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62B1 - 절삭분 압축 장치 - Google Patents

절삭분 압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62B1
KR101494662B1 KR20120133569A KR20120133569A KR101494662B1 KR 101494662 B1 KR101494662 B1 KR 101494662B1 KR 20120133569 A KR20120133569 A KR 20120133569A KR 20120133569 A KR20120133569 A KR 20120133569A KR 101494662 B1 KR101494662 B1 KR 10149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utting
fluid
uni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548A (ko
Inventor
강재원
Original Assignee
(주)강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성산업 filed Critical (주)강성산업
Priority to KR2012013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분 압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1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압축부, 그리고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제1 회전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텐션부를 포함하고, 압축할 절삭분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상기 텐션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Description

절삭분 압축 장치{Compression apparatus of cutting chip}
본 발명은 절삭분 압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등을 이용하는 절삭가공에서는 절삭공구, 연삭공구, 연삭숫돌 등으로 공작물을 소정의 치수ㆍ형상으로 다듬질해 나가는 과정에서 칩이 배출된다. 이와 같은 칩을 절삭분(Cutting Scrap)이라 한다.
절삭분의 모양은 공작물의 재질 및 절삭조건에 따라 유동형, 열단형, 전단형으로 나뉜다. 흘러나오 듯이 배출되는 유동형 칩은 두께가 일정하다. 유동형 칩이 나오는 경우에는 절삭저항은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며, 양호한 다듬질면을 얻을 수 있다.
유동형 칩(절삭분)은 끊어지지 않고 길게 말려 배출된다. 이 절삭분은 부피가 커서 절삭분 박스를 빠른 시간 내에 가득 채우게 되므로, 작업자는 수시로 기계를 멈춘 후 절삭분을 치워야 한다. 이와 같이 박스 내에 있는 절삭분을 자주 비우게 되다 보니(30분~40분 마다 배출해야 함) 하루 동안 기계 가동율이 50%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절삭분 박스를 치우는 일이 매우 힘들어 작업 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며, 절삭분 부피가 커서 여기에 부착된 절삭유가 바닥으로 떨어져 바닥이 미끄러워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429호 (2011.10.06.) 등록특허공보 제10??0937239호 (2010.01.08.)
본 발명은 절삭분의 부피를 줄여 기계 가동율을 높일 수 있는 절삭분 압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1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압축부, 그리고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제1 회전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텐션부를 포함하고, 압축할 절삭분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상기 텐션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제2 회전체에 연결된 텐션로드 및 상기 텐션로드를 상기 제2 회전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분 압축 장치는, 절삭 기계와 압축부를 연결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분 압축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절삭분을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로 유도하는 유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 플레이트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분 압축 장치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상기 절삭분을 수거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수 몸체 및 상기 회수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수 몸체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필터공이 형성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분 압축 장치는, 상기 압축부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위치한 배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분 압축 장치는 상기 유도 플레이트와 상기 압축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수부와 연결된 유체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받침대는 상기 회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절삭분 압축 장치는, 상기 절삭분을 상기 유도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절삭분 중에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도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에 의해 1차적으로 부피가 줄어든 절삭분을 압축부의 제1회전체와 제2 회전체 사이로 공급하므로 많은 양의 절삭분을 한 번에 압축할 수 있고, 나아가 가압부에서 유체를 1차 제거한 후 압축부에서 2차 압축을 실시함으로써 압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부의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사이에 과도하게 부피가 큰 절삭분이 공급되면, 제2 회전체를 제1 회전체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에 과도한 힘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에 힘이 걸릴 때 작업자가 임의로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투입되는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압축부 및 텐션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압축부 및 텐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본체부(10), 압축부(20), 그리고 텐션부(3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골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본체부(10)는 절삭분 압축 장치(1)의 기본 뼈대 역할을 한다.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은 플레이트로 가려져 있다. 본체부(10)의 저면에는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기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부(20)는 절삭분을 압축하여 절삭분의 부피를 최소화 하는 것으로, 서포터(21), 제1 회전체(22), 제2 회전체(23), 가이드부(24), 그리고 구동부(25)를 포함한다.
서포터(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서포터(21)는 본체부(1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회전체(22)는 서포터(21)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제1 회전체(22)의 양단부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서포터(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체(22)는 드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22)의 외부 둘레면에는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다. 치차들은 제1 회전체(2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차들은 나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치차들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체(22)는 강도와 연성이 높은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동부(25)는 제1 회전체(22)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25)는 전원이 연결되면 회전하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25)는 제1 회전체(22)와 체인으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제2 회전체(23)는 제1 회전체(22) 위에 위치한다. 제2 회전체(23) 또한 드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회전체(23)의 외부 둘레면에는 제1 회전체(22)의 치차들과 맞물리는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회전체(22)의 치차와 제2 회전체(23)의 치차는 서로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치차들은 제2 회전체(2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차들은 나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치차들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23)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체(23) 또한 강도와 연성이 높은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회전체(23)에는 동력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제2 회전체(23)는 제1 회전체(22)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1 회전체(22)와 연동되는 제2 회전체(23)는 제1 회전체(2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에 부하가 발생하면 구동부(25)의 동력이 제1 회전체(22)에 전달되어도 제1 회전체(22)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25)와 제1 회전체(22)가 체인으로 동력 연결되어 있어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에 부하가 발생하여도 제1 회전체(22)는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의 후방에는 각각 브러쉬(221, 231)가 설치되어 있다. 각 브러쉬(221, 231)는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브러쉬(221, 231)는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거나, 별도의 동력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러쉬(221, 231)는 제1 회전체(22) 및 제2 회전체(23)가 절삭분을 압축하는 과정 중에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의 표면에 묻은 절삭분을 털어준다.
제2 회전체(23)는 제1 회전체(22)와 간격 조절 가능하게 서포터(21)에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부(24)는 제2 회전체(23)와 서포터(21) 사이에 위치한다. 가이드부(24)는 블록과 레일을 포함한다. 제2 회전체(23)의 양단부는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레일은 블록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서포터(21)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부(24)의 가이드에 의하여 제2 회전체(23)는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23)는 제1 회전체(22)로부터 멀어지거나 제1 회전체(22)에 가까워질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24)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24)가 생략된 경우 서포터(21)에는 제2 회전체(23)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체(23)는 가이드홈의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텐션부(30)는 제2 회전체(23)를 제1 회전체(22)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텐션로드(31), 탄성부재(32), 그리고 탄성 조절부(33)를 포함한다.
텐션로드(31)는 서포터(21)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텐션로드(31)의 일측은 가이드부(24)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텐션로드(31)는 제2 회전체(23)의 양단부에 접할 수 있다.
탄성부재(3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2)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텐션로드(31)의 타측은 위치한다. 탄성부재(32)는 텐션로드(31)를 제1 회전체(22)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32)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텐션로드(31)는 제2 회전체(23)를 제1 회전체(22)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의 블록이 제1 회전체(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회전체(23)와 제1 회전체(22)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로 절삭분이 통과하면 절삭분의 부피에 의하여 제2 회전체(23)는 제1 회전체(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2)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 조절부(33)는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탄성부재(32)를 사이에 두고 텐션로드(31)와 마주한다. 탄성 조절부(33)가 텐션로드(31)와 가까워 질수록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은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조절부(33)는 절삭분의 재질에 따라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에 과도하게 부피가 큰 절삭분이 공급되면, 제2 회전체(23)를 제1 회전체(22)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에 과도한 힘이 걸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텐션부(30)에 따르면, 작업자가 임의로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투입되는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제1 회전체(10)와 제2 회전체(23)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절삭분을 압축부(20)로 공급하는 컨베이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40)의 일측은 선반,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따위의 절삭 기계에 위치하고 타측은 압축부(20)에 위치한다. 컨베이어(40)는 절삭 기계에서 발생한 절삭분을 압축부(20)로 공급한다. 컨베이어(40)가 절삭 기계에서 발생한 절삭분을 압축부(20)로 공급하므로 가공자가 절삭분을 직접 치우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가공자는 절삭 가공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컨베이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컨베이어(40)와 압축부(20) 사이에 위치한 유도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플레이트(50)는 컨베이어(40)를 통해 공급된 절삭분이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사이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유도 플레이트(50)는 본체부(10)의 상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유도 플레이트(50)는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의 사이 전방에 위치한다. 유도 플레이트(50)의 일측은 컨베이어(40)의 하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1 회전체(22)에 접해 있다. 유도 플레이트(50)는 컨베이어(40)에서 공급된 절삭분이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절삭분 중에 포함된 절삭유 따위의 유체가 배출 될 수 있도록 유도 플레이트(50)에는 복수의 배수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 플레이트(50)에 의해 압축부(20)로 유도된 절삭분은 회전하는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2 회전체(23)는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제1 회전체(22)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텐션부(30)가 제2 회전체(23)를 탄성 지지하고 있으므로 제2 회전체(23)는 통과하는 절삭분에 접하게 되며 절삭분을 압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를 통과한 절삭분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플레이트(50)는 절첩 가능하게 서포터(21)에 힌지(52)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유도 플레이트(50)의 일측은 지지대로 본체부(1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의 길이에 따라 유도 플레이트(5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도 플레이트(50)는 힌지(52)를 기준으로 절첩되면서 회전한다. 유도 플레이트(50)의 경사는 절삭분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압축된 절삭분 회수하는 회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부(60)는 압축부(20)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회수 몸체(61) 및 필터(62)를 포함한다.
회수 몸체(61)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회수 몸체(61)는 절삭분이 압축부(20)에서 배출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축부(20)에서 압축된 절삭분은 회수 몸체(61)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회수 몸체(61)의 바닥에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6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수 몸체(61)의 이동을 도모하기 위하여 회수 몸체(61)의 저면에는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62)는 회수 몸체(6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62)에는 복수의 필터공(621)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62)는 회수 몸체(6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회수 몸체(61) 내부로 회수된 절삭분은 필터(62) 위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절삭분 중에 포함된 유체는 필터공(621)을 통하여 회수 몸체(61) 바닥면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절삭분과 유체가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유체는 밸브(611)를 통하여 회수 몸체(6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압축부(20)와 회수부(60)를 연결하는 배출 가이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70)는 압축부(20)에서 압축된 절삭분을 회수부(60) 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배출 가이드(70)는 압축부(20)에서 배출된 절삭분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압축부(20)에서 회수부(60)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배출 가이드(70)에 의해 압축부(20)에서 배출된 절삭분은 회수부(60)로 자연스럽게 회수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유도 플레이트(50) 및 압축부(20)에 위치한 절삭분 중에 포함된 유체를 받는 유체 받침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받침대(80)는 본체부(10) 상면과 압축부(20), 유도 플레이트(50) 사이에 위치한다. 유체 받침대(80)는 배수공(51)를 통해 배수되는 유체와 절삭분이 압축부(20)에서 압축될 때 떨어지는 유체를 받는다. 유체 받침대(80)는 회수부(60)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받침대(80)로 떨어진 유체는 회수부(60)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1)는 절삭분의 유무 및 부피를 감지하는 센서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유도 플레이트(50) 또는 압축부(20)에 설치되어 있다. 센서부는 유도 플레이트(50)에 절삭분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절삭분이 감지되면 구동부(25)가 구동하여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가 작동한다. 이때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의 회전속도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는 컨베이어(40)의 일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컨베이어(40)의 타측에 절삭분이 감지되면 컨베이어(40)는 작동할 수 있다. 작동한 컨베이어(40)는 절삭 기계에서 발생한 절삭분을 유도 플레이트(50)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2)는 본체부(10), 압축부(20), 텐션부(30), 컨베이어(40), 유도 플레이트(50), 회수부(60), 배출 가이드(70), 유체 받침대(80), 센서부, 그리고 가압부(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분 압축 장치(2)는 본체부(10), 압축부(20), 텐션부(30), 컨베이어(40), 유도 플레이트(50), 회수부(60), 배출 가이드(70), 센서부, 그리고 유체 받침대(80)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압축부, 텐션부, 컨베이어, 유도 플레이트, 회수부, 배출 가이드, 그리고 유체 받침대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부(90)는 유도 플레이트(50)를 따라 이동하는 절삭분을 가압한다. 가압부(90)는 가압 플레이트(91) 및 액추에이터(92)를 포함한다.
가압 플레이트(91)는 유도 플레이트(50)와 마주한다. 컨베이어(40)와 이웃한 가압 플레이트(91)의 일측은 상부측으로 부드럽게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40)에서 유도 플레이트(50)와 가압 플레이트(91) 사이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92)는 압축공기 또는 윤활유의 압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9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서포터(21)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92)의 하우징은 서포터(21)에 결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92)의 작동 로드는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가압 플레이트(91)에 결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92)의 작동 로드 동작 방향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91)가 유도 플레이트(50)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유도 플레이트(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91)가 유도 플레이트(50) 방향으로 이동하면 유도 플레이트(50)에서 이동하는 절삭분이 눌릴 수 있다. 이때 절삭분은 1차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절삭분 중에 포함된 유체는 배수공(51)을 통해 유체 받침대(80)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90)에 의해 1차 압착된 절삭분은 압축부(20)의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절삭분은 2차 압축되어 그 부피가 더욱 줄어들게 된다.
압축부(20)에서 배출된 절삭분은 배출 가이드(70)를 통하여 회수부(60)로 회수될 수 있다.
컨베이어(40)를 통해 공급된 절삭분이 가압부(90)에 의해 우선적으로 1차 압축된다. 그리고 유체가 배수공(51)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가압부(90)에서 부피가 줄어든 절삭분이 압축부(20)로 공급되어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를 통과하면서 2차 압축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90)에 의해 1차적으로 부피가 줄어든 절삭분을 압축부(20)의 제1 회전체(22)와 제2 회전체(23) 사이로 공급하므로 많은 양의 절삭분을 한 번에 압축할 수 있고, 나아가 가압부(90)에서 유체를 1차 제거한 후 압축부(20)에서 2차 압축을 실시함으로써 압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절삭분 압축 장치 10: 본체부
20: 압축부 21: 서포터
22: 제1 회전체 23: 제2 회전체
24: 가이드부 25: 구동부
30: 텐션부 31: 텐션로드
32: 탄성부재 33: 탄성 조절부
40: 컨베이어 50: 유도 플레이트
51: 배수공 60: 회수부
61: 회수 몸체 611: 밸브
62: 필터 621: 필터공
70: 배출 가이드 80: 유체 받침대
90: 가압부 91: 가압 플레이트
92: 액추에이터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로 공급되는 절삭분을 압축할 수 있는 압축부,
    압축할 상기 절삭분을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로 공급하고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 플레이트,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제1 회전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텐션부,
    상기 압축부를 통과한 상기 절삭분을 수거하는 회수부, 그리고
    상기 압축부 및 상기 유도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삭분에서 빠져 나온 유체를 상기 회수부로 보내는 유체 받침대
    를 포함하는 절삭분 압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절삭분 압축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제2 회전체에 연결된 텐션로드 및
    상기 텐션로드를 상기 제2 회전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분은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절삭분의 부피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절삭분 압축 장치.
  4. 제1항에서,
    절삭 기계와 상기 유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절삭분 압축 장치.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유체 받침대는 상기 회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절삭분 압축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회수부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수 몸체 및
    상기 회수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수 몸체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필터공이 형성된 필터
    를 포함하는
    절삭분 압축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절삭분을 상기 유도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절삭분 중에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고, 상기 절삭분의 부피를 줄이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절삭분 압축 장치.
  9.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로 공급되는 절삭분을 압축할 수 있는 압축부,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제1 회전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텐션부,
    압축할 상기 절삭분을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 사이로 유도하는 유도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유도 플레이트에 있는 상기 절삭분을 일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절삭분 중에 포함된 유체를 제거하고 상기 절삭분의 부피를 줄여서 상기 압축부로 상기 절삭분을 공급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도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절삭분 압축 장치.
KR20120133569A 2012-11-23 2012-11-23 절삭분 압축 장치 KR10149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3569A KR101494662B1 (ko) 2012-11-23 2012-11-23 절삭분 압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3569A KR101494662B1 (ko) 2012-11-23 2012-11-23 절삭분 압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548A KR20140071548A (ko) 2014-06-12
KR101494662B1 true KR101494662B1 (ko) 2015-02-17

Family

ID=5112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3569A KR101494662B1 (ko) 2012-11-23 2012-11-23 절삭분 압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75B1 (ko) * 2015-05-14 2016-07-05 김산 절삭칩과 절삭유 자동 연속 분리장치
CN106696332B (zh) * 2017-02-22 2018-06-01 福建省裕景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改进型双级废旧物料的压实装置
CN106696331B (zh) * 2017-02-22 2018-10-19 泉州市梅鑫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双级废旧物料的压实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548A (ja) * 2002-12-25 2004-07-22 Sanki Sekkei Kk 金属屑塊成形装置
KR20110062747A (ko) * 2009-12-04 2011-06-10 박용익 캔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548A (ja) * 2002-12-25 2004-07-22 Sanki Sekkei Kk 金属屑塊成形装置
KR20110062747A (ko) * 2009-12-04 2011-06-10 박용익 캔 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548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662B1 (ko) 절삭분 압축 장치
ES2333750T3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material de alimentacion con un sistema de rotor-estator.
CN109454463A (zh) 用于齿轮内凹面的精车工艺
CN113695079A (zh) 一种带有切削液回收装置的数控机床
CN113523606A (zh) 一种便于清除切屑的数控切割机
KR101502595B1 (ko) 절삭슬러지 내 절삭유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CN112916906A (zh) 一种阀座钻孔机
CN215232427U (zh) 一种固液离心分离器
CN110480096A (zh) 一种基于非标金属用切削机床及其加工工艺
KR20130059728A (ko) 절삭 칩에 묻어 있는 절삭유 회수 및 절삭 칩 가공 장치
CN213433207U (zh) 一种车床碎屑分离收集装置
KR20130006431U (ko) Cnc선반용 절삭칩 회수설비
KR200475535Y1 (ko) 절삭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장치
KR20100075796A (ko) 절삭칩 회수장치
CN208614282U (zh) 一种链条加工孔用的精镗机床设备
KR101470787B1 (ko)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CN110315110A (zh) 一种具有废料接料的风机用角钢自动打孔机构
CN115284066A (zh) 一种机床自动排屑装置
CN209035792U (zh) 一种便于清理废料的切割机
CN210676576U (zh) 一种防止飞屑飞溅的自动化产线用冲孔装置
CN211162845U (zh) 一种具有除尘排屑功能的机械加工数控机床
CN210676965U (zh) 一种自制专用数控车床
CN209465776U (zh) 具有限位装置的花键轴铣床
CN213164372U (zh) 金属屑收集装置及金属加工机床
CN218658334U (zh) 金属切割用固定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