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59B1 - 케이블 타이용 공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59B1
KR101496259B1 KR20130048420A KR20130048420A KR101496259B1 KR 101496259 B1 KR101496259 B1 KR 101496259B1 KR 20130048420 A KR20130048420 A KR 20130048420A KR 20130048420 A KR20130048420 A KR 20130048420A KR 101496259 B1 KR101496259 B1 KR 10149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ble
cable tie
fastene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743A (ko
Inventor
공종수
Original Assignee
공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종수 filed Critical 공종수
Priority to KR2013004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25Removing or cutting binding material, e.g. stra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케이블 타이의 삽입이 용이하며 케이블 타이의 체결, 조임, 절단 및 체결해제가 가능한 다기능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bar)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커터부용 고정구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후방 쪽에 배치되는 권취부용 체결구를 구비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레버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 내부에서 상기 제1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커터부를 구비하는 절단용 회동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레버부와,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에서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상기 제2 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래치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단부에서부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제1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2 슬롯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용 공구{TOOL FOR CABLE TIE}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케이블 타이의 삽입이 용이하며 케이블 타이의 체결, 조임, 절단 및 체결해제가 가능한 다기능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타이는 전자 제품 내의 전선이나 선박 내의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물체를 결속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 타이는 항상 체결후 일정길이의 여유부분이 발생되는 바, 이러한 여유부분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의 케이블 타이인 경우 칼날과 같이 극히 위험하므로 반드시 절단되어야 한다. 이때, 현장에서 케이블을 묶은 케이블타이의 나머지 여유부분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케이블 타이용 절단기이다.
이와 같은, 케이블타이용 절단기는 종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왔으나, 그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케이블 타이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형성되고 레버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절단부와, 케이블타이를 권취하는 권취구가 결합된 래치핸들과, 선단에 통산의 케이블타이가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후단이 손잡이와 결합되며 선후단 사이에 상기 회동절단구 및 권취구가 삽입 결합되는 본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개략적인 사용방법은 상기 삽입슬롯을 통해 삽입된 케이블 타이를 상기 권취구에 권취시켜 팽팽히 당긴후 상기 회동절단구를 회전시킴에 의해 케이블타이가 상기 삽입슬롯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전단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타이용 절단기에서 삽입슬롯은 케이블타이가 삽입슬롯의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만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케이블 타이를 케이블타이용 절단기에 삽입할 때 삽입슬롯과 상기 삽입슬롯 후방에 형성된 권취용 슬롯을 일직선을 유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타이용 절단기의 경우, 케이블 타이를 케이블타이용 절단기 내부에 배치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타이용 절단기의 경우, 매우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또한, 최근, 케이블 타이의 개발동향으로 볼 때 체결상태가 해제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타이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타이용 절단기로는 체결상태의 케이블 타이를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타이의 삽입 또는 내부 배치가 용이한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상태의 케이블 타이를 체결해제가능한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bar)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커터부용 고정구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후방 쪽에 배치되는 권취부용 체결구를 구비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레버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 내부에서 상기 제1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커터부를 구비하는 절단용 회동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레버부와,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에서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상기 제2 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래치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단부에서부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제1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2 슬롯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터부는 중실(中實)형 원호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삽입용 수평부를 포함하는 타이체결해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핸들은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의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환형홈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환형홈에 맞물리며 상기 권취부의 내부로 탄성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플런저(ball plung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정단부와 자유단부로 이루어진 스트랩과, 상기 고정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자유단부가 체결되는 체결헤드와, 상기 스트랩의 체결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상기 체결헤드 내부에 구비되는 핀 가이드부와, 상기 체결헤드 내부에서 상기 핀 가이드부를 따라서 상기 스트랩의 체결방향 또는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체결헤드에 체결된 상기 스트랩의 자유단부에 걸려 상기 스트랩이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원통형의 미끄럼 방지용 핀을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에 대한 작업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타이용 공구로서, 바(bar)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커터부용 고정구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후방 쪽에 배치되는 권취부용 체결구를 구비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레버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 내부에서 상기 제1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커터부를 구비하는 절단용 회동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레버부와,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에서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상기 제2 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래치핸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 내부에 케이블 타이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내부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대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케이블 타이의 내부 배치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 형상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케이블 타이용 공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의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고, 케이블 타이용 공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사용하여 케이블 타이를 체결, 조임 및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상태의 케이블 타이를 체결해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하나의 공구 만으로 케이블 타이에 대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케이블 타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케이블 타이의 체결헤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케이블 타이의 체결헤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핸들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핸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 체결해제부의 조작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블 타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블 타이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블 타이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케이블 타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블 타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케이블 타이의 체결헤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케이블 타이의 체결헤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핀을 구비한 케이블 타이(10)는 고정단부(110)와 자유단부(120)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스트랩(100)과, 고정단부(110)에 고정되며 스트랩(100)의 자유단부(120)가 체결되는 체결헤드(200)와, 체결헤드(200) 내에 전후로 이동되어 스트랩(100)이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용 핀(300)과, 상기 자유단부의 양측면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형 가장자리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핀을 구비한 케이블 타이(10)의 스트랩(100), 체결헤드(200) 및 미끄럼 방지용 핀(300)은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 사용되게 하고 케이블 타이(10)에 높은 강도 및 우수한 내부식성을 부여하도록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랩(100)의 고정단부(110)는 이층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층으로 절곡된 고정단부(110)는 이격공간을 두고 상층면(111)과 하층면(112)을 구비한다. 고정단부(110)의 상층면(111)과 하층면(112) 사이의 이격 공간의 이격폭(W)은 체결헤드(200)의 상단부(21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100)의 고정단부(110)의 상층면(111)에는 체결헤드(200)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1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113)는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A걸림돌기(113A)와 제1B걸림돌기(113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A걸림돌기(113A)와 제1B걸림돌기(113B)는 고정단부(110) 상층면(111)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A걸림돌기(113A)와 상기 제1B걸림돌기(113B)는 후술할 핀 삽입홀(212)에 맞물려 고정된다.
스트랩의 자유단부(120)는 케이블 타이가 케이블들을 수용공간 내에 클램핑하는 경우 케이블에 접촉하는 면인 케이블 접촉면(120a)과, 상기 케이블 접촉면(120a)에 반대쪽에 위치하는 반대편 면(120b)과, 상기 자유단부의 양측면에 절곡되게 구비되는 절곡형 가장자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의 자유단부는 상기 케이블 접촉면(120a)에서 복수 개의 지지용 돌출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용 돌출부(123)는 상기 스트랩의 자유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방향으로(즉, 수용공간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용 돌출부는 상기 스트랩의 자유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2열로 배열된다.
이렇게, 지지용 돌출부(123)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랩에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미끄럼 방지용 핀이 체결헤드의 내부면과 지지용 돌출부(123)에 의한 지지반력으로 인해 케이블 접촉면(120a)의 반대편 면(120b)이 소성변형되어 형성되는 홈(120c)에 걸리게 되므로, 스트랩이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용 돌출부(123)는 상기 케이블 접촉면(120a)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직각면과, 상기 직각면의 상단부에서 상기 케이블 접촉면(120a) 쪽을 향하여 상기 자유단부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용 돌출부(123)는 상기 케이블 접촉면(12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 경사면과, 상기 상향 경사면의 상단부에서 상기 케이블 접촉면(120a) 쪽을 향하여 상기 자유단부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100)의 자유단부는 케이블 접촉면(120a)의 반대쪽 면에서 후술하는 미끄럼 방지용 핀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트랩 요철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랩 요철부(121)는 미끄럼 방지용 핀(300)과의 결합을 통하여 스트랩(100)이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자유단부(120)의 스트랩 요철부(121)는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표면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요철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의 자유단부(120)는 케이블 접촉면(120a)에서 지지용 돌출부(123)를 구비하고, 반대편 면(120b)에서 스트랩 요철부(121)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자유단부가 미끄럼 방지용 핀에 대해 미끄러지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자유단부의 양측면에는 절곡형 가장자리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형 가장자리부(130)는 상기 자유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외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절곡형 가장자리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타이로 케이블들을 타이트하게 클램핑할 경우 케이블 타이의 양측면 에지로 인해 케이블들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헤드(200)의 상단부(210)에는 미끄럼 방지용 핀(300)을 삽입하기 위한 핀 삽입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삽입홀(212)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포함되는 제1A걸림돌기(113A) 및 제1B걸림돌기(113B)가 맞물려 고정된다.
한편, 조립부(210A)는 스테인레스강을 상하로 절곡시켜 조립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조립 부분은 스테인레스강의 일단부가 타단부로 삽입되게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210A)는 스테인레스강의 상단과 하단의 조립 및 조립해제를 손쉽게 하기 위하여 양측부는 일직선 형태로 하고 중앙부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헤드(200)의 상단부(210)와 하단부(220)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미끄럼 방지용 핀(300)이 회전 이동을 안내하도록 스트랩 출구(200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다음 다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핀 가이드부(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핀 가이드부(230)는 미끄럼 방지용 핀(30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스트랩(100)의 자유단부(120)가 체결되는 체결헤드(200)의 스트랩 입구(200A) 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면(231)과, 미끄럼 방지용 핀(30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하여 경사 가이드면(231)에서 체결헤드(200)의 스트랩 출구(200B) 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면(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사 가이드면(231)은 체결헤드(200)의 입구 측을 향하여 완만한 경사 각도로 이루어져 미끄럼 방지용 핀(30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데, 미끄럼 방지용 핀(300)은 이러한 경사 가이드면(231)의 고점과 저점 사이에서 회전 이동된다.
그리고, 체결헤드(200)의 내부에는 경사 가이드면(231)에서 스트랩 출구(200B) 측으로 급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용 핀(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면(232)이 구비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용 핀(3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스트랩(100)의 체결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경사 가이드면(231)의 저점에 위치하면 걸림면(232)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한되며, 스트랩(100)의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경사 가이드면(231)의 고점에 위치하면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의 힘 및 지지용 돌출부(123)에 의해 케이블 접촉면(120a)의 반대편 면(120b)에 형성된 소성변형된 홈(120c)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한된다.
이렇게 미끄럼 방지용 핀(300)이 경사 가이드면(231)의 고점에 위치하면서 지지용 돌출부(123)에 의해 케이블 접촉면(120a)의 반대편 면(120b)에 형성된 소성변형된 홈(120c)에 의해 회전 이동이 제함됨으로써 스트랩(100)은 미끄러지지 않고 체결헤드(200) 내에서 타이트하게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미끄럼 방지용 핀(3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볼에 비해 스트랩(100)의 스트랩 요철부(121)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더욱 타이트하게 스트랩(100)이 체결헤드(200) 내부에서 체결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케이블 타이에 대해 체결, 조임, 절단 및 체결해제 작업을 보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는 전술한 케이블 타이 뿐만 아니라 핀 가이드부 및 미끄럼 방지용 핀을 구비하는 모든 케이블 타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1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1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42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42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핸들(44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핸들(44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1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1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 체결해제부의 조작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는, 바(bar) 형상의 지지부재(410)와, 상기 지지부재(4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블록(420)과, 케이블 타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블록(420)을 관통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절단용 회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블록(420)을 관통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절단용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를 권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블록(420)을 관통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래치핸들(440)과, 체결상태의 케이블 타이를 체결해제하도록 구성된 체결해제부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1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장형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410)의 후방부분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에서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410)를 간단한 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의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고,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0)는 후술할 커터부(433)가 관통하며 후술할 커터부용 고정구(421)와 연통되는 제1 관통구(413)와, 후술할 권취부(443)가 관통하며 후술할 권취부용 체결구(423)와 연통하는 제2 관통구(415)와, 지지블록(420)과 지지부재(410)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공(411)을 구비한다.
지지블록(420)은 지지부재(410)의 일면의 전방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블록(420)은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지지부재(410)의 일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블록(420)은 절단용 회동부재(430)의 커터부(433)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터부용 고정구(421)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421)의 후방 쪽에 배치되며 래치핸들(440)의 권취부(443)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부용 체결구(423)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42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구비되어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는 제1 슬롯(425)을 포함한다.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421)의 폭 및 상기 제1 슬롯(425)의 폭은 케이블 타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슬롯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42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롯(425)은 상기 지지블록(420)의 전방단부에서부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롯(425)은 상기 지지블록(420) 내에서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42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대해 상기 지지블록(420)의 좌우를 완전히 분할하도록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 슬롯(425)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블록(420)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블록(420)의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는 제1 슬롯(425)을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자는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를 제1 슬롯(425)의 측면(즉, 지지블록(420)의 측면) 및 정면 중 어느 방향을 통하든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고(도 9 참고), 이로 인해 케이블 타이의 전방삽입만 가능한 종래기술보다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 내부에 케이블 타이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내부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타이용 공구(400)에 대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케이블 타이의 내부 배치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절단용 회동부재(430)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용 회동부재(430)는 손잡이 역할을 하며 작업자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레버부(431)와, 상기 제1 레버부(431)의 전방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421) 내부에서 상기 제1 레버부(431)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커터부(4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레버부(431)의 일부분은 상기 제1 레버부(431)가 탄성복원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지지부재(410)의 타면에 스프링으로 연결된다.
커터부(433)는 상기 지지부재(41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블록(420)의 커터부용 고정구(421) 내에 위치된다. 상기 커터부(433)는 제1 레버부(431)의 회동에 의해 커터부용 고정구(421) 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터부의 외주면에는 두 개의 스냅링(435)이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스냅링이 지지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맞물려 상기 커터부 및 상기 절단용 회동부재가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고하면, 상기 커터부(433)는 중실(中實)형 원호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커터부(433)를 중실형 원호기둥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커터부(433)에 무게중심을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즉, 소정의 중량을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커터부(433)의 회전으로 케이블 타이를 절단할 경우 케이블 타이의 전단응력으로 인한 반발력으로 인해 커터부(433)가 불안정하게 케이블 타이를 절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터부(433)가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를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부(433)는 곡면부(433a)와 평면부(433b)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커터부(433)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평면부(433b)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상됨으로써, 케이블 타이의 절단시 케이블 타이의 일측면부터 케이블 타이의 내부를 거쳐 케이블 타이의 타측면까지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절단용 회동부재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제1 레버부를 X방향으로 회동하면 커터부가 X'방향으로 회동하여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를 파지하거나 또는 절단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 레버부에 회전력을 해제하면(즉, 제1 레버부를 잡은 손의 힘을 풀면) 스프링에 의해 제1 레버부가 Y방향으로 복원회동하고 커터부도 Y'방향으로 복원회도록 하도록 작동한다.
래치핸들(440)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타면에서 상기 지지부재(4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래치핸들(440)은 손잡이 역할을 하며 작업자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레버부(441)와, 상기 제2 레버부(441)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권취되는 권취부(443)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부(443)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410)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부재(410)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410)를 관통하여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42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권취부(443)는 상기 제2 레버부(441)에 대해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423)에서 상기 제2 레버부(441)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상기 제2 레버부(441)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즉,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권취부(443)는 소켓렌치(socket wrench)의 소켓부와 레버부의 연결관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레버부(441)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레버부(441)를 일방향(즉, 도 11의 W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부(443)가 상기 일방향(도 11의 W'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상기 제2 레버부(441)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인 타방향(도 11의 Z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부(443)는 어떠한 회전운동도 하지 않는다.
상기 권취부(443)는 제2 슬롯(445)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슬롯(445)은 전술한 제1 슬롯(425)을 관통한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치핸들(440)은(즉, 상기 권취부(443)는) 지지블록(420)의 권취부용 체결구(42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블록(420)은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423)의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환형홈(427)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443)는 상기 환형홈(427)에 맞물리며 상기 권취부(443)의 내부로 탄성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플런저(447)(ball plunger)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블록(420)의 권취부용 체결구(423)에 권취부(443)를 삽입하면 볼 플런저(447)는 권취부(443) 내부로 함몰 이동한 후 환형홈(427)에 도달하게 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환형홈(427)에 맞물려 권취부(443)가 지지블록(420)에 고정되게 된다.
타이 체결해제부(450)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후방부에 구비된다.
타이 체결해제부(450)는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10)가 체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방지용 핀(300)이 체결헤드(200) 내의 고점에서 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 체결해제부(450)는, 지지부재(4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몸체부(451)와, 상기 몸체부(451)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451)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삽입용 수평부(45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용 수평부(453)는 체결헤드(200)의 스트랩 입구(200A)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평평하도록 구성된다.
타이 체결해제부(450)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용 핀(300)의 고정해제과정(즉, 케이블 타이 체결해제 과정)을 보면 아래와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0)를 잡고 체결헤드(200)의 스트랩 입구(200A) 측을 향하여 타이 체결해제부(450)의 삽입용 수평부(453)를 삽입하게 되면, 삽입용 수평부(453)의 자유단이 미끄럼 방지용 핀(300)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미끄럼 방지용 핀(300)은 스트랩(100)의 자유단부(120)의 반대편 면(120b)에 소성변형된 홈(120c)에서 이탈되어 경사 가이드면(231)을 따라 핀 가이드부(230)의 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스트랩(100)의 자유단부(120)를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케이블 타이(10)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이렇게 미끄럼 방지용 핀(30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체결헤드(200)에 체결된 스트랩(100) 자유단부(120)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타이(1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 내부에 케이블 타이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내부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에 대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케이블 타이의 내부 배치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 형상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케이블 타이용 공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의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고, 케이블 타이용 공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용 공구를 사용하여 케이블 타이를 체결, 조임 및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상태의 케이블 타이를 체결해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하나의 공구 만으로 케이블 타이에 대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케이블 타이
100...스트랩 110...고정단부
120...자유단부 121...표면 요철부
123...지지용 돌출부 130... 절곡형 가장자리부
200...체결헤드 210...상단부
220...하단부 230...핀 가이드부
231...경사 가이드면 232...걸림면
300...미끄럼 방지용 핀
400...케이블 타이용 공구
410...지지부재 420...지지블록
430...절단용 회동부재 440...래치핸들
450...타이 체결해제부

Claims (7)

  1. 바(bar)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의 전방부에 결합되며, 커터부용 고정구와,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후방 쪽에 배치되는 권취부용 체결구를 구비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레버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 내부에서 상기 제1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커터부를 구비하는 절단용 회동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레버부와,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에서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서만 상기 제2 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래치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용 고정구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단부에서부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제1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자유단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2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커터부는 중실(中實)형 원호기둥 형상을 가지고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부의 외주면에는 두 개의 스냅링이 구비되면, 상기 두 개의 스냅링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맞물려 상기 커터부 및 절단용 회동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절단용 회동부재의 제1 레버부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탄성 복원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터부와 함께 제1 레버부가 상기 커터부의 회동후 복원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 타이의 체결헤드에 구비된 스트랩 입구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타이의 미끄럼 방지용 핀이 상기 체결헤드 내의 고점에서 저점으로 이동되도록하는 삽입용 수평부를 포함하는 타이체결해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블록의 일면과 상기 지지블록의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블록의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핸들은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권취부용 체결구의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환형홈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환형홈에 맞물리며 상기 권취부의 내부로 탄성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플런저(ball plung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용 공구.
  7. 삭제
KR20130048420A 2013-04-30 2013-04-30 케이블 타이용 공구 KR10149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420A KR101496259B1 (ko) 2013-04-30 2013-04-30 케이블 타이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420A KR101496259B1 (ko) 2013-04-30 2013-04-30 케이블 타이용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743A KR20140129743A (ko) 2014-11-07
KR101496259B1 true KR101496259B1 (ko) 2015-02-27

Family

ID=5245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420A KR101496259B1 (ko) 2013-04-30 2013-04-30 케이블 타이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576A (ja) * 1998-08-31 2000-03-21 Kyoto Tool Co Ltd バンド縮径切断工具
KR200339078Y1 (ko) * 2003-10-20 2004-01-16 최철환 케이블타이용 절단기
KR101255832B1 (ko) * 2012-01-06 2013-04-16 공종수 미끄럼 방지용 핀을 구비한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576A (ja) * 1998-08-31 2000-03-21 Kyoto Tool Co Ltd バンド縮径切断工具
KR200339078Y1 (ko) * 2003-10-20 2004-01-16 최철환 케이블타이용 절단기
KR101255832B1 (ko) * 2012-01-06 2013-04-16 공종수 미끄럼 방지용 핀을 구비한 케이블 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743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7027389B1 (pt) Máquina de amarração
EP1570958B1 (en) Extension cord retention and plug retention system
TWI530040B (zh) Tight line
JP5819516B2 (ja) バンド締付け具
US8858143B2 (en) Wall anchor
EP3050819B1 (en) Binding band securing structure and binding tool
JP2005187070A (ja) 高性能ケーブルタイ
KR20100098379A (ko) 듀얼 로킹 밴드 클램프 및 그 형성 방법
JP3180307U (ja) 掴線器
US20160059985A1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496259B1 (ko) 케이블 타이용 공구
US9647390B1 (en) Power cord lock
EP2926957B1 (en) Cutting tool
TWI659810B (zh) Water pump pliers and cover member
EP3013647B1 (en) A support foot for luggage carrier
JP5660921B2 (ja) 配線・配管材保持具および配線・配管材の固定方法
US20110061209A1 (en) Cable tie
KR101133235B1 (ko) 커터
JP6773644B2 (ja) バンド切断装置及びナイフ
US6745473B2 (en) Cable sheathing slitter for a wire stripper tool
JP3184991U (ja) 結束用バンド
JP3178049U (ja) 締付帯の緊締具
JP3368288B2 (ja) 巻付型カバー装着工具
KR200467862Y1 (ko) 밴드 케이블
JP4793771B2 (ja) 竪樋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