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71B1 - 동작 완구 - Google Patents

동작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71B1
KR101493171B1 KR20130139986A KR20130139986A KR101493171B1 KR 101493171 B1 KR101493171 B1 KR 101493171B1 KR 20130139986 A KR20130139986 A KR 20130139986A KR 20130139986 A KR20130139986 A KR 20130139986A KR 101493171 B1 KR101493171 B1 KR 10149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y body
unit
toy
inform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232A (ko
Inventor
마사유키 엔도
다카미치 무라야마
마사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4007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8Mounting of parts within dolls, e.g. automatic eyes or parts for ani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완구체끼리의 접속에 따라서 동작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한 동작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작 완구(10)는 제1 완구체(20M)와, 이 제1 완구체(20M)에 접속되는 복수 종류의 제2 완구체(50)를 갖는다. 제1 완구체(20M)는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를 갖는다. 동작 제어부(61)는 식별 정보 입력부(32)에서 입력된 제2 완구체(50)의 식별 정보(41)를 식별 정보 기억부(65)에 기억시키고, 제1 접속 검출부(36R), 제2 접속 검출부(36L)에서, 제2 완구체(50)가 제1 접속부(26R), 제2 접속부(26L)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식별 정보 기억부(65)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41)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동작 완구{ACTION TOY}
본 발명은 완구체끼리의 접속에 따라서 동작하는 동작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로봇의 형태를 한 소리 발생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소리 발생 완구는 동체부의 좌우 양쪽 면에 삽입구를 형성하여, 이 삽입구의 내측에 선택 스위치를 근접시켜 설치하고, 이 선택 스위치를 소리 발생 수단의 음색 지정 단자에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이 소리 발생 완구에서는 아암부의 형상을 한 복수의 부품 중 어느 하나를 삽입구에 삽입하면, 로봇으로서 다른 형태로 되는 동시에, 삽입된 부품의 플러그에 의한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의 조합에 의해 소리 발생 수단의 음색이 선택된다.
종래의 소리 발생 완구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동체부의 좌우 양측의 겨드랑이 외에, 흉부에도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삽입구의 각각에, 음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어떤 삽입구에 부품을 삽입해도, 그 부품에 따른 음색이 선택된다. 즉, 삽입한 부품과 발생하는 소리가 확실하게 대응하므로, 소리 발생 완구로서는 바람직한 동작이 얻어진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5-38784호 공보
그러나, 완구의 복수의 부위에 선택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은, 사용하는 스위치가 증가하고, 또한 구조도 복잡화되므로, 완구의 고액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의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선택 스위치가 확실하게 온, 오프되기 위해서는, 선택 스위치 및 플러그에 대해 높은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확실하게 동작하도록 완구를 조정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해 버려, 완구가 더욱 고액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구를 충분히 조정할 수 없으면, 플러그를 삽입해도 선택 스위치가 온으로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구체끼리의 접속에 따라서 동작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한 동작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제1 완구체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되는 제2 완구체로 이루어지는 동작 완구이며,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2 완구체는 복수 종류 준비되어 있고, 각각의 제2 완구체는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 지지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제2 완구체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가 보유 지지하고 있는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식별 정보 입력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를 기억 가능한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접속 검출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정보를, 식별 정보마다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동작 정보 기억부와, 동작 제어부를 갖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검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1 접속 검출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2 접속 검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완구체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적어도 2 이상 기억하는 것이고,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의 조합 중,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일 때,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완구체는 인형의 동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인형의 다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함으로써 인형이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완구체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서 제거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완구체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되어, 복수 종류 준비된 제2 완구체와, 각각의 제2 완구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 지지한 복수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작 완구이며,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가 보유 지지하고 있는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식별 정보 입력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를 기억 가능한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접속 검출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정보를, 식별 정보마다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동작 정보 기억부와, 동작 제어부를 갖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검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1 접속 검출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2 접속 검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완구체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적어도 2 이상 기억하는 것이고,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의 조합 중,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일 때,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완구체는 인형의 동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인형의 다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함으로써 인형이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정보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완구체에 설치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구체끼리의 접속에 따라서 동작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한 동작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동작 완구의 정면도.
도 2의 (a)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의 측면도, (b)는 (a)의 b 화살표도.
도 3은 동작 완구의 분해도.
도 4의 (a)는 도 3의 a 화살표도, (b)는 도 3의 b 화살표도, (c)는 도 3의 c 화살표도.
도 5는 제1 완구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의 (a) 내지 (c)는 동작 정보 기억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의 (a) 내지 (c)는 동작 완구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동작 완구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도 8에 이어서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9에 이어서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10에 이어서 도시하는 흐름도.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칭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해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동작 완구(10)는 인형의 동체부(21)를 구성하는 제1 완구체(20M)와, 인형의 좌우의 아암부(본 발명에서 말하는 「다리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또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제거 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 완구체(50)를 갖는다. 제1 완구체(20M) 및 제2 완구체(50)는 공룡을 모방한 모형이다. 동작 완구(10)는 제1 완구체(20M)에 제2 완구체(50)를 물도록 하여 접속함으로써, 공룡끼리가 합체한 인형의 합체 로봇을 완성시켜 즐기는 완구이다. 이 동작 완구(10)에서는, 복수 종류의 제2 완구체(50)가 준비되어 있고, 제2 완구체(50)를 교체함으로써, 합체한 동작 완구(10)의 외관이나 형태 등을 변화시켜 즐길 수도 있다.
또한, 동작 완구(10)에서는 제1 완구체(20M)에 제2 완구체(50)를 접속했을 때나, 합체를 완성시켰을 때에, 음성에 의한 연출(본 발명에서 말하는 「동작」의 일례)이 행해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복수 종류의 제2 완구체(50)의 각각 및 제1 완구체(20M)에는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41)가 설정되어 있고, 이 식별 정보(41) 및 그 조합에 따라서, 음성에 의한 연출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식별 정보(41)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 중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제2 완구체(50)를 구별하여 설명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A」, 「B」, 「C」를 후속시킨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복수 종류의 식별 정보(41) 및 복수 종류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구별하여 설명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A」, 「B」, 「C」, 「M」을 후속시킨 부호를 사용한다.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의 구성을 도 2,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는, 예를 들어 건전지를 모방한 모형이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위치 결정 리브(42)가 설치된다. 또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 방향 양단부면의 각각에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가 설치된다. 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는 후술하는 제2 완구체(50A, 50B, 50C)(도 3 참조)의 각각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이고, 각종 구성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돌기(45)가 있는지 여부의 2가지의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피식별부(46)를 6개소 설정하고, 이들 6개소의 피식별부(46)에 의해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를 구성한다. 이에 의해,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에는 26=64(종류)의 식별 정보(41)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돌기(45)의 구성이 서로 다른 64종류의 식별 정보(41)[64종류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설정할 수 있고, 64종류의 종별 정보(41)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2 완구체(50)를 64종류 준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구체(20M)에 접속 가능한 3종류의 제2 완구체[50(50A, 50B, 50C)]가 준비되어 있고, 64종류의 식별 정보(41) 중, 1개를 제2 완구체(50A)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A)에 보유 지지되는 식별 정보(41A)로서 사용하고, 1개를 제2 완구체(50B)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B)에 보유 지지되는 식별 정보(41B)로서 사용하고, 1개를 제2 완구체(50C)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C)에 보유 지지되는 식별 정보(41C)로서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제2 완구체(50)와는 별체의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일체의 것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 경우에는 제2 완구체(50) 자체에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를 설치하는[즉, 제2 완구체(50)가 자신의 식별 정보(41)를 보유 지지하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를 갖고 있음]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의 형상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에 상당하는 바코드나 문자열, 숫자열, 또는 그 조합이 인쇄된 카드로 해도 되고, 식별 정보를 ID 데이터로서 보유 지지한 RFID 태그에 의해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구성하고, 이와 같은 RFID 태그가 설치된 어떤 형상물(예를 들어, 원반 형상의 메달 등)로 해도 된다.
[제1 완구체(20M), 제2 완구체(50)의 구성]
다음에, 제1 완구체(20M), 제2 완구체(50)의 구성을 도 3,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구체(20M)는 동체부(21)와, 이 동체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좌우 2개의 다리부(22)를 갖는다. 또한, 제1 완구체(20M)에 있어서도, 고유의 식별 정보(41M)가 설정되고, 이 고유의 식별 정보(41M)를 보유 지지하는 고유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M)가 설정되어 있다. 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M)의 식별 정보(41M)는 전술한 64종류의 식별 정보(41) 중 하나이다.
동체부(21) 중 공룡의 구부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삽입 가능한 입력용 삽입 구멍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이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와는 다른 위치[여기서는, 동체부(21)의 우측의 겨드랑이부(25R) 및 좌측의 겨드랑이부(25L)]에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가 설치된다.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는 모두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설치된 상체의 제2 완구체(50)를 접속했을 때, 당해 설치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삽입되는 구멍부를 갖고 있다. 또한, 동체부(21)의 정면측의 부위(예를 들어, 흉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압박되는 조작부(27)가 설치되고, 동체부(21)의 배면측의 부위에는 전원 스위치(28)가 설치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의 내주면에는 위치 결정 리브(42)[도 2의 (b) 참조]가 끼워 맞춤 가능한 입력용 위치 결정 오목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의 안측에는 식별 정보 입력부(32)가 설치된다.
이 식별 정보 입력부(32)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의 식별 정보(41)(도 2 참조)가 입력되는 부분이고, 피식별부(46)(도 2 참조)의 수 및 배치에 대응한 복수(이 예에서는, 6개)의 입력용 스위치(33)로 구성된다. 각 입력용 스위치(33)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도 2 참조)가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에 삽입되었을 때,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돌기(45)(도 2 참조)의 유무를 검출하고, 식별 정보(41)(도 2 참조)를 검출한다. 각 입력용 스위치(33)는, 예를 들어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의 개구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어, 돌기(45)(도 2 참조)가 있을 때에는 후퇴하여 돌기(45)(도 2 참조)가 있는 것을 검출하는 한편, 돌기(45)(도 2 참조)가 없을 때에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돌기(45)(도 2 참조)가 없는 것을 검출하는 가동식 스위치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도 2 참조)의 축 방향 양단부의 어느 한쪽을 입력용 삽입 구멍부(23)를 향하게 하고, 위치 결정 리브(42)(도 2 참조)를 입력용 위치 결정 오목부(31)에 맞추면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도 2 참조)를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의 안측까지 삽입함으로써, 식별 정보(41)(도 2 참조)를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입력부는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 및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의 보유 지지의 방법에 따른 식별 정보 입력부이면 된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가 카드이고,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는 당해 카드에 인쇄된 바코드이면, 식별 정보 입력부는 바코드 리더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가 카드여도,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가 당해 카드에 인쇄된 문자열, 숫자열, 또는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 가능한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RFID 태그로 구성한 경우에는, 보유 지지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RFID 태그 리더로 식별 정보 입력부를 구성하면 된다.
또한,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도 4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리브(42)(도 2 참조)가 끼워 맞춤 가능한 접속용 위치 결정 오목부(35)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의 각각의 내부에는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가 설치된다.
이들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는 각종 스위치로 구성 가능하고, 각각, 제2 완구체(50)가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에 접속되었을 때, 제2 완구체(50)(도 3 참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는 제2 완구체(50)(도 3 참조)가 삽입되었을 때, 그 삽입에 따라서 이동하는 가동식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완구체(50)에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에 대해서도, 제2 완구체(50)를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에 접속했을 때에, 제2 완구체(50)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식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는 어떤 수단에 의해 제2 완구체(50)의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에 대한 접속을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를 광량 센서로 하고, 제2 완구체(50)를 접속한 것에 의한 광량 센서에 입력되는 광량의 감소에 따라서 접속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적외선의 발광부, 수광부로 하고,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적외선이, 접속된 제2 완구체(50)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것에 따라서, 제2 완구체(50)의 접속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자체가 가동식 스위치로 되어,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를 구성하고 있고, 제2 완구체(50)가 접속함으로써 이동하여 온으로 됨으로써, 접속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에 있어서의 제2 완구체(50)의 접속의 검출 방법은 임의이고, 제2 완구체(50)에 대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설치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나, 또한 제2 완구체(50) 자체에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도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제2 완구체(50)에 설치되지 않는, 즉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제2 완구체(50)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라도, 그것에 따른 접속의 검출 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으로 돌아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완구체(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완구체(50A), 제2 완구체(50B), 제2 완구체(50C)의 3종류가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제2 완구체(50)는 공룡을 모방한 본체부(51)와, 이 본체부(51)의 공룡의 구부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부(52)와, 이 삽입 구멍부(52)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제2 완구체(50)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삽입 구멍부(52)에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제1 접속부(26R) 혹은 제2 접속부(26L)에 대해 접속되고, 제1 완구체(20M)에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완구체(50)에,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필수가 아니다. 제2 완구체(50)와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는 별체로 하고, 제2 완구체(50)를 제1 완구체(20M)에 접속할 때에도,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는 제2 완구체(50)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완구체(50A, 50B, 50C)의 각각의 본체부(51)는 외관(예를 들어, 색이나 형, 모양 등)이 서로 다르다. 또한, 제2 완구체(50A, 50B, 50C)의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A, 40B, 40C)에 대해서도, 외형이 대략 동일하지만, 색이나 모양, 문자 등의 차이에 의해 구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제2 완구체(50)로부터 제거된 상태라도, 사용자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어떤 제2 완구체(50)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1 완구체(20M)의 내부 구성]
다음에, 제1 완구체(20M)의 내부 구성을 도 5,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구체(20M)는 동작 제어부(61)를 내부에 갖는다. 이 동작 제어부(61)에는 전원 스위치(28)를 통해 전지(62)가 접속되어 있고, 전원 스위치(28)를 온으로 하면, 동작 제어부(61)에 전류가 흘러 제어가 개시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61)에는 식별 정보 입력부(32), 제1 접속 검출부(36R) 및 제2 접속 검출부(36L)가 접속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61)에는 동작부(63), 식별 정보 기억부(65) 및 동작 정보 기억부(66)가 접속된다. 식별 정보 기억부(65), 동작 정보 기억부(66) 및 동작 제어부(61)는 제1 완구체(20M)에 내장되는 기판 상에 탑재된다.
동작부(63)는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 수단(예를 들어, 스피커)으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발음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동작부(63)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동작부」는 발음 수단 외에, LED(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수단이나, 발음 수단과 발광 수단이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완구체(20M)의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해도 된다.
식별 정보 기억부(65)는 식별 정보 입력부(32)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41)를 기억 가능하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기억 가능하거나, 또는 적어도 2 이상 기억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식별 정보 입력부(32)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41) 중, 최대 3개의 식별 정보(41)를 식별 정보 기억부(65)에 기억 가능하게 하고, 새롭게 식별 정보(41)가 입력된 경우에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가장 먼저 입력된 식별 정보(41), 즉 가장 오래된 식별 정보(41)가 소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별 정보 기억부(65)의 기능을 도 6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있어서, 식별 정보(41A), 식별 정보(41B), 식별 정보(41C)가 식별 정보 입력부(32)로부터 순차 입력되면, 식별 정보 기억부(65)에서는, 입력순으로, 식별 정보(41A)를 「(입력순이) 1번째의 식별 정보」, 식별 정보(41B)를 「(입력순이) 2번째의 식별 정보」, 식별 정보(41C)를 「(입력순이) 3번째의 식별 정보」로 하여 기억한다. 다음에, 도 6의 (b)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식별 정보(41M)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1번째의 식별 정보(41A)를 소거하고, 식별 정보(41B)를 「(입력순이) 1번째의 식별 정보」, 식별 정보(41C)를 「(입력순이) 2번째의 식별 정보」로 하여, 그 순위를 앞당기는 동시에, 새롭게 입력된 식별 정보(41M)를 3번째의 식별 정보로 하여 기억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6의 (c)에 있어서, 새롭게 식별 정보(41A)가 입력된 경우, 1번째의 식별 정보(41B)를 소거하고, 식별 정보(41C)를 「(입력순이) 1번째의 식별 정보」, 식별 정보(41M)를 「(입력순이) 2번째의 식별 정보」로서, 그 순위를 앞당기고, 「(입력순이) 3번째의 식별 정보」로 하여 식별 정보(41A)를 기억한다.
도 5로 돌아간다. 동작 정보 기억부(66)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63)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정보를, 식별 정보(41)마다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또한, 동작 정보 기억부(66)는 2 이상의 식별 정보(41)의 조합[이 예에서는, 3개의 식별 정보(41)의 조합] 중,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동작 제어부(61)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한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41)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킨다. 다음에,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에, 다른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면,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41)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킨다.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하나의 식별 정보(41)와 판독하기 위한 「소정의 규칙」은 다양한 것이 생각되지만,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작 제어부(61)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한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1번째의 식별 정보(41)[입력순이 가장 오래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1번째, 2번째, 3번째의 식별 정보(41)가 도 6의 (a)와 같은 상태이면, 식별 정보(41A)]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키고, 다음에,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에, 다른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면,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2번째의 식별 정보(41)[입력순이 2번째로 오래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1번째, 2번째, 3번째의 식별 정보(41)가 도 6의 (a)와 같은 상태이면, 식별 정보(41B)]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리성으로부터 이 규칙을 「소정의 규칙의 제1 예」라고 호칭한다.
또한, 「소정의 규칙」의 다른 예로서는, 동작 제어부(61)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한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입력순이 가장 최근인 식별 정보(41)보다 2개 앞에 입력된 식별 정보(41)[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번째의 식별 정보(41), 예를 들어,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1번째, 2번째, 3번째의 식별 정보(41)가 도 6의 (a)와 같은 상태이면, 식별 정보(41A)]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키고, 다음에,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에, 다른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면,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가장 입력순이 최근인 식별 정보(41)보다 1개 앞에 입력된 식별 정보(41)[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2번째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1번째, 2번째, 3번째의 식별 정보(41)가 도 6의 (a)와 같은 상태이면, 식별 정보(41B)]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리성으로부터 이 규칙을 「소정의 규칙의 제2 예」라고 호칭한다.
또한, 「소정의 규칙」의 다른 예로서는, 동작 제어부(61)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한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3번째의 식별 정보(41)[입력순이 가장 최근인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1번째, 2번째, 3번째의 식별 정보(41)가 도 6의 (a)와 같은 상태이면, 식별 정보(41C)]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를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리성으로부터 「소정의 규칙의 제3 예」라고 호칭한다. 「소정의 규칙의 제3 예」의 경우,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에, 다른 제2 완구체(50)가 접속을 하기 전에, 새로운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입력부에 입력하고, 예를 들어, 도 6의 (b)와 같이, 새로운 식별 정보(41M)를 입력하고,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있어서의 3번째의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41M)로 변화시켰다고 하면, 이 후,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중,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에, 다른 제2 완구체(50)가 접속을 하면, 「소정의 규칙의 제3 예」에 따라서,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3번째의 식별 정보(41), 즉, 도 6의 (b)와 같은 상태이면 식별 정보(41M)를 판독하고, 그것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61)는 조작부(27)가 조작되었을 때, 식별 정보 기억부(65)에 기억되어 있는 2 이상의 식별 정보(41)[이 예에서는, 3개의 식별 정보(41)]가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한 조합이었을 때, 동작 정보 기억부(66)로부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동작부(63)를 동작시킨다.
계속해서, 동작 완구(10)의 사용예(합체예)를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하나의 식별 정보(41)와 판독하기 위한 「소정의 규칙」은, 전술한 「소정의 규칙의 제1 예」인 것으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완성시키고 싶은 동작 완구(10)에 있어서 좌우의 아암부가 되는 제2 완구체(50)를 2개 선택하고, 이들 제2 완구체(50)의 각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포함하는 3개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를 준비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완구체(50A) 및 제2 완구체(50B)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한 제2 완구체(50A), 제2 완구체(50B)의 각각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A),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B) 외에, 제1 완구체(20M)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M)를 준비한다. 그리고,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A)를 입력용 삽입 구멍부(23)에 삽입하여[화살표 (1)], 식별 정보(41A)를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입력한 후,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A)를 입력용 삽입 구멍부(23)로부터 뽑아낸다[화살표 (2)]. 이때, 동작 제어부(61)(도 5 참조)가 식별 정보(41A)에 따른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도 5 참조)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입력 효과음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B)의 식별 정보(41B) 및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M)의 식별 정보(41M)를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순차 입력한다. 이에 의해,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는 식별 정보(41A), 식별 정보(41B), 식별 정보(41M)의 순서대로 3개의 식별 정보(41)가 기억된다. 즉, 식별 정보(41A)가 1번째의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식별 정보(41B)가 2번째의 식별 정보로서 기억되고, 식별 정보(41M)가 3번째의 식별 정보로서 기억된다.
다음에,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A)를 제2 완구체(50A)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시켜[화살표 (3)], 제2 완구체(50A)를 제1 접속부(26R)에 접속한다[화살표 (4)]. 그러면, 동작 제어부(61)(도 5 참조)에 의해, 「소정의 규칙의 제1 예」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1번째의 식별 정보(41A)가 판독되고, 이 식별 정보(41A)에 따른 동작 정보가 동작 정보 기억부(66)(도 5 참조)로부터 판독되고, 이 판독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식별 정보(41A)에 따른 접속 효과음[예를 들어, 공통의 접속 효과음 「가부린쵸」와 제2 완구체(50A)의 종류명의 음성]이 발생한다. 또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B)를 제2 완구체(50B)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시켜[화살표 (5)], 제2 완구체(50B)를 제2 접속부(26L)에 접속한다[화살표 (6)]. 이에 의해, 동작 제어부(61)(도 5 참조)에 의해, 「소정의 규칙의 제1 예」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2번째의 식별 정보(41B)가 판독되고, 이 식별 정보(41B)에 따른 동작 정보가 동작 정보 기억부(66)(도 5 참조)로부터 판독되고, 이 판독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식별 정보(41B)에 따른 접속 효과음[예를 들어, 공통의 접속 효과음 「가부린쵸」와 제2 완구체(50B)의 종류명의 음성]이 발생한다.
접속 효과음은, 먼저 접속한 제2 완구체(50A)에서는, 식별 정보(41A)에 대응한 것[예를 들어, 공통의 접속 효과음 「가부린쵸」와 제2 완구체(50A)의 종류명의 음성]이고, 나중에 접속한 제2 완구체(50B)에서는, 식별 정보(41B)에 대응한 것[예를 들어, 공통의 접속 효과음 「가부린쵸」와 제2 완구체(50B)의 종류명의 음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식별 정보(41)를 입력하는 순서에 맞추어, 제1 완구체(20M)에 제2 완구체(50)를 순서대로 접속시키면, 사용자는, 마치, 제2 완구체(50A)의 접속 시에 식별 정보(41A)가 입력되고, 제2 완구체(50B)의 접속 시에 식별 정보(41B)가 입력된 것과 같이, 제2 완구체(50A, 50B) 각각에 따른 접속 효과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완구체(50A)보다도 먼저 제2 완구체(50B)를 접속한 경우, 제2 완구체(50B)의 접속 시에, 식별 정보(41A)에 대응한 접속 효과음[예를 들어, 공통의 접속 효과음 「가부린쵸」와 제2 완구체(50A)의 종류명의 음성]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접속한 제2 완구체(50B)에는 대응하지 않는 접속 효과음이 발생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식별 정보(41)를 입력하는 순서에 대해, 제2 완구체(50)를 접속시키는 순서가 맞추어져 있지 않은 것[소정의 규칙(「소정의 규칙의 제1 예」)에 맞추어져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하기 위해, 식별 정보(41)를 입력하는 순서와, 제2 완구체(50)를 접속시키는 순서를 맞추는 고안을 행하게 된다.
다음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27)를 손으로 누르면, 동작 제어부(61)(도 5 참조)가 조작부(2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A), 식별 정보(41B), 식별 정보(41M)가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식별 정보(41A), 식별 정보(41B), 식별 정보(41M)가 특정한 조합일 때, 동작 정보 기억부(66)(도 5 참조)로부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동작부(63)(도 5 참조)에 의해 합체의 완성 효과음을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이 사용되는 동작 완구(10)의 제어예를 도 8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작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하나의 식별 정보(41)와 판독하기 위한 「소정의 규칙」은, 전술한 「소정의 규칙의 제1 예」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제어예로 각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에서, 식별 정보 입력부(32)(도 3 참조)에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1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에서,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스텝 2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41)를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하고, 스텝 3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입력 효과음을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제2 완구체(50)(도 3 참조)의 명칭 등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 4에서, 식별 정보 입력부(32)(도 3 참조)에 다음의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10으로 진행한다. 한편, 다음의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스텝 5로 진행하여,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가 3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정보(41)가 3개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2로 돌아간다.
스텝 5에서,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가 3개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 중 1번째의 식별 정보(41)를, 스텝 6에서 소거하고, 스텝 7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41)를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3번째의 식별 정보(41)로서 기억시킨 후, 스텝 3과 마찬가지로, 스텝 8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입력 효과음을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출력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9에서, 식별 정보 입력부(32)(도 3 참조)에 또한 다음의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스텝 6으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9에서,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10으로 진행하여, 제1 접속 검출부(36R), 제2 접속 검출부(36L)(도 3 참조)에 의해, 제1 접속부(26R), 제2 접속부(26L)(도 3 참조) 중, 어느 한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24로 진행한다.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에는, 스텝 11에서,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3개의 식별 정보(41)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11에서, 3개의 식별 정보(41)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12에서, 「소정의 규칙의 제1 예」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로부터 1번째의 식별 정보(41)를 판독하고, 스텝 13에서, 판독한 1번째의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동작 정보 기억부(66)(도 5 참조)로부터 판독하고, 스텝 14에서, 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부(63)(도 5 참조)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접속 효과음에 있어서의 공통 음성인 「가부린쵸!」 이후, 1번째의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제2 완구체(50)의 명칭」을 접속 효과음으로서 출력한다.
한편, 스텝 11에서, 3개의 식별 정보(41)가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식별 정보(41)에 대응하는 접속 효과음을 발생하는 조건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스텝 15에서, 통상의 접속 효과음(예를 들어, 공통 음성인 「가부린쵸!」만)을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출력한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16에서, 제1 접속부(26R) 또는 제2 접속부(26L) 중,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에는, 스텝 11 내지 14와 마찬가지로, 스텝 17 내지 20을 실행한다. 한편,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24로 진행한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22에서,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의 양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의 양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었을 때에는, 스텝 23에서, 조작부(27)(도 3 참조)의 조작을 재촉하는 임의의 조작 대기음을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스텝 22에서,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의 양쪽에 제2 완구체(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조작 대기음을 출력하지 않고, 스텝 24로 진행한다.
스텝 24에서는 조작부(27)(도 3 참조)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부(27)(도 3 참조)가 조작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4로 돌아간다. 한편, 조작부(27)(도 3 참조)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스텝 25에서,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25에서,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가 아닐 때에는, 합체를 완성시키는 조건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스텝 26에서, 단순한 조작 효과음[예를 들어, 조작 효과음에 있어서의 공통 음성인 「합체 로봇의 명칭」만]을 동작부(63)(도 5 참조)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스텝 25에서,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식별 정보(41)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일 때에는, 스텝 27에서, 식별 정보 기억부(65)(도 5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가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가 특정한 조합일 때에는, 스텝 28에서, 동작 정보 기억부(66)(도 5 참조)로부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스텝 29에서, 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동작부(63)(도 5 참조)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3개의 식별 정보(41)가 식별 정보(41A), 식별 정보(41B) 및 식별 정보(41M)의 조합인 경우, 삼바의 리듬을 타고, 「완성!」이라고 하는 음성에 추가하여, 공통 음성인 「합체 로봇의 명칭」을 완성 효과음으로서 출력한다. 혹은, 3개의 식별 정보(41)가 식별 정보(41B), 식별 정보(41C) 및 식별 정보(41M)의 조합인 경우, 웨스턴의 리듬을 타고, 「완성!」이라고 하는 음성에 추가하여, 공통 음성인 「합체 로봇의 명칭」을 출력한다. 혹은, 3개의 식별 정보(41)가 식별 정보(41C), 식별 정보(41D) 및 식별 정보(41M)의 조합인 경우, 타이티안의 리듬을 타고, 「완성!」이라고 하는 음성에 추가하여, 공통 음성인 「합체 로봇의 명칭」을 출력한다.
한편, 스텝 27에서,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식별 정보(41)가 특정한 조합이 아닐 때에는, 스텝 30에서,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에 기초하여, 「완성!」이라고 하는 음성에 추가하여, 공통 음성인 「합체 로봇의 명칭」을 완성 효과음으로 하고, 특별히 리듬을 붙이지 않고 출력한다. 단, 출력 후 식별 정보 기억부(66)에 기억되어 있는 각 식별 정보(41)에 따른 효과음[예를 들어, 식별 정보(41A)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곤곤」, 식별 정보(41B)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도리도리」 등]을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완구(10)의 효과에 대해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완구(10)에서는,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를, 식별 정보 입력부(32)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고, 다른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접속부가,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와 같이 2개소 있다고 해도, 제1 접속부(26R) 및 제2 접속부(26L) 각각에 식별 정보 입력부(32)를 설치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으므로, 식별 정보 입력부(32)를 적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1개소만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식별 정보 입력부(32)가 적은 쪽, 완구체끼리의 접속에 따라서 동작하는 동작 완구(10)를, 종래의 소리 발생 완구와 비교하여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 입력의 부진에 의해 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동작 완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작업과는 별도로, 식별 정보의 입력 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도, 식별 정보 입력부(32)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 입력의 부진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제1 접속 검출부(36R), 제2 접속 검출부(36L)에서, 제2 완구체(50)가 제1 접속부(26R), 제2 접속부(26L)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식별 정보 기억부(65)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41)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41)를 판독하고[예를 들어, 「소정의 규칙의 제1 예」에서는, 먼저 접속한 제2 완구체(50)의 접속 시에는 1번째의 식별 정보(41), 나중에 접속한 제2 완구체(50)의 접속 시에는 2번째의 식별 정보(41)를 판독하고, 「소정의 규칙의 제2 예」에서는, 먼저 접속한 제2 완구체(50)의 접속 시에는 가장 입력순이 최근인 식별 정보(41)로부터 2개 앞에 입력된 식별 정보, 나중에 접속한 제2 완구체의 접속 시에는 가장 입력순이 최근인 식별 정보(41)로부터 1개 앞에 입력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소정의 규칙의 제3 예」에서는, 제2 완구체(50)를 접속한 시점에서 가장 입력순이 최근인 식별 정보(41)를 판독함], 판독한 식별 정보(41)와 대응하는 동작(음성)을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식별 정보(41)를 입력하는 순서와, 제2 완구체(50)를 접속시키는 순서를 고안하면, 실제로는, 제1 접속부(26R), 제2 접속부(26L)에 식별 정보 입력부가 없음에도, 마치, 제1 접속부(26R), 제2 접속부(26L)에 설치된 식별 정보 입력부에 의해, 제2 완구체(50)를 접속했을 때에 그 종류가 판단되어, 대응하는 동작[예를 들어, 접속된 제2 완구체(50)의 종류명의 음성 출력]이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또한,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완구체(50)에 있어서,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를 포함하는 부분을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40)로서 제거 가능하게 하였지만, 제2 완구체(50)에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43)를 일체화해도 된다.
10 : 동작 완구
20M : 제1 완구
21 : 동체부
26R : 제1 접속부
26L : 제2 접속부
27 : 조작부
32 : 식별 정보 입력부
36R : 제1 접속 검출부
36L : 제2 접속 검출부
40 :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
40A :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
40B :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
40C :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
40M :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
41 : 식별 정보
41A : 식별 정보
41B : 식별 정보
41C : 식별 정보
41M : 식별 정보
43 :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
50 : 제2 완구체
50A : 제2 완구체
50B : 제2 완구체
50C : 제2 완구체
61 : 동작 제어부
63 : 동작부
65 : 식별 정보 기억부
66 : 동작 정보 기억부

Claims (18)

  1. 제1 완구체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되는 제2 완구체로 이루어지는 동작 완구이며,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2 완구체는 복수 종류 준비되어 있고, 각각의 제2 완구체는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 지지한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제2 완구체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가 보유 지지하고 있는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식별 정보 입력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를 기억 가능한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접속 검출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정보를, 식별 정보마다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동작 정보 기억부와,
    동작 제어부를 갖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검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1 접속 검출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2 접속 검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적어도 2 이상 기억하는 것이고,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의 조합 중,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일 때,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인형의 동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인형의 다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함으로써 인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인형의 동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인형의 다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함으로써 인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서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서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서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서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0. 제1 완구체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되어, 복수 종류 준비된 제2 완구체와, 각각의 제2 완구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 지지한 복수의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작 완구이며,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1 완구체는,
    상기 식별 정보 보유 지지 부재가 보유 지지하고 있는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식별 정보 입력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기억 가능한 식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접속 검출부와,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정보를, 식별 정보마다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동작 정보 기억부와,
    동작 제어부를 갖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완구체를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검출부는,
    상기 제1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1 접속 검출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상기 제2 완구체가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한 제2 접속 검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접속 검출부에서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하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된 동작 정보를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를 적어도 2 이상 기억하는 것이고,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는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의 조합 중,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 이상의 식별 정보가 상기 특정한 조합일 때, 상기 동작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특정한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 동작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조합 동작 정보에 따라서, 상기 동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인형의 동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인형의 다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함으로써 인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인형의 동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인형의 다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완구체가 상기 제1 완구체에 접속함으로써 인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완구체에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완구체에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완구체에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완구체에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완구.
KR20130139986A 2012-12-03 2013-11-18 동작 완구 KR101493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4699A JP5444537B1 (ja) 2012-12-03 2012-12-03 動作玩具
JPJP-P-2012-264699 2012-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232A KR20140071232A (ko) 2014-06-11
KR101493171B1 true KR101493171B1 (ko) 2015-02-12

Family

ID=5003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9986A KR101493171B1 (ko) 2012-12-03 2013-11-18 동작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44537B1 (ko)
KR (1) KR101493171B1 (ko)
CN (1) CN103566594B (ko)
TW (1) TW201424818A (ko)
WO (1) WO2014087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9691B2 (ja) * 2014-03-31 2016-06-22 株式会社バンダイ 応答玩具および主玩具体
JP5739570B1 (ja) * 2014-07-04 2015-06-24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5918412B1 (ja) * 2015-03-27 2016-05-18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CN205323212U (zh) * 2015-09-08 2016-06-22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功能输出的组合玩具
WO2017048017A1 (ko) * 2015-09-14 2017-03-23 주식회사 삼쩜일사 페이퍼 크래프트 구동완구
JP6179822B2 (ja) * 2015-10-23 2017-08-16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及び演出パーツ
CN108136267A (zh) * 2015-12-01 2018-06-08 株式会社万代 布制玩偶
JP6197092B1 (ja) * 2016-11-29 2017-09-13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6917829B2 (ja) * 2016-11-29 2021-08-11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6660916B2 (ja) * 2017-05-31 2020-03-11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7217779B2 (ja) * 2017-06-22 2023-02-03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7253591B2 (ja) * 2017-08-18 2023-04-06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6494838B1 (ja) * 2018-06-01 2019-04-03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6661818B1 (ja) * 2019-07-09 2020-03-11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6868072B2 (ja) * 2019-10-01 2021-05-12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983272B2 (ja) * 2020-04-14 2021-12-17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7204722B2 (ja) * 2020-11-30 2023-01-16 株式会社バンダイ 合体玩具、制御主体玩具体及び相手玩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2691U (ko) * 1986-11-29 1988-06-15
JPH0947575A (ja) * 1995-05-26 1997-02-18 Bandai Co Ltd ゲー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286U (ko) * 1984-09-29 1986-04-28
JPH0623153A (ja) * 1992-07-06 1994-02-01 Takara Co Ltd 合体玩具
JP4707157B1 (ja) * 2010-06-29 2011-06-22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4932953B1 (ja) * 2011-07-05 2012-05-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2691U (ko) * 1986-11-29 1988-06-15
JPH0947575A (ja) * 1995-05-26 1997-02-18 Bandai Co Ltd ゲー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08288A (ja) 2014-06-12
JP5444537B1 (ja) 2014-03-19
CN103566594B (zh) 2016-01-06
CN103566594A (zh) 2014-02-12
KR20140071232A (ko) 2014-06-11
TW201424818A (zh) 2014-07-01
WO2014087733A1 (ja)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171B1 (ko) 동작 완구
JP5930671B2 (ja)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US20130069305A1 (en) Puzzle toy
CN109069929A (zh) 用于玩具识别的系统和方法
CN111065989B (zh) 用户输入设备、用于与用户输入设备使用的面板及计算机外围装置
US83522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characters aloud
JP201801840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ケース、および厚紙部材
JP6304843B2 (ja) 動作玩具
KR102218012B1 (ko)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US82927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attachment device
JP4558731B2 (ja) 読取装置
KR101707974B1 (ko) 페이퍼 크래프트 구동완구
KR20160026522A (ko) 조립 완구
CN109015613A (zh) 堆叠式模块化机器人
US8939811B2 (en) Optical toy
KR101683004B1 (ko) 로직 큐브를 이용한 코드 생성 방법 및 장치
JP6050215B2 (ja) 動作玩具
JP5640029B2 (ja) Posターミナル
KR20160128187A (ko) 유아교육용 로봇 컨트롤러 및 그 작동방법
KR102107283B1 (ko) 알고리즘 생성 장치
KR101292318B1 (ko) 교육용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로봇 컨트롤러
US20200312177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Electronic Toy System
JP6718891B2 (ja) 動作玩具
KR20240079482A (ko) 학습용 로봇
US202300735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