중량물 반전 장치(10)에 설치되는 각종의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송 유닛(300)은 베이스(100)에 마련되며, 중량물(W)이 적재되어 적재된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방향이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중량물(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후술할 반전 유닛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송 유닛(300)은 중량물(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송 유닛(300)은 중량물(W)을 이송하기 위하여 중량물(W)이 적재되는 이송 플레이트(310), 이송 플레이트(310)와 베이스(100)를 연결하는 제1 및 2 다리(320)(330), 이송 플레이트(310)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유압 실린더(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300)의 상부를 이루며, 그 상면에는 중량물 반전 장치(10)를 이용하여 반전시키고자하는 중량물(W)이 적재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제1 및 2 다리(320)(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310)와 베이스(100)를 연결하며, 후술할 유압 실린더(3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 플레이트(310)를 상하로 이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다리(320)는 그 상단부가 이송 플레이트(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하단부가 베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다리(330)는 그 상단부가 이송 플레이트(3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그 하단부가 베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1 다리(320)와 제2 다리(330)가 'X'자 형태로 결합되도록 제1 다리(320)의 중앙부분과 제2 다리(330)의 중앙부분이 힌지 결합된다.
유압 실린더(340)는 그 하단부가 제2 다리(33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그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 로드(340a)가 제1 다리(320)의 상단부와 중앙부분 사이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유압 실린더(34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량물 반전 장치(10)는 베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340)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340a)가 신장되면 제1 다리(320)가 세워지는 방향 쪽으로 제1 다리(320)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제1 다리(320) 및 제1 다리(320)와 힌지 결합된 제2 다리(330)가 세워지면서 이송 플레이트(310)가 상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반대로, 유입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340a)가 축소되면 제1 다리(320)가 눕혀지는 방향 쪽으로 제1 다리(320)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제1 다리(320) 및 제1 다리(320)와 힌지 결합된 제2 다리(330)가 눕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310)가 하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이송 유닛(300)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 플레이트(310)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310)에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중량물(W)들이 적재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송 유닛(300)은 수평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반전 유닛은 이송 유닛(300)에 의하여 이송된 중량물(W)을 파지하여 미리 결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부재로서, 이송 유닛(300)을 그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며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는 제1 반전 유닛(400) 및 제2 반전 유닛(5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각도는 중량물을 가공 및 점검하는데 적절한 각도를 의미한다.
제1 반전 유닛(400)은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410), 및 중량물(W)의 일측 단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파지부(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410)는 그 하단부가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어 제1 파지부(4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기능을 가지며, 반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점이 된다.
또한, 제1 파지부(420)는 제1 지지부(410)의 내측면에 회동하게 결합되어 중량물(W)의 일측 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고정된 중량물(W)을 회동시키는 회동부재의 기능을 가진다.
제2 반전 유닛(500)은 상기 베이스(100)에 상기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510), 및 상기 중량물(W)의 타측 단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부(5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파지부(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510)는 그 하단부가 베이스(100)에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파지부(5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중량물(W)의 길이에 따라 제1 반전 유닛(400)과 제2 반전 유닛(5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2 파지부(520)는 일응 제1 파지부(420)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부(51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물(W)의 타측 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고정된 중량물(W)을 회동시키는 회동부재의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1 및 2 반전 유닛(400)(500)이 마련됨에 따라 이송 유닛(300)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된 중량물(W)을 제1 및 2 반전 유닛(400)(500)을 이용하여 고정 및 반전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구동 유닛(600)은 중량물(W)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 파지부(420)와 축 결합되어 제1 파지부(4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제1 모터(610), 감속기(620), 체인(630), 및 제1 핸들(6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1 모터(610)는 제1 파지부(42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제1 지지부(410)와 인접하여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또한, 감속기(620)는 체인(630)을 통해 제1 모터(610)의 출력축과 연결되며, 감속기(620)의 출력축은 제1 파지부(420)와 축 결합된다. 여기서, 감속기(620)의 내부에는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기어(미도시)가 구비되어, 감속기(620)의 출력축은 제1 모터(610)의 출력축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제1 파지부(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핸들(640)은 제1 모터(610)와는 별도로 제1 파지부(4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직접 인력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0)에서는 전기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 모터(610) 와는 별도로 인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 핸들(640)을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제1 핸들(640의 출력축과 제1 모터(640)의 출력축 사이에는 제1 수동 전환 레버(650)가 마련되어, 제1 핸들(640)의 출력축과 제1 모터(640)의 출력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수동 전환 레버(650)를 조작함으로써, 제1 모터(610)의 출력축과 제1 핸들(640)의 출력축의 연결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1 모터(610)를 통해 제1 파지부(420)를 회동시키거나, 제1 모터(610)의 출력축과 제1 핸들(640)의 출력축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1 핸들(640)을 통해 제1 파지부(4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 유닛(600)은 제1 파지부(420)와 축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구동 유닛(600)은 제2 파지부(520)와 축 결합되거나 제1 파지부(420) 및 제2 파지부(520) 모두와 축 결합될 수도 있다.
안내 유닛(700)은 제2 지지부(510)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부재로서, 중량물(W)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2 지지부(510) 및 이와 결합된 제2 파지부(520)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러한, 안내 유닛(700)은 베이스(100)에 마련되며, 제2 지지부(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710), 및 안내 레일(7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지지부(510)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7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내 레일(710)은 중량물(W)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한 쌍이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 블록(720)은 한쌍이 마련되어 각각의 안내 레일(7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지지부(510)의 하면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2 구동 유닛(800)에 의해 가이드 블록(720) 및 이와 결합된 제2 지지부(510)는 안내 레일(710)을 따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800)은 가이드 블록(720)을 안내 레일(710)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블록(7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제2 모터(810), 및 제2 핸들(820), 제2 수동 전환 레버(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모터(810)은 가이드 블록(720) 및 이와 결합된 제2 지지부(510)를 안내 레일(710)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그 출력축이 가이드 블록(7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핸들(820)은 제2 모터(810)와는 별도로 가이드 블록(7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직접 인력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0)에서는 전기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모터(810)와는 별도로 인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핸들(820)을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제2 핸들(820)의 출력축과 제2 모터(810)의 출력축 사이에는 제2 수동 전환 레버(830)가 마련되어, 제2 핸들(820)의 출력축과 제2 모터(810)의 출력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수동 전환 레버(830)를 조작함으로써, 제2 모터(810)의 출력축과 제2 핸들(820)의 출력축의 연결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2 모터(810)를 통해 가이드 블록(720)을 이송시키거나, 제2 모터(810)의 출력축과 제2 핸들(820)의 출력축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2 핸들(820)을 통해 가이드 블록(720)을 이송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2 파지부의 정면도이다.
제1 및 2 파지부(410)(5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유닛(300)에 의하여 이송된 중량물(W)의 양측 단부를 각각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그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중량물(W)을 반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W)이 제1 및 2 파지부(410)(5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는 중량물(W)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염려가 크다. 따라서, 중량물(W)이 제1 및 2 파지부(410)(5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및 2 파지부(410)(510)는 중량물(W)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2 파지부(410)(510)는, 중량물(W)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량물(W)을 조여서 고정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424)(5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2 파지부(410)(510)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제1 파지부(420)를 기준으로 슬라이더(424)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파지부(420)의 전면에는 2열의 이송 스크류(422)가 제1 파지부(4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슬라이더(424)는 이송 스크류(422)를 따라 제1 파지부(4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의 이송 스크류(422)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각각의 이송 스크류(422)는 제1 파지부(4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426)와 다수의 기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패너 등의 공구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샤프트(426)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슬라이더(424)는 이송 스크류(422)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한 쌍의 슬라이더(424)의 이동 방향은 샤프트(426)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샤프트(426)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슬라이더(424)는 중량물(W)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파지부(420)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대칭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샤프트(426)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슬라이더(424)는 중량물(W)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제1 파지부(420)의 외측 방향을 향해 각각 대칭적으로 이동한다.
즉, 한 쌍의 슬라이더(424)를 제1 파지부(420)의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하게 마련함으로써, 제1 파지부(420)의 전후 중심선과 중량물(W)의 전후 중심선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중량물(W)을 제1 파지부(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제1 및 2 파지부(410)(510)의 전후 중심선과 중량물(W)의 전후 중심선이 불일치함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2 파지부(410)(510)는 중량물을 제1 및 제2 파지부(420)(52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결합홀(428)(528)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중량물(W)은 그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중량물(W)이 제1 및 2 파지부(420)(520)에 파지될 때 결합홀(428)(528)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나사홈(미도시)을 포함하며, 고정수단은 결합홀(428)(528)을 관통하여 나사홈(미도시)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429)(5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2 파지부(420)(520)의 전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파지부(420)를 기준으로 결합홀(428), 고정수단, 및 나사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홀(428)은 제1 파지부(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파지부(420)의 높이 중심선 상에 대칭적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중량물(W)의 양측면에는 중량물(W) 높이 중심선 상에 다수의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지부(420)의 결합홀(428)과 중량물(W)의 나사홈(미도시)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중량물(W)을 이송한 후에 슬라이더(424)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파지한 상태에서, 나사(429)를 결합홀(428)을 관통하여 나사홈(미도시)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중량물(W)을 제1 파지부(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파지부(420)의 높이 중심선과 중량물(W)의 높이 중심선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 파지부(420)에 중량물(W)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높이 중심선의 불일치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0)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2 파지부 사이에 중량물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2 파지부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중량물을 제1 및 2 파지부에 고정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에 있어서, 중량물이 고정된 제1 및 2 파지부를 회동시켜 중량물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크레인(미도시)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이송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적재한다(S 100). 여기서, 중량물(W)의 적재 시에는 중량물(W)을 이송 플레이트(310)의 전후 좌우 중심의 위치에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컨트롤 패널(200)을 통해 유압 실린더(340)의 실린더 로드(340a)를 신장시켜 제1 및 2 파지부(420)(520)의 높이 중심선과 중량물(W)의 높이 중심선이 일치될 때까지 중량물(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킨다(S 200).
다음으로, 제2 구동 유닛(800)을 가동하여,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2 파지부(420)(520)의 전면과 중량물(W)의 양측 단부가 각각 접촉되도록 제2 지지부(510)를 이송시킨다(S 300).
다음으로, 샤프트(426)를 회전시켜 슬라이드를 이송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24)로 중량물(W)의 양측 단부를 조여서 고정한다(S 400).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2 파지부(420)(520)와 중량물(W)을 나사(429)(529)로 나사 결합시켜 제1 및 2 파지부(420)(520)로부터 중량물(W)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S 500).
다음으로, 유압 유닛(900)의 가동을 정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310)를 베이스(100) 쪽으로 하강시켜 중량물(W)을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한다(S 600).
다음으로, 제1 구동 유닛(600)을 가동하여, 중량물(W)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다(S 700).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W)을 90° 회전시켜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거나, 180°회전시킴으로써 그 상하면을 반전시킬 수도 잇다.
다음으로, 반전된 중량물(W)을 대상으로 가공, 점검, 및 검사 등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S 800). 여기서, 추가적인 작업을 위하여 중량물(W)을 다시 회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구동 유닛(600)을 다시 가동하여 중량물(W)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킨 후에,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번째, 중량물(W)이 예를 들어,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과 같이 중량물(W)이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도 제1 및 2 반전 유닛(400)(500)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손쉽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두번째, 중량물(W)의 반전 작업이 중량물(W)을 인력을 통해 지면에 세우거나 기울이는 과정 없이 제1 및 2 파지부(420)(520)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반전 작업 시에 중량물(W)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전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세번째, 중량물(W)의 전후, 및 높이 중심선과 제1 및 2 파지부(420)(520)의 전후, 및 높이 중심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W)의 반전 과정에 중심선의 불일치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으로 중량물 반전 장치(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번째, 중량물(W)을 제1 및 2 파지부(420)(520)의 슬라이더(424), 및 결합홀(428)(528)을 통한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및 2 파지부(420)(520)에 단단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W)의 반전 과정에서 중량물(W)이 제1 및 2 파지부(420)(520)로부터 이탈되어 중량물(W)에 의해 중량물 반전 장치(10) 및 작업자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중량물 반전 장치 W : 중량물
100 : 베이스 200 : 컨트롤 패널
300 : 이송 유닛 310 : 이송 플레이트
320 : 제1 다리 330 : 제2 다리
340 : 유압 실린더 340a : 실린더 로드
400 : 제1 반전 유닛 410 : 제1 지지부
420 : 제1 파지부 424 : 슬라이더
428 : 결합홀 429 : 나사
500 : 제2 반전 유닛 510 : 제2 지지부
520 : 제2 파지부 524 : 슬라이더
528 : 결합홀 529 : 나사
600 : 제1 구동 유닛 700 : 안내 유닛
710 : 안내 레일 720 : 가이드 블록
800 : 제2 구동 유닛 900 : 유압 유닛

Claims (11)

  1. 기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며, 적재된 중량물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중량물을 파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반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반전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중량물의 일측 단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1 반전 유닛;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중량물의 타측 단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파지부를 구비하는 제2 반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각각,
    상기 중량물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량물과 형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량물을 조여서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중량물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기 제1 파지부 또는 상기 제2 파지부와 대면하게 마련된 나사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결합홀, 그리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상기 나사홈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중량물을 상기 제1 파지부 또는 상기 제2 파지부에 고정하는 나사를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파지부와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파지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 마련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 및
    상기 안내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KR1020130066803A 2013-06-11 2013-06-11 중량물 반전 장치 KR10149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03A KR101496927B1 (ko) 2013-06-11 2013-06-11 중량물 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03A KR101496927B1 (ko) 2013-06-11 2013-06-11 중량물 반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16A KR20140144616A (ko) 2014-12-19
KR101496927B1 true KR101496927B1 (ko) 2015-03-02

Family

ID=5267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803A KR101496927B1 (ko) 2013-06-11 2013-06-11 중량물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9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4805A (zh) * 2014-01-08 2014-04-30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站重型设备翻转装置及翻转方法
CN105060206A (zh) * 2015-08-12 2015-11-18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核电设备通用运输与翻转支架
KR102310458B1 (ko) * 2020-05-12 2021-10-08 (주)티오피에스 3차원 곡면 가공용 턴오버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239B1 (ko) * 2018-10-11 2019-03-28 (주)티오피에스 턴오버 지그
CN109607434B (zh) * 2018-12-27 2023-12-01 佛山市科威力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超大型制冷设备起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797A (ja) * 1994-10-03 1996-04-16 Universal Kiki Kk 車両用リフティングトラバーサー
JP2002302248A (ja) * 2001-03-30 2002-10-1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製造装置
KR20110012905A (ko) * 2009-07-31 2011-02-09 (주)일진에너지 유체탱크 경사장치
KR20130033134A (ko) * 2011-09-26 2013-04-03 (주)코윈테크 자동창고용 파렛트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797A (ja) * 1994-10-03 1996-04-16 Universal Kiki Kk 車両用リフティングトラバーサー
JP2002302248A (ja) * 2001-03-30 2002-10-1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製造装置
KR20110012905A (ko) * 2009-07-31 2011-02-09 (주)일진에너지 유체탱크 경사장치
KR20130033134A (ko) * 2011-09-26 2013-04-03 (주)코윈테크 자동창고용 파렛트 전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4805A (zh) * 2014-01-08 2014-04-30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站重型设备翻转装置及翻转方法
CN103754805B (zh) * 2014-01-08 2016-02-03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站重型设备翻转装置及翻转方法
CN105060206A (zh) * 2015-08-12 2015-11-18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核电设备通用运输与翻转支架
KR102310458B1 (ko) * 2020-05-12 2021-10-08 (주)티오피에스 3차원 곡면 가공용 턴오버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16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927B1 (ko) 중량물 반전 장치
LU100822B1 (en) Turnover multi-finger asynchronous gripper for casting robot
US7503606B2 (en) Lifting assembly
WO2019061669A1 (zh) 铸造机器人用全向多指异步抓手
CN111216118A (zh) 一种电气控制夹持稳定的机械手装置及其测试方法
CN203900965U (zh) 不规则工件专用夹具
KR101484077B1 (ko) 중량물 반전 장치
CN110668159B (zh) 一种建筑用材料搬运夹持装置
CN116788969A (zh) 一种真空腔体吊装设备
CN203171325U (zh) 工件转运装置
JP2009166936A (ja) パレット移送装置
CN104044008B (zh) 工件转运装置
CN219310975U (zh) 一种起重机零件加工用抛光装置
CN202540191U (zh) 可调式工装结构
WO2019165569A1 (zh) 工件翻转定位装置
CN211081756U (zh) 油井维修机器人
CN210878899U (zh) 回转支承外圈自动输送打磨生产线
CN207091848U (zh) 一种拉轨器
CN219689131U (zh) 一种发电厂锅炉燃料检修抓具
CN110654852A (zh) 一种用于抓取齿圈的抓手
WO2016140585A1 (en) Jaw grabber
CN213831783U (zh) 一种转运架
CN216179770U (zh) 一种工件改性处理夹具
CN215402597U (zh) 一种铁路工程用吊装装置
TWI565570B (zh) Crystal boat temporary platform jaw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