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522A - 조립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522A
KR20160026522A KR1020140115578A KR20140115578A KR20160026522A KR 20160026522 A KR20160026522 A KR 20160026522A KR 1020140115578 A KR1020140115578 A KR 1020140115578A KR 20140115578 A KR20140115578 A KR 20140115578A KR 20160026522 A KR20160026522 A KR 2016002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b
unit
combin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881B1 (ko
Inventor
이석
김재헌
김익재
이성온
이택진
서민아
허수정
김형석
정희철
신정훈
팽혜선
박진성
이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881B1/ko
Priority to PCT/KR2015/009178 priority patent/WO2016036101A1/ko
Publication of KR2016002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조립 완구가 개시된다. 상기 조립 완구는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서브 유닛; 상기 서브 유닛과 결합하며 상기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하여 결합된 서브 유닛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시 상기 결합정보를 수신하며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 완구{ASSEMBLY TOYS}
본 발명은 조립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결합 가능한 장난감 조립 유닛 또는 상호간 결합에 의하여 집합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토이 산업이 첨단사업으로 진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시각·촉각·청각 위주로 오락거리를 제공하거나 작동되던 토이가 터치, 음성, 동공 움직임, 모션감지 등 첨단기술을 채용하면서 스마트 기기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목제, 금속제, 플라스틱 소재의 단순 정물적이던 토이가 로봇, 원격제어, 영상 등 공학기술과 뇌 인지 등 첨단 의학기술과 융·복합을 이루면서 다차원의 복합적, 역동적, 감성적 장치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현대의 첨단 토이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절삭가공, 열처리, 표면처리 등 뿌리산업 능력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IT, CT, 로봇산업, 문화산업, 심리학적· 의학적 이론 등이 융·복합되어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퍼즐 조각이 완전하게 조립이 완료된 경우에 조립완료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퍼즐 놀이기구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70,724호에서는 완성된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각 퍼즐 조각에 설치하여 그 퍼즐 조각들이 지정된 위치에 완전하게 조립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 전기 전달통로의 일 측으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신호가 전기 전달 통로를 통과하여 타 측에 도달하게 되면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된 것으로 인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일 측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여 타 측에서 상기 퍼즐 조각들에 설치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를 통과한 전기를 감지한 경우에 음성으로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 블록을 제공하여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합물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완성되는 조합물에 따라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합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서브 유닛; 상기 서브 유닛과 결합하며 상기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하여 결합된 서브 유닛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시 상기 결합정보를 수신하며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완구를 제공한다.
상기 서브 유닛은 주파수 발진, 패턴 인식 및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한 식별 가능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 유닛은 각기 상이한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일 수 있다.
상기 서브 유닛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블록에 형성된 결합 스터드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구조가 형상화 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결합요소에는 결합 감지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광원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은 상기 제2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립 완구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 블록을 제공하여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합물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되는 조합물에 따라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합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유닛의 개략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는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는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유닛의 개략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개략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는 복수개의 서브 유닛(10), 제1블록(20) 및 제2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브 유닛(10)은 각기 상이한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일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학습용 재료로 특정 주제에 따라 세트화하여 제작될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식재료용 세트로 다양한 형태의 요리 재료를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 교실놀이 세트로 책상, 의자 등을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 또는 동물원 세트로 여러 동물의 모습을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일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서브 유닛(10)에는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공(11)을 통하여 제1블록(20)과 결합할 수 있다. 삽입공(11)은 서브 유닛(10)의 모양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되는 위치도 상이할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식재료용 세트로 제작된 요리 재료가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일 경우 일단에 삽입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동물원 세트로 여러 동물의 모습을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인 경우 동물 모양의 발에 삽입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 가능한 요소는 예를 들면 주파수 발진, 패턴 인식 및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서브 유닛(10)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유닛(10)은 특정 주파수를 발진하는 오실레이터가 장착되어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주파수를 발진하거나 바코드와 같은 특정 패턴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식별 가능한 특정 신호를 내보내는 RF-ID태그가 장착될 수 있다.
제1블록(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면체 또는 입체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1블록(20)의 적어도 일면에는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어 서브 유닛(10) 및 제2블록(30)과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 요소는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일 수 있다. 기계적 결합요소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 스터드(22)로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 스터드와 하면에는 관통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제1블록(20)은 서브 유닛(10)의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제1블록(20)은 서브 유닛(10) 식별 가능 요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내장되어 결합되는 서브 유닛(10)을 식별할 수 있다. 제1블록(20)에 내장되는 센서는 예를 들면, 주파수 수신기, 코드 리더기, 패턴 리더기, RF-ID독출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블록(20)은 결합된 서브 유닛(10)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한다.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서브 유닛(10)의 모형에 매칭되는 구조가 형상화 될 수 있다.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서브 유닛(10)이 식재료 세트인 경우 가스레인지 구조가 형상화 되거나, 교실놀이 세트인 경우 교실 구조가 형상화 되거나, 동물원 세트인 경우 동물원 구조가 형상화 될 수 있다.
또는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서브 유닛(10)의 모형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서브 유닛(10)이 식재료 세트인 경우 가스레인지 그림이 그려져 있거나, 교실놀이 세트인 경우 교실 그림이 그려져 있거나, 동물원 세트인 경우 동물원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
제1블록(20)의 결합 요소(22)에는 결합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결합되는 서브 유닛을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감지 센서 일 수 있으며 결합 요소 각각에 장착되어 결합된 서브 유닛(10)을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센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결합 감지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1블록(20)상에서 서브 유닛(10)의 결합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블록(20)은 결합 정보에 서브 유닛(10)의 결합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1블록(20)의 내부에는 광원(23) 및 스피커(24)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될 수 있다. 광원(23) 및 스피커(24)는 제2블록(30)과 결합시 동작하며, 제1블록(20)에 결합된 서브 유닛(10)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블록(20)은 제2블록(30)과 결합시 제2블록(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단, 제1블록(20)은 내장되거나 교체 가능한 배터리 등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블록(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면체 또는 입체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2블록(30)의 적어도 일면에는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어 제1블록(20)과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 요소는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일 수 있다. 기계적 결합요소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 스터드로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블록(3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 스터드와 하면에는 관통홀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옆면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예를 들면 LCD, LED, OLED, PDP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블록(20)과 제2블록(30)의 규격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두 블록의 규격이 반드시 동일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제2블록(30)의 적어도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배치되어 시각적 컨텐츠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제2블록(30)은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블록(30)은 제1블록(20)과 결합시 결합 정보를 수신한다. 제1블록(20)과 제2블록(30)은 내장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호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ZigBee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3G 모듈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블록(30)은 결합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합 정보에는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종류, 개수 및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블록(30)은 예를 들면, 서브 유닛(10)이 식재료 세트인 경우에는 제1블록(20)에 결합된 식재료 서브 유닛을 통하여 완성되는 요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브 유닛(10)이 교실 세트인 경우 제1블록(20)에 결합된 서브 유닛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실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브 유닛(10)이 동물원 세트인 경우 제1블록(20)에 결합된 동물 서브 유닛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동물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30)은 서브 유닛(10)의 결합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컨텐츠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제2블록(30)은 동일한 종류의 서브 유닛(10)이 제1블록(20)에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한 경우라면 컨텐츠상에서 서브 유닛(10)에 대응되는 요소의 위치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블록(30)은 서브 유닛의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립물에 대한 명칭, 설명 등과 같은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2블록(3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서브 유닛(10)의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립물과 관련된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 일 수 있으며, 제2블록(30)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는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트로 구성된 서브 유닛 2개가 제1블록에 결합되었을 때, 요리 과정을 표현하는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디스플레이 되며, 서브 유닛이 4개 결합되었을 때는 완성된 요리를 표현하는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6을 참조하면, 동물원 세트로 구성된 서브 유닛 2개가 제1블록에 결합 되었을 때, 해당하는 동물의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디스플레이 되며, 서브 유닛이 추가되면 추가된 서브 유닛과 매칭되는 동물의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추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는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내지 도8을 참조하면 제1블록의 표면에는 가스렌지와 불을 표현하는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 제1블록의 내부에는 광원이 내장되어 있으며 제1블록과 제2블록이 결합하면 내부 광원이 동작한다. 제1블록에 서브 유닛을 추가하게 되면 광원의 세기가 단계적으로 강해지며 이에 따라 제1블록의 표면에 그려진 불의 세기가 점점 강해지는 시각적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제1블록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1블록과 제2블록이 결합하면 스피커가 동작한다. 스피커는 예를 들면 물이 끓는 효과음을 낼 수 있다. 제1블록에 서브 유닛을 추가하게 되면 스피커의 음원 세기가 단계적으로 강해지며 이에 따라 음식이 조리되어 가는 과정을 청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서브 유닛
20: 제1블록
30: 제2블록
31: 디스플레이부

Claims (16)

  1.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서브 유닛;
    상기 서브 유닛과 결합하며 상기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하여 결합된 서브 유닛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시 상기 결합정보를 수신하며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주파수 발진, 패턴 인식 및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한 식별 가능 요소를 가지는 조립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각기 상이한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인 조립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블록에 형성된 결합 스터드에 결합하는 조립 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구조가 형상화 되어 있는 조립 완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는 조립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키는 조립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결합요소에는 결합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조립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키는 조립 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조립 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조립 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은 상기 제2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립 완구.
KR1020140115578A 2014-09-01 2014-09-01 조립 완구 KR10162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78A KR101628881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 완구
PCT/KR2015/009178 WO2016036101A1 (ko) 2014-09-01 2015-09-01 조립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78A KR101628881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522A true KR20160026522A (ko) 2016-03-09
KR101628881B1 KR101628881B1 (ko) 2016-06-09

Family

ID=5544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578A KR101628881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8881B1 (ko)
WO (1) WO20160361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11A (ko) * 2019-02-11 2020-08-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장애 재활 치료장치
KR20230080986A (ko) 2021-11-30 2023-06-07 김세례 스마트 교육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127A1 (en) * 2016-03-16 2017-09-2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KR102049578B1 (ko) * 2017-12-15 2019-11-27 김세례 동화 구연 장치, 및 동화 구연 방법
KR102661381B1 (ko) 2018-12-19 2024-04-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의 장착이 가능한 로봇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676A (ja) * 2001-09-19 2003-03-25 Yamaha Corp 平面パズル
JP3765755B2 (ja) * 2001-12-28 2006-04-12 株式会社トミー ブロック玩具
JP2009011838A (ja) *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796B1 (en) * 2000-06-19 2002-09-03 Judith Ann Shackelford Smart blocks
KR20060107438A (ko) * 2006-08-28 2006-10-13 배봉규 음성 합성 기능과 적외선 통신 기능을 내장한 소리 내는학습용 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676A (ja) * 2001-09-19 2003-03-25 Yamaha Corp 平面パズル
JP3765755B2 (ja) * 2001-12-28 2006-04-12 株式会社トミー ブロック玩具
JP2009011838A (ja) *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11A (ko) * 2019-02-11 2020-08-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장애 재활 치료장치
KR20230080986A (ko) 2021-11-30 2023-06-07 김세례 스마트 교육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101A1 (ko) 2016-03-10
KR101628881B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881B1 (ko) 조립 완구
KR101684992B1 (ko)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US10737187B2 (en) Coding toy, block, stage, figure body toy and coding method
KR102435699B1 (ko) 게임 시스템
KR101588444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US9269037B2 (en) Interactive base and toke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computing device
US9715807B2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use in determining classroom attendance
CN103877727B (zh) 一种由手机控制并通过手机进行交互的电子宠物
KR102411013B1 (ko) 게임 조각들을 위한 저장 및 충전 디바이스
JP2016500533A5 (ko)
EP3593406B1 (en) Interactive digital platform device and method
KR101525537B1 (ko) 조립 유닛
TW201020002A (en) Digital chessboard and the use method for chessboard
KR20160100106A (ko) 입체퍼즐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WO2019138951A1 (ja) 玩具
KR20160026523A (ko)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JP2009034806A (ja) 無線識別技術を電子ロボットの動作系列制御に応用する構造
WO2009125393A1 (en) Reader devices and related housings and accessor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3223250B (zh) 魔术棒、标识装置及识别查找物体的方法和系统
KR101680584B1 (ko)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US10045614B2 (en) Assembled replaceable frame structure
KR101356880B1 (ko) 물리적 매개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음성 통신 장난감
KR101295335B1 (ko)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80097927A1 (en) Control apparatus
KR200448688Y1 (ko) 유에스엔 센서 네트워크방식의 조립식 모형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