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077B1 - 중량물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077B1
KR101484077B1 KR20130074501A KR20130074501A KR101484077B1 KR 101484077 B1 KR101484077 B1 KR 101484077B1 KR 20130074501 A KR20130074501 A KR 20130074501A KR 20130074501 A KR20130074501 A KR 20130074501A KR 101484077 B1 KR101484077 B1 KR 10148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heavy object
post
scre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372A (ko
Inventor
고광빈
강석조
설장환
권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권영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Priority to KR2013007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0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6Handling workpie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6Fluid-pressur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 B23Q2716/08Holders for tools or work comprising a divider or 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베이스에 마련되는 제1 포스트, 및 제1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을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척을 가지는 제1 반전 유닛, 및 베이스에 마련되는 제2 포스트, 및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척을 가지는 제2 반전 유닛을 포함하며,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을 제1 반전 유닛 및 2 반전 유닛를 이용하여 손쉽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반전 장치{Overturning apparatus for heavy weight material}
본 발명은 중량물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 코아가 마련된 금형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에 대한 미세점검, 및 가공 시에는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반전하여야 하므로 중량물의 반전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중량물과 슬링 밸트 등으로 연결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 작업대로 이송하여 반전 작업대에 세운 후에, 인력으로 중량물을 밀어서 기울여 주는 방식으로 중량물에 대한 반전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슬링 밸트의 파손의 우려가 있어 중량물이 파손되거나 이탈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고, 반전 작업 시마다 중량물을 세운 후에 인력으로 밀어 주어야 하므로, 작업자가 근골격계에 질환이 발생할 가능이 있다는 문제점이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은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의 이송 작업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크레인의 대기 시간에 의하여 작업 시간이 길어지며, 반전 작업대에 세워진 중량물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반전 작업대가 전도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물의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킨 중량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량물의 반전 작업의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중량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량물 반전 작업 과정에서 중량물이 파손되거나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물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 마련되는 제1 포스트, 및 제1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을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척을 가지는 제1 반전 유닛, 및 베이스에 마련되는 제2 포스트, 및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척을 가지는 제2 반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척과 축 결합되어 제1척과 제1 척에 파지된 중량물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 시키는 척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2 척은 중량물이 회동될 때 중량물을 통해 척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척과 제2 척 사이로 중량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척과 제2 척은 중량물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량물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동 죠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척과 제2 척은, 중량물의 폭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죠우와 나사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 및 이송 스크류와 구동 접속되어 이송 스크류를 회전 시키는 구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이송 스크류는 구동 샤프트에 의해 회전 되면서 이동 죠우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송 스크류는, 이송 스크류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그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하며, 이동 죠우는, 나사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이송 스크류가 회전 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죠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척과 제2 척은,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 슬릿, 및 고정 슬릿을 통해 중량물과 체결되어 제1 척과 제2 척에 중량물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부재는, 제1 척과 제2 척에 중량물을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 포스트는, 제2 척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척이 회동 되기 전에는 제2 척과 결합되어 제2 척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척이 회동 됨에 따라 제2 척과 분리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토퍼는,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로드, 및 로드와 제2 포스트 사이에 결합되어 로드를 제2 척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제2 척은, 로드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 포스트는, 베이스에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량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하면서 제1 척과 제2 척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 척은,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회동축을 포함하며, 회동축은 중량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이동 하면서 제1 척과 제2 척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을 제1 반전 유닛 및 2 반전 유닛를 이용하여 손쉽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중량물을 크레인 기타 장비나 인력을 이용하여 지면에 세우거나 기울이는 과정 없이 제1 반전 유닛 및 및 제2 반전 유닛에 의하여 중량물의 반전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반전 작업 시에 중량물이 이탈되어 파손되거나 중량물의 과도한 무게에 의해 작업자의 근골격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중량물의 폭 방향 중심선 및 높이 방향 중심선과 제1 척 및 2 척의 폭 방향 중심선 및 높이 방향 중심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심선의 불일치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으로 중량물 반전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중량물을 제1 척 및 제2 척의 이동 죠우, 및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척 및 제2 척에 단단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의 반전 과정에서 중량물이 제1 척 및 제 2 척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스토퍼를 제2 척의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중량물의 반전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제2 포스트에 무부하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척이 중력 기타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무작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척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제2 포스트 또는 제2 척을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중량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1 척과 제2 척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이송 유닛이 중량물을 이송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제1 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제1 척의 이동 죠우가 중량물을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스토퍼가 제2 척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스토퍼가 제2 척과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전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제2 포스트가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마련되는 제1 포스트(60), 및 제1 포스트(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W)의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척(70)을 가지는 제1 반전 유닛(50) 및 베이스(10)에 마련되는 제2 포스트(90), 및 제2 포스트(9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W)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척(100)을 가지는 제2 반전 유닛(80)을 포함한다. 제1 척(70)과 제2 척(100)이 회동되면서 파지된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물(W)이란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워 이를 인력으로 반전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대상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터 코어가 마련된 금형일 수 있다.
베이스(10)는 중량물 반전 장치(1)의 기저면을 형성하며, 중량물 반전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 패널(20)은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후술할 유압 유닛(40), 척 구동 유닛(110), 및 포스트 구동 유닛(130) 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에 설치되는 각종의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송 유닛(30)은 베이스(10)에 마련되며, 그 상면에 적재된 중량물(W)을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의 사이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유닛(30)의 중량물(W) 이송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이송 유닛(30)은 중량물(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사이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송 유닛(30)은 중량물(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이송 유닛(30)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 유닛(30)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유닛(40)으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이송 유닛(30)이 구동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은 베이스(10)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이송 유닛(30)에 의하여 이송된 중량물(W)을 파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키는 부재이다. 제1 반전 유닛(50)은 베이스(10)에 마련되는 제1 포스트(60), 및 제1 포스트(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W)을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척(70)을 가질 수 있다. 제2 반전 유닛(80)은 베이스(10)에 마련되는 제2 포스트(90), 및 제2 포스트(9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W)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척(100)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은 중량물(W)을 파지하여 회동 시키는 제1 척(70)과 제 2척과, 제1 척(70)과 제2 척(100)을 지지하는 제1 포스트(60) 및 제2 포스트(9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척 구동 유닛(110)은 제1 척(70)과 제2 척(100)이 중량물(W)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다. 보다 구체적으로, 척 구동 유닛(110)은 제1 척(70)과 축 결합되어 제1 척(70) 및 파지된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 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제1 모터(112), 제1 핸들(114), 제1 전환 레버(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모터(112)과 제1 핸들(114)은 제1 포스트(60)와 인접하여 베이스(10)에 설치된다. 제1 모터(112)와 제1 핸들(114)은 각각 선택적으로 제1 척(70)의 회동축(71a)과 구동 접속되어 제1 척(7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제1 척(70)과 제1 척(70)에 파지된 중량물(W)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모터(112)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미도시), 및 제1 모터(11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다수의 기어를 구비하는 감속기 등을 통해 제1 척(70)의 회동축(71a)과 구동 접속될 수 있다.
제1 핸들(114)은 제1 모터(112)와는 별도로 제1 척(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사용자는 제1 핸들(114)을 이용하여 직접 제1 척(7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은 제1 핸들(114)을 마련함으로써 전기력 이외에 인력을 통해서도 제1 척(7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전환 레버(116)는 제1 모터(112)와 제1 핸들(114) 중 어느 하나를 제1 척(70)의 회동축(71a)과 선택적으로 구동 접속시키는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환 레버(116)는 감속기(미도시)의 출력축과 제1 핸들(114)의 출력축 중 어느 하나를 제1 척(70)의 회동축(71)에 선택적으로 구동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환 레버(116)를 조작함으로써, 제1 모터(112)를 제1 척(70)에 구동 접속시켜 전기력을 이용하여 제1 척(70)을 회동시키거나, 제1 핸들(114)을 제1 척(70)과 구동 접속시켜 인력을 이용하여 제1 척(7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척 구동 유닛(110)이 제1 척(70)과 구동 접속되면 척 구동 유닛(110)의 제1 모터(112) 또는 제1 핸들(114)을 구동시켜 제1 척(70)과 제1 척(70)에 의하여 파지된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척(100)은 중량물(W)이 회동될 때 중량물(W)을 통해 척 구동 유닛(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제2 척(100)은 무부하 상태로 제2 포스트(9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된 중량물(W)을 통해 척 구동 유닛(110)의 구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척(100)의 구동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척(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척 구동 유닛(110)을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이송 유닛이 중량물을 이송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물(W)을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사이로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 유닛(30)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이송 유닛(30)은 이송 플레이트(32), 제1 다리(34), 제2 다리(36), 및 유압 실린더(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32)는 이송 유닛(30)의 상부를 이루며, 그 상면에는 반전시키고자 하는 중량물(W)이 적재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제1 다리(34) 및 제2 다리(36)는 이송 플레이트(32)와 베이스(10)를 연결하며, 후술할 유압 실린더(3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 플레이트(32)를 상하로 이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다리(34)는 그 상단부가 이송 플레이트(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하단부가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제2 다리(36)는 그 상단부가 이송 플레이트(32)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그 하단부가 베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34)와 제2 다리(36)가 'X'자 형태로 결합되도록 제1 다리(34)의 중앙부분과 제2 다리(36)의 중앙부분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38)는 그 하단부가 제2 다리(36)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그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 로드(38a)가 제1 다리(34)의 상단부와 중앙부분 사이에 힌지 결합된다. 실린더 로드(38a)는 상술한 유압 유닛(40)으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유압 실린더(38) 축을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38)의 실린더 로드(38a)를 신장시키면 제1 다리(34)가 세워지는 방향 쪽으로 제1 다리(34)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다리(34) 및 제1 다리(34)에 힌지 결합된 제2 다리(36)가 세워지면서 이송 플레이트(32)가 상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이송 플레이트(32)에 적재된 중량물(W)을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의 사이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유압 실린더(38)의 실린더 로드(38a)를 축소시키면 제1 다리(34)가 눕혀지는 방향 쪽으로 제1 다리(34)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다리(34) 및 제1 다리(34)에 힌지 결합된 제2 다리(36)가 눕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32)가 하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이송 유닛(30)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 플레이트(32)를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 사이로 이송 가능한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이송 플레이트(32)에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중량물(W)이 적재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송 유닛(30)은 베이스(10)를 따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제1 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제1 척의 이동 죠우가 중량물을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8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질 뿐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며, 척 본체(71)(101), 이동 죠우(72)(102), 이송 스크류(73)(103), 구동 샤프트(74)(104) 및 고정 슬릿(75)(105) 등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반전 유닛(50)을 기준으로 제1 반전 유닛(50)과 제2 반전 유닛(80)(8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척 본체(71)는 제1 척(7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배면에는 회동축(71a)이 마련되어 제1 포스트(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죠우(72)는 중량물(W)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량물(W)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다.
이동 죠우(72)를 중량물(W)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중량물(W)의 폭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죠우(72)와 나사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73), 및 이송 스크류(73)와 구동 접속되어 이송 스크류(73)를 회전 시키는 구동 샤프트(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73)는 구동 샤프트(74)에 회전 되면서 이동 죠우(72)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크류(73)는, 이송 스크류(73)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그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73a)(73b)을 포함하며, 이에 대응하여 이동 죠우(72)는 나사선(73a)(73b)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이송 스크류(73)가 회전될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죠우(72a)(7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스크류(73)는 척 본체(71)의 전면에 상하로 2열이 마련되며, 각각의 이송 스크류(73)는 중량물(W)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다. 또한, 이송 스크류(73)는 그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척 본체(71)에 의해 축 지지되며, 그 외주연에는 척 본체(71)의 폭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반되는 방향을 가지는 나사선(73a)(73b)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선(73a)(73b)의 양측 단부에 한 쌍의 죠우(72a)(72b)가 각각 나사 결합된다.
구동 샤프트(74)는 그 일단이 척 본체(7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타단이 척 본체(7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구동 샤프트(74)는 그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척 본체(71) 의해 축 지지되며, 복수의 스프로켓(미도시) 및 폴리(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접속부(76)를 통해 이송 스크류(73)와 구동 접속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미도시) 또는 스패너 기타 공구를 이용하여 구동 샤프트(74)를 회전시키면, 구동 샤프트(74)와 구동 접속된 이송 스크류(73)도 그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이송 스크류(73)와 나사 결합된 한 쌍의 죠우(72a)(72b)는 이송 스크류(73)를 따라 이송된다.
그런데, 이송 스크류(73)의 나사선(73a)(73b)은 척 본체(71)의 폭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이송 스크류(73)의 양쪽 단부에 나사 결합된 각각의 죠우(72a)(72b)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7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죠우(72a)(72b)는 척 본체(71)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해 각각 대칭적으로 이동하여 중량물(W)의 전후 양측면을 조여서 고정한다.
이와 반대로, 구동 샤프트(74)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죠우(72a)(72b)는 척 본체(71)의 외측 방향을 향해 각각 대칭적으로 이동하여 중량물(W)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죠우(72a)(72b)를 중량물(W)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척 본체(71)의 폭 방향 중선심과 중량물(W)의 폭 방향 중심선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중량물(W)을 제1 척(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척(70)의 폭 방향 중심선과 중량물(W)의 폭 방향 중심선이 불일치함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죠우(72a)(72b)를 이용하여 중량물(W)의 그 전후 양측면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중량물(W)의 큰 무게에 의해 중량물(W)이 이동 죠우(72)로부터 이탈되어 중량물 반전 장치(1)의 바닥면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 슬릿(75), 및 고정 슬릿(75)을 통해 중량물(W)과 체결되어 제1 척(70)에 중량물(W)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77)는 제1 척(70)과 중량물(W)을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척 본체(71)의 폭 방향을 따라 척 본체(71)의 전 후면을 관통하여 고정 슬릿(75)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슬릿(75)은 척 본체(71)의 높이 방향 중심선 상에 좌우 대칭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슬릿(75)을 통해 중량물(W)에 고정 부재(77)를 체결하여 제1 척(70)에 중량물(W)을 체결시킬 수 있는다. 여기서, 고정 부재(77)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나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중량물(W)은 그 높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그 양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이송 유닛(30)을 이용하여 제1 척(70)의 고정 슬릿(75)과 중량물(W)의 나사홈(미도시)을 나란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제1 척(70)과 중량물(W)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죠우(72)로부터 중량물(W)이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척(70)의 높이 방향 중심선과 중량물(W)의 높이 방향 중심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 중심선의 불일치에 따른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스토퍼가 제2 척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스토퍼가 제2 척과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에서는 제1 척(70)만이 척 구동 유닛(110)과 직접적으로 구동 접속되고, 제2 척(100)은 무부하 상태로 제2 포스트(9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척(100)은 이동 죠우에 파지된 중량물(W)이 척 구동 유닛(110)에 의해 회동 될 때 중량물(W)을 의해서 간접적으로 척 구동 유닛(110)의 구동력을 전달 받을 뿐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척(100)은 중량물(W)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중력 기타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무작위적으로 흔들려 중량물(W)에 대한 반전 작업의 수행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에 있어서 제2 포스트(90)는, 제2 척(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척(100)이 회동 되기 전에는 제2 척(100)과 결합되어 제2 척(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척(100)이 회동 됨에 따라 제2 척(100)과 분리되는 스토퍼(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92)는 제2 포스트(9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로드(96), 및 로드(96)와 결합되어 로드(96)와 제2 포스트(90) 사이에 결합되어 로드(96)를 제2 척(100)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 부재(98)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척(100)은 로드(96)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01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92)는 스토퍼 본체(94), 로드(96), 및 탄성 부재(9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척(100)은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본체(94)는 '7'자 형상을 가지며, 그 하부는 제2 포스트(90)와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후술할 로드(96)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이 마련된다. 또한, 스토퍼 본체(94)의 하부와 상부 사이의 중간부는 후술할 로드(96)가 회동 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부와 상부 사이의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로드(96)는 스토퍼 본체(94)의 힌지공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그 단부에는 후술할 제2 척(100)의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96a)가 장착된다.
탄성 부재(98)는 일단이 스토퍼 본체(94)의 하부에 결합되며, 나머지 타단은 로드(96)와 결합되어 로드(96)를 제2 척(100)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한다.
결합홈(101b)은 제2 척(100)의 척 본체(101) 배면에 마련되며, 제2 척(100)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된 로드(96)의 바퀴(96a)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척(100)이 회동 되기 전에는 바퀴(96a)가 제2 척(100)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토퍼(92)는 제2 척(100)이 무작위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척(100)의 수평을 유지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척(100)이 회동되면 로드(96)의 바퀴(96a)는 제2 포스트(90)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제2 척(100)의 결합홈에서 분리되며, 제2 척(100)이 초기 상태로 돌아오면 로드(96)의 바퀴(96a)가 다시 결합홈에 삽입되어 제2 척(100)의 수평을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전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의 제2 포스트가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척(70)과 제2 척(100)에 의하여 파지되는 중량물(W)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중량물(W)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에 있어서, 제2 포스트(90)는 베이스(10)에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량물(W)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하면서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포스트(90)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제2 포스트(9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122), 및 안내 레일(1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포스트(90)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124)을 가지는 안내 유닛(120), 그리고 안내 유닛(1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포스트 구동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안내 레일(122)은 중량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한 쌍이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블록(124)은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의 안내 레일(1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포스트(90)의 하면에 결합된다.
가이드 블록(124) 및 가이드 블록(124)에 결합된 제2 포스트(90)는 후술할 포스트 구동 유닛(130)에 의해 안내 레일(122)을 따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포스트 구동 유닛(130)은 가이드 블록(124)을 안내 레일(122)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블록(12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가이드 블록(124)에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132) 및 제2 핸들(134), 그리고 제2 모터(132) 및 제2 핸들(1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이드 블록(124)과 구동 접속하는 제2 전환 레버(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모터(132)는 베이스(10)의 일측에 마련되며, 가이드 블록(124)과 구동 접속되어 가이드 블록(124)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2 핸들(134)은 제2 모터(132)와는 별도로 가이드 블록(12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사용자는 제2 핸들(134)을 이용하여 직접 가이드 블록(124)을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제2 핸들(134)을 마련함으로써 전기력 외에 인력을 통해서도 가이드 블록(124)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 전환 레버(136)는 제2 모터(132)와 제2 핸들(134) 중 어느 하나를 가이드 블록(124)과 선택적으로 구동 접속시키는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환 레버(136)는 제2 모터(132)의 출력축과 제2 핸들(134)의 출력축 중 어느 하나를 가이드 블록(124)과 선택적으로 가이드 구동 접속시킬 수 있다.
제2 전환 레버(136)를 조작함으로써, 제2 모터(132)를 가이드 블록(124)과 구동 접속시켜 전기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24)을 이송시키거나, 제2 핸들(134)을 가이드 블록(124)과 구동 접속시켜 인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24)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유닛(120) 및 포스트 구동 유닛(130)을 이용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W)의 길이에 따라 제2 포스트(90)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켜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포스트(60)는 제2 포스트(90)와 달리 베이스(1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포스트(60)도 제2 포스트(90)와 동일하게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반전 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미도시)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이송 플레이트(32)의 상면에 적재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중량물(W)의 적재 시에는 중량물(W)을 이송 플레으트의 전후 좌우 중심의 위치에 안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8)의 실린더 로드(38a)를 신장시켜 제1 척(70) 및 제2 척(100)의 높이 방향 중심선과 중량물(W)의 높이 방향 중심선이 일치될 때까지 중량물(W)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척(70) 및 제2 척(100)을 이용하여 중량물(W)을 파지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중량물(W)을 파지하는 단계는, 제2 척(100)이 중량물(W)의 우측 단부와 접촉되도록 제2 포스트(90)를 이송시키는 단계, 이동 죠우를 이동시켜 중량물(W)의 전후 양측 단부를 조여서 고정하는 단계, 나사를 이용하여 제1 척(70)과 제2 척(100)과 중량물(W)을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이송 유닛(30)을 베이스(10)를 향하여 하강시키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 구동 유닛(110)을 가동하여 제1 척(70) 및 제1 척(70)에 파지된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W)을 90°회동시켜 수직 상태로 배치하거나, 180°회전시킴으로써 그 상하면을 반전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회동된 중량물(W)을 대상으로 가공, 점검 및 검사 등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추작적인 가업을 위하여 중량물(W)을 다시 회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척 구동 유닛(110)을 가동하여 중량물(W)을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동시킨 후에,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중량물(W)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2 포스트(90)를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 조정은 제2 포스트(90)의 이동을 통해서만 수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대체적으로 균일한 길이를 가지는 중량물(W)을 대상으로 반전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2 포스트(9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척(100)만을 이동시키는 것이 제2 포스트(90)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보다 작업 효율상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에 있어서, 제2 척(100)은 제 포스트(90) 회동 가능하게 출 결합되며, 중량물(W)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회동축(101a)을 포함한다. 회동축(101a)은 중량물(W)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하면서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32)에 적재된 중량물(W)을 제1 척(70)과 제2 척(100) 사이로 이송시킨 후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척(100)의 회동축(a)을 중량물(W)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제1 척(70) 및 제2 척(1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는 제2 척(100)의 회동축(101a)을 중량물(W)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다는 사항만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반전 장치(1)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중량물 반전 장치 10 : 베이스
20 : 컨트롤 패널 30 : 이송 유닛
40 : 유압 유닛 50 : 제1 반전 유닛
60 : 제1 포스트 70 : 제1 척
71 : 척 본체 72 : 이동 죠우
73 : 이송 스크류 73a, 73b : 나사선
74 : 구동 샤프트 75 : 구동 접속부
76 : 고정 슬릿 77 : 고정 부재
80 : 제2 반전 유닛 90 : 제2 포스트
92 : 스토퍼 94 : 스토퍼 본체
96 : 로드 98 : 탄성 부재
100 : 제2 척 101 : 척 본체
102 : 이동 죠우 103 : 이송 스크류
103a, 103b : 나사선 104 : 구동 샤프트
105 : 구동 접속부 106 : 고정 슬릿
107 : 고정 부재 110 : 척 구동 유닛
120 : 안내 유닛 130 : 포스트 구동 유닛
W : 중량물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제1 포스트, 및 상기 제1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을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척을 가지는 제1 반전 유닛;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제2 포스트, 및 상기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량물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척을 가지는 제2 반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제2 척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척이 회동 되기 전에는 상기 제2 척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척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척이 회동되면 상기 제2 척과 분리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척과 축 결합되어 상기 제1척과 상기 제1 척에 파지된 상기 중량물을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 시키는 척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척은 상기 중량물이 회동될 때 상기 중량물을 통해 상기 척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 사이로 상기 중량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은 상기 중량물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량물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동 죠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은,
    상기 중량물의 폭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 죠우와 나사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와 구동 접속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시키는 구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회전 되면서 상기 이동 죠우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그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죠우는,
    상기 나사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가 회전 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죠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척과 제2 척은,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고정 슬릿; 및
    상기 고정 슬릿을 통해 상기 중량물과 체결되어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에 상기 중량물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에 상기 중량물을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제2 포스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를 상기 제2 척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척은,
    상기 로드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량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척은,
    상기 제2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중량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회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중량물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이동 하면서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전 장치.
KR20130074501A 2013-06-27 2013-06-27 중량물 반전 장치 KR10148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01A KR101484077B1 (ko) 2013-06-27 2013-06-27 중량물 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01A KR101484077B1 (ko) 2013-06-27 2013-06-27 중량물 반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72A KR20150001372A (ko) 2015-01-06
KR101484077B1 true KR101484077B1 (ko) 2015-01-19

Family

ID=5247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501A KR101484077B1 (ko) 2013-06-27 2013-06-27 중량물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256A (ko) * 2016-10-25 2018-05-04 이지훈 중량물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5507A (zh) * 2018-01-05 2018-06-12 惠安北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多功能汽车加工用翻转机
CN110842625B (zh) * 2019-11-07 2024-08-02 卫国教育科技(河源)有限公司 一种双向动力多轴装夹加工装置
KR102309266B1 (ko) * 2020-10-05 2021-10-05 황세연 중량체반전용 회전장치
CN116080101A (zh) * 2022-12-26 2023-05-09 安徽佳力奇先进复合材料科技股份公司 一种复合材料机臂旋转铺放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2748U (ko) * 1985-04-13 1986-10-27
JPS63196389U (ko) * 1987-05-29 1988-12-16
JPH09207042A (ja) * 1996-01-31 1997-08-12 Aioi Seiki Kk 金型反転装置
KR20050119629A (ko) * 2005-12-02 2005-12-21 수성정밀기계(주)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2748U (ko) * 1985-04-13 1986-10-27
JPS63196389U (ko) * 1987-05-29 1988-12-16
JPH09207042A (ja) * 1996-01-31 1997-08-12 Aioi Seiki Kk 金型反転装置
KR20050119629A (ko) * 2005-12-02 2005-12-21 수성정밀기계(주) 중량물 방향전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256A (ko) * 2016-10-25 2018-05-04 이지훈 중량물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72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077B1 (ko) 중량물 반전 장치
KR101496927B1 (ko) 중량물 반전 장치
JPH06503272A (ja) 第1の機械から第2の機械に加工物を運ぶための装置
JP2539310B2 (ja) 製版用スタッカクレ―ン
CN110281258B (zh) 一种取卸料用机械手
WO2014171064A1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搬送方法
KR20160090138A (ko) 팔레트 이송 장치
CN110450133A (zh) 一种单臂自主移动搬运机器人
KR20150053529A (ko) 텔레스코픽 회전 붐
ES2361706T3 (es) Método y máquina para mecanizar componentes de madera o similares.
AU2003274132A1 (en) Device and method which are used to load flat articles of clothing into a laundry treatment unit
CN116495468A (zh) 一种汽车生产用多功能工装及其使用方法
KR100859331B1 (ko) 로봇의 이동장치
JP2012223861A (ja) ワーク移載装置
CN210239622U (zh) 一种多功能钻杆输送装置
CN209796699U (zh) 自动翻转设备及其缓存装置
JPH05229650A (ja) ハンドリング装置
JP2004276578A (ja) 自動化木材工作機械案内装置
CN221050706U (zh) 一种土木建筑施工用的输料装置
KR101725842B1 (ko) 파이프 커팅 및 홀 성형장치
JPH06321483A (ja) 搬送装置
CN207209402U (zh) 一种立体搬运装置
CN213831783U (zh) 一种转运架
CN218320660U (zh) 多功能双臂作业车
CN117383273B (zh) 一种滚筒式镀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