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755B1 -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755B1
KR101495755B1 KR20130157890A KR20130157890A KR101495755B1 KR 101495755 B1 KR101495755 B1 KR 101495755B1 KR 20130157890 A KR20130157890 A KR 20130157890A KR 20130157890 A KR20130157890 A KR 20130157890A KR 101495755 B1 KR101495755 B1 KR 10149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atalyst
powder
me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명
박주옥
Original Assignee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5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55B1/ko
Priority to PCT/KR2014/012514 priority patent/WO20150938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14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B01J27/185Phosphorus; Compounds thereof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 B01J27/185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with platinum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64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을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금속을 급속 냉각 하면서 분말화하여 비정질 금속 분말로 만드는 단계; 상기 비정질 금속 분말을 전해액 중에 침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해액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은, 비정질 금속의 분말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은 Ni, Fe, Co 및 Zr 중 어느 하나와, Pd, Pt, P, Be, Si, C, Ag, Mg, Ga, Y 및 Al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소 발생 촉매와 알칼리수 또는 암모니아수를 반응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CATALYST FOR GENERATING HYDROGEN, HYDROGEN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ING THE CATALYST}
본 발명은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정질 금속 분말의 수소 발생 촉매 및 이를 이용하는 수소 발생 장치와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소를 연료로 활용하는 연료전지의 구동을 위하여 연료인 수소의 원활한 공급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수소 저장 합금, 수소 저장 탱크, 수소 발생 촉매 등의 활용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수소 저장 합금의 경우 수소 저장 용량의 한계 및 내구성의 열화가 발생되고 있다. 수소 저장 탱크의 경우, 화재/폭발 안전성이 취약하다. 이에 따라, 필요에 의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수소 발생 촉매를 활용한 수소 공급 방안이 주목 받고 있다.
수소 발생 촉매에 의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방법은 수소 발생 촉매와 NaOH, KOH 등의 알칼리수 혹은 암모니아수 등을 반응시켜 수소를 발생시킨다. 이때 수소 발생 촉매는 백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코발트, 니켈 혹은 이들의 합금화된 촉매, NaBH4등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재료의 고가격으로 인하여 수소 생성 공정비용의 상승한다는 점과 대기중 보관시 폭발의 위험에 따라 부수적인 저장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기중에서 안정한 相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금화 및 입계에 귀한 금속을 석출시켜 반응성을 억제하는 기술(KR 2010-0031911)이 제시되었으나, 활성 금속의 촉매 특성을 온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 이하 AM)의 분말상을 활용하여 수소 발생 촉매의 재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가의 Pt 사용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여, 제조 가격을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중에서 금속 분말의 폭발 가능성을 낮추어 촉매의 보관 안정성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촉매의 합금화에 따른 성능 열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성능의 수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을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금속을 급속 냉각 하면서 분말화하여 비정질 금속 분말로 만드는 단계; 상기 비정질 금속 분말을 전해액 중에 침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해액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은 Ni, Fe, Co 및 Zr 중 어느 하나와, Pd, Pt, P, Be, Si, C, Ag, Mg, Ga, Y 및 Al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정질 금속 분말로 만드는 단계는, 용융된 금속을 진공 아토마이저를 이용하여 조분말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조분말을 볼 밀링, 제트 밀링 및 스펙스(SPEX) 밀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미분말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분말은 10~30㎛의 입경을 갖고, 상기 미분말은 0.5~1㎛의 입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해액은 산이 물에 혼합된 산성 용액이고 상기 산은 0.05~0.1 M 농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은 HCl, HNO3 중 H2S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해액에 교류 10~100 Hz의 0.3~1 mA/㎠의 전류를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전지 전극용 분말은 표면에 1~6nm 크기의 침상 돌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속 냉각은 100~10000 ℃/s로 냉각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정질 금속의 분말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은 Ni, Fe, Co 및 Zr 중 어느 하나와, Pd, Pt, P, Be, Si, C, Ag, Mg, Ga, Y 및 Al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소 발생 촉매와 알칼리수 또는 암모니아수를 반응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AM을 활용한 수소 발생 촉매는 종래의 금속 촉매의 문제점인 고가의 Pt 사용, 공기 중에서의 금속 분말의 폭발 가능성, 합금화에 따른 성능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수소 발생 장치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수소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싸이클릭볼타메트리 공정 개요도이다.
도 3은 수소 발생 촉매의 표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백금 촉매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M 촉매의 수소 발생의 정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수소발생 장치에서 활용되고 있는 금속 촉매를 AM으로 대체하여 수소 발생능력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AM은 합금 조성이 열역학적 한계에 있는 조성비 일지라도 특정 상을 형성하지 않고 개별 원소로 존재하게 되므로, 합금화에 따른 수소발생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말 표면에 나노 크기의 돌기가 형성되므로, 후속의 나노 결정 제조를 위한 공정도 필요치 아니하다. 또한 분말로서 단일원소가 폭발성이 높은 불안정성을 가지는 반면, 본 발명의 분말은 여러 종의 금속이 뭉쳐 있는 형태이므로 그보다는 높은 안정성을 확보 할수 있다.
AM을 활용한 알칼리 물에서 수소 발생은 이미 비특허문헌(Korean J. of Chem. Eng. 28, 1672-1676(2011))으로 발표된 적이 있으나. 판형의 금속을 활용하여 수소발생 촉매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늠한 정도였다. 문헌에 따르면 AM 을 활용한 촉매가 백금 촉매보다 우수한 특성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수소 발생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반응 비표면적의 확대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AM의 분말상 제조 및 표면 활성화를 통하여 수소 발생 촉매로 활용하고자 한다.(도 2)
AM은 용융된 금속을 급속 냉각 (100 ~ 10000 ℃/s)을 통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의 조성은 Ni, Fe, Co 및 Zr 중 어느 하나와, Pd, Pt, P, Be, Si, C, Ag, Mg, Ga, Y및 Al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금속은 적어도 3원계 이상의 조성을 갖는다. 예컨대, 3원계 조성을 갖는 금속의 경우, 그 조성은 Ni1-w-xM1wM2x, Fe1-w-xM1wM2x, Co1-w-xM1wM2x, 또는 Zr1-w-xM1wM2x 이며 이때 M1 및M2는 Pt, P, Be, Si, C, Ag, Mg, Ga, Al에서 선택된 2종의 원소가 된다. 또한, 5 원계 조성을 갖는 금속의 경우, 그 조성은 Ni1-w-x-y-zM1wM2xM3yM4z, Fe1-w-x-y-zM1wM2xM3yM4z, Co1-w-x-y-zM1wM2xM3yM4z, 또는 Zr1-w-x-y-zM1wM2xM3yM4z이며 이때 M1,M2,M3 및M4는 Pd, Pt, P, Be, Si, C, Ag, Mg, Ga, Y, Al에서 선택된 4종의 원소가 된다.
급속 냉각에 의하여 AM을 판형 또는 분말 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소 발생 장치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0.5 ~ 1 ㎛ 수준의 분말 상으로 촉매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의 제조는 진공 아토마이져(Vacuum Atomizer)를 활용하여 조분말(입경: 10~30㎛)을 제작한 후, ball milling, jet milling, spex milling 등을 활용하여 미분말 (입경: 0.5 ~ 1 ㎛)제작한다.
분말 형태의 AM의 반응 비표면적 향상을 위하여 산성 용액 중에 침전시켜 싸이클릭볼타메트리 공정을 적용한다. 반응 비표면적 향상은 싸이클릭볼타메트리 공정에 의하여 표면에 나노크기(1~6nm)의 침상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싸이클릭볼타메트리를 위한 산성 용액으로, 0.05M ~ 0.1M의 HCl, HNO3, H2SO4 산이 물에 혼합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활용한다. 싸이클릭볼타메트리시 교류 10~100 Hz의 0.3~1 mA/㎠의 전류를 인가하여 분말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도 4는 백금 촉매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M 촉매의 수소 발생의 정도를 보여준다.
Ni, Pd, P, 및 Y의 조성을 가지는 AM을 이용하여 1M의 알칼리수에서 수소 발생의 정도를 나타낸 표이다. 각 전압에서 전류밀도가 높을수록 수소발생성능이 우수하다. AM 촉매의 제조 시, 용융된 금속의 냉각속도는 1000K/s, 조분말의 입경은 15㎛, 미분말의 입경은 0.6㎛, 전해액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에서 표면처리조건은 0.1M 황산 용액에서 10Hz의 0.5mA/cm2의 전류를 인가하였다.

Claims (11)

  1. 금속을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금속을 급속 냉각 하면서 분말화하여 비정질 금속 분말로 만드는 단계;
    상기 비정질 금속 분말을 전해액 중에 침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해액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Ni, Fe, Co 및 Zr 중 어느 하나와, Pd, Pt, P, Be, Si, C, Ag, Mg, Ga, Y및 Al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 분말로 만드는 단계는,
    용융된 금속을 진공 아토마이저를 이용하여 조분말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조분말을 볼 밀링, 제트 밀링 및 스펙스(SPEX) 밀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미분말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말은 10~30㎛의 입경을 갖고, 상기 미분말은 0.5~1㎛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산이 물에 혼합된 산성 용액이고 상기 산은 0.05~0.1 M 농도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HCl, HNO3, H2S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해액에 교류 10~100 Hz의 0.3~1 mA/㎠의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 분말은 표면에 1~6nm 크기의 침상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은 100~10000 ℃/s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발생 촉매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20130157890A 2013-12-18 2013-12-18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9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7890A KR101495755B1 (ko) 2013-12-18 2013-12-18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4/012514 WO2015093861A1 (ko) 2013-12-18 2014-12-18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7890A KR101495755B1 (ko) 2013-12-18 2013-12-18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55B1 true KR101495755B1 (ko) 2015-03-02

Family

ID=5302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7890A KR101495755B1 (ko) 2013-12-18 2013-12-18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5755B1 (ko)
WO (1) WO2015093861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05A (ko) 2020-08-03 2022-02-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레늄 몰리브덴 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2357A (ko) 2020-09-07 2022-03-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열합성 공정 기반 고순도 바나듐 다이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순도 바나듐 다이옥사이드
KR20220034361A (ko) 2020-09-11 2022-03-18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이황화몰리브덴-멜라민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29797A (zh) * 2022-01-17 2022-03-25 重庆大学 一种基于含LPSO第二相的Mg-Ni-Y合金水解制氢的方法
KR20220081891A (ko) 2020-12-09 2022-06-16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레늄 몰리브덴 설파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1940A (ko) 2020-12-09 2022-06-16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전이금속이 도핑된 레늄 셀레나이드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399A (ko) 2021-11-12 2023-05-2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바나듐 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401A (ko) 2021-11-12 2023-05-2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나이오븀-바나듐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400A (ko) 2021-11-12 2023-05-2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685B (zh) * 2017-03-01 2021-05-1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单分散或负载型的含磷金属化合物作为催化剂的储氢材料水解释氢体系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08B1 (ko) * 2006-05-11 2008-02-27 한국과학기술원 화학적 수소화물의 수소발생을 위한 인이 함유된 천이금속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51B1 (ko) * 2007-04-20 2008-07-04 한국과학기술원 붕소수소화물의 수소발생을 위한 천이금속-인 촉매 및 이의제조방법
JP6034550B2 (ja) * 2009-01-20 2016-11-30 株式会社Ti 水素発生触媒、水素発生方法、水素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08B1 (ko) * 2006-05-11 2008-02-27 한국과학기술원 화학적 수소화물의 수소발생을 위한 인이 함유된 천이금속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 L. Wang 외 2인, Korean J. Chem. Eng., 28(8), 1672-1676 (2011). *
S. L. Wang 외 2인, Korean J. Chem. Eng., 28(8), 1672-1676 (2011).*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05A (ko) 2020-08-03 2022-02-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레늄 몰리브덴 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2357A (ko) 2020-09-07 2022-03-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열합성 공정 기반 고순도 바나듐 다이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순도 바나듐 다이옥사이드
KR20220034361A (ko) 2020-09-11 2022-03-18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이황화몰리브덴-멜라민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1891A (ko) 2020-12-09 2022-06-16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레늄 몰리브덴 설파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1940A (ko) 2020-12-09 2022-06-16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활성을 갖는 전이금속이 도핑된 레늄 셀레나이드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399A (ko) 2021-11-12 2023-05-2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바나듐 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401A (ko) 2021-11-12 2023-05-2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나이오븀-바나듐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400A (ko) 2021-11-12 2023-05-2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29797A (zh) * 2022-01-17 2022-03-25 重庆大学 一种基于含LPSO第二相的Mg-Ni-Y合金水解制氢的方法
CN114229797B (zh) * 2022-01-17 2024-01-12 重庆大学 一种基于含LPSO第二相的Mg-Ni-Y合金水解制氢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861A1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755B1 (ko)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ng et al. Eutectic‐derived mesoporous Ni‐Fe‐O nanowire network catalyzing oxygen evolution and overall water splitting
Wu et al. Recent progress of vacancy engineering for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related applications
Liu et al. High‐entropy alloys and compounds for electrocatalytic energy conversion applications
Zhao et al. Heterostructures for electrochemical hydrogen evolution reaction: a review
Walter et al. Perspective on intermetallics towards efficient electrocatalytic water-splitting
Liu et al. Self-supported earth-abundant nanoarrays as efficient and robust electrocatalysts for energy-related reactions
Nan et al. Engineering the electronic and strained interface for high activity of PdMcore@ Ptmonolayer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Wang et al. Core–shell-structured low-platinum electrocatalysts for fuel cell applications
CN107946560B (zh) 碳限域金属或金属氧化物复合纳米结构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iang et al. Bimetallic‐based electrocatalysts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Li et al. Confinement engineering of electrocatalyst surfaces and interfaces
Xu et al. Au/Ni 12 P 5 core/shell single-crystal nanoparticles as oxygen evolution reaction catalyst
Martini et al. Using a combination of Co, Mo, and Pt oxides along with graphene nanoribbon and MoSe2 as efficient catalysts for OER and HER
Khalafallah et al. Recent trends in synthesis and investigation of nickel phosphide compound/hybrid-based electrocatalysts towards hydrogen generation from water electrocatalysis
Ipadeola et al. Porous high-entropy alloy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water-splitting reactions
Cheng et al. Three-dimensional self-supporting catalyst with NiFe alloy/oxyhydroxide supported on high-surface cobalt hydroxide nanosheet array for overall water splitting
Han et al. Strain-modulated Ni3Al alloy promotes oxygen evolution reaction
Liu et al. Review on synthesis and catalytic coupling mechanism of highly active electrocatalysts for water splitting
Liang et al. Low-dimensional transition metal sulfide-based electrocatalysts for water electrolysis: overview and perspectives
Zhao et al. Trimetallic Mo-/Ni-/Fe-based hybrids anchored on hierarchical N-CNTs arrays with abundant defects and interfaces for alkaline water splitting
Arya et al. Nickel decorated MoO3 single crystal microflakes with multi-site functionality for enhance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Wang et al. Constructing partially amorphous borate doped iron-nickel nitrate hydroxide nanoarrays by rapid microwave activation for oxygen evolution
Wang et al. Hollow iron carbides via nanoscale Kirkendall cavitation process for zinc-air batteries
Karuppasamy et al. R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of metal–organic framework-derived trimetallic nicofe-layered double hydroxide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water oxidation re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