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71B1 -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71B1
KR101698471B1 KR1020150123084A KR20150123084A KR101698471B1 KR 101698471 B1 KR101698471 B1 KR 101698471B1 KR 1020150123084 A KR1020150123084 A KR 1020150123084A KR 20150123084 A KR20150123084 A KR 20150123084A KR 101698471 B1 KR101698471 B1 KR 10169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rigger
coupling
signal
standb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김재헌
김익재
이택진
김현덕
정현수
최지호
김기화
김형석
경규형
정원교
신정훈
엄재홍
박진성
유현복
팽혜선
이정훈
이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2Acoustical or optical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7Push or pull wheels, e.g. with movable parts other than toy figures driven by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Abstract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가 개시된다. 상기 조립 유닛 세트는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상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트리거 블록과 구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특정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작동한다.

Description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ASSEMBLY UNIT AND ASSEMBLY UNIT SET}
본 발명은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결합 가능한 장난감 조립 유닛 또는 상호간 결합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토이 산업이 첨단사업으로 진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시각·촉각·청각 위주로 오락거리를 제공하거나 작동되던 토이가 터치, 음성, 동공 움직임, 모션감지 등 첨단기술을 채용하면서 스마트 기기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목제, 금속제, 플라스틱 소재의 단순 정물적이던 토이가 로봇, 원격제어, 영상 등 공학기술과 뇌 인지 등 첨단 의학기술과 융·복합을 이루면서 다차원의 복합적, 역동적, 감성적 장치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현대의 첨단 토이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절삭가공, 열처리, 표면처리 등 뿌리산업 능력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IT, CT, 로봇산업, 문화산업, 심리학적· 의학적 이론 등이 융·복합되어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퍼즐 조각이 완전하게 조립이 완료된 경우에 조립완료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퍼즐 놀이기구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70,724호에서는 완성된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각 퍼즐 조각에 설치하여 그 퍼즐 조각들이 지정된 위치에 완전하게 조립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 전기 전달통로의 일 측으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신호가 전기 전달 통로를 통과하여 타 측에 도달하게 되면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된 것으로 인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일 측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여 타 측에서 상기 퍼즐 조각들에 설치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를 통과한 전기를 감지한 경우에 음성으로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여 결합에 따라 영상, 음성, 모션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상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트리거 블록과 구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특정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작동하는 조립 유닛 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의 결합요소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감지 요소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블록은 스위칭 소자, 초음파 감지 센서, 빛 감지 센서, 컬러 감지 센서, 음성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적외선 리모콘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동작하여 외부 신호를 감지하며, 감지한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블록은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은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트리거 블록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 블록의 일면에는 상기 트리거 블록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환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 블록이 수행하는 동작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 블록의 일면에는 상기 구동 블록이 수행하는 동작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변환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수용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트리거 신호 출력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 시간 동안 특정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트리거(Non-Trigger)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블록은 상기 비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여 결합에 따라 영상, 음성, 모션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블록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 블록의 개념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의 개념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며?旁? 위한 도면,
도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며?旁?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며?旁? 위한 도면 및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며?旁?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블록의 개념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 블록의 개념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1)는 트리거 블록(100) 및 구동 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들로 전환하게 된다. 트리거 블록(100)은 대기모드상에서 특정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트리거 블록(100)은 다면체 또는 입체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의 내부에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타 트리거 블록, 구동 블록, 제어 블록, 베이스 블록 또는 일반 장난감 블록과 결합 가능한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요소(120)는 예를 들면,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 스터드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스터드는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결합 스터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타 블록의 관통홀 부분에 끼워 ??춤으로써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와 결합 스터드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요소 또는 결합스터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로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트리거 블록(100)의 결합 요소(120)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13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13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130)는 예를 들면 결합 요소(120)와 같은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 블록과 결합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스위칭 작용을 통하여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130)는 예를 들면 결합 스터드(120)가 형성된 면에 압력식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어 결합 스터드(120)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130)는 예를 들면 관통홀 주변을 압력식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어 관통홀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130)는 결합 감지시 대기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트리거 블록(100)은 대기모드로 전환한게 된다.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는 감지 센서(140)가 마련될 수 있다. 감지 센서(14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 초음파 감지 센서, 빛 감지 센서, 컬러 감지 센서, 음성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충격 감지 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적외선 리모콘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대기모드상에서 동작하여 외부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열거한 소자 또는 센서가 외부 신호를 감지한다.
스위칭 소자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는 물리적 스위칭 소자 또는 전기적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며, 외부의 입력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초음파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발신한 초음파를 수신함으로써 속도, 거리, 농도, 점성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초음파 감지 센서는 수신 초음파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빛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빛의 세기를 감지하고, 빛의 세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컬러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광 에너지의 스펙트럼 강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스펙트럼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감지한 음성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트리거 블록(100)에 가해지는 힘, 기울기 등을 감지하고, 그 수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적외선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적외선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외부의 습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습도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리모콘 센서는 예를 들면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고, 적외선 발광 모듈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ZigBee모듈 등의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감지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트리거 신호 출력 후 대기 시간 이상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비트리거(Non-Trigger)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은 비트리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 값과 대기 시간은 제1제어 블록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트리거 신호는 소정의 공간 내의 대기모드의 구동블록(200)이 동작 수행을 시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로써 1비트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비트의 트리거 신호만으로 구동블록(200)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블록(100)은 임계치 이상의 외부자극을 감지하면 1비트의 트리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며 해당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구동블록(200)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즉, 트리거 블록(100)의 트리거 신호는 온(on)신호를 의미하며, 온오프 방식의 단순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직관적 방식으로 다양한 구동 블록(200)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블록(100)은 1비트의 트리거신호를 활용하여 온(On)과 함께 오프(Off, 비트리거 신호)신호로 구동블록(2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채널별 트리거 신호(온/오프)를 활용하여 그룹별로 구동블록(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구동블록(200)이 특정 트리거블록(100)의 트리거 신호에만 동작하도록 상호간의 통신 채널을 고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의 일면에는 트리거 블록(100)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환요소(150)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 요소(150)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 일 수 있으며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의 조작에 따라 트리거 블록(100)의 임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100)의 임계치는 트리거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 초음파 감지 센서, 빛 감지 센서, 컬러 감지 센서, 음성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충격 감지 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적외선 리모콘 센서 등의 센서 감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변환 요소는 (150)는 도2와는 다르게 감지 센서(140)와 동일한 면에 마련되거나 감지 센서(140)의 반대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다르게 트리거 블록(100)에 변환 요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블록에 변환 요소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4 내지 도5를 통하여 하기로 한다.
구동 블록(200)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구동 블록(200)은 대기모드상에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작동할 수 있다.
구동 블록(200)은 다면체 또는 입체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구동 블록(200)의 내부에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10)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블록(200)은 타 구동 블록, 트리거 블록, 제어 블록, 베이스 블록 또는 일반 장난감 블록과 결합 가능한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몸체(210)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 스터드(220)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스터드(220)는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블록(200)은 결합 스터드(2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타 블록의 관통홀 부분에 끼워 ??춤으로써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와 결합 스터드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요소 또는 결합스터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로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 블록(200)의 결합 요소(220)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23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23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230)는 예를 들면 결합 요소와 같은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 블록과 결합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스위칭 작용을 통하여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230)는 예를 들면 결합 스터드(220)가 형성된 면에 압력식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어 결합 스터드(220)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230)는 예를 들면 관통홀 주변에 배치되는 압력식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며, 관통홀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230)는 결합 감지시 대기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블록(200)은 대기모드로 전환한게 된다.
구동 블록(200)의 일면에는 구동 소자(2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소자(240)는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구동 블록(200)의 내부 또는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한다. 액츄에이터는 모터, 피스톤, 실린더, 축기어 등 다양한 구동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트리거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 축 운동, 피스톤 운동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액츄에이터는 기 설정 시간 동안 구동되거나 또는 비트리거 신호 수신 이전까지 구동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구동 시간, 구동 방식은 제2제어 블록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면 구동 블록(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하여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카메라 모듈은 트리거 신호 수신시 연속 촬영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1회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연속 촬영 동작의 경우 트리거 블록으로부터 비트리거 신호 수신시 촬영 동작을 정지한다. 카메라 모듈의 촬영 시간, 촬영 방식은 제2제어 블록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를 들면 구동 블록(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기 설정 시간 동안 구동되거나 또는 비트리거 신호 수신 이전까지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출력 시간, 출력 신호 또는 출력 방식은 제2제어 블록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은 예를 들면 구동 블록(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음성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스피커 모듈은 기 설정 시간 동안 구동되거나 또는 비트리거 신호 수신 이전까지 구동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의 음성 출력 시간, 출력 신호 또는 출력 방식은 제2제어 블록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예를 들면 구동 블록(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발광 소자는 기 설정 시간 동안 구동되거나 또는 비트리거 신호 수신 이전까지 구동될 수 있다. 발광 소자의 발광 시간 또는 발광 방식은 제2제어 블록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구동 블록(200)의 일면에는 구동 블록(200)이 수행하는 동작 종류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변환요소(250)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 요소(250)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 일 수 있으며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 블록(200)의 동작 종류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변환 요소는 (250)는 도3과는 다르게 구동 소자(240)와 동일한 면에 마련되거나 구동 소자(240)의 반대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다르게 구동 블록(200)에 변환 요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블록에 변환 요소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6을 통하여 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의 개념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2)는 트리거 블록(100), 구동 블록(200), 제1제어 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에 대하여 도1 내지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제어 블록(300)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320)를 가지며 결합요소(320)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트리거 블록(100)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제어 블록(300)은 다면체 또는 입체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1제어 블록(300)의 내부에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제1제어 블록(300)은 트리거 블록, 구동 블록, 제어 블록, 베이스 블록 또는 일반 장난감 블록과 결합 가능한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요소(320)는 예를 들면,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몸체(310)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 스터드(320)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스터드(320)는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제어 블록(300)은 결합 스터드(3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타 블록의 관통홀 부분에 끼워 ??춤으로써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와 결합 스터드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요소 또는 결합스터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로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제어 블록(300)의 결합 요소(320)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33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33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330)는 예를 들면 결합 요소(320)와 같은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 블록과 결합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스위칭 작용을 통하여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330)는 예를 들면 결합 스터드(320)가 형성된 면에 압력식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어 결합 스터드(320)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330)는 예를 들면 관통홀 주변에 배치되는 압력식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며 관통홀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제어 블록(300)의 일면에는 트리거 블록(100)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환 요소(340)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 요소(340)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의 조작에 따라 트리거 블록(100)의 임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 블록(300)의 일면에는 트리거 블록(100)에서 비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변환 요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 요소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다이얼 소자 또는 스위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의 조작에 따라 트리거 블록의 대기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3)는 트리거 블록(100), 구동 블록(200), 제2제어 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에 대하여 도1 내지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제어 블록(400)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420)를 가지며 결합요소(420)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구동 블록(200)이 수행하는 동작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제어 블록(400)은 다면체 또는 입체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2제어 블록(400)의 내부에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410)를 가질 수 있다.
제2제어 블록(420)은 트리거 블록, 구동 블록, 제어 블록, 베이스 블록 또는 일반 장난감 블록과 결합 가능한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요소(420)는 예를 들면, 기계적 결합 요소 및 자기적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몸체(410)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 스터드(420)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스터드(420)는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제어 블록(400)은 결합 스터드(4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타 블록의 관통홀 부분에 끼워 ??춤으로써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 요소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 요소와 결합 스터드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요소 또는 결합스터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로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제어 블록(400)의 결합 요소(420)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43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43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430)는 예를 들면 결합 요소(420)와 같은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 블록과 결합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스위칭 작용을 통하여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430)는 예를 들면 결합 스터드(420)가 형성된 면에 압력식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어 결합 스터드(420)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요소(430)는 예를 들면 관통홀 주변에 배치되는 압력식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며 관통홀에 결합하는 타 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제어 블록(400)의 일면에는 구동 블록(200)이 수행하는 동작의 종류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변환 요소(440)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 요소(440)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의 변환에 따라 구동 블록의 출력 신호, 동작 방식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 블록(400)의 일면에는 구동 블록(20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변환 요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 요소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이얼 소자 또는 디지털 스위치 소자의 변환에 따라 구동 블록의 동작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구성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4)는 트리거 블록(100), 구동 블록(200), 베이스 블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에 대하여 도1 내지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베이스블록(5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 스터드(520)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블록(500)의 크기 및 형상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단일 결합 스터드를 가지는 베이스블록을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베이스블록(500)의 결합 스터드(520)는 격자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결합 스터드(520)에는 예를 들면 양전극과 음전극이 교번하여 배열되어 전원라인(540)을 형성하고, 전원라인(540)을 통하여 결합되는 트리거 블록(100)과 구동 블록(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스위칭 소자(141)를 가지는 트리거 블록(101)과 카메라 모듈(241)을 가지는 구동 블록(201)이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블록(101)과 구동 블록(201)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며, 스위칭 소자(141)를 누르는 경우 트리거 블록(101)은 외부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241)은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를 참조하면 스위칭 소자(142)를 가지는 트리거 블록(102)과 카메라 모듈(242)을 가지는 제1구동 블록(202) 및 디스플레이 모듈(243)을 가지는 제2구동 블록(203)이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블록(102)과 제1구동 블록(202) 및 제2구동 블록(203)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며, 스위칭 소자(142)를 누르는 경우 트리거 블록(102)은 외부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242)은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동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43)은 영상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243)은 카메라 모듈(242)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외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빛 감지 센서(143)를 가지는 트리거 블록(103)과 발광 소자(244)를 가지는 구동 블록(204)이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블록(103)과 구동 블록(204)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며, 빛 감지 센서(143)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빛을 감지하게 되면 외부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발광 소자(244)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빛 감지 센서(143)가 빛을 감지하는 감도는 트리거 블록(103)의 일면에 마련된 변환 요소(미도시)를 통하여 조절 가능하다. 또한, 발광 소자(244)의 조도, 점등 방식, 점등 시간 등 동작 종류나 동작 시간은 구동 블록(204)의 일면에 마련된 변환 요소(미도시)를 통하여 조절 가능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빛 감지 센서(144)를 가지는 트리거 블록(104), 발광 소자(244)를 가지는 구동 블록(205), 제1제어 블록(301) 및 제2제어 블록(401)이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블록(104), 구동 블록(205), 제1제어 블록(301) 및 제2제어 블록(401)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며 빛 감지 센서(144)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빛을 감지하게 되면 외부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발광 소자(244)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제1제어 블록(301)의 다이얼 소자(341)를 조절하여 트리거 블록(104)임계치 또는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제어 블록(401)의 다이얼 소자(441)를 조절하여 발광 소자(244)의 발광 시간 또는 발광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도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음성 감지 센서(145)를 가지는 트리거 블록(105)과 스피커 모듈(246)을 가지는 구동 블록(206)이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블록(105)과 구동 블록(206)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며, 음성 감지 센서(145)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스피커 모듈(246)은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음성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스피커 모듈(246)은 음성 감지 센서(145)에서 수신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음성 감지 센서(146)를 가지는 트리거 블록(106), 스피커 모듈(247)을 가지는 구동 블록(207), 제1제어 블록(302) 및 제2제어 블록(402)이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블록(106), 구동 블록(207), 제1제어 블록(302) 및 제2제어 블록(402)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며, 음성 감지 센서(146)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스피커 모듈(247)은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음성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제1제어 블록(302)의 다이얼 소자(342)를 조절하여 트리거 블록(106)의 임계치 또는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제어 블록(402)의 다이얼 소자(442)를 조절하여 스피커 모듈(247)의 음성 출력 시간, 출력 신호 또는 출력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유닛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를 참조하면, 적외선 리모콘 센서(147)를 가지는 제1트리거 블록(107), 초음파 센서(148)를 가지는 제2트리거 블록(108), 모터(248)를 가지는 제1구동 블록(208) 및 축회전 기어(249)를 가지는 제2구동 블록(209)이 결합되어 있다. 트제1트리거 블록(107), 제2트리거 블록(108,) 제1구동 블록(208) 및 제2구동 블록(209)은 결합에 의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며, 적외선 리모콘 센서(147)는 적외선 발광 모듈(미도시)로부터 임계치를 초과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면 외부로 제1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제1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제1구동 블록(208)의 모터(248)는 동작하여 일반 블록에 구비된 바퀴(1000)를 구동시킨다. 제2구동 블록(209)은 제1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축회전 기어(249)를 변환하여 바퀴(10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초음파 센서(148)는 이동 중에 수시로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외부 장애물을 감지한다. 초음파 센서(148)는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2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제2구동 블록(209)은 제2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축회전 기어(249)를 변환하여 바퀴(1000)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킨다. 즉, 본 발명의 조립 유닛 세트를 일반 블록과 결합하고 외부 리모콘 발광 모듈을 통해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초음파 센서(148)가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시 자동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리모콘 발광 모듈에서 제1트리거 블록(107)으로 적외선 신호를 방사하는 경우 제1트리거 블록(107)은 제1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며, 제1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제2구동 블록(209)이 동작하여 바퀴(1000)의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트리거 블록
200: 구동 블록
300: 제1제어 블록
400: 제2제어 블록
500: 베이스 블록

Claims (20)

  1.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상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대기모드상에서 특정 신호를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 블록에 결합하는 조립 유닛에 있어서,
    상기 조립 유닛은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상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대기모드상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작동하는 구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블록은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며,
    하나의 채널에는 복수개의 구동 블록이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하나의 채널을 채널을 통하여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복수개의 구동 블록은 그룹별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조립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의 결합요소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가 배치되는 조립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감지 요소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은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의 일면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 종류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변환요소가 마련되는 조립 유닛.
  6.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상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트리거 블록과 구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특정 신호를 감지하면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작동하며,
    하나의 채널에는 복수개의 구동 블록이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하나의 채널을 채널을 통하여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복수개의 구동 블록은 그룹별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조립 유닛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의 결합요소에는 결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 요소가 배치되는 조립 유닛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감지 요소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세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블록은 스위칭 소자, 초음파 감지 센서, 빛 감지 센서, 컬러 감지 센서, 음성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적외선 리모콘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대기모드상에서 동작하여 외부 신호를 감지하며, 감지한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조립 유닛 세트.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은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모듈 및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 세트.
  13.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트리거 블록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 블록을 더 포함하는 조립 유닛 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블록의 일면에는 상기 트리거 블록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환 요소가 마련되어 있는 조립 유닛 세트.
  15.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에 결합요소를 가지며 결합요소에 의한 결합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구동 블록의 동작 종류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 블록을 더 포함하는 조립 유닛 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블록의 일면에는 상기 구동 블록의 동작 종류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변환 요소가 마련되어 있는 조립 유닛 세트.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수용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블록 및 구동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 블록을 더 포함하는 조립 유닛 세트.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블록은 상기 트리거 신호 출력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 시간 동안 특정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트리거(Non-Trigger)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블록은 상기 비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정지하는 조립 유닛 세트.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는 온 오프 신호로 구분되는 조립 유닛 세트.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블록의 일면에는 상기 트리거 블록의 임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변환요소가 마련되는 조립 유닛 세트.
KR1020150123084A 2015-08-31 2015-08-31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KR10169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84A KR101698471B1 (ko) 2015-08-31 2015-08-31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84A KR101698471B1 (ko) 2015-08-31 2015-08-31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471B1 true KR101698471B1 (ko) 2017-02-01

Family

ID=5810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084A KR101698471B1 (ko) 2015-08-31 2015-08-31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10B1 (ko) 2016-11-08 2018-10-23 네오피아 주식회사 스마트 블록 조립체
KR20190070153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메이커스협동조합 나래 교육용 rc 키트
WO2021182678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이 브릭 및 토이 브릭 시스템
KR20220101854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크리모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372A (ko) * 2004-10-20 2007-08-24 레고 에이/에스 기능 브릭을 갖는 장난감 조립 시스템
KR101510834B1 (ko) * 2014-08-18 2015-04-15 주식회사 와이엘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KR101525537B1 (ko) * 2014-07-15 2015-06-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372A (ko) * 2004-10-20 2007-08-24 레고 에이/에스 기능 브릭을 갖는 장난감 조립 시스템
KR101525537B1 (ko) * 2014-07-15 2015-06-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 유닛
KR101510834B1 (ko) * 2014-08-18 2015-04-15 주식회사 와이엘 조립식 전원 공급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10B1 (ko) 2016-11-08 2018-10-23 네오피아 주식회사 스마트 블록 조립체
KR20190070153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메이커스협동조합 나래 교육용 rc 키트
KR102114807B1 (ko) * 2017-12-12 2020-05-25 한국메이커스협동조합 나래 교육용 rc 키트
WO2021182678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이 브릭 및 토이 브릭 시스템
KR20220101854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크리모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KR102488992B1 (ko) * 2021-01-12 2023-01-17 주식회사 크리모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471B1 (ko)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KR101684992B1 (ko)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US10737190B2 (en) Smart toy platform
CN106457055B (zh) 具有功能构建单元的玩具构建系统
CN109788092A (zh) 电子设备
US20170140235A1 (en) Remote control device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ology
US20160136037A1 (en) Pressing contact module and massage device using the same
KR101544045B1 (ko) 전기적 모듈러 빌딩 장치
CN103537098B (zh) 一种智能玩具车
US20160136036A1 (en) Massage device
KR102573769B1 (ko) 전자장치 및 그 거치대
JP6154524B1 (ja) モジュール型玩具
KR101911010B1 (ko) 스마트 블록 조립체
KR101525537B1 (ko) 조립 유닛
KR20170037206A (ko) 스마트 토이 플랫폼
KR20210136079A (ko)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상호작용 관람객 장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408B1 (ko) 조립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TWI556664B (zh) To achieve a wireless interac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initiator
US11638090B2 (en) Loudspeaker system, loudspeaker, and loudspeaker base
KR20160125088A (ko)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CN110831301B (zh) 一种照明装置及系统
KR20160009419A (ko) 다중 센싱 기능을 가진 교구용 로봇
CN209545261U (zh) 一种电子设备和终端
KR101923557B1 (ko) 블럭완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CN110281245A (zh) 一种基于可移动底座的桌面小型机器人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