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525B1 - 팁 홀더 수납체 - Google Patents

팁 홀더 수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525B1
KR101494525B1 KR20130060353A KR20130060353A KR101494525B1 KR 101494525 B1 KR101494525 B1 KR 101494525B1 KR 20130060353 A KR20130060353 A KR 20130060353A KR 20130060353 A KR20130060353 A KR 20130060353A KR 101494525 B1 KR101494525 B1 KR 10149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older
tip
holder
fla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486A (ko
Inventor
기요시 다카마츠
요시타카 미우라
게이스케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1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with preliminary treatment, e.g. weakening by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Dic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로봇에 의한 자동 교환에 적합한 기능을 구비한 팁 홀더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체부(12a)와, 상기 동체부(12a)의 축심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평탄면(12b, 12b)과, 이 평탄면(12b)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결 홈(12c)과, 상기 절결 홈(12c)에 부착된 휠 팁(12e)과, 한 쌍의 평탄면(12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코드(12i)와, 동체부(12a)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k)을 구비한 팁 홀더(12)를 수납하는 팁 홀더 수납체(15)이며, 상기 수납체(15)는 팁 홀더(12)를 수납하는 수납 구멍(15a)과, 평탄한 저면(15y)을 구비하고, 수납 구멍(15a) 내면에는 팁 홀더(12)의 슬라이드 홈(12k)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긴 돌기(15s)가 설치되어 있고, 팁 홀더(12)를 수납했을 때에, 팁 홀더(12)의 코드(12i)를 설치한 평탄면(12b)이 저면(12y)과 평행하게 상향의 자세로 보유 지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팁 홀더 수납체{TIP HOLDER STORAGE BODY}
본 발명은 테이블 위에 적재한 기판의 표면에, 원주 능선으로 V자형의 날끝이 형성된 휠 팁(커터 휠 또는 스크라이빙 휠이라고도 함)을 가압하면서 스크라이브함으로써, 상기 기판에 분단용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가공하거나, 분단(브레이크) 하거나 하는 기판 가공 장치에 사용되는 팁 홀더의 수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리, 실리콘, 세라믹, 반도체 등의 취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판이나 접합 기판(이하 간단히 「기판」이라고 함)의 표면에, 휠 팁으로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을 따른 스크라이브 라인(분단용의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분단 예정 라인으로부터 완전 분단하거나 하는 기판 가공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도 16은, 상기 특허 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기판 가공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기판 가공 장치(B)는, 가공 대상이 되는 기판(W)을 적재하여 보유 지지하는 수평한 테이블(31)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31)은 모터를 내장하는 회전 구동부(32)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수평한 레일(33)을 따라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Y 방향의 이동은, 모터(34)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35)에 의해 행해진다.
기판 가공 장치(B)에는, 한 쌍의 지지 기둥(36, 36)과, 이들 지지 기둥(36, 36)을 연결하도록 X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바(37)를 구비한 브리지(38)가, 테이블(31)을 걸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바(37)에는, X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39)가 설치되고, 스크라이브 헤드(40)가 가이드(39)를 따라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스크라이브 헤드(40)의 X 방향으로의 이동은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행해진다. 스크라이브 헤드(40)에는 휠 팁(42e)을 구비한 팁 홀더(42)가 홀더 조인트(43)를 거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크라이브 헤드(40)의 내부에는, 홀더 조인트(43)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테이블(31) 위에 적재한 기판(W)에 휠 팁(42e)을 가압하면서 휠 팁(42e)과 테이블(31)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이동시킴으로써, 기판(W)을 X-Y 방향으로 스크라이브하여 스크라이브 홈을 형성하거나 분단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종래의 팁 홀더(42) 및 홀더 조인트(43)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팁 홀더(4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동체부(42a)와, 동체부(42a)의 일단부(하단부)에서 동체부(42a)의 축심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탄면(42b, 42b)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 한 쌍의 평탄면(42b, 42b) 사이에, 상기 평탄면(42b)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결 홈(42c)이 동체부(42a)의 축심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 홈(42c)에, 동체부(42a)의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휠축(42d)을 거쳐 휠 팁(42e)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평탄면(42b) 중 한쪽에는, 이 팁 홀더(42)에 부착되어 있는 휠 팁(42e)의 지름이나 종류, 휠 팁을 부착할 때의 설정 정보 등의 관리상 유용한 고유 데이터를 기록한 코드(42i)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동체부(42a)의 타단부(상단부)에는, 홀더 조인트(43)에 부착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부착부(42f)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42f)는 동체부(42a)를 절결하여 형성된 평면부(42g)와 경사면(42h)을 구비하고 있다. 평면부(42g)는 동체부(42a)의 축심과는 평행하며, 하방에 있는 한 쌍의 평탄면(42b)과는 직교하고 있다. 또한, 동체부(42a)는 철 등의 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 조인트(43)는 상부에 베어링(43a)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가 팁 홀더(42)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43b)로 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43b)에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단면 대략 원형의 개구부(43c)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 안쪽에 자석(43j)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3c)의 내부에는, 개구부의 축심과는 떨어진 곳에서 상기 축심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용의 평행 핀(43d)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평행 핀(43d)은 팁 홀더(42)가 개구부(43c)에 삽입되었을 때에, 팁 홀더(42)의 경사면(42h)에 접촉하여 팁 홀더(42)의 방향이나 자세가 일정해지도록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팁 홀더(42)를 홀더 조인트(43)에 부착할 때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조인트(43)의 개구부(43c)에 팁 홀더(42)를 그 부착부(42f)로부터 삽입하여 행한다. 부착부(42f)가 홀더 조인트(43)의 개구부(43c)에 삽입되면, 팁 홀더(42)의 경사면(42h)에 평행 핀(43d)이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팁 홀더(42)의 상단부가 자석(43j)에 자착되어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팁 홀더(42)의 자세가 일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홀더 조인트(43)에 부착할 수 있다. 휠 팁(42e)을 바꿀 때는, 홀더 조인트(43)의 개구부(43c)로부터 팁 홀더(42)를 자석의 자력에 대항하여 빼내어 팁 홀더마다 교환한다. 새롭게 부착되는 팁 홀더(42)는 평탄면(42b)에 인쇄되어 있는 팁 고유의 데이터를 기록한 코드(42i)를 별도로 설치한 리더로 판독함으로써 선택된다.
국제 공개 번호 WO2007/063979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8815호 공보
휠 팁이 소정의 주행 거리를 달려서 교환 시기에 달했을 때나, 다른 사양의 휠 팁을 필요로 할 때는 기판 가공 장치(B)를 정지시킨 후, 팁 홀더의 교환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팁 홀더를 스크라이브 헤드의 홀더 조인트로부터 제거한 후, 보관하고 있는 팁 홀더 중에서 리더로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원하는 팁 홀더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팁 홀더를 홀더 조인트에 부착한다. 이러한 교환 작업은 오퍼레이터가 수작업으로 행하면 손이 많이 가므로,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로봇으로 교환 작업을 행할 경우, 복수의 팁 홀더로부터 희망하는 팁 홀더를 선택하는데, 코드를 구비한 팁 홀더의 평탄면을 리더로 판독하기 쉽도록, 또한 로봇으로 인출하기 쉽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팁 홀더는 지름 약 2 내지 3㎜의 작은 휠 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코드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휠 팁이 손상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적재대 등에 안정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로봇으로 팁 홀더를 선택하여 잡고, 그대로 스크라이브 헤드의 홀더 조인트까지 운반하여 장착하기 위해서는, 적재대와 로봇의 상관적인 조립에 배려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는, 이러한 로봇에 의한 팁 홀더의 자동 교환에 적합한 시스템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미해결된 상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로봇에 의한 자동 교환에 적합한 기능을 구비한 팁 홀더를 수납하는 팁 홀더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팁 홀더 수납체는 기판 가공 장치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부착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동체부의 축심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평탄면과, 상기 한 쌍의 평탄면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평탄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결 홈과, 상기 절결 홈에 부착된 휠 팁과, 상기 한 쌍의 평탄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코드와, 상기 동체부의 외주면에 동체부의 축심에 평행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구비한 팁 홀더를 수납하는 팁 홀더 수납체이며, 상기 팁 홀더 수납체는 상기 팁 홀더를 수납하는 수납 구멍과 평탄한 저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 구멍의 내면에는 상기 팁 홀더의 상기 슬라이드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긴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 구멍에 상기 팁 홀더를 수납했을 때, 상기 팁 홀더의 상기 코드를 설치한 평탄면이 상기 저면과 평행하게 상향의 자세로 보유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긴 돌기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팁 홀더 수납체에 의하면, 팁 홀더를 팁 홀더 수납체에 수납했을 때에, 슬라이드 홈과 긴 돌기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덜걱거림 없이 팁 홀더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팁 홀더를 수납한 수납체를 운반할 때의 휠 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팁 홀더 수납체의 저면을 평평하게 하고, 또한 팁 홀더 수납체에 팁 홀더를 수납했을 때, 팁 홀더의 코드를 설치한 평탄면이 팁 홀더 수납체의 저면과 평행하게 상향의 자세로 보유 지지되도록, 슬라이드 홈과 긴 돌기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적재 선반 등의 대판 위에 수평하게 적재했을 때, 코드를 설치한 평탄면을 상향의 자세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서의 리더에 의한 코드 판독이나 로봇에 의한 취출 조작이 용이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팁 홀더를 구비한 기판 가공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팁 홀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팁 홀더와, 이것을 부착하는 홀더 조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팁 홀더와 홀더 조인트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정면도.
도 5는 팁 홀더 수납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팁 홀더 수납체에 팁 홀더를 수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팁 홀더 수납체에 있어서의 탄성 스토퍼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팁 홀더 수납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팁 홀더 수납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기판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로봇과 적재 선반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적재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적재 선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기판 가공 장치에 있어서, CCD 카메라로 얼라인먼트 마크를 촬상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기판 가공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바깥쪽 자름, 안쪽 자름의 스크라이브 방법의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기판 가공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팁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종래의 팁 홀더와 홀더 조인트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정면도.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세를 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팁 홀더를 구비한 기판 가공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기판 가공 장치(A)는, 가공 대상이 되는 기판(W)을 적재하여 보유 지지하는 수평한 테이블(1)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1)은 모터를 내장하는 회전 구동부(2)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수평한 레일(3)을 따라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Y 방향의 이동은, 모터(4)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5)으로부터 행해진다.
기판 가공 장치(A)에는, 한 쌍의 지지 기둥(6, 6)과, 이들 지지 기둥(6, 6)을 연결하도록 X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바(7)를 구비한 브리지(8)가 테이블(1)을 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바(7)에는, X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9)가 설치되고, 스크라이브 헤드(10)가 가이드(9)를 따라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스크라이브 헤드(10)의 X 방향으로의 이동은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행해진다. 스크라이브 헤드(10)에는 휠 팁(12e)을 구비한 팁 홀더(12)가 홀더 조인트(13)를 거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크라이브 헤드(10)의 내부에는, 팁 홀더(12)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브리지(8)의 상부에는 기판(W)의 얼라인먼트 마크를 촬상하는 2대의 CCD 카메라(18, 1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테이블(1) 위에 적재한 기판(W)에 휠 팁(12e)을 가압하면서 휠 팁(12e)과 테이블(1)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이동시킴으로써, 기판(W)을 X-Y 방향으로 스크라이브하여 스크라이브 홈을 형성하거나 분단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 가공 장치(A)의 테이블(1) 근방에, 팁 홀더(12)를 수납하는 복수의 팁 홀더 수납체(15)를 적재하는 적재 선반(16)과, 팁 홀더(12)를 팁 홀더 수납체(15)로부터 빼내어 스크라이브 헤드(10)의 홀더 조인트(13)에 부착하거나, 또는 홀더 조인트(13)로부터 팁 홀더(12)를 제거하거나 하는 로봇(17)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팁 홀더(12)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도 2의 (a)는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측면 종단면도이며, 도 2의 (c)는 사시도이다. 팁 홀더(1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동체부(12a)와, 동체부(12a)의 일단부(하단부)에서 동체부(12a)의 축심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탄면(12b, 12b)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 한 쌍의 평탄면(12b, 12b) 사이에, 상기 평탄면(12b)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결 홈(12c)이 동체부(12a)의 축심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 홈(12c)에, 동체부(12a)의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휠축(12d)을 거쳐 휠 팁(12e)이, 그 일부를 동체부(12a)의 하단부면으로부터 노출시킨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평탄면(12b) 중 한쪽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팁 홀더(12)에 부착되어 있는 휠 팁(12e)의 지름이나 종류 등의, 관리상 유용한 팁 고유의 데이터를 기록한 코드(12i)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동체부(12a)의 타단부(상단부)에는 홀더 조인트(13)에 부착할 때의 위치 결정용의 부착부(12f)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12f)는 동체부(12a)를 절결하여 형성된 평면부(12g)와 경사면(12h)을 구비하고 있다. 평면부(12g)는 동체부(12a)의 축심과는 평행하며, 하방에 있는 한 쌍의 평탄면(12b)과는 직교하고 있다. 또한, 부착부(12f)는 철 등의 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평탄면(12b, 12b)의 하단부 부분에는, 평탄면(12b)으로부터 돌출되는 1개의 핀(12j)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핀(12j)은 평탄면(12b, 12b)에 있어서 회전 대칭 위치 또는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12j)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봇(17)으로 팁 홀더(12)를 팁 홀더 수납체(15)로부터 빼낼 때의 걸림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핀(12j)은 각각의 평탄면에 있어서 1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복수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어느 한쪽의 평탄면(12b)의 핀(12j)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팁 홀더(12)를 팁 홀더 수납체(15)에 수납한 것을 「팁 홀더 수납 세트」라고 한다.
동체부(12a)의 외주면에서 부착부(12f)의 반대측에는, 동체부(12a)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12k)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홈(12k)은, 후술하는 팁 홀더 수납체(15)의 수납 구멍 내면에 형성된 긴 돌기(15s)에 끼워 맞추게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홈(12k)의 일단부는, 절결 홈(12c)으로 이어져 있다.
스크라이브 헤드(10)에 부착된 홀더 조인트(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베어링(13a)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가 팁 홀더(12)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13b)로 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13b)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단면 대략 원형의 개구부(13c)가 마련되어 있고, 그 내부 안쪽에 자석(13e)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3c)의 내부에는 개구부(13c)의 축심과는 떨어진 곳에서 상기 축심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용의 평행 핀(13d)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평행 핀(13d)은 팁 홀더(12)가 개구부(13c)에 삽입되었을 때에, 팁 홀더(12)의 경사면(12h)(도 2 참조)에 접촉하여 팁 홀더(12)의 자세를 일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휠 팁(12e)의 회전 주행 방향이 스크라이브 방향과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팁 홀더(12)를 홀더 조인트(13)에 부착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조인트(13)의 개구부(13c)에 팁 홀더(12)를 그 부착부(12f)로부터 삽입하여 행한다. 부착부(12f)가 홀더 조인트(13)의 개구부(13c)에 삽입되면, 팁 홀더(12)의 경사면(12h)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팁 홀더(12)의 상단부가 자석(13e)에 자착(磁着)되어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팁 홀더(12)의 자세가 일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홀더 조인트(13)에 부착할 수 있다. 휠 팁(12e)을 바꿀 때는, 팁 홀더(12)를 자석(13e)의 자력에 대항하여 빼내어, 팁 홀더마다 교환한다.
도 5는, 팁 홀더(12)를 수납하는 팁 홀더 수납체(15)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팁 홀더(12)를 수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팁 홀더 수납체(15)는 전후로 관통하는 단면 대략 원형의 수납 구멍(15a)을 구비하고, 또한 평평한 저면(15y)을 갖는 돔 형상 본체(15b)와, 수납 구멍(15a)의 전방 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방부 캡(15c)과, 후방 개구부를 폐쇄하는 후방부 캡(15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납 구멍(15a)은 그 축심이 저면(15y)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돔 형상 본체(15b)에는, 수납 구멍(15a)의 전방 개구부의 하부 테두리에 이어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평한 턱(顎)부(15e)가 설치되어 있다.
팁 홀더(12)를 팁 홀더 수납체(15)의 수납 구멍(15a)에 수납할 때는, 수납 구멍(15a)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휠 팁(12e)을 선두로 하여 삽입한다. 이 삽입 시, 팁 홀더(12)의 코드(12i)를 설치한 평탄면(12b)이 돔 형상 본체(15b)의 저면(15y)과 평행하고 항상 상향의 자세가 되게, 팁 홀더(12)의 슬라이드 홈(12k)이 끼워 맞추어지는 긴 돌기(15s)가 수납 구멍(15a)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팁 홀더(12)의 슬라이드 홈(12k)의 일단부는, 절결 홈(12c)에 이어져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팁 홀더(12)를 수납 구멍(15a)에 삽입할 때, 절결 홈(12c)이 가이드가 되어 긴 돌기(15s)에 끼워 넣을 수 있어, 삽입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팁 홀더(12)를 수납 구멍(15a)에 손으로 삽입할 경우에는, 부착부(12f)의 평면부(12g)를 위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평면부(12g)에 엄지 손가락을 붙이고, 180° 반대측의 슬라이드 홈(12k) 근방에 집게 손가락을 붙이고, 양 손가락으로 팁 홀더(12)를 사이에 두고 집어서 수납 구멍(15a)에 삽입하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전방부 캡(15c)은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 성형되고, 돔 형상 본체(15b)의 저면(15y)에 면 접촉하는 평평한 판 형상부(15f)와, 돔 형상 본체(15b)의 정상부 둘레면에 면 접촉하는 원호 형상 상부 커버(15g)를 구비하고 있고, 판 형상부(15f)와 원호 형상 상부 커버(15g)는 전방벽(15h)으로 연결되어 있다. 판 형상부(15f)의 상면에는, 우산 형상 헤드부(15k)를 갖는 탄성 스토퍼(15i)가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돔 형상 본체(15b)의 전방 개구부 근방에는, 탄성 스토퍼(15i)를 저면(15y)으로부터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5j)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스토퍼(15i)를 관통 구멍(15j)에 삽입 관통할 때는, 우선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 형상 헤드부(15k)가 압축되어서 진입하고, 관통 구멍(15j)을 빠져나오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 형상 헤드부(15k)가 원형으로 복원 확대되어, 관통 구멍(15j)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이 자세에 있어서, 탄성 스토퍼(15i)의 우산 형상 헤드부(15k)는 돔 형상 본체(15b)의 수납 구멍(15a)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조금 돌출되게 그 치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 스토퍼(15i)를 관통 구멍(15j)에 삽입 관통한 후, 이 탄성 스토퍼(15i)를 남겨서 전방부 캡(15c)을 제거할 수 있게, 탄성 스토퍼(15i) 근방의 판 형상부(15f)에 취약한 절취선(15n)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 형상 상부 커버(15g)의 하면에는 돔 형상 본체(15b)의 상부 둘레면에 마련된 결합 홈(15p)에 탄성 결합하는 돌기(15q)(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15q)의 반대측, 즉 원호 형상 상부 커버(15g)의 상면에는 돌기(15q)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손잡이편(15r)이 설치되어 있다.
절취선(15n)으로부터 잘라내어 돔 형상 본체(15b)에 남겨진 탄성 스토퍼(15i)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구멍(15a)에 수납된 팁 홀더(12)의 평탄면(12b)이 수납 구멍(15a)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위치에서, 팁 홀더(12)의 전진을 일시적으로 제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한다. 즉, 팁 홀더(12)의 평탄면(12b)에 인접하는 견(肩)부(12m)가 탄성 스토퍼(15i)의 우산 형상 헤드부(15k)에 접촉하여 탄성 스토퍼(15i)의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전진이 제지된다. 그리고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스토퍼(15i)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팁 홀더(12)를 전방 개구부로부터 인출 방향으로 강하게 당기면, 탄성 스토퍼(15i)는 경도되어 팁 홀더(12)의 진행을 허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탄성 스토퍼(15i)를 경도할 수 있게, 관통 구멍(15j)은 여유를 갖게 하여 형성한다. 또한, 견부(12m)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면이나 원호가 바람직하지만, 우산 형상 헤드부(15k)를 탄력에 대항하여 타고 넘을 수 있으면, 대략 직각인 에지라도 된다.
후방부 캡(15d)은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 성형되고, 캡 내면의 상하에 형성된 돌기(15t)가 돔 형상 본체(15b)의 외주면의 상하에 설치된 결합 홈(15u)에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방부 캡(15c)은 팁 홀더 수납체(15)에 팁 홀더(12)를 수납했을 때에,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팁 홀더(12)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휠 팁(12e)의 날끝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전방벽(15h)의 내면에는 휠 팁(12e)의 날끝을 끼워 넣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후방부 캡(15d)은 팁 홀더(12)가 수납 구멍(15a)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의 (a)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탄성 스토퍼(15i) 대신에, 탄성 걸림 갈고리(15v)로 팁 홀더(12)의 전진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걸림 갈고리(15v)는 스프링(15w)으로 밀어올림 방향으로 탄력을 받은 상태에서 팁 홀더 수납체(15)의 돔 형상 본체(15b)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 걸림 갈고리(15v)의 선단부는, 팁 홀더(12)의 견부(12m)에 경사면을 향하게 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호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방부 캡(15c')은, 앞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전방부 캡(15c)으로부터 탄성 스토퍼(15i)를 없앤 구조이며, 서로 탄성적으로 끼워 맞추는 결합 홈(15p') 및 돌기(15q')에 의해 수납 구멍(15a)의 전방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15h)의 내면에는, 전방부 캡(15c)과 마찬가지로, 휠 팁(12e)의 날끝을 끼워 넣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 구멍(15a)의 후방 개구부에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방부 캡(15d)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부 캡(15d) 대신에,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걸림 갈고리(15v)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탄성 걸림 갈고리(15x)를 수납 구멍(15a)의 후방 개구부 부근에 설치하여, 팁 홀더(12)가 수납 구멍(15a)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탄성 걸림 갈고리(15x)의 선단부도, 팁 홀더(12)를 삽입하기 쉽게, 또한 빠지기 어렵게, 후방 개구부에 경사면을 향하게 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호라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팁 홀더 수납체(15)에 1개의 팁 홀더(12)를 수납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 예를 들어 5 내지 10개의 팁 홀더(12)를 수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행 팁 홀더(12)의 꼬리 부분에 후속 팁 홀더(12)의 휠 팁(12e)이 닿아서 날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팁 홀더(12)의 꼬리 부분(도 2에 있어서의 상단부면)에 날끝을 끼워 넣는 오목부(12p)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팁 홀더 수납체(15)는 복수개 준비되어, 종류가 다른 휠 팁(12e)을 구비한 팁 홀더(12)를 종류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팁 홀더 수납체(15)에 수납하여, 공장 내 등에서 보관된다. 그리고 사용 시에, 전방부 캡(15c)을 제거한 상태에서 기판 가공 장치(A)의 적재 선반(16)에 정렬하여 배치한다.
도 10은,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팁 홀더 수납체(15)를 정렬하여 적재하는 적재 선반(16)과, 상기 적재 선반의 근방에 설치된 로봇(17)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재 선반(16)은 팁 홀더 수납체(15)의 평평한 저면(15y)을 적재면으로서 적재하는 3매의 선반판(16a)을 구비하고 있다. 각 선반판(16a)에는, 팁 홀더 수납체(15)에 수납된 팁 홀더(12)의 평탄면(12b)이 선반판(16a)의 전단부 테두리(16b)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도록, 선반판 주연부에 울타리 프레임(16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선반판(16a)은 전단부 테두리(16b)측으로부터 보아 계단 형상으로 짜여져 있다.
로봇(17)은 선단부에 협착 갈고리(17b)를 갖는 로봇 아암(17a)과, 이 로봇 아암(17a)에 부착되어 팁 홀더(12)의 평탄면(12b)에 설치된 코드(12i)를 판독하는 리더(17c)를 구비하고 있다. 로봇 아암(17a)은 그 선단부의 협착 갈고리(17b)가 팁 홀더 수납체(15)로부터 노출된 팁 홀더(12)의 한 쌍의 평탄면(12b, 12b)을 옆에서 협지하여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 선반판(16a)은 계단 형상으로 짜여져 있으므로, 다른 팁 홀더(12)에 방해되지 않고, 원하는 팁 홀더(12)를 잡고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팁 홀더(12)의 코드(12i)가 평면 위에서 겹치는 일이 없으므로, 상방으로부터 리더(17c)에 의해 각 팁 홀더(12)의 코드(12i)를 용이하면서도 또한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협착 갈고리(17b)로 한 쌍의 평탄면(12b, 12b)을 옆에서 협지하여 인출할 때에, 각 평탄면(12b)의 핀(12j, 12j)이 빼냄 방향에 대한 협착 갈고리(17b)에의 걸림이 되어, 확실하면서도 또한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 핀(12j)이 각 평탄면(12b, 12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협착 갈고리(17b)를 인출 방향에 대하여 균형있게 걸리게 할 수 있어, 원활하게 팁 홀더(12)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라이브 헤드의 홀더 조인트(13)(도 3 참조)로부터 빼내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적재 선반(16)에 있어서의 복수의 선반판(16a)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위에서 로봇(17)에 가까운 측에 있는 선반판(16a)일수록, 전단부 테두리(16b)가 후퇴하게 각각 후방에 어긋나게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앞의 계단 형상으로 조립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봇 아암(17a)의 협착 갈고리(17b)로 팁 홀더(12)를 인출할 때에, 다른 팁 홀더(12)에 방해되지 않고, 원하는 팁 홀더(12)를 잡고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로봇 아암(17a)의 리더(17c)로 각 팁 홀더(12)의 코드(12i)를 판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적재 선반(16)의 선반판(16a)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 테두리(16b)가 하방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팁 홀더 수납체(15)로부터 팁 홀더(12)를 로봇 아암(17a)으로 빼낼 때에, 자중에 의한 미끄럼 효과에 의해 가볍게 인출할 수 있다. 특히, 도 9에서 나타낸 복수의 팁 홀더(12)를 수납하는 팁 홀더 수납체(15)를 선반판(16a)에 적재할 경우, 팁 홀더(12)가 자중에 의해 전진할 정도의 경사각을 선반판(16a)에 근접시켜 두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선행 팁 홀더(12)가 인출되면, 후속 팁 홀더(12)가 자중에 의해 전진하여 스토퍼 위치에서 다음 인출을 위하여 대기시킬 수 있다.
도 1의 기판 가공 장치에 의해 스크라이브를 개시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기판(W)을 테이블(1) 위에 적재 보유 지지시킨다. 그리고 브리지(8) 위에 설치된 2대의 CCD 카메라(18, 18)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위의 좌우 2군데의 위치 결정용 얼라인먼트 마크(M1, M2)를 검출한다. 이때의 얼라인먼트 마크를 연결하는 직선(S)이, 2대의 CCD 카메라(18, 18)를 연결하는 기준 직선(L)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테이블(1)을 회전 구동부(2)로 회전시켜서 기울기각이 0이 되게 수정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스크라이브 개시 위치에 대한 휠 팁(12e)의 어긋남도 CCD 카메라(18)에 의해 검출된다. 만약에 Y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그 어긋남량에 상당하는 분만큼 테이블(1)을 이동시킨다. 또한, X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스크라이브 헤드(10)를 그 어긋남량에 상당하는 분만큼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X-Y 방향의 어긋남 보정이나 기판의 기울기각의 수정은, 도 14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대되는 컴퓨터(19)의 제어부(20)에 의해 행해진다.
도 14의 블록도에 있어서, 2대의 CCD 카메라(18)로부터의 출력은 컴퓨터(19)의 제어부(20)에 부여된다. 제어부(20)는 보정값을 기초로 하여 테이블 회전 구동부(2)를 동작하여 테이블(1)을 회전하고, 상기 기울기각이 0이 되게 수정한다. 또한, X-Y 방향의 어긋남 보정도 각각의 구동부(21, 22)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보정 완료 후, 팁 홀더 승강 구동부(23)를 구동하여 팁 홀더(12)를 하강시켜, 기판(W)에 휠 팁(12e)을 가압하면서 휠 팁(12e)과 테이블(1)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이동시킴으로써, 기판(W)을 X-Y 방향으로 스크라이브하여 스크라이브 홈을 형성한다. 이때에 사용되는 휠 팁(12e)의 주행 거리는 데이터 보유 지지부(24)에 기록되어, 휠 팁(12e)의 교환 시기가 되면 알람 등으로 표시된다.
팁 홀더(12)의 코드(12i)에는 이하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코드는 1차원 코드, 예를 들어 바코드를 사용해도 되지만, 좁은 면적에서 많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2차원 코드가 바람직하다. 2차원 코드는 직접 인쇄하여 형성되지만, 라벨을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의 입력은 부대되는 컴퓨터로 행해지고, 개체 식별용의 번호, 날끝의 형태나 지름 등의 휠 팁 고유의 사양 외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깥쪽 자름」 「안쪽 자름」 등의 스크라이브 방식이나 스크라이브의 레시피에 부합되는 형식 번호 등이 기록되어 있다.
기판(W)을 휠 팁으로 스크라이브하는 방법에는, 「바깥쪽 자름」과 「안쪽 자름」이 있고, 기판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바깥쪽 자름」은,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 팁(12e)의 최하단부를 기판(W)의 표면(상면)보다 약간 하방까지 강하시킨 상태에서, 기판(W)의 단부 테두리의 외측 위치(스크라이브 개시 위치)에 세트한다. 그리고 세트한 위치로부터 수평 이동시켜, 기판 단부에 충돌시켜서 들어올려, 나아가 소정의 스크라이브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수평 이동시켜서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한편 「안쪽 자름」은,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내측(스크라이브 개시 위치)에서 휠 팁(12e)을 상방으로부터 하강시켜서 기판에 소정의 스크라이브 압력으로 접촉시켜, 가압하면서 수평 이동시켜서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이 「바깥쪽 자름」 시의 기판 단부 테두리로부터 스크라이브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를 「+」값으로 하고, 「안쪽 자름」 시의 기판 단부 테두리로부터 스크라이브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를 「-」값으로 하고, 이들 수치를 단계적으로 구분한 「바깥쪽 자름」 「안쪽 자름」의 각종 스크라이브 레시피가 컴퓨터(19)에 미리 입력 설정되어, 레시피 선택 버튼(25)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깥쪽 자름」으로 「+」값이 2㎜인 경우에는 (A1)의 버튼을, 「안쪽 자름」으로 「-」값이 2㎜인 경우에는 (A5)의 버튼으로 한 것처럼, 복수의 선택 사항으로부터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휠 팁(12e)이 소정의 주행 거리를 달려서 교환 시기에 달했을 때나 다른 사양의 휠 팁(12e)으로 교환할 때는, 기판 가공 장치(A)가 정지된 후, 로봇(17)에 의해 휠 팁(12e)의 교환이 행해진다. 로봇(17)은 교환해야 할 휠 팁(12e)을 갖는 팁 홀더(12)를 홀더 조인트(13)로부터 제거하여 별도로 준비한 수납 박스로 옮긴 후, 로봇 아암(17a)에 부착된 리더(17c)에 의해 팁 홀더 수납체(15)에 스톡되어 있는 팁 홀더(12)의 코드(12i)를 판독하여, 적정한 팁 홀더(12)를 선택하여 빼내어, 홀더 조인트(13)에 부착한다.
또한, 컴퓨터(19)에는 선택되는 레시피마다 적합한 휠 팁(12e)의 형식 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컴퓨터(19)에 미리 입력 설정되어 있는 레시피의 선택 버튼(25)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레시피에 적합한 팁 홀더(12)로 바꿀 수 있다. 즉, 선택 버튼(25)으로 레시피를 선택하면, 선택된 레시피에 적합한 팁 홀더(12)가 결정되어, 로봇 아암(17a)이 적재 선반(16)에 적재되어 있는 팁 홀더 수납체(15)로 이동하여 리더(17c)에 의해 팁 홀더(12)의 코드(12i)를 판독하여 적합한 팁 홀더(12)를 팁 홀더 수납체(15)로부터 빼낸다. 빼낸 팁 홀더(12)는 스크라이브 헤드(10)의 홀더 조인트(13)에 부착되어, 컴퓨터에 미리 설정된 레시피대로 자동으로 스크라이브된다. 따라서, 레시피를 설정할 때마다 오퍼레이터가 그 레시피에 적합한 팁 홀더(12)를 선택하는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실시 형태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목적을 달성하여,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수정,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의 표면에 휠 팁을 가압하면서 스크라이브함으로써, 기판에 분단용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가공하거나 분단하거나 하는 기판 가공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A : 기판 가공 장치
W : 기판
1 : 테이블
10 : 스크라이브 헤드
12 : 팁 홀더
12a : 동체부
12b : 평탄부
12c : 절결 홈
12d : 휠축
12e : 휠 팁
13 : 홀더 조인트
15 : 팁 홀더 수납체
15a : 수납 구멍
15s : 긴 돌기
16 : 적재 선반
17 : 로봇
17b : 협착 갈고리

Claims (1)

  1. 기판 가공 장치의 스크라이브 헤드에 부착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동체부의 축심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평탄면과, 상기 한 쌍의 평탄면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평탄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결 홈과, 상기 절결 홈에 부착된 휠 팁과, 상기 한 쌍의 평탄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코드와, 상기 동체부의 외주면에 동체부의 축심에 평행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구비한 팁 홀더를 수납하는 팁 홀더 수납체이며,
    상기 팁 홀더 수납체는, 상기 팁 홀더를 수납하는 수납 구멍과, 평탄한 저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 구멍의 내면에는 상기 팁 홀더의 상기 슬라이드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긴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 구멍에 상기 팁 홀더를 수납했을 때, 상기 팁 홀더의 상기 코드를 설치한 평탄면이 상기 저면과 평행하게 상향의 자세로 보유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긴 돌기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팁 홀더 수납체.
KR20130060353A 2012-06-29 2013-05-28 팁 홀더 수납체 KR101494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7969A JP5894876B2 (ja) 2012-06-29 2012-06-29 チップホルダ収納体
JPJP-P-2012-147969 2012-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86A KR20140002486A (ko) 2014-01-08
KR101494525B1 true KR101494525B1 (ko) 2015-02-17

Family

ID=4989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0353A KR101494525B1 (ko) 2012-06-29 2013-05-28 팁 홀더 수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94876B2 (ko)
KR (1) KR101494525B1 (ko)
CN (1) CN103507170A (ko)
TW (1) TW2014047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18B1 (ko) * 2016-07-22 2023-11-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KR102618517B1 (ko) * 2016-08-17 2023-12-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휠의 자동 교체가 가능한 스크라이빙 장치
KR20180085110A (ko) * 2017-01-17 2018-07-2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KR20180085111A (ko) * 2017-01-17 2018-07-2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TWI752733B (zh) * 2020-11-19 2022-01-11 臻賞工業股份有限公司 適用多軸加工機之滾筒式刀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944A (ko) * 2009-01-07 2010-07-15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터 장치 및 커터 홀더
KR20110132463A (ko) * 2007-06-06 2011-12-07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팁 홀더
KR20120007546A (ko) * 2007-06-06 2012-01-20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헤드 탑재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6Y2 (ja) * 1987-07-17 1994-02-09 オークマ株式会社 工具情報の読み書き装置
JPH05154732A (ja) * 1991-11-30 1993-06-22 Nippei Toyama Mechatronics:Kk 工具交換機構を備えた加工装置
JP2586452Y2 (ja) * 1993-06-29 1998-12-09 三井精機工業株式会社 自動工具交換装置
JP3962500B2 (ja) * 1999-01-20 2007-08-22 Dgp・ホリ・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ノンワーク型特殊シャンク
CN2501671Y (zh) * 2001-11-07 2002-07-24 吕寿彬 石材切割机
CN101439927B (zh) * 2002-01-16 2011-03-02 三星钻石工业股份有限公司 脆材基板划刻器、处理机械、抛光装置及划刻和断开系统
JP2003326404A (ja) * 2002-05-10 2003-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刃先交換チップ
JP5332344B2 (ja) * 2008-06-30 2013-11-0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チップホルダ及びホルダユニット
JP5287945B2 (ja) * 2011-07-15 2013-09-1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ホルダユニット、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スクライブ装置
JP5447994B2 (ja) * 2011-07-25 2014-03-1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ホルダジョイント、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スクライ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463A (ko) * 2007-06-06 2011-12-07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팁 홀더
KR20120007546A (ko) * 2007-06-06 2012-01-20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헤드 탑재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KR20100081944A (ko) * 2009-01-07 2010-07-15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터 장치 및 커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4738A (zh) 2014-02-01
JP2014008712A (ja) 2014-01-20
KR20140002486A (ko) 2014-01-08
CN103507170A (zh) 2014-01-15
JP5894876B2 (ja)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08710A (ja) チップホルダ
KR101494525B1 (ko) 팁 홀더 수납체
KR101493597B1 (ko) 팁 홀더 수납체
JP2014008715A (ja) チップホルダ収納体の載置台
JP5912927B2 (ja) 基板加工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チップホルダの取付方法
CN210967992U (zh) 立式刀具及刀库
US11247304B2 (en) Workpiece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JP2014008714A (ja) チップホルダ収納体
JP2014008711A (ja) チップホルダ及びチップホルダ収納セット
US11247299B2 (en) Protective glass with transponder and installation aid and associated laser tool
US9914293B2 (en) System for preparing and producing a stamp plate
WO2019229968A1 (ja) バックアップピン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自動交換システム
JP2017100195A (ja) ロボット
JP6706019B2 (ja) 畳床裁断装置
CN211002516U (zh) 卡盒
CN110614725B (zh) 保持架单元以及刻划装置
JP5891622B2 (ja) 被装着体脱着機構
JP2006103759A (ja) ウェハ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