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558B1 -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558B1
KR101494558B1 KR1020137016824A KR20137016824A KR101494558B1 KR 101494558 B1 KR101494558 B1 KR 101494558B1 KR 1020137016824 A KR1020137016824 A KR 1020137016824A KR 20137016824 A KR20137016824 A KR 20137016824A KR 101494558 B1 KR101494558 B1 KR 101494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base station
denb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358A (ko
Inventor
요시하루 다지마
요시노리 다나까
요시히로 가와사끼
요시아끼 오따
가쯔마사 스기야마
가즈히사 오부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Abstract

중계국이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중계국은 취득부와 통지부를 구비한다. 취득부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통지부는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를 이동국에 통지한다. 또한, 이동국은 재접속부를 구비한다. 재접속부는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중계국에 의해 통지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요구를 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다 고속ㆍ대용량의 무선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등의 표준화 회의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확장한 LTE-advanced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LTE-Advanced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셀의 경계 등의 불감 지대에 중계국이 설치되고, 그 중계국이 이동국과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링크의 품질 열화에 기인하여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에 무선 링크 장해(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하면, 중계국 관리 중인 이동국은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고, 재선택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또한, 기지국을 중계국으로서 사용하는 기술로서 이하와 같은 종래 기술도 알려져 있다. 즉, 상위 네트워크와의 링크가 절단된 경우에,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의 발신호를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고, 발신호의 전송을 받은 다른 기지국이 이동국과 상위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종래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50359호 공보
그러나, LTE-Advanced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에 RLF가 발생한 경우에, 중계국 관리 중인 이동국이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LTE-Advanced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에 RLF가 발생한 경우에, 이동국이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고, 재선택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이동국은, 중계국을 통하여 통신하고 있었던 기지국 이외의 다른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의 요구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동국으로부터 재접속의 요구를 수신한 다른 기지국은,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국의 정보(UE context)를 유지하고 있지 않다. LTE-Advanced 방식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재접속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UE context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재접속 요구에 따라서 이동국과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UE context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다른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재접속 요구를 허용할 수 없다. 그 결과, 중계국 관리 중인 이동국은, 다른 기지국에 대하여 신규의 접속을 시험해 볼 필요가 있고, 원래의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없다.
개시된 기술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에 RLF가 발생한 경우라도 중계국 관리 중인 이동국이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중계국이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계국은, 취득부와 통지부를 구비한다. 취득부는,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통지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국은, 재접속부를 구비한다. 재접속부는,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에 의해 통지된 상기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요구를 행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중계국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이 절단된 경우라도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이하에, 본원에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원에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LTE-Advanced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에 적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은, LTE-Advanced 방식 이외의 다른 셀룰러 방식을 채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eNB:evolved Node B)(110a 내지 110n)과, 중계국(RN:Relay Node)(120)과, 이동국(UE:User Equipment)(130)과, 네트워크(140)를 갖는다.
eNB(110a 내지 110n)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무선 통신 영역인 셀을 수용하고, 자기 국이 수용하는 셀 내에 위치하는 RN(120)이나 UE(130)에 대하여 Radio Link(무선 링크)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eNB(110) 중 DeNB(Donor evolved Node B)(110a)는, RN(120)에 의해 UE(13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받는 eNB이다.
DeNB(110a)는, 자기 국이 수용하는 셀의 영역 내에 설치된 RN(120)과 UE(130)가 무선 통신을 행할 때, 네트워크(140)와 RN(120)과의 통신 경로가 된다. 이때, DeNB(110a)는, 자기 국과 UE(130)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UE(130)의 설정 정보(UE context)를 RN(120)으로부터 취득하여 소정의 기억부에 유지한다.
RN(120)은, DeNB(110a)에 의해 수용된 셀의 영역 내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RN(120)은, DeNB(110a)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함과 함께 자기 국이 수용하는 셀 내에 위치하는 UE(130)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이들의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네트워크(140)와 UE(13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예를 들어, RN(120)은, DeNB(110a) 내지 UE(130) 사이에서 확립된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DeNB(110a)로부터 UE(130)에의 데이터나 신호를 중계하는 한편, UE(130)로부터 DeNB(110a)에의 데이터나 신호를 중계한다.
또한, RN(120)은, DeNB(110a)와의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에 장해(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한 경우에,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지시하는 접속 해방 지시를 UE(130)에 대하여 송신한다.
UE(130)는, 이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단말기이다. 네트워크(140)는, 대용량의 광역 네트워크이다. UE(130)는, 자신이 소재하는 셀을 수용하는 RN(120)을 통하여 네트워크(140)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UE(130)는, RN(120)에 의해 송신된 접속 해방 지시를 수신하면, RN(120)과의 무선 링크를 해방하고, RN(120)의 셀 이외의 셀을 재선택한다.
이와 같은 구성 하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RN(120)이, DeNB(110a)로부터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RN(120)은, 취득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통지한다.
그리고, UE(130)는, RN(120)으로부터 송신된 접속 해방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RN(120)에 의해 통지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RN(120)이,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통지한다. 그리고, UE(130)는, RN(120)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RN(120)에 의해 통지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LTE-Advanced 방식에서는, UE로부터의 재접속 요구를 수신한 eNB는, UE context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재접속 요구에 따라서 UE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UE(130)가 UE context를 유지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함으로써, RN(120)과 DeNB(110a) 사이에 RLF가 발생한 경우라도 UE(130)가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한 eNB(110a 내지 110n) 중 대표예로서 DeNB(110a)의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DeNB(110a) 이외의 다른 eNB도 DeNB(11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DeNB(110a)와, RN(120)과, UE(13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RN(120)은, 무선 통신부(121)와, 제어부(122)와, DeNB 정보 기억부(123)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121)는, DeNB(110a)와 UE(13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부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121)는, DeNB(110a)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함과 함께 자기 국이 수용하는 셀 내에 위치하는 UE(130)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이들의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DeNB(110a)와 UE(13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제어부(122)는, 실제로는 무선 통신부(121)를 통하여 DeNB(110a)나 UE(130)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제어부(122)가 DeNB(110a)나 UE(130)와 직접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122)는, 각종의 처리 수순 등을 규정한 프로그램 및 소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갖고, 이들에 의해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제어부(122)는, 취득부(122a)와, 검출부(122b)와, 통지부(122c)를 갖는다.
취득부(122a)는, DeNB(110a)로부터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22a)는, DeNB(110a)와 RN(120) 사이에 무선 링크가 확립되면, DeNB(110a)의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취득부(122a)는,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에 따라서 DeNB(110a)로부터 송신되는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무선 링크를 통하여 취득한다. DeNB(110a)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DeNB(110a)의 PCI(Physical Cell Identity)이다. 취득부(122a)에 의해 취득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는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다.
검출부(122b)는, DeNB(1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의 RLF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부(122b)는, DeNB(110a)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감시하고, 수신 품질이 소정값 이하로 된 경우에, DeNB(1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의 RLF를 검출한다. 또한, 수신 품질에는,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수신 파워 등이 포함된다.
통지부(122c)는, 취득부(122a)에 의해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지부(122c)는, 검출부(122b)에 의해 DeNB(110a)와의 무선 링크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1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지부(122c)는, 생성한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UE(130)에 통지한다. 또한, 통지부(122c)는, DeNB 정보 기억부(123)에 DeNB의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생성한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UE(130)에 통지한다.
DeNB 정보 기억부(123)는, 취득부(122a)에 의해 취득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도 2에 도시한 UE(130)는, 무선 통신부(131)와, 제어부(132)와, UE 콘텍스트 기억부(133)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131)는, DeNB(110a)나 RN(12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131)는, RN(120)과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이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RN(12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31)는,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1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RN(120)으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31)는, DeNB(110a) 앞의 신호를 송신한다. DeNB(110a) 앞의 신호는, 예를 들어,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 등이다. 또한, 무선 통신부(131)는, DeNB(110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DeNB(110a)로부터의 신호는, 예를 들어, UE(1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 등이다.
또한, 제어부(132)는, 실제로는 무선 통신부(131)를 통하여 RN(120)이나 DeNB(110a)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제어부(132)가, RN(120)이나 DeNB(110a)와 직접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132)는, 각종의 처리 수순 등을 규정한 프로그램 및 소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갖고, 이들에 의해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제어부(132)는, 수신 신호 판단부(132a)와, 재접속부(132b)를 갖는다.
수신 신호 판단부(132a)는, 무선 통신부(13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소정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재접속부(132b)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판단부(132a)는, 무선 통신부(13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1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재접속부(132b)에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 신호 판단부(132a)는, 무선 통신부(13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UE(1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재접속부(132b)에 통지한다.
재접속부(132b)는, UE(130)와 RN(120)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RN(120)에 의해 통지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접속부(132b)는, 수신 신호 판단부(132a)에 의한 판단 결과를 수신한다. 그리고, 재접속부(132b)는, 무선 통신부(131)에 의해 Connection Release 신호가 수신된 취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면, 그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110a)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재접속부(132b)는,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접속부(132b)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quest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재접속부(132b)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quest 신호에 따른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DeNB(110a)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재접속부(132b)는, DeNB(110a)와의 재접속의 완료를 나타내는 Con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UE(130)와 DeNB(110a)와의 재접속이 성공하고, UE(130)는, DeNB(110a)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재접속부(132b)는,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는 셀 재선택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재접속부(132b)는, 셀 재선택 처리에 있어서, eNB(110a 내지 110b)에 의해 형성되는 셀로부터 송신 전파의 강도가 소정값 이상인 셀을 재선택한다. 그리고, 재접속부(132b)는, 셀 재선택 처리에 의해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접속부(132b)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송신한다.
UE 콘텍스트 기억부(133)는, UE(130)의 UE context를 기억한다. UE context는 UE(130)를 일의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며, 예를 들어, UE(130)에 대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무선 링크에 관한 정보나, UE(130)의 무선 측정에 관계되는 파라미터 정보 등, UE(130)의 다양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DeNB(110a)는, 무선 통신부(111)와, 제어부(112)와, DeNB 정보 기억부(113)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111)는, RN(120)이나 UE(13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111)는, RN(120)과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이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RN(120)이나 UE(13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11)는, UE(130) 앞의 신호를 송신한다. UE(130) 앞의 신호는, 예를 들어, UE(1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 등이다. 또한, 무선 통신부(111)는, UE(13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UE(130)로부터의 신호는, 예를 들어,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 등이다.
또한, 제어부(112)는, 실제로는 무선 통신부(111)를 통하여 RN(120)이나 UE(130)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제어부(112)가, RN(120)이나 UE(130)와 직접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112)는, 각종의 처리 수순 등을 규정한 프로그램 및 소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갖고, 이들에 의해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제어부(112)는, DeNB 정보 관리부(112a)와, 재접속 결정부(112b)를 갖는다.
DeNB 정보 관리부(112a)는, DeNB 정보 기억부(113)에 기억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DeNB 정보 관리부(112a)는, RN(120)으로부터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DeNB 정보 기억부(113)에 기억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RN(120)에 대하여 송신한다.
재접속 결정부(112b)는, UE(1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접속 결정부(112b)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기억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재접속 결정부(112b)는, UE(1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130)에 대하여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eNB(110a)는, UE context를 RN(120)을 통하여 UE(130)로부터 취득하여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재접속 결정부(112b)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13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수신한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에는, 재접속 결정부(112b)는,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즉, 재접속 결정부(112b)는, UE(130)의 재접속을 거부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ject 신호를 UE(130)에 대하여 송신한다.
DeNB 정보 기억부(113)는,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UE 콘텍스트 기억부(114)는, UE(130)의 UE context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된 UE context는 DeNB(110a)가 RN(120)을 통하여 UE(130)로부터 취득한 UE context이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예는, UE(130)와 RN(120)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1이 확립되어 있고, RN(120)과 DeNB(110a)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2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eNB(110a)는, UE context를 RN(120)으로부터 취득하여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유지하고 있다(스텝 S101). RN(120)은,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RN(120)은,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에 따라서 DeNB(110a)로부터 송신되는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무선 링크 #2를 통하여 취득한다(스텝 S102). 취득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는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다.
계속해서, RN(120)은, DeNB(1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 #2의 RLF를 검출한다(스텝 S103). RN(120)은,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3 부정), 무선 링크 #1 및 무선 링크 #2를 사용해서 DeNB(110a)와 UE(130)와의 무선 통신의 중계를 계속한다.
한편, RN(120)은,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103 긍정),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1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RN(120)은, 생성한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UE(130)에 통지한다(스텝 S104).
계속해서, UE(130)는, 수신한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UE(130)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quest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105).
계속해서, DeNB(110a)는, 수신한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DeNB(110a)는, UE(1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13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106).
계속해서, UE(130)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수신하면,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107). 이에 의해, DeNB(110a)와 UE(130) 사이에 Radio Link(무선 링크) #3이 설정되고, UE(130)와 DeNB(110a)와의 재접속이 성공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서는, RN(120)이, UE(130)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UE context를 유지하는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통지한다. 그리고, UE(130)는, RN(120)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RN(120)에 의해 통지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LTE-Advanced 방식에서는, UE로부터의 재접속 요구를 수신한 eNB는 UE context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재접속 요구에 따라서 UE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UE(130)가 UE context를 유지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함으로써, RN(120)과 DeNB(110a) 사이에 RLF가 발생한 경우라도 UE(130)가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통지부(122c)는, DeNB(110a)와의 무선 링크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UE(130)에 통지한다. 이로 인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할 때에 사용되는 기존의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사용해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RN(120)과 DeNB(1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한 경우에, RN(120)이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UE(130)에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RN(120)과 DeNB(1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하는 시점보다도 전에 RN(120)이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미리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예를 제2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각 부와 마찬가지의 역할을 다하는 기능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DeNB(110a)와, RN(220)과, UE(230)를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RN(220)은, 무선 통신부(121)와, 제어부(222)와, DeNB 정보 기억부(123)를 갖는다. 제어부(222)는, 취득부(122a)와, 검출부(122b)와, 통지부(222c)를 갖는다.
통지부(222c)는, UE(230)와 RN(220)과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23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지부(222c)는, 무선 통신부(121)에 의해 UE(230)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가 확립되면, 확립된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230)에 통지한다.
또한, 통지부(222c)는, 검출부(122b)에 의해 DeNB(110a)와의 무선 링크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 RN(2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2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생성하여 UE(230)에 통지한다.
도 4에 도시한 UE(230)는, 무선 통신부(131)와, 제어부(232)와, UE 콘텍스트 기억부(133)를 갖는다. 제어부(232)는, 수신 신호 판단부(132a)와, 재접속부(232b)를 갖는다.
재접속부(232b)는, RN(220)에 의해 통지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한, 재접속부(232b)는, 수신 신호 판단부(132a)에 의한 판단 결과를 수신한다. 그리고, 재접속부(232b)는, 무선 통신부(131)에 의해 Connection Release 신호가 수신된 취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면,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재접속부(232b)는,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접속부(232b)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재접속부(232b)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에 따른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DeNB(110a)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재접속부(232b)는, DeNB(110a)와의 재접속의 완료를 나타내는 Con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UE(230)와 DeNB(110a)와의 재접속이 성공하고, UE(230)는, DeNB(110a)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재접속부(232b)는, 내부의 메모리에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는 셀 재선택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재접속부(232b)는, 셀 재선택 처리에 있어서, eNB(110a 내지 110b)에 의해 형성되는 셀로부터 송신 전파의 강도가 소정값 이상인 셀을 재선택한다. 그리고, 재접속부(232b)는, 셀 재선택 처리에 의해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접속부(232b)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예는, UE(230)와 RN(220)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1이 확립되어 있고, RN(220)과 DeNB(110a)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2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eNB(110a)는, UE context를 RN(220)으로부터 취득하여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유지하고 있다(스텝 S201). RN(220)은,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RN(220)은, 식별 정보 송신 요구 신호에 따라서 DeNB(110a)로부터 송신되는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무선 링크 #2를 통하여 취득한다(스텝 S202). 취득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는 DeNB 정보 기억부(123)에 기억된다.
계속해서, RN(220)은, UE(230)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 #1이 확립되면, 확립된 무선 링크 #1을 사용해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230)에 통지한다(스텝 S203). 그리고, RN(220)에 의해 통지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UE(230)는, 수신한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한다.
계속해서, RN(220)은, DeNB(110a)와 RN(2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 #2의 RLF를 검출한다(스텝 S204). RN(220)은,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04 부정), 무선 링크 #1 및 무선 링크 #2를 사용해서 DeNB(110a)와 UE(230)와의 무선 통신의 중계를 계속한다.
한편, RN(220)은,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204 긍정), RN(2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2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생성하여 UE(230)에 통지한다(스텝 S205).
계속해서,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수신한 UE(230)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UE(230)는,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DeNB(110a)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nection Re-establishment R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UE(230)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206).
계속해서, DeNB(110a)는, 수신한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DeNB(110a)는, UE(2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23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207).
계속해서, UE(230)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수신하면,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DeNB(110a)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208). 이에 의해, DeNB(110a)와 UE(230) 사이에 Radio Link(무선 링크) #3이 설정되고, UE(230)와 DeNB(110a)와의 재접속이 성공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통지부(222c)가, UE(230)와 RN(220)과의 무선 링크가 확립된 경우에, 확립된 무선 링크를 통하여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230)에 통지한다. 이로 인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RN(220)과 DeNB(1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한 경우에, RN(220)이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RN(220)과 DeNB(1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하고 나서 DeNB(110a)와 UE(230)와의 무선 링크가 설정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DeNB(110a)와 UE(230)와의 재접속을 신속화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RN(120)이, UE context를 유지하는 DeNB(110a)의 식별 정보를 UE(130)에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DeNB가, 스스로 유지하는 UE context를 DeNB에 인접하는 다른 eNB에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예를 제3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각 부와 마찬가지의 역할을 다하는 기능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DeNB(310a)와, RN(120)과, UE(330)를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DeNB(310a)는, 무선 통신부(111)와, 제어부(312)와, DeNB 정보 기억부(113)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를 갖는다. 제어부(312)는, DeNB 정보 관리부(112a)와, 재접속 결정부(112b)와, 검출부(312c)와, 정보 통지부(312d)를 갖는다.
검출부(312c)는, DeNB(3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통신 링크의 RLF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부(312c)는, RN(12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감시하고, 수신 품질이 소정값 이하로 된 경우에, DeNB(3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의 RLF를 검출한다. 또한, 수신 품질에는,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수신 파워 등이 포함된다.
정보 통지부(312d)는, DeNB(310a)에 인접하는 다른 eNB인 인접 eNB의 리스트를 내부 메모리에 유지하고 있다. 다른 eNB가 DeNB(310a)에 인접한다고 함은, DeNB(310a)에 의해 형성되는 셀에 인접하는 셀을 다른 eNB가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 통지부(312d)는, 내부 메모리에 유지되는 리스트를 참조하여,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된 UE(330)의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통지부(312d)는, 검출부(312c)에 의해 RN(120)과의 무선 링크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 UE(330)와의 재접속의 준비를 인접 eNB에 대하여 지시하는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정보 통지부(312d)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된 UE(330)의 UE context를, 생성한 재접속 준비 지시에 포함시켜 인접 eNB에 통지한다. 또한, UE(330)의 UE context를 접수한 인접 eNB는, 접수한 UE context를 자신의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한다.
도 6에 도시한 UE(330)는, 무선 통신부(131)와, 제어부(332)와, UE 콘텍스트 기억부(133)를 갖는다. 제어부(332)는, 수신 신호 판단부(132a)와, 재접속부(332b)를 갖는다.
재접속부(332b)는, RN(120)에 의해 DeNB(310a)의 식별 정보를 통지받기 전에 RN(120)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는, DeNB(310a)의 셀 및 인접 eNB의 셀로부터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는 셀 재선택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RN(120)에 의해 DeNB(310a)의 식별 정보를 통지받기 전에 RN(120)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와는, RN(120)으로부터의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310a)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재접속부(332b)는, 셀 재선택 처리에 의해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접속부(332b)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접수한 eNB의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는, 그 신호에 포함되는 UE(330)의 UE context가 사전에 기억되어 있다. 이로 인해,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접수한 eNB는, UE(3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330)에 회신한다. 그리고, 재접속부(332b)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따른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eNB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재접속부(332b)는, eNB와의 재접속의 완료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eNB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UE(330)와 eNB와의 재접속이 성공하고, UE(330)는, eNB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예는, UE(330)와 RN(120)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1이 확립되어 있고, RN(120)과 DeNB(310a)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2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eNB(310b)는, DeNB(310a)에 인접하는 인접 eNB인 것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eNB(310a)는, UE context를 RN(120)을 통하여 UE(330)로부터 취득하여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유지하고 있다(스텝 S301). 그리고, DeNB(310a)는, DeNB(3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 #2의 RLF를 검출한다(스텝 S302). DeNB(310a)는,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2부정), 무선 링크 #1 및 무선 링크 #2를 사용해서 UE(330)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한다.
한편, DeNB(310a)는,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302 긍정),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된 UE(330)의 UE context를 인접 eNB인 eNB(310b)에 통지한다(스텝 S303). 그리고, UE(330)의 UE context를 접수한 eNB(310b)는, 접수한 UE context를 자신의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한다.
또한, RN(120)은, 무선 링크 #2의 RLF를 검출하면,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3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생성하여 UE(330)에 통지한다(스텝 S304).
계속해서, UE(330)는, RN(120)으로부터의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310a)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DeNB(310a)의 셀 및 eNB(310b)의 셀을 포함하는 셀 군에 대한 셀 재선택 처리를 행한다(스텝 S305). 그리고, UE(330)는, 셀 재선택 처리에 의해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310b)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UE(330)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eNB(310b)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306).
계속해서, eNB(310b)는, 수신한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eNB(310b)는, UE(3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33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307).
계속해서, UE(330)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수신하면,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eNB(310b)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308). 이에 의해, eNB(310b)와 UE(330) 사이에 Radio Link(무선 링크) #3이 설정되고, UE(330)와 eNB(310b)와의 재접속이 성공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서는, UE(330)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UE context를 유지하는 DeNB(310a)가,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통지한다. 그리고, UE(330)는, RN(120)에 의해 DeNB(310a)의 식별 정보를 통지받기 전에 RN(120)과의 접속이 개방되는 경우에, DeNB(310a)의 셀 및 인접 eNB의 셀에 대하여 셀 재선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UE(330)는, 셀 재선택 처리에 의해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LTE-Advanced 방식에서는, UE로부터의 재접속 요구를 수신한 eNB는, UE context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재접속 요구에 따라서 UE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UE(330)가 UE context를 유지하는 eNB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함으로써, RN(120)과 DeNB(310a) 사이에 RLF가 발생한 경우라도 UE(330)가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정보 통지부(312d)는, RN(120)과 DeNB(310a)와의 무선 링크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에 UE context를 포함시켜 인접 eNB에 통지한다. 이로 인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eNB에의 재접속의 지시와 아울러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RN(120)과 DeNB(3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한 경우에, DeNB(310a)가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RN(120)과 DeNB(3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하는 시점보다도 이전에 DeNB(310a)가 UE context를 인접 eNB에 미리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예를 제4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 6에 도시한 각 부와 마찬가지의 역할을 다하는 기능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DeNB(410a)와, RN(120)과, UE(330)를 갖는다.
도 8에 도시한 DeNB(410a)는, 무선 통신부(111)와, 제어부(412)와, DeNB 정보 기억부(113)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를 갖는다. 제어부(412)는, DeNB 정보 관리부(112a)와, 재접속 결정부(112b)와, 검출부(312c)와, 정보 통지부(412d)를 갖는다.
정보 통지부(412d)는, DeNB(410a)에 인접하는 다른 eNB인 인접 eNB의 리스트를 내부 메모리에 유지하고 있다. 정보 통지부(412d)는, DeNB(410a)와 인접 eNB와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된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통지부(412d)는, 무선 통신부(111)에 의해 인접 eNB와의 사이에 무선 링크가 확립되면, 확립된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통지한다.
또한, 정보 통지부(412d)는, 검출부(312c)에 의해 RN(120)과의 무선 링크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 UE(330)와의 재접속의 준비를 인접 eNB에 대하여 지시하는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정보 통지부(412d)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된 UE(330)의 UE context를, 생성한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에 포함시켜 인접 eNB에 통지한다. 또한, UE(330)의 UE context를 접수한 인접 eNB는, 접수한 UE context를 자신의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의한 재접속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예는, UE(330)와 RN(120)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1이 확립되어 있고, RN(120)과 DeNB(410a) 사이에서 Radio Link(무선 링크) #2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eNB(410b)는, DeNB(410a)에 인접하는 인접 eNB인 것으로 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eNB(410a)는, UE context를 RN(120)을 통하여 UE(330)로부터 취득하여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유지하고 있다(스텝 S401). 계속해서, DeNB(410a)는, eNB(410b)의 사이에 무선 링크를 확립하고, 확립한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UE(330)의 UE context를 eNB(410b)에 통지한다(스텝 S402). 그리고, UE(330)의 UE context를 접수한 eNB(410b)는, 접수한 UE context를 자신의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한다.
계속해서, DeNB(410a)는, DeNB(410a)와 RN(120) 사이에 확립된 무선 링크 #2의 RLF를 검출한다(스텝 S403). DeNB(410a)는,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3 부정), 무선 링크 #1 및 무선 링크 #2를 사용해서 UE(330)와의 무선 통신을 계속한다.
한편, DeNB(410a)는, 무선 링크 #2의 RLF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403 긍정), UE(330)와의 재접속의 준비를 지시하는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eNB(410b)에 통지한다(스텝 S404). 그리고,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를 접수한 eNB(410b)는, UE(330)와의 재접속에 구비하여 UE(330)로부터의 송신 전파의 포착을 개시한다.
또한, RN(120)은, 무선 링크 #2의 RLF를 검출하면, RN(120)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UE(330)에 지시하는 Connection Release 신호를 생성하여 UE(330)에 통지한다(스텝 S405).
계속해서, UE(330)는, RN(120)으로부터의 Connection Release 신호에 DeNB(410a)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DeNB(410a)의 셀 및 eNB(410b)의 셀을 포함하는 셀 군에 대한 셀 재선택 처리를 행한다(스텝 S406). 그리고, UE(330)는, 셀 재선택 처리에 의해 재선택된 셀을 형성하는 eNB에 대하여 재접속을 요구하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UE(330)는, UE 콘텍스트 기억부(133)에 기억된 UE context를 포함시킨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를 eNB(410b)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407).
계속해서, eNB(410b)는, 수신한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신호에 포함되는 UE context가 UE 콘텍스트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eNB(410b)는, UE(330)와의 재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UE(330)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408).
계속해서, UE(330)는,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신호를 수신하면,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신호를 eNB(410b)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409). 이에 의해, eNB(310b)와 UE(330) 사이에 Radio Link(무선 링크) #3이 설정되고, UE(330)와 eNB(410b)와의 재접속이 성공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정보 통지부(412d)가, DeNB(410a)와 RN(120)과의 무선 링크가 확립된 경우에, 확립된 무선 링크를 사용해서 UE context를 인접 eNB에 통지한다. 이로 인해, 본 제4 실시예에 따르면, RN(120)과 DeNB(4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한 경우에, DeNB(410a)가 재접속 준비 지시 신호에 UE context를 포함시키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RN(120)과 DeNB(410a)의 무선 링크에 RLF가 발생하고 나서 인접 eNB와 UE(330)와의 무선 링크가 설정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인접 eNB와 UE(330)와의 재접속을 신속화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 무선 통신 시스템
110 : eNB
110a, 310a, 410a : DeNB
120, 220 : RN
130, 230, 330 : UE
111, 121, 131 : 무선 통신부
112, 122, 132, 222, 232, 312, 332, 412 : 제어부
112a : DeNB 정보 관리부
112b : 재접속 결정부
113, 123 : DeNB 정보 기억부
114, 133 : UE 콘텍스트 기억부
122a : 취득부
122b, 312c : 검출부
122c, 222c : 통지부
132a : 수신 신호 판단부
132b, 232b, 332b : 재접속부
140 : 네트워크
312d, 412d : 정보 통지부

Claims (10)

  1. 중계국이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지시하는 접속 해방 지시에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에 의해 통지된 상기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재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확립된 그 접속을 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인 인접 기지국에 통지하는 정보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접속부는, 상기 중계국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를 통지받기 전에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의 셀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통지받은 상기 인접 기지국의 셀로부터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보 통지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중계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이동국과의 재접속의 준비를 상기 인접 기지국에 대하여 지시하는 재접속 준비 지시에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인접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지부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확립된 그 접속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상기 인접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으로서,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지시하는 접속 해방 지시에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실행되는 재접속 처리의 실행처로서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통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8. 중계국을 통하여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국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를 통지받기 전에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의 셀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통지받은 인접 기지국의 셀로부터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상황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인 상기 인접 기지국에 통지하는 정보 통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중계국이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를 검출하고,
    상기 중계국이,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의 장해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을 해방하는 취지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지시하는 접속 해방 지시에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에 의해 통지된 상기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인 인접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중계국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를 통지받기 전에 상기 중계국과의 접속이 해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의 셀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동국의 정보를 통지받은 상기 인접 기지국의 셀로부터 소정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접속 요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37016824A 2011-01-12 2011-01-12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494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0373 WO2012095966A1 (ja) 2011-01-12 2011-01-12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358A KR20130100358A (ko) 2013-09-10
KR101494558B1 true KR101494558B1 (ko) 2015-02-17

Family

ID=4650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824A KR101494558B1 (ko) 2011-01-12 2011-01-12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3243B2 (ko)
EP (1) EP2665303B1 (ko)
JP (1) JP5660141B2 (ko)
KR (1) KR101494558B1 (ko)
CN (1) CN103283272B (ko)
WO (1) WO2012095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8920B1 (en) * 2012-08-22 2018-09-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andling radio link failure
JP5484540B2 (ja) * 2012-09-26 2014-05-07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743758B1 (en) * 2013-11-27 2014-06-03 M87, Inc. Concurrent uses of non-cellular interfaces for participating in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AU2014361864B2 (en) 2013-12-13 2019-04-18 M87, Inc. Methods and systems of secure connections for joining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US9723543B2 (en) 2015-07-08 2017-08-01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UE-to-network relay
US10015041B2 (en) * 2015-09-17 2018-07-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for a service disruption
JP6546072B2 (ja) * 2015-11-13 2019-07-1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中継局
CN106851750B (zh) * 2015-12-03 2020-06-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基站及系统
FR3044538A1 (fr) * 2015-12-07 2017-06-09 Creative Specific Software Systeme et procede de detection du port par un patient d'un appareil de decharge de plaies des pieds
WO2017195719A1 (ja) * 2016-05-13 2017-11-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JP6374922B2 (ja) * 2016-08-05 2018-08-15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CN113301502B (zh) * 2021-05-12 2022-01-28 南京源兴智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基站协作的无线通信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966A (ja) 2008-09-26 2010-05-06 Kyocera Corp 中継局、無線通信中継方法、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0087105A1 (ja) 2009-01-27 2010-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接続処理方法、及びリレー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359A (ja) 1998-07-31 2000-02-18 Nec Commun Syst Ltd Btsリピータ機能を利用した災害時の携帯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9096883A1 (en) * 2008-01-18 2009-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covery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384700B1 (ja) 2008-06-23 2009-12-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WO2010032775A1 (ja) * 2008-09-22 2010-03-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TWI454082B (zh) * 2009-06-29 2014-09-21 Htc Corp 處理行動裝置行動性的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WO2011015248A1 (en) * 2009-08-07 2011-02-10 Nokia Siemens Networks Oy Operation in case of radio link failure
JP5440117B2 (ja) 2009-11-20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中継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827428B (zh) * 2010-04-22 2012-11-14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减小无线链路失败时数据丢失的方法及中继
CN101848554B (zh) * 2010-05-19 2012-09-05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接口恢复方法和一种施主基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966A (ja) 2008-09-26 2010-05-06 Kyocera Corp 中継局、無線通信中継方法、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0087105A1 (ja) 2009-01-27 2010-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接続処理方法、及びリレー局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36.806 V9.0.0 (2010-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0141B2 (ja) 2015-01-28
EP2665303A4 (en) 2017-03-01
CN103283272B (zh) 2016-08-24
WO2012095966A1 (ja) 2012-07-19
US20130267223A1 (en) 2013-10-10
CN103283272A (zh) 2013-09-04
JPWO2012095966A1 (ja) 2014-06-09
EP2665303A1 (en) 2013-11-20
EP2665303B1 (en) 2018-04-04
US9173243B2 (en) 2015-10-27
KR20130100358A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5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국,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EP3651496B1 (en) Radio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33188B2 (en) Contro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erminal, and method for updating neighbour relation table
EP2403312B1 (en)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capability and base station
US20210144788A1 (en) Apparatus related to dual connectivity
JP2013078061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8750880B2 (en) Handover preprocessing system,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JP2016096575A (ja) ユーザ端末、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CN106559847B (zh) 主基站及其向csg小区切换的方法
AU2014201715B2 (en) Radio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10591B2 (ja) 無線送受信装置および無線送受信方法
WO2012073940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160058057A (ko)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5722979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