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370B1 -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370B1
KR101494370B1 KR20130090898A KR20130090898A KR101494370B1 KR 101494370 B1 KR101494370 B1 KR 101494370B1 KR 20130090898 A KR20130090898 A KR 20130090898A KR 20130090898 A KR20130090898 A KR 20130090898A KR 101494370 B1 KR101494370 B1 KR 10149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es
tilt sensor
pcb substrate
tr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616A (ko
Inventor
이재웅
김병진
남궁윤기
김창훈
Original Assignee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3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2009/18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conduct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 기판내 드릴링을 통해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고,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스와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비아를 통한 연결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TILT SENSOR PACK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울기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trace)를 가지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내 드릴링(drilling)을 통해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고,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스와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비아(via)를 통한 연결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울기 센서는 유리관 형태로 형성된 용기에 기울기 측정을 위한 액체를 채운 후, 기울기에 따른 액체의 위치를 읽어 기울기를 측정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는 예를 들어, 유리관 외벽에 액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형성하여 액체가 해당 접점에 접촉되는 경우 접점과 연결되는 전극으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기울기 센서는 근래에 들어 PCB 기판 등에 일체화되어 소형화된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울기 센서는 휴대폰, 자동차 등의 기울기 측정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기기에 탑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기울기 센서를 PCB 기판에 일체화하여 형성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PCB 기판을 드릴링을 통해 비아(via)(100)가 노출되도록 가공한 후, 위와 같은 드릴링 공정을 통해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에 노출된 비아와 기울기 센서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드릴링 등을 통한 비아의 노출에 있어서, 비아의 특성으로 인해 기울기 센서의 접점과 접속되는 비아의 전극이 충분한 마진을 가지고 노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아의 전극이 너무 많이 깍여서 없어지거나, 아예 드러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비아가 정확히 노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에 따라 기울기 센서의 접점과 비아간 접속에 불량이 발생하여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011451호 공개일자 2013년 01월 30일에는 기울기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내 드릴링을 통해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고,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스와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비아를 통한 연결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 패키지로서,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 기판과,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 상 상기 다층에서 노출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와 상기 다수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장착을 위한 공간으로 상기 PCB 기판상 드릴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상기 PCB 기판상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을 통해 다층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층에 존재하는 트레이스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육면체 형태로 기설정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센서는, 내부에 기울기 감지를 위한 액체가 삽입된 유리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 패키지 제조 방법으로서, PCB 기판상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트레이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층 사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스층을 다층으로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층을 가지는 상기 PCB 기판내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스층의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간에 외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외부 접점과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간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장착을 위한 공간으로 상기 PCB 기판상 드릴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서로 다른 트레이스층에 존재하는 다수의 트레이스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육면체 형태로 기설정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내 드릴링을 통해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고,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스와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비아를 통한 연결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비아와 비교하여 미세하게 트레이스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기울기 센서의 접점과 보다 작은 간격으로 접속이 가능하여 기울기 센서에서의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스가 형성된 PCB 기판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트레이스층을 가지는 PCB 단면 구조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에 장착되는 기울기 센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트레이스가 형성된 PCB 기판내 기울기 센서 장착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스(trace)가 형성된 PCB 기판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종래 기울기 센서의 접점과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PCB 기판내 비아(via)는 비아의 노출을 위한 PCB 드릴링(drilling) 공정 시 비아의 전극이 너무 많이 깍여서 없어지거나, 아예 드러나지 않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점과 비아간 접속에 불량이 발생하여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기울기 센서의 접점과 연결되는 전극으로 비아 대신 PCB 기판내 트레이스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PCB 드릴링 공정 후에도 전극이 기준이상으로 과도하게 깍이거나, 아예 드러나지 않게 되어 접속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의 (a)에서와 보여지는 바와 같이 PCB 기판(250)내 다수의 트레이스(200)를 층간 절연막(202)을 사이에 두고 다층으로 형성시켜, 종래 비아 대신 트레이스(200)를 이용하여 기울기 센서의 접점과 연결시킴으로써 기울기 센서와 PCB 기판(250)의 접속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와 같은 트레이스는 기울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I/O(Input/Output)로 이용된다.
도 1의 (b)는 다수의 트레이스(200)가 다층으로 형성된 PCB 기판(250)을 드릴링 공정을 통해 트레이스(200)를 노출시킨 PCB 기판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비아 대신 트레이스(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 도 1의 (b)에서와 같이 드릴링 공정이 공정 마진을 다소 벗어나서 진행되더라도 트레이스(200)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다수의 트레이스(200)는 PCB 기판(250)상 층간 절연막(202)으로 분리되는 다층의 트레이스층(204)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트레이층(204)내 형성되는 트레이스(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스(200)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시키되, 상부에 형성된 트레이스(200)의 사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다층의 트레이스층(204)을 가지는 PCB 기판(250)은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수의 트레이스(200)가 형성된 2 개의 트레이스층을 포함하는 4개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2의 (b)에서와 같이 4 개 또는 6개의 트레이스층을 포함하는 6개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트레이스(204)는 burr issue를 고려하여 트레이스층(204)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2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트레이스층(204)의 외층에도 트레이스(20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에 장착되는 기울기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300)는 내부에 기울기 감지를 위한 액체(302)가 삽입된 유리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관의 외벽에는 외부 전극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접점(304)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울기 센서(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250)상 드릴링 공정 등을 통해 노출된 다수의 트레이스(200)와 접점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PCB 기판(25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트레이스가 형성된 PCB 기판내 기울기 센서를 장착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트레이스가 노출된 PCB 기판내 기울기센서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다수의 트레이스(200)가 형성된 PCB 기판(250)은 드릴링 공정을 통해 기울기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트레이스(200)가 노출되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은 트레이스(200)는 PCB 기판(250)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방법에서의 비아 와는 달리, 드릴링 공정이 공정 마진을 다소 벗어나서 진행되더라도 트레이스(200)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어, 위와 같이 트레이스(200)가 노출된 PCB 기판(250)의 공간에 외부 접점(304)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3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위치된 기울기 센서(300)는 PCB 기판(250)내 노출된 다수의 트레이스(200)와 접속되어 기울기 센서 패키지(package)를 형성시키게 된다.
도 4의 (b)는 기울기 센서(300)가 위치된 PCB 기판(250)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로, 기울기 센서(300)가 PCB 기판(250)내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는 모습과 기울기 센서(300)에 형성되는 외부 접점(304)과 PCB 기판(250)에서 노출된 트레이스(200)가 연결되는 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 기판내 드릴링을 통해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고,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스와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비아를 통한 연결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200, 206 : 트레이스 202 : 층간 절연막
204 : 트레이스층

Claims (9)

  1.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 기판과,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 상 상기 다층에서 노출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와 상기 다수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상기 PCB 기판상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을 통해 다층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층에 존재하는 트레이스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2.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 기판과,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 상 상기 다층에서 노출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와 상기 다수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장착을 위한 공간으로 상기 PCB 기판상 드릴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육면체 형태로 기설정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5. 내부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PCB 기판과,
    외부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PCB 기판내 형성된 공간 상 상기 다층에서 노출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와 상기 다수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울기 센서는, 내부에 기울기 감지를 위한 액체가 삽입된 유리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6. PCB 기판상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트레이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층 사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스층을 다층으로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층을 가지는 상기 PCB 기판내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스층의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간에 외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외부 접점과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서로 다른 트레이스층에 존재하는 다수의 트레이스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제조 방법.
  7. PCB 기판상 다수의 트레이스를 가지는 트레이스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층 사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스층을 다층으로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층을 가지는 상기 PCB 기판내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스층의 다수의 트레이스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간에 외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기울기 센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외부 접점과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장착을 위한 공간으로 상기 PCB 기판상 드릴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제조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는,
    육면체 형태로 기설정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패키지 제조 방법.
KR20130090898A 2013-07-31 2013-07-31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KR10149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898A KR101494370B1 (ko) 2013-07-31 2013-07-31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898A KR101494370B1 (ko) 2013-07-31 2013-07-31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16A KR20150015616A (ko) 2015-02-11
KR101494370B1 true KR101494370B1 (ko) 2015-02-23

Family

ID=5257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0898A KR101494370B1 (ko) 2013-07-31 2013-07-31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578A (ko) 2021-11-16 2023-05-23 (주)봄커뮤니케이션 전력 소비를 절감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8497B1 (fr) * 2014-11-14 2017-11-03 Airbus Helicopters Coupole de rotor, rotor et giravion
FR3028496B1 (fr) * 2014-11-14 2016-12-09 Airbus Helicopters Coupole de rotor, rotor et girav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566A (ja) * 1992-05-25 1993-12-07 Murata Mfg Co Ltd 半導体傾斜センサの製造方法
KR20030069739A (ko) * 2002-02-22 2003-08-27 조주현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일체형 액체충전식 기울기각도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221450A (ja) 2004-02-09 2005-08-18 Yamaha Corp 物理量センサ
JP2008275384A (ja) 2007-04-26 2008-11-13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傾斜角センサ装置、及び傾斜角センサ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566A (ja) * 1992-05-25 1993-12-07 Murata Mfg Co Ltd 半導体傾斜センサの製造方法
KR20030069739A (ko) * 2002-02-22 2003-08-27 조주현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일체형 액체충전식 기울기각도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221450A (ja) 2004-02-09 2005-08-18 Yamaha Corp 物理量センサ
JP2008275384A (ja) 2007-04-26 2008-11-13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傾斜角センサ装置、及び傾斜角センサ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578A (ko) 2021-11-16 2023-05-23 (주)봄커뮤니케이션 전력 소비를 절감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16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7349B1 (en) Gas sensor package
JP2007305674A (ja) 部品内蔵基板及びその配線不良検査方法
KR101494370B1 (ko) 기울기 센서 패키지 및 방법
US9835684B2 (en) In-circuit test struc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CN107381494B (zh) 指纹感测器及其封装方法
TWI566651B (zh) 電性連接組件及其檢測方法
KR102212967B1 (ko) 임베디드 인쇄회로기판
JP2007123774A (ja) プリント回路板、電子機器、およびプリント回路板の製造方法
JP2010171380A5 (ko)
US8315064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ttern alignment error
JP200711595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M472195U (zh) 半導體晶片的測試裝置
US8772644B2 (en) Carrier with three-dimensional capacitor
CN108029209B (zh) 紧凑型电子系统及包括这种系统的设备
JP2008172003A (ja) プリント基板および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並びに導電体の上がり量検出方法
US20130003331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on printed circuit board
US20110024171A1 (en) Multilayer laminated circuit
JP2015079777A (ja) 部品内蔵基板
KR101008727B1 (ko) 단면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터치센서
JP2004177388A (ja) 傾斜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95071B2 (ja) 圧力検出装置用基体および圧力検出装置
JP5267194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
JP2018164066A (ja) 複合配線基板
KR101255936B1 (ko)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 검사 방법
JP2014202562A (ja) 力学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