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537B1 - 조립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537B1
KR101525537B1 KR1020140089231A KR20140089231A KR101525537B1 KR 101525537 B1 KR101525537 B1 KR 101525537B1 KR 1020140089231 A KR1020140089231 A KR 1020140089231A KR 20140089231 A KR20140089231 A KR 20140089231A KR 101525537 B1 KR101525537 B1 KR 10152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ximity sensor
communication module
coupling element
assemb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진
이석
김재헌
김익재
이성온
서민아
허수정
김형석
김병직
정희철
신정훈
유현복
팽혜선
조재현
박진성
이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537B1/ko
Priority to PCT/KR2015/007332 priority patent/WO20160103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Abstract

조립 유닛이 개시된다. 상기 조립 유닛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요소; 상기 결합요소 각각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요소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신호를 송출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신호를 송출한 개체와 식별신호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 유닛{ASSEMBLY UNIT}
본 발명은 조립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결합 가능한 장난감 조립 유닛 또는 상호간 결합에 의하여 집합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토이 산업이 첨단사업으로 진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시각·촉각·청각 위주로 오락거리를 제공하거나 작동되던 토이가 터치, 음성, 동공 움직임, 모션감지 등 첨단기술을 채용하면서 스마트 기기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목제, 금속제, 플라스틱 소재의 단순 정물적이던 토이가 로봇, 원격제어, 영상 등 공학기술과 뇌 인지 등 첨단 의학기술과 융·복합을 이루면서 다차원의 복합적, 역동적, 감성적 장치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현대의 첨단 토이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절삭가공, 열처리, 표면처리 등 뿌리산업 능력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IT, CT, 로봇산업, 문화산업, 심리학적· 의학적 이론 등이 융·복합되어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퍼즐 조각이 완전하게 조립이 완료된 경우에 조립완료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퍼즐 놀이기구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70,724호에서는 완성된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각 퍼즐 조각에 설치하여 그 퍼즐 조각들이 지정된 위치에 완전하게 조립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 전기 전달통로의 일 측으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신호가 전기 전달 통로를 통과하여 타 측에 도달하게 되면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된 것으로 인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일 측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여 타 측에서 상기 퍼즐 조각들에 설치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를 통과한 전기를 감지한 경우에 음성으로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퍼즐 기구는 조립완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핵심구성요소로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하나의 전기 전달통로를 퍼즐 조각 세트에 구성함으로 인해서, 그 퍼즐 조각들 사이사이에서 불연속성이 발생하여 전기 전달 통로가 현실적으로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전기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그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퍼즐 기구를 유아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나 타액 등에 의해 퍼즐 조각에 설치된 전기 전달 통로가 손상되거나, 사용자에게 감전의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결합 가능한 장난감 조립 유닛 과의 결합 여부 또는 상호간 결합 여부 및 결합 위치를 인지하고 결합한 상대방 조립 유닛을 식별할 수 있는 조립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 또는 조립 유닛 상호간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교환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조립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요소; 상기 결합요소 각각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요소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신호를 송출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신호를 송출한 개체와 식별신호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근접한 물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2신호를 송출한 개체는 다른 조립 유닛 및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자기 근접센서, 광학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 센서, 유도성 근접 센서 및 용량성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근접센서는 적외선 근접센서일 수 있다.
상기 광학 근접센서는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가 각각의 결합요소에 하나의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요소는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근접한 물체와 상기 몸체간의 결합 여부 및 결합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결합여부 정보 및 결합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합여부 정보 및 결합위치 정보에 따라 변형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변형된 컨텐츠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및 UWB(Ultra Wide Ban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립 유닛은 다른 결합 가능한 장난감 조립 유닛 또는 상호간 결합 여부 및 결합 위치를 인지하고 결합한 상대방 조립 유닛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교환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외형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구성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및 외부 단말기간의 통신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센서의 개념도,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여부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여부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여부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위치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외형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구성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및 외부 단말기간의 통신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은 몸체(16), 디스플레이(12), 결합요소(11), 감지센서(13), 통신모듈(15) 및 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몸체(16)는 조립 유닛(10)의 하우징 부분으로 다면체 또는 입체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몸체(16)의 내부에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16)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6)의 적어도 일면에는 결합요소(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요소(11)는 다른 조립 유닛 또는 일반적인 장난감 조립 유닛과 결합이 가능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요소(11)는 예를 들면,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몸체(16)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 스터드(11)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스터드(11)는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립 유닛(10)은 결합 스터드(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타 조립 유닛의 관통홀 부분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와 결합 스터드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요소 또는 결합스터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로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는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시각적 컨텐츠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는 몸체(16)의 일면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몸체(16)의 대응되는 양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몸체(16)의 전면에 걸쳐 배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는 예를 들면 LCD, LED, OLED, PDP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13)는 결합요소(11) 각각에 부착되어 결합요소(11)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1)는 결합 스터드(11) 각각에 부착되어 결합 스터드(11)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스터드(11) 각각에 부착된 감지센서(13)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며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신호인 제1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스터드(11)의 일부에만 물체가 근접한 경우 일부의 결합 스터드는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인 제1신호를 송출하고, 다른 결합 스터드에서는 감지신호를 송출하지 못할 수 있다.
감지센서(13)는 예를 들면 자기 근접센서, 광학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센서, 유도성 근접센서 및 용량성 근접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 근접센서는 자계에 물체가 근접하면 전자 유도에 의해 근접 물체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며 유도 전류에 의하여 검출 코일의 임피던스(impedence)의 변화 발진이 정지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광학 근접센서는 광 신호의 반사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광신호가 방사되고, 근접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검출하여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근접센서는 주기적으로 방사되는 초음파 신호와 근접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유도성 근접센서는 물체가 근접함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 발진기의 크기를 검출하여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용량성 근접센서는 유전체 상수가 일정 수치를 초과하는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 변화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검출하여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학 감지센서 중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센서(13)가 구성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센서의 개념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적외선 감지센서는 적외선을 방사하는 광 송신부(31)와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 수신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송신부(31)와 광 수신부(32)는 각각의 결합요소(11)에 하나의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통신모듈(15)은 감지센서(13)가 근접 물체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제1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통신모듈(15)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ZigBee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모듈, 3G 모듈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 유닛(10)은 통신 모듈(15)을 통하여 다른 조립 유닛 또는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면 제2신호를 송출한 개체와 식별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 때 제2신호를 송출하는 개체는 다른 조립 유닛 및 외부 단말기(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어부(14)는 교환한 식별신호를 분석하여 근접한 물체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6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여부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여부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여부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제1조립 유닛(103)은 제2조립 유닛(104)이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감지센서를 통하여 제2조립 유닛(104)을 감지하게 된다. 제1조립 유닛(103)은 감지신호인 제1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 때 제2조립 유닛(104)도 제1조립 유닛(103)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제1조립 유닛(103) 및 제2조립 유닛(104)으로부터 송출된 제1신호는 외부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외부 단말기(200)는 제1조립 유닛(103)과 제2조립 유닛(104)에 제2신호를 송출한다. 제1조립 유닛(103)과 제2조립 유닛(104)은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외부 단말기(200)를 통하여 서로간의 식별신호(ID)를 교환한다. 제어부는 교환된 식별신호를 분석하여 결합된 상대 조립 유닛을 판별하게 된다.
도5b를 참조하면, 제1조립 유닛(105)은 제2조립 유닛(106)이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감지센서를 통하여 제2조립 유닛(106)을 감지하게 된다. 제1조립 유닛(105)은 감지신호인 제1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 때 제2조립 유닛(106)도 제1조립 유닛(105)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제1조립 유닛(105) 및 제2조립 유닛(106)으로부터 송출된 제1신호는 제3조립 유닛(107)으로 전송되고, 제3조립 유닛(107)은 제1조립 유닛(105)과 제2조립 유닛(106)에 제2신호를 송출한다. 제1조립 유닛(105)과 제2조립 유닛(106)은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3조립 유닛(107)을 통하여 서로간의 식별신호(ID)를 교환한다. 제어부는 교환된 식별신호를 분석하여 결합된 상대 조립 유닛을 판별하게 된다.
도5c를 참조하면, 제1조립 유닛(108)은 제2조립 유닛(109)이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감지센서를 통하여 제2조립 유닛(109)을 감지하게 된다. 제1조립 유닛(108)은 감지신호인 제1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 때 제2조립 유닛(109)도 제1조립 유닛(108)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제1조립 유닛(108) 및 제2조립 유닛(109)으로부터 송출된 제1신호는 각각의 통신모듈로 전송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제1신호를 전송받은 제1조립 유닛(108)과 제2조립 유닛(109)은 제2신호를 송출한다. 제1조립 유닛(108)과 제2조립 유닛(109)은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서로간의 식별신호(ID)를 교환한다. 제어부는 교환된 식별신호를 분석하여 결합된 상대 조립 유닛을 판별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의 결합 위치 인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각각의 결합 요소에 부착된 감지센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조립 유닛(101)의 제2결합요소(111b)는 제2조립 유닛(102)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송출하고 제2조립 유닛(102)의 제1결합요소(112a)는 제1조립 유닛(101)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제1조립 유닛(101)의 제1결합요소(111a)와 제2조립유닛(102)의 제2결합요소(112b)는 상대방 조립유닛이 근접하더라도 감지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제1신호를 송출할 수 없게 된다. 제1신호에는 신호를 송출한 결합 요소(11a, 111b, 112a, 112b)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신호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고 외부 단말기는 제1신호에 포함된 결합 요소별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립 유닛간의 결합 위치를 판별하게 된다.
도6의 일례와는 달리 외부 단말기가 아닌 다른 조립 유닛 또는 조립 유닛 상호간에 신호를 교환하여 조립 유닛간의 결합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조립 유닛
11: 결합 요소
12: 디스플레이
13: 감지센서
14: 제어부
15: 통신모듈
20: 외부 단말기
31: 광 송신부
32: 광 수신부

Claims (12)

  1.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요소;
    상기 결합요소 각각에 부착되며 상기 결합요소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신호를 송출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1신호를 송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내에 제2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신호를 송출한 개체와 식별신호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근접한 물체와 상기 몸체간의 결합 여부 및 결합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결합여부 정보 및 결합위치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조립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근접한 물체를 판별하는 조립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를 송출한 개체는 다른 조립 유닛 및 외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조립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자기 근접센서, 광학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 센서, 유도성 근접 센서 및 용량성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조립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근접센서는 적외선 근접센서인 조립 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근접센서는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가 각각의 결합요소에 하나의 쌍으로 마련되어 있는 조립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조립 유닛.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합여부 정보 및 결합위치 정보에 따라 변형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변형된 컨텐츠를 외부로 표시하는 조립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및 UWB(Ultra Wide Ban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조립 유닛.
KR1020140089231A 2014-07-15 2014-07-15 조립 유닛 KR10152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31A KR101525537B1 (ko) 2014-07-15 2014-07-15 조립 유닛
PCT/KR2015/007332 WO2016010357A1 (ko) 2014-07-15 2015-07-15 조립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31A KR101525537B1 (ko) 2014-07-15 2014-07-15 조립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537B1 true KR101525537B1 (ko) 2015-06-03

Family

ID=5350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231A KR101525537B1 (ko) 2014-07-15 2014-07-15 조립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5537B1 (ko)
WO (1) WO201601035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71B1 (ko) * 2015-08-31 2017-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WO2017065326A1 (ko) * 2015-10-13 2017-04-20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블록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JP2017225518A (ja) * 2016-06-21 2017-12-28 株式会社エフティエ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2087277B1 (ko) * 2018-09-03 2020-03-10 주식회사 짐월드 완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1249A1 (zh) * 2017-08-31 2019-03-07 深圳市帕拉卡科技有限公司 智能积木系统、交互系统及其方法和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9890B2 (ja) * 2002-05-07 2009-02-0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ブロックを用いる知育装置
JP2009028438A (ja) * 2007-07-30 2009-02-12 Eighting:Kk 合体玩具
KR100943651B1 (ko) * 2008-02-15 2010-02-25 주식회사 지팡이 대화형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4732B2 (ja) * 2011-02-01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組み立て方認識機能を備えた玩具ブロッ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9890B2 (ja) * 2002-05-07 2009-02-0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ブロックを用いる知育装置
JP2009028438A (ja) * 2007-07-30 2009-02-12 Eighting:Kk 合体玩具
KR100943651B1 (ko) * 2008-02-15 2010-02-25 주식회사 지팡이 대화형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71B1 (ko) * 2015-08-31 2017-02-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WO2017065326A1 (ko) * 2015-10-13 2017-04-20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블록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180092317A (ko) * 2015-10-13 2018-08-17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블록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2123612B1 (ko) * 2015-10-13 2020-06-16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블록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JP2017225518A (ja) * 2016-06-21 2017-12-28 株式会社エフティエ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2087277B1 (ko) * 2018-09-03 2020-03-10 주식회사 짐월드 완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357A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537B1 (ko) 조립 유닛
CN106463047B (zh) 用于命名智能对象并与智能对象交互的方法、智能对象以及系统
US9734704B2 (en) Wireless gauntlet for electronic control
JP2017532689A (ja) リモートオブジェクトの位置を特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22533494A (ja) 商品ディスプレイ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方法
US1169545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ireless and non-conductive power and data transfers with electronic devices
US10737190B2 (en) Smart toy platform
US115205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fers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9405952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6522A (ko) 조립 완구
US10347105B2 (en) Security tag and base station for display
KR101639711B1 (ko)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TW201447788A (zh) 物件追蹤服務系統及其方法
US10523318B2 (en) Device awareness in line-of-sigh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KR101659569B1 (ko) 조립 유닛
KR102241588B1 (ko) 정보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KR101698472B1 (ko) 베이스 블록 및 조립완구
Gellersen et al. Cooperative relative positioning
US10013875B1 (en) Personal care appliance including wireless input interfaces
KR20190063392A (ko) 전자 장치 및 사용자 터치 입력을 이용한 rf 통신 연결 방법
US20230264010A1 (en) Medical stopcock assembly with position detection
US11860588B1 (en) Identification of watch bands
US20220311286A1 (en) Magnetic Alignment Systems for Wireless Power Devices
US20210392482A1 (en) Triggering a Proximity-Based Digital Action with a Mobile Device and a Base Device
WO2020112010A1 (en) Triggering a proximity-based digital action with a mobile device and a ba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