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667B1 -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667B1
KR101493667B1 KR20140100584A KR20140100584A KR101493667B1 KR 101493667 B1 KR101493667 B1 KR 101493667B1 KR 20140100584 A KR20140100584 A KR 20140100584A KR 20140100584 A KR20140100584 A KR 20140100584A KR 101493667 B1 KR101493667 B1 KR 10149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vator
door
inverter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주)미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주하이텍 filed Critical (주)미주하이텍
Priority to KR2014010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되는 틈에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와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 사이의 통신을 가공하는 신호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하는 틈에 근접 설치된 끼임방지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가 구성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Description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apparatus of anti-pinch safety device}
본 발명은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 등이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는 중에 엘리베이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끼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인버터 등으로 구성된 도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작동되는 것이며, 이러한 도어 제어부 역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으로부터 문열림 신호를 입력받았을 때 열고, 문닫힘 신호를 입력받았을 때 닫는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장에 정상적으로 도착한 엘리베이터는 기본적으로 엘리베이터 내부 갇힘 문제 해소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한번 열리기 시작하면 끝까지 열리도록 작동되고 있고,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한 안전장치로 작동되는 것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도어 사이에 사람이나 물건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때에도 도어와 도어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면 즉시 도어가 끝까지 열리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으로 인하여 도어가 닫히는 중에 무리하게 승차 또는 하차 하여 사람이 도어와 도어 사이에 끼는 것이나, 물건 등이 엘리베이터 도어 밖으로 돌출되어 도어와 도어 사이에 끼는 것은 방지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릴 때, 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도어와 도어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도어가 다시 열릴 때 도어에 기대어 있거나, 도어에 손을 대고 있어서 열리는 도어와 함께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도어와 함께 이동되면서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도어 근처에서 아이를 업고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릴 때 업혀있는 아이의 손이나 발이 부모도 모르게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끼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5719호(발명의 명칭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여 발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새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인용발명을 적용하여 시공하면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릴 때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나 이미 시공되어 운행중에 있는 엘리베이터인 경우 인용발명을 적용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나, 인버터, 구동모터 등을 인용발명의 구성요소로 변경하여야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가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 방식에 따라 구성요소를 변경하거나 시공 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종류, 크기 등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여 각각 적용하다보니 추가 시공이 어렵고,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57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손, 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와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 사이의 신호를 가공하는 신호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되는 틈에 근접 설치된 끼임방지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가 구성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며,
신호제어부가 제어반과 인버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여 그대로 전달하는 패스단계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열림명령신호를 입력받거나 입력받는 중에 판단부가 끼임방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제어부에서 제어반의 신호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단계와,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열림명령신호를 입력받거나 입력받는 중에 판단부가 끼임방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인버터로 급정지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급정지시키는 급정지단계와,
상기 끼임방지센서의 출력이 중단되면 상기 신호제어부를 패스 작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상기 끼임방지센서의 출력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끼임 위험을 알리는 위험알림단계와,
상기 도어 열림이 급정지된 후에도 끼임방지센서의 출력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판단부가 상기 인버터로 닫힘명령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닫는 닫기단계가 구비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손, 발 등의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추가하고자 할 때 신호제어부, 판단부, 알림부가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어 작동 모터의 인버터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시공으로 추가 가능하며, 끼임방지센서의 오작동 또는 불량,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오작동 패턴과 이상상황의 경우가 고려되어 판단부의 즉각적인 판단으로 끼임방지센서 출력이 무시될 수 있어서 기존의 엘리베이터 도어 작동과 엘리베이터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고,
안전을 위해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이 지체되어도 판단부가 신호제어부를 통해 제어반으로 열림완료감지센서의 출력과 같은 열림감지신호를 출력시켜 제어반으로 하여금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끼임 방지 안전 작동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작동 완료가 지체되어 제어반이 엘리베이터의 고장으로 오판함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출력 신호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설명도.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흐름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500)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작동을 위한 모터(100)를 제어하는 인버터(200)와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300) 사이의 신호를 가공하는 신호제어부(510)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출입되는 틈에 근접 설치된 끼임방지센서(430)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520)와,
상기 판단부(520)의 판단에 따라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53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신호제어부(510)는 상시에는 제어반(300)의 신호를 인버터(200)에게 패스하며, 상기 끼임방지센서(430) 감지 시 상기 판단부(520)의 판단에 따라 제어반(300)의 신호를 바이패스하고 판단부(520)의 제어신호를 인버터(200)에게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판단부(520)는 제어반(300)의 열림명령신호 출력 중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제어부(510)를 바이패스로 작동시키고 인버터(200)에 급정지신호를 입력시키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면 열림완료감지센서(420)의 출력과 같은 열림감지신호를 제어반(300)으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림부(530)는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열림이 정지된 이후에도 일정시간동안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지속되면 "끼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열림이 중단되었고,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열림작동이 중단되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손 끼임을 주의하고, 도어(400)로부터 물러날 것"을 안내하는 알림을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스피커(440)나 부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며, 작동이나 이상을 빛이나 색으로 표시하는 LED(531)가 구비될 수 있고, 끼임방지센서(430)의 이상작동이나 고장 등이 발생되면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600)와 통신하여 이상을 알리는 무선통신모듈(532)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500)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도 2로 예시하였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제어반(300)으로부터 입력되는 열림명령신호 및 닫힘명령신호를 상시에는 패스하여 그대로 도어(400) 작동용 모터(100)를 제어하는 인버터(200)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열림과 닫힘 완료 시 센싱되는 열림완료감지센서(420)와 닫힘완료감지센서(4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반(300)과 인버터(200)로 패스하여 전달하며, 이와 같은 신호의 흐름을 도 3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500)의 신호제어부(510)가 상시에는 패스로 작동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400) 작동 및 엘리베이터 운행과 차이 없이 그대로 작동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시 작동 중 제어반(300)으로부터 열림명령신호를 신호제어부(510)가 입력받아 인버터(200)로 패스하여 전달하는 중에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판단부(520)는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열리던 중에 엘리베이터 도어(400)와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사이에 끼임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판단하여 신호제어부(510)를 바이패스로 작동시켜 제어반(300)의 신호를 바이패스 시키는 동시에 인버터(200)로 급정지명령신호를 입력시켜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열림작동이 급 중단되고, 즉시 정지되도록 하여 끼임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열리던 도중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끊기면 끼임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신호제어부(510)를 다시 패스로 작동시키는 것이고, 이에 따라 열림완료감지센서(420)로부터 열림감지신호를 입력받기까지 제어반(300)에서 계속 출력중인 열림명령신호가 다시 인버터(200)로 전달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다시 열리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반(300)으로부터 열림명령신호를 신호제어부(510)가 입력받아 인버터(200)로 패스하여 전달하는 중에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어 판단부(520)의 판단에 따라 신호제어부(510)가 바이패스로 작동됨과 동시에 인버터(200)로 급정지명령신호를 입력시켜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열림작동이 급 중단 및 정지되어 끼임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방지한 후에도 일정시간동안 상기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판단부(520)에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도어(400)도 함께 중단 및 정지된 상태 그대로 정지되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제어반(300)은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열리지 않는 이상 상황으로 오판하여 엘리베이터 자체의 작동 중단 등 엘리베이터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판단부(520)는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열림완료감지센서(420)의 열림감지신호와 같은 신호를 제어반(300)으로 보내어 제어반(300)은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열림 상태로 대기 중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내에서는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끼임방지센서(430)를 터치하고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440)와 연결된 연결선을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400)의 작동이 중단된 이유와, 지금도 끼임방지센서(430)가 터치되고 있음을 알리는 알림방송을 송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사라지면 판단부(520)가 제어반(300)의 열림명령신호와 같은 신호를 인버터(200)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도어(400) 열림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알림방송을 출력 했음에도 불구하고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되면 이때에는 엘리베이터 도어(400)를 열지 않고 인버터(200)로 닫힘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를 다시 닫고,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400)를 닫았는데도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끼임방지센서(430)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부(530)의 LED(531)와 무선통신모듈(532)을 통해 고장이 발생된 끼임방지센서(430)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600)에 알림을 실시하여 고장을 알리고 수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며, 수리 전까지 해당 끼임방지센서(430)의 출력은 무시하고 인버터(200)로 열림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도어(400)를 여는 작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제어반(300)으로부터 닫힘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상황과, 모든 끼임방지센서(430)에서 동시에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패턴,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패턴 등은 판단부(520)가 끼임방지센서(430)의 고장, 노이즈 또는 아이들의 장난으로 판단하여 무시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400)가 열리는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도어(400)와 프레임 사이에 끼임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자 추가로 구성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입출력부(540)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방범카메라, 무게센서 등과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내부 정보를 입력받아 판단부(520)의 이상상황 판단과 끼임방지센서(430) 오작동 판단 등의 판단 시 엘리베이터 내부의 복잡도, 과적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내부 환경 상태를 고려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아이의 장난으로 인한 이상상황에서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방범카메라의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532)을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600)로 전송하여 즉각적인 사실 확인 및 엘리베이터 내부의 스피커(440)를 통한 경고방송 등으로 신속한 문제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500)에 의한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신호제어부(510)가 제어반(300)과 인버터(200)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여 그대로 전달하는 패스단계와,
상기 제어반(300)으로부터 열림명령신호를 입력받거나 입력받는 중에 판단부(520)가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제어부(510)에서 제어반(300)의 신호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단계와,
상기 제어반(300)으로부터 열림명령신호를 입력받거나 입력받는 중에 판단부(520)가 끼임방지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인버터(200)로 급정지신호를 출력하여 도어(400)를 급정지시키는 급정지단계와,
상기 끼임방지센서(430)의 출력이 중단되면 상기 신호제어부(510)를 패스 작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상기 끼임방지센서(430)의 출력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440)를 통해 끼임 위험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하는 위험알림단계와,
상기 도어(400) 열림이 급정지된 후에도 끼임방지센서(430)의 출력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판단부(520)가 상기 인버터(200)로 닫힘명령신호를 출력하여 도어(400)를 닫는 닫기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닫기단계 후에도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와, 상기 끼임방지센서(430)의 출력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와, 상기 제어반(300)으로부터 닫힘명령신호의 입력 중 끼임방지센서(430)의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는 상기 판단부(520)가 끼임방지센서(430)의 오류로 판단하여 무시하는 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모터 200:인버터 300:제어반
400:엘리베이터 도어 410:닫힘완료감지센서 420:열림완료감지센서
430:끼임방지센서 440:스피커 500:인터페이스장치
510:신호제어부 520:판단부 530:알림부 531:LED
532:무선통신모듈 540:입출력부 600:이동통신단말기

Claims (5)

  1. 삭제
  2. 엘리베이터 도어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와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 사이의 신호를 가공하는 신호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되는 틈에 근접 설치된 끼임방지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끼임사고 발생 전에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상을 알리는 알림부가 구성되되,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시에는 제어반의 신호를 인버터에게 패스하며, 상기 끼임방지센서 감지 시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제어반의 신호를 바이패스하고 판단부의 제어신호를 인버터에게 입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어반의 열림명령신호 출력 중 끼임방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제어부를 바이패스로 작동시키고 인버터에 급정지신호를 입력시키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끼임방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면 열림완료감지센서의 출력과 같은 열림감지신호를 제어반으로 출력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140100584A 2014-08-05 2014-08-05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149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584A KR101493667B1 (ko) 2014-08-05 2014-08-05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584A KR101493667B1 (ko) 2014-08-05 2014-08-05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667B1 true KR101493667B1 (ko) 2015-02-16

Family

ID=5259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0584A KR101493667B1 (ko) 2014-08-05 2014-08-05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590A (ja) * 1992-09-02 1994-03-2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用ドアの制動装置
KR20050077538A (ko) * 2004-01-28 2005-08-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JP2008087899A (ja) 2006-09-29 2008-04-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KR20100109667A (ko) * 2009-04-01 2010-10-11 (주)테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590A (ja) * 1992-09-02 1994-03-2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用ドアの制動装置
KR20050077538A (ko) * 2004-01-28 2005-08-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JP2008087899A (ja) 2006-09-29 2008-04-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KR20100109667A (ko) * 2009-04-01 2010-10-11 (주)테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379B2 (ja) 自動的に閉じるドアシステムの機能性を決定する方法、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1518814B1 (en) Door control device of elevator
US9382746B2 (en) Door control device
WO2020044030A1 (en) An elevator door sensor arrangement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53808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1493667B1 (ko)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CA266565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utomatic modification of near term automated movement options as regards a movable barrier
JP2008056469A (ja) エレベータドア安全装置
JP201708828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
US20180134523A1 (en) Escalator system
JP2005096899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安全装置
KR20170018635A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US20130111813A1 (en) Preventing the improper installation of an automatic door safety circuit
US20220017334A1 (en) Door controller and doo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at least one door leaf of an elevator door
JP200511976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10100697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68935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029580A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運転装置および方法
JP5463753B2 (ja) 荷物用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0778073B1 (ko)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
JPH07158345A (ja) 車両用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JP2003176680A5 (ko)
JP3220036B2 (ja) 安全装置付きパワーウィンド装置
JP2005194052A (ja) エレベータか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