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787B1 -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787B1
KR101470787B1 KR20140003244A KR20140003244A KR101470787B1 KR 101470787 B1 KR101470787 B1 KR 101470787B1 KR 20140003244 A KR20140003244 A KR 20140003244A KR 20140003244 A KR20140003244 A KR 20140003244A KR 101470787 B1 KR101470787 B1 KR 10147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tting
outflow
chip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김남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윤 filed Critical 김남윤
Priority to KR2014000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3Devices for removing chips using the gravit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가공용 공작기계에서 발생하는 절삭칩과 절삭유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 절삭물의 절삭가공시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은 이송관(200)에 안착된 이송스크류(201)를 이용하여 이송, 압착시키면서 배출관(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고, 절삭칩과 함께 배출관(300)측으로 이송되는 절삭유는 이송관(200)의 일측 상반부에 결합된 유출관(400)을 경유하면서 유출관(400)의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출공(401)(402)을 통해 흘러 나가서 유출관(400)의 양측 하방에 마련된 수거함(500)의 망체(501)로 낙하되어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본체(100)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유 배출통로인 유출공(401)(402)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절삭유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본체(100) 하부로 배출되어 절삭유 수거통으로 낙하되는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크기의 칩과 이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chip discharge device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절삭가공용 공작기계에서 발생하는 절삭칩과 절삭유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절삭물의 절삭가공시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은 이송관에 안착된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이송, 압착시키면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고,
절삭칩과 함께 배출관측으로 이송되는 절삭유는 이송관의 일측 상반부에 결합된 유출관을 경유하면서 유출관의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흘러 나가서 유출관의 양측 하방에 마련된 수거함의 망체로 낙하되어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본체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유 배출통로인 유출공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절삭유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본체 하부로 배출되어 절삭유 수거통으로 낙하되는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크기의 칩과 이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을 비롯해서 밀링머신, 보오링머신, 드릴링머신, 플레이닝머신, 슬로팅머신, 그라인딩머신, 기계톱 등의 절삭가공용 공작기계(machine tool)는 바이트, 커터, 드릴, 리머, 랩, 호브 등과 같은 절삭공구(cutting tools)를 사용하여 금속의 절단, 절삭, 구멍 파기, 드릴링, 나사 절삭, 연삭 등을 하는 기계이다.
이와 같은 각종 절삭가공용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금속 절삭물을 가공할 시에는 금속 절삭물과 절삭공구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고, 금속 절삭물의 정밀한 가공과 절삭공구의 수명 향상 등을 위해 절삭유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절삭가공용 공작기계의 작동과정에서 공급되는 절삭유는 금속 절삭물의 절삭가공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절삭칩(chip)과 함께 공작기계 하측에 별도로 마련된 수거통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수거통으로 낙하된 절삭유는 절삭칩과 이물질 등이 필터링 된 상태로 순환장치를 경유하여 금속 절삭물과 절삭공구측으로 재공급되고, 수거통으로 낙하되어 수거된 절삭칩은 수작업으로 배출시키거나 컨베이어 등의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수거된 절삭칩의 배출과정에 있어서, 절삭칩을 수작업으로 배출할 시에는 작업자가 절삭칩의 수거량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절삭칩의 수거량을 적정시점에 확인하지 못하여 절삭칩이 수거통에 과도하게 적재될 시 절삭칩이 공작기계의 절삭공구 등에 걸리게 되어 공작기계의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화된 컨베이어 등의 배출수단을 사용하여 절삭칩을 배출할 시에는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를 공작기계의 내부로부터 설치하여 절삭칩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 공작기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작기계 자체의 설치면적과 함께 컨베이어의 설치면적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거된 절삭칩에 압력이 가해짐이 없이 배출되기 때문에 절삭칩이 수거통에 낙하, 적재되면서 부풀려진 상태 그대로 배출된다.
즉, 수거통에 낙하, 적재되어 부피가 비대해진 절삭칩을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프레스 등을 이용한 압착과정을 통해 소형의 부피로 형성한 후 배출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절삭칩의 처리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636호(2003.09.15)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종래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는; 대향으로 마주보는 경사면(11)을 갖는 입방체의 케이스(10)와;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되어 체인휠(23)을 보호하는 체인박스(13)와; 케이스(10) 타측 외부에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배출관(12)과; 케이스(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칩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15)가 형성되고, 반원 형상의 하단면에 다수의 배출공(16)이 형성된 이송관(14);을 포함하고,
고정돌기(27)가 형성되고 이송관(14)의 내부에 설치되는 와권형의 스크류(26)와; 선단에 체인휠(23)이 결합되고 이송관(14)의 타측 케이스(10)의 경사면(11) 저면에 설치되는 축봉(22);을 포함하여, 모터(20)의 동력이 커플러(21)를 통해 축봉(22)과 스크류(26)의 선단에 결합된 체인휠(23)에 의해 전달되어 스크류(26)를 구동시킴으로써, 칩이 스크류(26)에 의해 이송되면서 배출관(12)을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는, 배출관(12)의 선단으로 토출되는 절삭칩이 스크류(26)에 의해 어느 정도의 압착을 받아 부피가 소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취급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특히 칩과 동시에 떨어지는 절삭유는 칩과 함께 케이스(10)의 이송관(14)에 모여진 상태에서 배출공(16)을 통해 저유조로 수거되고 적정의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금속 절삭물의 절삭가공시 발생되는 절삭칩을 배출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72857호(2006.04.14)의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가 제시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종래의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는, 공작기계의 절삭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칩과 쿨런트를 배출하기 위하여 코일(12)상의 이송수단을 내장하고 코일(12)을 회전시켜 칩을 배출하는 칩반송 컨베이어에 있어서, 코일하우징(10)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는 배출파이프(22)는 코일하우징(1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코일하우징(10)의 축 중심과 45°전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좌ㆍ우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고, 코일하우징(10)의 투입구(11) 양측면에 구비된 경사진 칩안내판(20)과 코일하우징(10)의 아래쪽에는 쿨런트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홀(21)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코일(12)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는, 공작기계에서 배출되는 각종 형태의 칩을 배출하는데 있어서, 칩의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배출되는 칩에 의하여 장치가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며 장치의 외형도 크기가 적어 칩컨베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적인 제약이 적을 뿐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이하 '문헌1'이라 한다.)와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이하 '문헌2'라 한다.)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문헌1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는,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유와 절삭칩이 수거되도록 하는 개방부(15)가 형성되고, 반원형상의 하단면에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된 절삭유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출공(16)이 형성된 이송관(14)을 구비하여, 절삭칩은 이송관(4)을 내부를 경유하여 배출관(12)으로 토출되도록 하고, 절삭유는 배출공(16)을 통과하여 저유조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스크류(26)에 의해 배출관(12)측으로 이송되는 절삭칩 중 크기가 작은 알갱이 형태의 미세한 칩이 이송관(4)의 반원형상의 하단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배출공(16)에 끼워져 절삭유가 원활하게 저유조로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절삭유가 경사면(11)을 타고올라 케이스(10) 밖으로 흘러넘치거나 절삭칩과 함께 배출관(12)으로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문헌2의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는, 절삭칩과 절삭유(쿨런트)가 낙하될 수 있게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코일하우징(10)의 투입구(11) 양측면에 구비된 경사진 칩안내판(20)과 코일하우징(10)의 아래쪽에는 다수개의 드레인 홀(21)이 천공되어 절삭유가 저장통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투입구(11)로 낙하된 절삭칩 중 크기가 작은 알갱이 형태의 미세한 칩이 코일하우징(10)의 아래쪽에 다수개로 천공된 드레인 홀(21)에 끼워져 절삭유가 원활하게 저장통로 배출되지 못하고, 경사진 칩안내판(20)을 타고올라 코일하우징(10) 밖으로 흘러넘치거나 절삭칩과 함께 배출파이프(22)를 통해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와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는 일정 작업시간이 경과되면 크기가 작은 절삭칩에 의해 배출공(16) 또는 드레인 홀(21)과 같은 절삭유 배출통로가 막힘으로써, 절삭유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외부로 흘러넘치게 되어 장비의 오동작을 유발하거나 작업장 내부의 청결상태를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일정 작업시간이 경과되면 절삭칩 배출장치의 작동을 중지하고, 스크류 등 절삭칩 배출장치를 분해한 후, 절삭유 배출통로에 끼어 있는 절삭칩의 제거작업을 주기적으로 반복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절삭칩 배출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에 있어서, 배출공(16)과 드레인 홀(21)과 같은 절삭유의 배출통로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이송관(14)의 하단면에 형성되거나 코일하우징(10)의 아래쪽에 형성됨으로써, 절삭유와 함께 낙하되어 하부로 가라앉는 미세한 칩들에 의한 배출통로의 막힘현상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636호(2003.09.15)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 (문헌 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72857호(2006.04.14)의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금속 절삭물의 절삭가공시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은 이송관에 안착된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 압착되면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절삭칩과 함께 배출관측으로 이송되는 절삭유는 이송관의 일측 상반부에 결합된 유출관을 경유하면서 유출관의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흘러 나가서 유출관의 양측 하방에 마련된 수거함의 망체로 낙하되어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출관은 좌우측면이 수직형성되고 상면이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도록하며, 절삭칩과 절삭유가 진입하는 쪽의 유출관 단부에는 호퍼부를 형성하여, 유출관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으로 절삭칩과 절삭유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출관 양측 하방에는 전면에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면과 후면 및 좌우측면이 망체로 이루어지는 수거함을 각각 배치하여, 유출관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공을 통해 절삭유가 흘러 나가서 수거함의 망체를 통과한 후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하고, 절삭유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은 수거함의 망체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을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이송, 압착시키면서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칩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배출관이 전면판 중심부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반부가 개방되고 하반부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안착되는 이송관과; 본체의 측면판 각 상단에서 이송관의 양측 상단으로 각각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를 이송관 내부로 유도하는 한쌍의 낙하면판;을 포함하되, 한쌍의 낙하면판은 본체의 중반부에서 후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본체의 전반부에 절삭유 유출공간부를 마련하고; 유출공간부에 위치하는 이송관 상측에는, 개방된 하면이 이송관의 개방된 상반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설치되고 이송관의 개방된 상반부를 감싸는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관을 결합하여; 절삭칩과 함께 이송되는 절삭유가 유출관을 경유하면서 복수개의 유출공을 통해 흘러 나가서 상기 유출공간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절삭칩 배출장치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좌우측면은, 이송관의 개방된 상반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직설치되어 복수개의 측면 유출공이 형성되고; 유출관의 상면은,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면 유출공이 형성되며; 절삭칩과 절삭유가 진입하는 쪽의 유출관 단부에는, 유출관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단이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하고 하단이 한쌍의 낙하면판의 상면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밀착고정되는 호퍼부가 형성되어; 유출관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으로 절삭칩과 절삭유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부의 유출관 양측 하방에는; 전면에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면과 후면 및 좌우측면이 망체로 이루어지고, 본체의 전면판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을 통해 유출공간부 내부로 각각 인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수거함을 각각 배치하여; 유출관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공을 통해 절삭유가 흘러 나가서 수거함의 망체를 통과하여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하고, 절삭유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은 수거함의 망체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금속 절삭물의 절삭가공시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절삭유는 이송관의 일측 상반부에 결합된 유출관을 경유하면서 유출관의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흘러 나가서 유출관의 양측 하방에 마련된 수거함의 망체로 낙하되어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유 배출통로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절삭유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본체 하부로 배출되어 절삭유 수거통으로 낙하되는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크기의 칩과 이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유출관의 좌우측면을 수직형성하고 상면을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며, 절삭칩과 절삭유가 진입하는 쪽의 유출관 단부에 호퍼부를 형성하여 유출관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으로 절삭칩과 절삭유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칩과 절삭유의 이송 및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수거함을 본체의 전면판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유출공간부로 삽입하여 유출관 양측 하방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절삭유 배출통로인 유출공이 이송관의 상반부에 위치함으로써, 미세한 절삭칩에 의한 유출공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요시 복수개의 유출공의 막힘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일부 유출공을 막고 있는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을 와이어 브러시(wire brush) 또는 에어 브러시(air brush) 등을 이용하여 곧바로 제거할 수 있어 절삭칩 배출장치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코일을 이용하는 칩반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본체와 이송관 및 유출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인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의 본체와 이송관 및 유출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을 이송스크류(201)를 이용하여 이송, 압착시키면서 배출관(300)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칩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면판(101)과 후면판(102) 및 좌우 측면판(103)으로 이루어지고 상,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00)를 구비한다.
또한, 상반부가 개방되고 하반부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단이 상기 본체 (100)의 전면판(101)과 후면판(102)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관(200)을 마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측면판(103) 각 상단에서 상기 이송관(200)의 양측 상단으로 각각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를 상기 이송관(200) 내부로 유도하는 한쌍의 낙하면판(10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200)에 안착되고 모터(202)의 동력을 구동기어(203)와 종동기어(204)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관(200) 내부로 유도된 절삭칩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201)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01) 중심부에 상향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관(200)과 연이어 통하면서 이송스크류(201)에 의해 이송되는 절삭칩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출관(3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낙하면판(104)은 상기 본체(100)의 중반부에서 후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의 전반부에 절삭유 유출공간부(105)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공간부(105)에 위치하는 이송관(200) 상측에는, 개방된 하면이 상기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를 감싸는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의 유출공(401)(402)이 형성된 유출관(400)을 결합하여, 절삭칩과 함께 이송되는 절삭유가 상기 유출관(400)의 유출공(401)(402)을 통해 흘러 나가서 상기 유출공간부(105)로 배출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400)의 좌우측면은, 상기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직설치되어 복수개의 측면 유출공(4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관(400)의 상면은,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면 유출공(4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삭칩과 절삭유가 진입하는 쪽의 상기 유출관(400) 단부에는, 상기 유출관(400)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단이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하고 하단이 한쌍의 낙하면판(104)의 상면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밀착고정되는 호퍼부(403)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으로 절삭칩과 절삭유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부(105)의 중심부에 배치된 유출관(400)의 양측 하방에는, 전면에 손잡이(502)가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면과 후면 및 좌우측면이 망체(501)로 이루어지고, 본체(100)의 전면판(01)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106)을 통해 유출공간부(105) 내부로 각각 인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수거함(500)을 각각 배치하여,
상기 유출관(400)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공(401)(402)을 통해 절삭유가 흘러 나가서 수거함(500)의 망체(501)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하고, 절삭유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은 수거함(500)의 망체(501)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를 이하 작동과정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절삭유 배출통로인 복수개의 유출공(401)(402)을 이송관(200)의 상반부에 위치되도록하여, 미세한 절삭칩에 의한 유출공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하고, 유출관(400)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공(401)(402)의 막힘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이나 이물질이 일부 유출공(401)(402)을 막고 있을 때 와이어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먼저 전원선(부호생략)을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되어 모터(202)를 동작시키면 모터축(부호생략)의 회전력이 구동기어(203)와 종동기어(204)에 전달되고 일단이 상기 종동기어(204)에 결합된 이송스크류(201)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송스크류(20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공작기계의 작동과 동시에 자동회전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동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모터(202)에 의해 이송스크류(201)가 회전하게 되면,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는 본체(100)의 후반부 상면에 형성된 한쌍의 낙하면판(104)상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절삭칩과 절삭유는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를 향해 각각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한쌍의 낙하면판(104)에 의해 유도되어 하반부가 반원형상으로 된 이송관(200)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이송관(200) 내부로 투입된 절삭칩과 절삭유는 상기 이송관(200)의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01)에 의해 배출관(300)을 향해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때, 이송스크류(201)에 의해 배출관(300)측으로 이송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는 유출관(400) 일측단부에 마련된 호퍼부(403)에 의해 유출관(400)의 입구측으로 모여지면서 유출관(40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유출관(400) 내부로 진입한 절삭칩과 절삭유는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에 결합되고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의 유출공(401)(402)이 형성된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을 경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스크류(201)에 의해 절삭칩과 절삭유가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을 통과할 시 절삭칩은 유출관(400)과 이송관(200)에 의해 본체(100) 전반부에 형성된 유출공간부(105)로 낙하되지 않고 계속 이송되면서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을 통과한 후 배출관(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절삭유는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을 통과할 시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를 넘쳐올라 유출관(400)의 양측면 유출공(401)을 통해 유출공간부(105)로 흘러 나가서 유출관(400)의 양측 하방에 마련된 한쌍의 수거함(500)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수거함(500)으로 낙하된 절삭유는 망체(501)를 통과한 후 본체(100) 하면으로 낙하되어 도면에 도시되 않은 절삭유 수거통에 모여지게 된다.
여기서, 절삭유가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을 통과할 시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를 넘쳐오르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배출관(300)측으로 배출되는 절삭칩들에 의해 가로막혀 이동속도가 떨어져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에 체류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아울러 본체(100) 전면판(101) 중심부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배출관(300)의 토출구(부호생략)가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절삭유는 배출관(300)으로 토출되지 못하고 역류하여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에서 이송관(200)의 개방된 상반부를 넘쳐올라 유출관(4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유출공(401)으로 흘러 나가거나 상면에 형성된 유출공(402)으로 흘러 나가서 수거함(500)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절삭유가 수거함(500)으로 낙하되어 망체(5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절삭유와 함께 흘러나온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이나 이물질은 수거함(500)의 망체(501)에 의해 수거되고, 절삭유는 망체(501)를 통과하여 본체(100) 하면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절삭유 수거통으로 낙하되는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수거함(500)에 의해 수거된 미세한 절삭칩과 이물질을 배출할 시에는 수거함(500)의 전면에 결합된 손잡이(502)를 잡아당겨서 본체(100)의 전면판(101) 하단에 형성된 받침판(107) 상면으로 수거함(500)을 간단히 인출한 후 미세한 절삭칩과 이물질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절삭칩 수거통에 배출하면 된다.
그리고, 비워진 수거함(500)을 재장착할 시에는 망체(501)를 본체(100) 전면판(101)에 형성된 삽입공(106)으로 삽입하여 망체(501)의 하면 둘레가 본체(100)의 유출공간부(105) 하부 양측에 마련된 받침레일(108)상에 각각 안착되도록 슬라이딩시켜서 수거함(500)을 장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은 배출관(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절삭유는 이송관(200)의 일측 상반부에 결합된 유출관(400)을 경유하면서 유출관(400)의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출공(401)(402)을 통해 흘러 나가서 유출관(400)의 양측 하방에 각각 마련된 수거함(500)의 망체(501)로 낙하되어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본체(10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유 배출통로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절삭유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본체 하부로 배출되어 별도로 마련된 절삭유 수거통으로 낙하되는 절삭유에 잔존하는 미세한 크기의 칩과 이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유출관(400)의 좌우측면을 수직형성하고 상면을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며, 절삭칩과 절삭유가 진입하는 쪽의 유출관(400) 단부에 호퍼부(403)를 형성하여 유출관(400)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으로 절삭칩과 절삭유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칩과 절삭유의 이송 및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는 절삭유 배출통로인 유출공(401)(402)이 이송관(200)의 일측 상반부에 위치함으로써, 미세한 절삭칩에 의한 유출공(401)(402)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출공(401)(402)의 막힘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절삭칩 배출장치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 101:전면판, 102:후면판, 103:측면판, 104:낙하면판
105:유출공간부, 106:삽입공, 107:받침판, 108:받침레일
200:이송관, 201:이송스크류, 202:모터, 203:구동기어, 204:종동기어
300:배출관
400:유출관, 401, 402:유출공, 403:호퍼부
500:수거함, 501:망체, 502:손잡이

Claims (3)

  1.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을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이송, 압착시키면서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칩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이 전면판 중심부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반부가 개방되고 하반부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이송스크류가 안착되는 이송관;
    상기 본체의 측면판 각 상단에서 상기 이송관의 양측 상단으로 각각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공작기계로부터 낙하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를 상기 이송관 내부로 유도하는 한쌍의 낙하면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쌍의 낙하면판은 상기 본체의 중반부에서 후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전반부에 절삭유 유출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유출공간부에 위치하는 이송관 상측에는, 개방된 하면이 상기 이송관의 개방된 상반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의 개방된 상반부를 감싸는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관을 결합하여;
    상기 유출관의 유출공을 통해 절삭칩과 함께 이송되는 절삭유가 흘러넘쳐 상기 유출공간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절삭칩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좌우측면은, 상기 이송관의 개방된 상반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직설치되어 복수개의 측면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관의 상면은,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상면 유출공이 형성되며;
    절삭칩과 절삭유가 진입하는 쪽의 상기 유출관 단부에는, 상기 유출관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단이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하고 하단이 한쌍의 낙하면판의 상면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밀착고정되는 호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이 위치하는 이송구간으로 절삭칩과 절삭유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부의 유출관 양측 하방에는;
    전면에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면과 후면 및 좌우측면이 망체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전면판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을 통해 유출공간부 내부로 각각 인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수거함을 각각 배치하여;
    상기 유출관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공을 통해 절삭유가 흘러 나가서 수거함의 망체를 통과하여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하고, 절삭유에 포함된 미세한 크기의 절삭칩과 이물질은 수거함의 망체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절삭칩 배출장치.
KR20140003244A 2014-01-10 2014-01-10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KR10147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244A KR101470787B1 (ko) 2014-01-10 2014-01-10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244A KR101470787B1 (ko) 2014-01-10 2014-01-10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787B1 true KR101470787B1 (ko) 2014-12-23

Family

ID=5267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3244A KR101470787B1 (ko) 2014-01-10 2014-01-10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6557A (zh) * 2015-09-30 2018-06-08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螺旋输送机
CN108857554A (zh) * 2018-08-29 2018-11-23 苏州群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铸造成型的机床接水盘底座
KR102454459B1 (ko) * 2022-02-07 2022-10-12 박인재 대형 수직 머시닝센터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고강성 턴테이블형 베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843A (ja) * 1993-10-29 1995-05-16 Suzuki Motor Corp 切削屑搬送装置
KR200327636Y1 (ko) * 2003-06-18 2003-09-26 서정원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
KR101146421B1 (ko) * 2010-10-25 2012-05-17 서정원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
KR200469874Y1 (ko) * 2012-04-19 2013-11-14 김남윤 절삭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843A (ja) * 1993-10-29 1995-05-16 Suzuki Motor Corp 切削屑搬送装置
KR200327636Y1 (ko) * 2003-06-18 2003-09-26 서정원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
KR101146421B1 (ko) * 2010-10-25 2012-05-17 서정원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
KR200469874Y1 (ko) * 2012-04-19 2013-11-14 김남윤 절삭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6557A (zh) * 2015-09-30 2018-06-08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螺旋输送机
CN108857554A (zh) * 2018-08-29 2018-11-23 苏州群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一体铸造成型的机床接水盘底座
KR102454459B1 (ko) * 2022-02-07 2022-10-12 박인재 대형 수직 머시닝센터의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고강성 턴테이블형 베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241B1 (ko) 칩 스크류 콘베어
KR101556967B1 (ko) 칩 배출용 컨베이어장치
KR101470787B1 (ko) 공작기계용 절삭칩 배출장치
CN107336073A (zh) 一种便于清理废渣液的切削机床
CA2697718A1 (en) Machine tool device, machine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achine tool device
US20140241824A1 (en) Machine tool with cover adapted for discharge of chips
KR20170142693A (ko) 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 장치
US10221018B2 (en) Screw conveyor
US10071454B2 (en) Coolant and chip separator apparatus
KR200475535Y1 (ko) 절삭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장치
KR101724206B1 (ko)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칩 에어 배출장치
EP2662183B1 (de) Bearbeitungsmaschine
KR101725829B1 (ko) 칩 및 오일 제거기능을 가지는 절삭유 공급장치
KR20180037471A (ko) 칩 배출장치용 절삭유 필터장치
CN216657273U (zh) 一种cnc机加工中心自动切削收集装置
KR101634909B1 (ko) 스크류식 절삭칩 배출장치
KR101640320B1 (ko) 칩 수거용 복합형 컨베이어
KR200469874Y1 (ko) 절삭공작기계용 절삭 칩 배출장치
KR101819818B1 (ko) 연마장치용 연마유 회수장치
KR101599642B1 (ko) 비산물 수거 장치
DE102012008900B3 (de) Bearbeitungsmaschine
KR102297965B1 (ko) 칩 이송장치
KR20110077855A (ko) 씨엔씨 가공기의 칩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59882B1 (ko) 고성능 절삭유 슬러지 분리장치
KR101641470B1 (ko) 스크류식 절삭칩 배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