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400A -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400A
KR20230070400A KR1020220149927A KR20220149927A KR20230070400A KR 20230070400 A KR20230070400 A KR 20230070400A KR 1020220149927 A KR1020220149927 A KR 1020220149927A KR 20220149927 A KR20220149927 A KR 20220149927A KR 20230070400 A KR20230070400 A KR 2023007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sheet
molybdenum niobium
niobium diselenide
alloy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희
권익선
곽인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7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B01J27/057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B01J27/0573Selenium;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28Molybdenum
    • B01J35/0026
    • B01J35/00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1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3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9Preparation by separation, e.g. by filtration, decantation, scre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4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6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물분해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 나이오븀 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물분해 반응 수소발생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 나이오븀 셀레나이드 (Mo1-xNbxSe2, 0 < x ≤ 1) 합금 나노시트 및 이들의 조성비(x)를 정량적으로 조절 가능한 콜로이드 용액 반응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Molybdenum niobium diselenide alloyed nanosheet catalysts for electrochemical water-splitting hydrogen generation}
본 발명은 우수한 물분해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물분해 반응 수소발생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Mo1-xNbxSe2, 0 < x ≤ 1) 합금 나노시트 및 이들의 조성비(x)를 정량적으로 조절 가능한 콜로이드 용액 반응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및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수소 에너지는 사용 시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단위 무게 당 가장 많은 에너지원을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지구상에 풍부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물 전기분해(electrocatalytic water splitting) 방법은 수소의 친환경적인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하고, 전기에너지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수소 생산을 가능케 하므로, 그 전망이 밝다. 한편, 전기분해 수소 생산기술의 핵심은 수소 발생 반응인데, 이 반응에 가장 활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촉매는 백금으로, 수소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값비싼 백금을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고 우수한 활성의 촉매 소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물 전기분해는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반응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전극에 전압을 가해주었을 때 전극 표면이 촉매 역할을 하여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산화전극에서는 산소가, 환원전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한다. 한편, 물 분해 반응은 1.23 V 전압 이상이 필요한 비자발적 반응인데, 촉매의 활성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물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소 발생 촉매 활성이 높은 전극 촉매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수소 발생 시 전기화학적 반응은 아래와 같으며, 실온(25 ℃)에서 수소 이온 1몰이 수소 가스 1 bar(1기압과 비슷함) 조건(이를 표준 수소 환원전극 즉, standard hydrogen electrode (SHE) 조건으로 정의함)으로 하였을 때, 전압이 0 V 일때 수소가 발생한다.
H+(aq) + e- → 1/2H2(g), E° = 0 V vs. SHE
한편, 전극 표면에서 수소가 발생할 때 흐르는 전류 밀도(1 ㎝-2 당 암페어)가 낮은 전압에서 클수록 뛰어난 촉매 활성을 가지므로 수소 촉매 활성 평가는 다음 타펠 (Tafel) 식에 따라 기울기 b 값을 이용한다.
η = b log(j/j o)
상기 식에서 η: 과전압, b: 타펠 기울기, j: 전류밀도 (current density), jo: 교환 전류밀도 (exchange current density)를 의미하며, 이에 근거하여 이상적인 수소 촉매는 낮은 타펠 기울기와 높은 교환 전류밀도를 가진다.
이와 함께, 촉매 활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과전압이다. 과전압은 전하전달반응이 일어나는데 가장 크게 기여를 하는 인자이며, 촉매 활성화에 있어 에너지 벽 (energy barrier)을 극복하는 속도 및 여부에 따라 과전압 값이 좌우된다. 촉매 활성화가 좋을수록 과전압 값은 감소한다. 상용화된 백금 전극 같은 경우에는 과전압이 거의 0 V에 가깝고 타펠 기울기는 30 mV dec-1 이다. 하지만 고가의 백금 전극 대신 지구상에 풍부하면서 저비용으로 과전압 및 타펠 기울기가 백금과 거의 가까운 촉매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75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가의 귀금속 수소발생반응 촉매인 백금(Pt)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한 나노소재 촉매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콜로이드 용액합성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성능을 갖는 몰리브덴과 나이오븀이 함유된 합금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나노소재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우수한 수소발생반응(HER)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를 제공한다:
[화학식 1]
Mo1-xNbxSe2
(상기 화학식 1에서, 0 < x ≤ 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에 있어서, 상기 x는 0.2 내지 0.8, 상세하게는 0.4 내지 0.6, 더욱 상세하게는 0.5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는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에 있어서 전류밀도가 10 ㎃㎝-2 일때, 과전압 값이 140 ㎷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는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에 있어서 전류밀도가 10 ㎃㎝-2 일때, 타펠(Tafel) 기울기가 46 mV/dec-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제 1 온도에서 MoCl5 및 NbCl5의 전이금속 염화물의 혼합물과 디벤질디셀레나이드(dibenzyldiselenide; (PhCH2)2Se2)를 제 1 용매에 용해시켜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제 1 온도보다 높은 제 2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 2 용매에 주입하여 반응물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침전물을 상기 제 2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어닐링하는 단계.
[화학식 1]
Mo1-xNbxSe2
(상기 화학식 1에서, 0 < x ≤ 1)
한편 본 발명의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도는 60℃ 내지 90℃이고, 상기 제 2 온도는 280℃ 내지 360℃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온도는 80℃이고, 상기 제 2 온도는 340℃일 수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매 및 상기 제 2 용매는 올레일아민(oleylamin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는 우수한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가지며, 기존의 백금 촉매를 보다 저렴한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콜로이드 용액 합성법에 의하면 저비용의 단순한 실험 장치만으로 균일한 합금을 합성할 수 있는 한편 조성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3개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역시 간소한 실험 장비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o1-xNbxSe2 나노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콜로이드 용액 합성장치 및 합성법을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TEM 장비에서 측정한 에너지 분산 X-선 형광 스펙트럼(energy-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um, EDX)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TEM 장비에서 측정한 EDX 맵핑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Mo, Nb, Se 성분비율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측정값은 EDX, XPS, ICP-AES 데이터를 사용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STEM 이미지를 나타낸다(x = 0.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XPS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0.1 내지 0.2 V 영역의 순환전압전류 Cyclic voltammetry (CV) 커브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전극 전기화학 셀에서 작업전극을 사용하여 선형 주사 전위법 (linear sweep voltammetry, LSV)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수소발생반응(HER)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13(b)는 상기 수소발생반응(HER) 그래프를 타펠 (Tafel) 플롯으로 변환한 타펠 기울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x 변화에 따른 과전압과 타펠 기울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x = 0.5)의 활성유지 정도 및 전류밀도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시트의 x값이 0.5일때 24시간 촉매 활성 측정 후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기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기재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Mo 1-x Nb x Se 2 )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콜로이드 용액반응법)
도 1에 도시된 콜로이드 용액 합성장치를 통해 Mo1-xNbxSe2 합금 나노시트를 제조하였다. 합성장비는 Schlenk 라인과 용액을 자석으로 교반할 수 온도 조절 가능한 핫플레이트 (hot plate)를 이용하였으며, 반응 동안 상기 Schlenk 라인에 아르곤 가스 흐름을 유지시켰다. 우선, (1): 5 mL의 올레일아민(oleylamine, OAm, 화학식 = C18H35NH2; 분자량 (molecular weight, MW) = 267.493 gmol-1, 순도 = technical grade 70%, 밀도 = 0.813 gmL-1)을 삼구 (three neck) 플라스크에 넣고 120℃에서 1시간 유지시켜 불순물을 기체상으로 제거한 후 온도를 340℃로 상승시켰다. 이어서, (2): MoCl5(MW = 273.21 gmol-1 , 순도 = 99.99%) 및 NbCl5(MW = 270.17 gmol-1, 순도 = 99.99%)을 혼합하여 0.5 mmol로 제조한 후, 0.5 mmol의 디벤질디셀레나이드((PhCH2)2Se2 (dibenzyldiselenide; MW = 340.2 gmol-1, 순도 = 95%))와 함께 5 mL 올레일아민에 녹였다. (3): (2)에서 제조한 전구체 용액을 (1)의 올레일아민에 주입하였고, 이 때 주입속도는 4 mL/h로 30분이 소요되었고, 반응시간은 1시간이 걸렸다. (4): (3)의 반응 후 실온으로 식힌 후에 원심분리기로 검은색 침전물을 얻었고, 이어서 톨루엔으로 4번 세척을 하였다. (5): (4)에서 얻은 침전물 파우더를 원통형 튜브가 들어갈 수 있는 전기로의 세라믹 보트 안에 넣고 400℃로 어닐링(annealing)하였다. 어닐링 동안 아르곤 가스를 500 sccm (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으로 공급해주고 상온으로 식혀주었다. 이러한 콜로이드 용액반응법을 통해 본 발명의 나노시트를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합성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 합성 메커니즘: MoCl5의 Mo5+, NbCl5의 Nb5+ 양이온이 OAm 의 질소에 의해 +4가 양이온으로 환원되고 (PhCH2)2Se2 이 (PhCH2)2Se2 → 2PhCH2 + + 2Se- 로 분해되면서 OAm 에 의해 Se2-는 -2가 음이온으로 환원된다. Mo4+, Nb4+과 Se2- 이온이 결합되어 Mo1-xNbxSe2 로 합성된다. 이때 Mo, Nb의 몰비에 따라 x 값이 결정된다.
실시예 2.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Mo 1-x Nb x Se 2 ) 합금 나노시트의 구조 및 결정상 분석
2-1. 형태 및 결정상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료의 형태, 결정상을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700), 투과전자 현미경(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FEI TECNAI G2 200 kV) 등을 활용하여 해당 시료를 분석하였다.
TEM 분석: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로 Mo1-xNbxSe2 (x = 0, 0.2, 0.4, 0.6, 0.8, 1) 나노시트의 형태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성분에서 꽃잎 모양의 나노시트가 뭉쳐져 있는 형태를 갖고 있음 확인하였다. 이어서, TEM으로 측정한 에너지 분산 X-선 형광 스펙트럼(energy-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um, EDX)을 통해 각각의 나노시트가 Nb 성분 (x)이 0부터 1까지 조절되었음을 확인하였고, Nb Kα 쉘, Mo Kα 쉘, Se L 쉘 피크에 대한 확인과 더불어, Se 피크 세기를 1로 하였을 때 x가 증가하면 Nb 피크세기가 증가하고 Mo 피크세기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도 3). 추가적으로, TEM 장비에서 측정한 Mo1-xNbxSe2 (x = 0, 0.2, 0.4, 0.6, 0.8, 1) 나노시트의 EDX 맵핑 및 스펙트럼을 분석해보았을 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시트 상 Mo, Nb, Se 성분 균일하게 분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2-2.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Mo1-xNbxSe2) 합금 나노시트의 HAADF-STEM (high-angle annular dark-field imaging-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 분석 및 EDX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원소 맵핑 및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반응 전구체인 MoCl5, NbCl5 몰비에 따라 시료의 Mo, Nb 몰비가 차이가 10% 정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도 5(a)), Se 몰비가 (Mo, Nb)에 대해 1:2 로 유지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x값이 0.5값에 가까울 수록 5% 정도 Se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도 5(b)). 또한, x = 0.5일 때 조성을 갖는 나노시트의 STEM 이미지를 통해(도 6),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나노시트에서 Mo, Nb 원자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Se 자리가 비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D 패턴: MoSe2 는 2H 상으로 a = 3.29 Å, c = 13.0 Å의 격자상수를 갖으며 JCPDS No. 29-0914 (P63/mmc,a = 3.287 Å, c = 12.925 Å) 값과 일치하였고, NbSe2 또한 2H 상으로 a = 3.46 Å, c = 13.0 Å의 격자상수를 갖으며 JCPDS No. 87-2415 (P63/mmc, a = 3.450 Å, c = 12.550 Å) 값과 일치하였다. x 값이 증가하면 MoSe2 피크 위치에서 NbSe2 피크 위치로 이동됨을 알 수 있었다 (도 7).
XPS 데이터: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시트의 Mo 3d 피크 및 Nb 3d 피크를 보여주는데, Mo 3d5/2, 3d3/2 피크 사이에 Se 3s 피크가 x 값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커지는데 이는 Mo 성분이 감소되기 때문이며 피크 위치가 낮은 에너지로 이동되는데 이는 전자밀도가 증가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Nb가 짝지지 않은 4d 전자로 인해 금속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Nb 3d5/2, 3d3/2 피크는 각각 2개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Nb가 +4 및 +5 가 양이온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라만 스펙트럼: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oSe2 는 2H 상의 고유 피크인 236, 284 cm-1 를 보여주었으며, NbSe2 는 224, 246 cm-1를 피크를 보여주었다. 이는 각각 out-of-plane A1g 진동 모드, in-plane E2g in-plane 진동모드에 해당되며, x 값이 증가하면 MoSe2 피크가 줄어들고 NbSe2 피크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성분조절이 잘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Mo 1-x Nb x Se 2 ) 합금 나노시트의 전기화학적 특성 확인
실험은 삼전극 셀(작업전극, 기준전극, 상대전극)과 전기화학 분석기 (electrochemical analyzer, CompactStat, Ivium Technologies)를 사용하였다.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은 KCl 포화 칼로멜 전극(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KCl saturated, Pine Instrument)을 사용하였으며,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은 흑연막대(graphite rod, 직경 6 mm, 길이 102 mm, 순도= 99.9995%, Pine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작업전극 (working)으로는 시료 4 mg을 1 mg 카본블랙(carbon black, Vulcan XC-72), 20 mL Nafion 고분자와 같이 0.98 mL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과 섞었다. 만든 잉크용액을 글라스 카본 회전 디스크 전극 (glassy carbon rotating disk electrode (RDE), 면적 = 0.1641 cm2, Pine Instrument)에 피펫으로 방울로 떨어트렸다. 이때 적재된 시료양은 0.39 mg cm-2 로 하였다. 표준 물질로 Pt/C (20 wt.% Pt in Vulcan carbon black, Sigma-Aldrich)을 같은 양으로 하여 같은 조건으로 테스트하였다. Reversible hydrogen electrode (RHE = standard hydrogen electrode, 수소이온 1 M 용액, 수소가스 1 기압 하의 전압 또는 포텐셜) 기준 (0 V) 으로 0 V ~ -0.6 V 범위로 2 mV s-1 로 선형적으로 스캔하였고, 전해질은 0.5 M 황산 수용액이며 1 기압의 수소가스를 포화시켜 사용하였다. 기준전극 포텐셜은 ESCE = 0.278 V 이므로 E (vs. RHE or SHE) = 포텐셜 + 0.278 V 로 계산하였다.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데이터: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도 10(a)는 Nyquist 플롯을 하였으며 -0.15 V를 교류로 100 kHz에서 0.1 Hz를 감소시키면서 실수 저항과 허수 저항을 나타내었다. 그래프 안에 삽입된 전기회로로 커브를 피팅하면 전하전달저항(charge transfer resistance, Rct)를 얻을 수 있는데, 반구 형태의 커브가 x 축과 만나는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작을수록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낸다. 도 10(b)에서는 Rct를 x에 대해 도시하여 x = 0.5일 때 가장 값이 작음을 확인하였다. 이 성분에서 촉매 활성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순환전압전류 Cyclic voltammetry (CV) 커브 데이터: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0.1 - 0.2 V 영역에서 스캔 속도를 20 mVs-1 부터 100 mVs-1 로 증가시킴에 따른 CV 커브를 측정하였다. 0.15 V에서의 전류밀도를 스캔속도에 따라 플롯하여 기울기로부터 이중층 전기용량 (double-layer capacitance, Cdl) 를 얻었으며, Cdl 를 x에 대해 도시하여 x = 0.5일 때 가장 값이 큼을 확인하였다. Rct와 마찬가지로, x = 0.5에서 촉매 활성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수소발생반응(HER): 실시예 1에서 제조한 Mo1-xNbxSe2 나노시트를 삼전극 전기화학 셀에서 작업전극을 사용하여 선형 주사 전위법 (linear sweep voltammetry, LSV)으로 측정함으로써 수소발생반응(HER)을 확인하였다(도 12(a)). 수소가 퍼징(purging)에서 회전 원판 전극 (rotating disk electrode, RDE)을 사용하여 1600 rpm 속도로 측정하여 얻은 곡선으로, 전류밀도가 10 mA cm-2일 때 과전압 (overpotential)은 x = 0.5 에서 140 mV로 가장 적은 과전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기준물질로 사용한 20% Pt 함유된 카본블랙 (Pt/C)에도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SV 그래프를 타펠 식으로 타펠(Tafel) 플롯으로 변환하여 타펠 기울기를 얻으면 x = 0.5의 타펠 기울기가 46 mV dec-1 로 가장 낮았고 이는 현재 수전해 HER 촉매로 가장 좋은 Pt/C의 값 30 mV dec-1 에 가장 근접한 수치로 HER 촉매 활성이 제일 좋음을 확인하였다(도 12(b)). 마찬가지로, x 변화에 따른 과전압과 타펠 기울기를 도시하여 x = 0.5일 때 HER 촉매 활성이 가장 큼을 보여주었다(도 12(c)). 한편,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촉매 활성이 가장 우수한 x = 0.5일 때 물분해 HER 전극으로 이용하였을 때, 처음에 전압이 140 mV서 전류밀도 10 mA cm-2을 얻을 수 있었고, 2000 번을 스캔하여도 지나도 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여 뛰어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즉, 10 mA cm-2을 148 mV에서 얻을 수 있었다. 또한, 24시간이 지나도 전류밀도 감소가 거의 없음을 보여주며 이로써 HER의 뛰어난 촉매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14에서 나노시트의 x값이 0.5일 때 24시간 촉매 활성 측정 후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002), (100), (110) 피크가 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격자 상수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변형된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화학식 1]
    Mo1-xNbxSe2
    (상기 화학식 1에서, 0 < x ≤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는 0.4 내지 0.6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는 0.5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는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에 있어서 전류밀도가 10 ㎃㎝-2일때, 과전압 값이 140 ㎷ 이하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는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에 있어서 전류밀도가 10 ㎃㎝-2 일때, 타펠(Tafel) 기울기가 46 mV/dec-1 이하인,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6. (A) 제 1 온도에서 MoCl5 및 NbCl5의 전이금속 염화물의 혼합물과 디벤질디셀레나이드(dibenzyldiselenide; (PhCH2)2Se2)를 제 1 용매에 용해시켜 혼합 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제 1 온도보다 높은 제 2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 2 용매에 주입하여 반응물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침전물을 상기 제 2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화학식 1]
    Mo1-xNbxSe2
    (상기 화학식 1에서, 0 < x ≤ 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도는 60℃ 내지 90℃이고, 상기 제 2 온도는 280℃ 내지 360℃인,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매 및 상기 제 2 용매는 올레일아민(oleylamine)인, 수소발생반응 촉매용 몰리브덴 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20149927A 2021-11-12 2022-11-10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0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402 2021-11-12
KR20210155402 2021-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400A true KR20230070400A (ko) 2023-05-23

Family

ID=8654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927A KR20230070400A (ko) 2021-11-12 2022-11-10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4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55B1 (ko) 2013-12-18 2015-03-0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55B1 (ko) 2013-12-18 2015-03-0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수소 발생 촉매, 수소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earth-abundant and non-noble electrocatalysts for water electrolysis
Shi et al. Ni 3 Se 2 film as a non-precious metal bifunctional electrocatalyst for efficient water splitting
Wang et al.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Cu (OH) 2 and CuO electrocatalysts for water oxidation by electrophoresis deposition
CN113235104B (zh) 一种基于zif-67的镧掺杂氧化钴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Zhang et al. Photo-deposition of ZnO/Co 3 O 4 core-shell nanorods with pn junction for efficient oxygen evolution reaction
CN111663152B (zh) 一种泡沫镍负载无定型磷掺杂钼酸镍双功能电催化电极的制备方法及应用
CN108358181A (zh) 一种磷化物的析氢反应电催化剂与制备方法及应用
CN111883367A (zh) 一种Cu掺杂氢氧化钴纳米片阵列结构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Xie et al. CoOx functionalized IrO2-Sb2O5-SnO2 anode with an enhanced activity and stability for electrocatalytic oxygen evolution
CN111715245A (zh) 基于高催化活性和结晶性RuTe2的电解水催化剂及其制备方法
GAO et al. Catalytic behavior of NiCo2O4 for H2O2 electroreduction in alkaline medium
CN113355682A (zh) 铁掺杂三氟合钴酸盐析氧电催化材料、其制备方法及应用
Tian et al. Ultrasmall iridium oxide nanoparticle incorporated nitrogen-doped carbon derived from the electropolymerized 1, 10-phenanthroline-based molecules for water oxidation reactions
CN114657601B (zh) 一种氧化镍-铱纳米簇异质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KR20230070400A (ko)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나이오븀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369848B (zh) 一种杂原子掺杂二硫化钼纳米复合材料的制备及其应用
CN113604839B (zh) 金属氧化物钝化镍/氧化镍原位电极的制备方法
KR20230070399A (ko)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몰리브덴-바나듐 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Yi et al. N-Doped carbon-coated Co 2 P-supported Au nanocomposite as the anode catalyst for borohydride electrooxidation
KR20230070401A (ko) 수전해 물분해 수소발생반응 촉매 활성을 갖는 나이오븀-바나듐 디셀레나이드 합금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45536A (zh) 一种高密度碳基双金属单原子电池阴极材料的制备方法
Jianjian et al. Sn quantum dots for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to HCOOH
Wang et al. Self-assembled NiTe2 nanocrystals as highly efficient and stable electrocatalyst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KR20240099886A (ko) 수소 발생 반응 촉매용 나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117512A1 (en) Water electrolysis catalyst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