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894B1 - 숯불 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894B1
KR101493894B1 KR20130121112A KR20130121112A KR101493894B1 KR 101493894 B1 KR101493894 B1 KR 101493894B1 KR 20130121112 A KR20130121112 A KR 20130121112A KR 20130121112 A KR20130121112 A KR 20130121112A KR 101493894 B1 KR101493894 B1 KR 10149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harcoal
oil guide
plat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식
홍태수
Original Assignee
박근식
홍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식, 홍태수 filed Critical 박근식
Priority to KR2013012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시 발생하는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는, 상면이 열려있고, 하나의 측면이 도어(14)에 의하여 개폐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의 도어에 의하여 열리는 측면으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숯통(40)을 상부에 지지하는 착탈판(30);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착탈판(30)의 상부에서 지지되고, 하향 경사지고 다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경사면(54,56)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분(55)에도 양측으로 경사부(55a,55b)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기름안내공(59)이 형성되어 있는 기름안내판(50); 상기 기름안내판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케이싱에 지지되고, 가열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꼬치지지부(70); 그리고 상기 꼬치지지부(7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덮개판(8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숯불 구이기{A charcoal roaster}
본 발명은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숯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등을 구워 먹는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숯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숯불을 이용하는 구이기에서는 열원의 상부에 가열대상물이 올려지기 때문에,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가열대상물인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숯불에 직접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공개 특허 10-2009-0086679호에 의하더라도, 가열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름이 여러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어서, 열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내부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에 의하여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숯불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에 의하여 육류 등에서 발생하는 기름에 의하여 숯불구이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육류를 가열하는 열원인 숯불의 수납이 편리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는, 상면이 열려있고, 일측면이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도어에 의하여 열리는 측면으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숯통을 상부에 지지하는 착탈판;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착탈판의 상부에서 지지되고, 하향 경사지고 다수개의 열통과공을 구비하는 경사면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분에도 양측으로 경사부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기름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름안내판; 상기 기름안내판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케이싱에 지지되고, 가열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꼬치지지부; 그리고 상기 꼬치지지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름안내공의 직하부에는, 기름안내파이프가 케이싱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름안내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착탈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착탈판의 외주연에는 벽이 형성되어 기름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름안내판은 케이싱 내측에 설치된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숯통은 착탈판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성형된 안착부에 지지되고, 상기 안착부 사이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과 동일한 방향의 케이싱 측벽에도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름안내판으로 떨어진 기름이 한부분으로 모여서 하방으로 안내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이 과정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숯불로 낙하하지 않게 되어, 기름기가 숯불에 떨어져서 발생하는 그으름 등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은 실질적으로 고기 등이 효율적으로 구워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되는 고기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한곳으로 모여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숯불구이기의 내부의 다른 벽부분이 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에서 발생한 기름이 케이싱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빼낼 수 있는 착탈판에 모일 수 있기 때문에, 착탈판의 세척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오염 없는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판이 숯을 내장하고 있는 숯통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숯의 투입 및 제거가 손쉽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따라서 가열 도중에 숯이 더 필요한 경우, 또는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열이 완료된 음식물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간편하게 숯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를 예시한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름안내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름안내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상면이 열려 있는 케이싱(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저면에 다수 개의 레그(12)를 구비하고 있어서,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일측면은 도어(14)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도어(14)는 케이싱(10)의 일측면을 개폐함으로써, 예를 들면 숯불을 넣거나 꺼내기 편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도어(14)는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케이싱(10)을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의 일측면을 개폐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도어(14)의 개폐에 의하여 숯불을 넣거나 꺼내는 것이 편리한 이외에, 케이싱(10)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 손쉽게 되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양측면(도어가 장착되는 측면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한 쌍의 레일홈(16)이 각각 오목하게 수평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레일홈(16)은, 착탈판(30)의 양측면을 수납할 수 있어서 상기 착탈판(30)이 케이싱(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16)이 형성되어 있는 양측면에는 한 쌍의 기름안내파이프(18)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름안내파이프(18)는 후술하는 기름안내판(50)에 의하여 안내되어 한곳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을 받아서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름안내파이프(18)의 하단부는 상기 착탈판(30)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기름안내파이프(18)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기름은 상기 착탈판(30)의 상면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구이 과정에서 고기에서 발생한 기름은, 기름안내판(50) 및 기름안내파이프(18)를 통하여 착탈판(30)의 상면에 고이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판(30)의 외측부분(테두리부분) 상부에 고이는 기름이 외부로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착탈판(30)의 전체 외주연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벽(3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착탈판(3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착탈판(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기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을 받는 기능과, 가열원인 숯불이 내장된 숯통(4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착탈판(30)의 양측단부가 케이싱(10) 내측면의 레일홈(16)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판(30)이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빼내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레일홈(16)의 구성에 대신하여 케이싱(10)의 내측벽에 지지턱을 설치하고, 상기 착탈판(30)의 양측 하단부가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착탈판(30)은, 숯통(4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32)는 착탈판(30)에서 대향하는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턱(35)의 내측면에 한 쌍의 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숯을 담는 숯통(4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턱으로 구성되는 안착부(32)에 안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싱(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판(30)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턱(35) 사이의 좌우측 부분에는 통기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34)은 실질적으로 착탈판(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한 쌍의 대향하는 상부턱(35)을 제외한 양측단부에 통기공(3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숯통(40)으로의 공기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방향에서 모두 통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공기의 과잉 공급에 의하여 숯불이 일시적으로 타게 되어 지속적인 화염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상부턱(35)을 제외한 양측면에 통기공(34)을 형성하여 지속적이면서도 원활한 공기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10) 자체가 완전히 밀폐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통기공(34)으로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기공(34)과 동일한 방향에 있는 케이싱(10)의 측벽(15)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기공(34)과 연통하도록 하면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에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숯통(40)에도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기름안내판(50) 및 꼬치지지부(7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케이싱(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기름안내판(50)이 설치된다. 상기 기름안내판(50)은 그 상부에 설치되는 꼬치지지부(70)에서 발생하여 낙하한 기름을 한 곳으로 집중시켜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기름안내판(50)은 케이싱(10)에서 대향하는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턱(17)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기름안내판(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돌기(52)가 상기 지지턱(17)에 걸쳐지는 것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기름안내판(50)은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54,56)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경사면에는 숯불에서의 열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열통과공(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경사면(54,56)의 하단부분(55)에는 기름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기름안내공(5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안내판(50)의 정면도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름안내공(59)은 경사면(54,56)의 하단부분(55)에서 가장 낮은 위치를 가지고 있다. 즉, 경사면(54,56)의 하단부분(55)에서 상기 기름안내공(59)이 가장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단부분(55)의 양측(좌우측)에는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55a,55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54,56)의 하단부분(55)에는 상기 경사면(54,56)과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상향경사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54,56)을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은 하단부분(55)에서 상향경사부(51)에 의하여 멈춘후, 다시 경사부(55a,55b)를 따라서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흐르는 기름은 상기 기름안내공(59)을 통하여 하방으로 안내된다. 상기 기름안내공(59)의 직하단부에는 기름안내파이프(1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통하여 기름은 더욱 하방으로 안내될 것이다.
도 4에는 상술한 기름안내판(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본 실시예의 다른 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통과공(57)이 단순한 구멍으로 성형됨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열통과공(57a)은, 각각의 경사면(54,56)에 루버링(57)(louvering)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경사면과의 사이에서 열통과공(57a)가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루버링(57b)을 형성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부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열통과공(57a)를 직접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기름이 숯불로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름안내파이프(18)의 하단부에는, 케이싱(10)의 내부에 착탈판(3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경사면(54,56)을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은 상기 착탈판(30)의 상면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에 의하면, 고기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한 기름은 상기 착탈판(30)의 상면으로 모이게 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는 기름안내파이프(18)를 통하여 기름이 안내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케이싱(10) 내부의 다른 부분에는 기름이 접촉하지 않게 되어, 케이싱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름안내판(50)의 상부에 대응하는, 케이싱(10)의 개구된 상면에는 꼬치지지부(70)가 안착된다. 상기 꼬치지지부(70)는 본 출원인이 출워한 특허 제10-2011-005003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꼬치지지부(70)는, 꼬치부(72)에 굽고자 하는 고기를 끼운 후, 상기 꼬치부(72)를 지지하면서, 하부에 있는 숯통(40)에서 발생하는 화력으로 구워지는 고기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꼬치지지부(70)는 상술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내용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구워져야 하는 고기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꼬치부(72)의 선단을 지지할 수 있는 선단지지부(73)와 꼬치부(72)의 후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후단지지부(74), 그리고 상기 선단지지부(73)와 후단지지부(74)를 지지하는 프레임(76)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6)은, 상기 꼬치부(72)를 회전가능하도록 내부에 내장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후단지지부(74)를 지지하는 후단프레임(76a)과, 상기 후단프레임(76a)과 선단지지부(73)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7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단프레임(76a)의 내부 구성은, 상술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내용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꼬치지지부(70)은 실질적으로 구워지는 고기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어떠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널리 사용되는 석쇠를 지지하는 것도 꼬치지지부(70)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꼬치지지부(70)에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발생한 기름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름안내판(50)의 상부로 떨어지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꼬치지지부(70)의 프레임(76) 및 선단지지부(73)의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그 중앙 부분(75)은 비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분(75)이 비어 있어야만, 상기 꼬치부(72)에 끼워져 있는 고기가 하방에서 올라오는 열기에 의하여 구워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꼬치지지부(72)의 상부에는 상부덮개판(8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덮개판(8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저면(83)과 상기 저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테두리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부덮개판(80)은 완전히 익은 고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용기로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판(80)은 꼬치지지부(70)의 상부에 결합되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부덮개판(80)의 전후방향을 따른 양측면 하단부에는 채널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채널부(82)는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있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꼬치지지부(70)의 상단 양측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성형된 슬라이딩돌기(78)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채널부(82)가 슬라이딩돌기(78)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덮개판(80)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덮개판(80)이 슬라이딩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꼬치부(72)에 끼워진 고기의 가열과정에서도 상당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꼬치지지부(70)의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76)의 중앙부분(75)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숯통(40)에 내장된 숯불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방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상기 꼬치지지부(70)의 중앙부분을 통과하여 상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덮개판(80)이 꼬치지지부(70)의 상부에 장착되면 꼬치지지부(70)의 상면이 막히기 때문에, 열기가 꼬치지지부(70)을 통과하여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된 정면으로만 열기가 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실질적으로 꼬치지지부(70) 중앙 부분에서는 더욱 고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숯불에서 발생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덮개부(8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후방으로 밀어서 열기를 상방으로 배기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덮개부(80)가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담을 수 있는 용기로써의 기능도 가지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상부덮개부(80)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써 동작할 때, 상부덮개부(80)는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기에 의하여 충분한 보온 및 미량의 가열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부덮개부(80)를 용기로써 사용할 때 열이 더 필요하면 꼬치지지부(70)의 상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덮개부(80)의 저면(83)이 열변형되지 않도록 보강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부덮개부(80)의 저면(83)은 대략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정점부(83a)를 중심으로 네 개의 면이 각각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83b)을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일정 각도 절곡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면(83)을 네 개의 경사면(83b) 및 중심의 정점부(83a)를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저면(83)의 구조적 강도가 보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저면(83)에 올려진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상부덮개부(8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에서 가열되는 고기에서 발생하는 기름기는 기름안내판(5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기름배출공(59)를 통하여 한곳으로 모여서 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0)의 내부에서도 기름배출파이프(18)만을 통과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기름으로 오염될 우려가 전혀 없음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판(30)이 케이싱(10)의 내부로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숯불을 가지는 숯통(40)을 넣거나 꺼내기 편리한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10 ..... 케이싱
12 ..... 레그
14 ..... 도어
15 ..... 측벽
16 ..... 레일홈
17 ..... 지지턱
18 ..... 기름안내파이프
30 ..... 착탈판
31 ..... 벽
32 ..... 안착부
34 .... 통기공
40 ..... 숯통
50 ..... 기름안내판
51 ..... 상향경사부
52 ..... 지지돌기
54, 56 ..... 경사면
57 ..... 열통과공
59 .....기름안내공
70 ..... 꼬치지지부
72 ..... 꼬치부
76 ..... 프레임
80 ..... 상부덮개판
82 ..... 채널부
83 .... 저면
83a ..... 정점부
83b ..... 경사면

Claims (6)

  1. 상면이 열려있고, 하나의 측면이 도어(14)에 의하여 개폐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의 도어에 의하여 열리는 측면으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숯통(40)을 상부에 지지하는 착탈판(30);
    상기 착탈판(30)의 상부의 위치에서 케이싱 내부에 지지되고, 다수개의 열통과공을 구비하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54,56)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분(55)에서 좌우측으로 상향 성형된 경사부(55a,55b)의 중앙에는 기름안내공(59)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4,56)의 하단부분(55)에는 상향 경사진 상향경사면(51)이 형성된 기름안내판(50);
    상기 기름안내판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케이싱에 지지되고, 가열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꼬치지지부(70); 그리고
    상기 꼬치지지부(7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덮개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숯불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안내공의 직하부에는, 기름안내파이프가 케이싱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름안내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착탈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착탈판의 외주연에는 벽(31)이 형성되어 기름을 담을 수 있는 숯불구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안내판은 케이싱 내측에 설치된 지지턱(17)에 의하여 지지되는 숯불구이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은 착탈판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성형된 안착부(32)에 지지되고, 상기 안착부 사이의 측면에는 통기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34)과 동일한 방향의 케이싱 측벽(15)에도 통기공이 형성되는 숯불구이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의 양단부가 케이싱 내부에서 대향하는 측벽에 성형된 레임홈에 수납되면서, 케이싱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숯불구이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통과공은, 경사면에 루버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성형되는 숯불구이기.
KR20130121112A 2013-10-11 2013-10-11 숯불 구이기 KR10149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112A KR101493894B1 (ko) 2013-10-11 2013-10-11 숯불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112A KR101493894B1 (ko) 2013-10-11 2013-10-11 숯불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894B1 true KR101493894B1 (ko) 2015-02-23

Family

ID=5259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112A KR101493894B1 (ko) 2013-10-11 2013-10-11 숯불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6414A (zh) * 2017-11-29 2018-02-27 广西鹿寨众牛食品有限公司 牛肉烘干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158B1 (ko) 2004-12-2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릴장치
KR101313490B1 (ko) 2013-02-01 2013-10-01 리창완 숯불 훈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158B1 (ko) 2004-12-2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릴장치
KR101313490B1 (ko) 2013-02-01 2013-10-01 리창완 숯불 훈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6414A (zh) * 2017-11-29 2018-02-27 广西鹿寨众牛食品有限公司 牛肉烘干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328B1 (ko)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RU2737519C2 (ru) Мультипечь
KR100866157B1 (ko) 직화식 구이판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0628997B1 (ko)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ES2747785T3 (es) Dispositivo para calentar y/o cocer productos cárnicos
US20090320882A1 (en) Barbecue smoker
KR200475082Y1 (ko) 석쇠장치
CN105662169A (zh) 卡玛都型木炭烧烤炉组件
KR101184696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720902B1 (ko) 크린기능이 개선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215341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기구이기
KR101493894B1 (ko) 숯불 구이기
CN110652217A (zh) 一种多功能烧烤箱
CN214804231U (zh) 一种使用生物质颗粒的蒸汽烧烤炉
KR101493896B1 (ko)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구비하는 숯불 구이기
EP3251565B1 (en) Barbecue for cooking food
CN101325897A (zh) 烤架
KR101522716B1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685840B1 (ko)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349683B1 (ko) 바베큐 구이장치
KR20170022606A (ko) 자동튀김기
KR101117486B1 (ko) 튀김기
KR102250905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개량형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