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36101A1 - 조립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36101A1
WO2016036101A1 PCT/KR2015/009178 KR2015009178W WO2016036101A1 WO 2016036101 A1 WO2016036101 A1 WO 2016036101A1 KR 2015009178 W KR2015009178 W KR 2015009178W WO 2016036101 A1 WO2016036101 A1 WO 20160361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sub
toy
combin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1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석
김재헌
김익재
이성온
이택진
서민아
허수정
김형석
정희철
신정훈
팽혜선
박진성
이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60361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361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y toy that can provide a collective structure by the other joinable toy assembly unit or mutual coupling.
  • Toy which used to provide entertainment for the sight, the sense of touch, and the sense of hearing, is becoming a smart device by adop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touch, voice, pupil movement, and motion detection.
  • Toy which is a simple still life made of traditional wood, metal, and plastic materials, is becoming a multi-dimensional complex, dynamic, and emotional device as it is fused and combined with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robot, remote control, and imaging, and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brain recognition.
  • Modern cutting-edge toy industry is based on root industry ability such as casting, mold, welding, cutting processing, heat treatment, surface treatment, etc., IT, CT, robot industry, cultural industry, psychological and medical theory Is made.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toy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forms of the assembly block by providing a variety of forms through the display to provide a combination of various forms.
  • a method comprising: a sub unit having an element that can be identified for each individual; A first block combined with the sub unit, recognizing the identifiable element to identify the combined sub unit, and generating combin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block configured to receive the combined information when combined with the first block and to displa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bined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 the sub unit may have an identifiable element using at least one of frequency oscillation, pattern recognition, and RF-ID scheme.
  • the sub units may be model instruments shaped into different three-dimensional structures.
  •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sub-units so that the sub-units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tuds formed in the first block.
  • a structure matching the model of the sub unit may be shaped.
  • An image matching the model of the sub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lock.
  • the second block may change the displayed cont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and type of sub-units coupled to the first block.
  • a plurality of coupling element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lock, and each coupling element may have a coupling detection sensor.
  • the second block may change the display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 unit coupled to the first block.
  • a light source may be built in the first block.
  • the light source of the first block may operate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block.
  • the light source of the first block may operate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mbined sub-units.
  • a speaker may be built in the first block.
  • the speaker of the first block may operate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block.
  • the speaker of the first block may operate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bined sub units.
  • the first block may receive power from the second block.
  • the present inventors assembled toys can provide a variety of forms of building blocks by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forms through the display to provide a combination of block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ssembled to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b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are schematic views of a firs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 first and second component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ssembly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b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 and 4 are diagrams of a firs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 the assembled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units 10, a first block 20, and a second block 30.
  • the sub unit 10 may be a model apparatus shaped into different three-dimensional structures.
  • the sub unit 10 is a learning material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set according to a specific subject.
  • the sub unit 10 is, for example, a set for food materials, a model apparatus in which various types of cooking materials are formed into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 classroom play set, a model apparatus in which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r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r a zoo set. It can be a modeling instrument in which the figure is shaped in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 the sub unit 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 Insertion hole 11 is formed in the sub unit 1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
  • the insertion hole 11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 unit 10, and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holes 11 may be different.
  • the sub unit 10 may have, for example, an insertion hole 11 formed at one end when the cooking material manufactured as a set for a food material is a model apparatus shaped in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 the sub unit 1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del apparatus in which the shape of several animals in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a zoo set, the insertion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foot of the animal shape.
  • the sub unit 10 includes elements that can be identified for individual objects.
  • the identifiable element may be mounted or formed in the sub unit 10 using at least one of, for example, frequency oscillation, pattern recognition, and RF-ID scheme. That is, the sub unit 10 may be equipped with an oscillator that oscillates a specific frequency so as to oscillate an identifiable frequency for each individual, form a specific pattern such as a barcode, or mount an RF-ID tag that emits an identifiable specific signal. .
  • the first block 2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have a polyhedron or three-dimensional shape. Coupling element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block 20 to be coupled to the sub unit 10 and the second block 30.
  • the coupling element may be a mechanical coupling element or a magnetic coupling element.
  • the mechanical coupling element may include a through stud portion and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with a coupling stud 22 formed in the housing.
  • the magnetic coupling element may comprise at least one neodymium magnet.
  • the first block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through hole portion is formed at a coupling stud and a lower surfac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 the first block 2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identifiable element of the sub unit 10.
  • the first block 20 may identify the sub unit 10 to which various sensors are built and coupl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 unit 10 identifiable element.
  • the sensor embedded in the first block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frequency receiver, a code reader, a pattern reader, an RF-ID reader, and the like.
  • the first block 20 identifies the combined sub unit 10 and generates the combined information.
  • the surface of the first block 20 may be shaped to match the model of the sub unit 10.
  • the gas stove structure may be shaped, in the case of a classroom play set, the classroom structure may be shaped, or in the case of a zoo set, the zoo structure may be shaped. have.
  • an image matching the model of the sub unit 10 may be represen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lock 20.
  • a gas range picture may be drawn when the sub unit 10 is a food set, a classroom picture when the classroom play set, or a zoo picture when the zoo set is drawn. have.
  • the coupling element 22 of the first block 20 may detect a sub unit to which a coupling detection sensor is built in and coupled.
  • the coupling detection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detection sensor and may detect the subunit 10 mounted on each coupling element and coupled thereto.
  • the coupling detection sensor may independently operate to detec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ub unit 10 on the first block 20 by transmitting the coupling detection signal.
  • the first block 20 may be generated by including the combin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 unit 10 in the combined information.
  • At least one of the light source 23 and the speaker 24 may be built in the first block 20.
  • the light source 23 and the speaker 24 operate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block 30, and may operate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 units 10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
  • the first block 2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block 20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block 30.
  • the first block 20 may be configured to be powered by itself through a built-in or replaceable battery.
  • the second block 3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have a polyhedron or three-dimensional shape. Coupling element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block 30 to allow engagement with the first block 20.
  • the coupling element may be a mechanical coupling element or a magnetic coupling element.
  • the mechanical coupling element is a coupling stud formed in the housing and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a through hole portion.
  • the magnetic coupling element may comprise at least one neodymium magnet.
  • the second block 3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through hol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stud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display part 31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 the display unit 31 may be, for example, an LCD, LED, OLED, PDP type display. Standards of the first block 20 and the second block 30 may be variously formed,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two blocks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 the display unit 31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block 30 to display visual content to the outside.
  • the second block 30 may display the content embedded in the memory or receive and display the content from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 the second block 30 receives the combining information when combined with the first block 20.
  • the first block 20 and the second block 3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a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a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a ZigBee module, a Wi-Fi module, a 3G module, or an LTE (Long Term Evolu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 the second block 30 may displa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unit 31.
  • Combin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units coupled to the first block.
  • the sub unit 10 is a set of ingredients
  • the second block 30 displays a completed dish through the food sub unit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 or the sub unit 10 is a classroom.
  • the state of the classroom is displayed through the sub-units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 or if the sub-unit 10 is a zoo set, the zoo is made through the animal sub-units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
  • the state of the display can be displayed.
  • the second block 30 may change the content expressed using the combin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 unit 10. That is, even if the subunit 10 of the same type is coupled to the first block 20, the second block 30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of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subunit 10 on the content if the combined positions are different. Can be displayed.
  • the second block 30 may display learning contents such as a name, a description, and the like of the assembly to be comple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sub units.
  •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second block 30 may be various visual images related to the assembly comple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sub units 10, and the second block 30 may receive content from an external terminal.
  • Figure 6 is an assembled complete view of the assembled t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FIG.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mage representing a stove and fire is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lock.
  • a light source is built in the first block, and whe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combined, the internal light source operates. When the sub-unit is added to the first block,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us the visual effect of increasing the intensity of fire draw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lock may be expressed.
  • a speaker is built in the first block, and the speaker operates whe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combined.
  • the loudspeaker can make the sound of boiling water, for example.
  • the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of the speaker is increased step by step, thereby audibly expressing the process of cooking food.
  • ' ⁇ par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SIC, and ' ⁇ part' performs certain roles.
  • ' ⁇ '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 ⁇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 ' ⁇ ' mean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the like.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the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the 'parts'.
  • the components and ' ⁇ '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Abstract

조립 완구가 개시된다. 상기 조립 완구는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서브 유닛; 상기 서브 유닛과 결합하며 상기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하여 결합된 서브 유닛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시 상기 결합정보를 수신하며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 완구
본 발명은 조립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결합 가능한 장난감 조립 유닛 또는 상호간 결합에 의하여 집합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토이 산업이 첨단사업으로 진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시각·촉각·청각 위주로 오락거리를 제공하거나 작동되던 토이가 터치, 음성, 동공 움직임, 모션감지 등 첨단기술을 채용하면서 스마트 기기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목제, 금속제, 플라스틱 소재의 단순 정물적이던 토이가 로봇, 원격제어, 영상 등 공학기술과 뇌 인지 등 첨단 의학기술과 융·복합을 이루면서 다차원의 복합적, 역동적, 감성적 장치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현대의 첨단 토이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절삭가공, 열처리, 표면처리 등 뿌리산업 능력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IT, CT, 로봇산업, 문화산업, 심리학적· 의학적 이론 등이 융·복합되어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퍼즐 조각이 완전하게 조립이 완료된 경우에 조립완료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퍼즐 놀이기구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70,724호에서는 완성된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각 퍼즐 조각에 설치하여 그 퍼즐 조각들이 지정된 위치에 완전하게 조립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 전기 전달통로의 일 측으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신호가 전기 전달 통로를 통과하여 타 측에 도달하게 되면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된 것으로 인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퍼즐 놀이기구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일 측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여 타 측에서 상기 퍼즐 조각들에 설치된 하나의 전기전달통로를 통과한 전기를 감지한 경우에 음성으로 조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 블록을 제공하여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합물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완성되는 조합물에 따라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합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 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서브 유닛; 상기 서브 유닛과 결합하며 상기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하여 결합된 서브 유닛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시 상기 결합정보를 수신하며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완구를 제공한다.
상기 서브 유닛은 주파수 발진, 패턴 인식 및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한 식별 가능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 유닛은 각기 상이한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일 수 있다.
상기 서브 유닛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블록에 형성된 결합 스터드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구조가 형상화 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결합요소에는 결합 감지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광원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은 상기 제2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립 완구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 블록을 제공하여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합물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되는 조합물에 따라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합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유닛의 개략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는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는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유닛의 개략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개략도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는 복수개의 서브 유닛(10), 제1블록(20) 및 제2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브 유닛(10)은 각기 상이한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일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학습용 재료로 특정 주제에 따라 세트화하여 제작될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식재료용 세트로 다양한 형태의 요리 재료를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 교실놀이 세트로 책상, 의자 등을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 또는 동물원 세트로 여러 동물의 모습을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일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서브 유닛(10)에는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공(11)을 통하여 제1블록(20)과 결합할 수 있다. 삽입공(11)은 서브 유닛(10)의 모양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되는 위치도 상이할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식재료용 세트로 제작된 요리 재료가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일 경우 일단에 삽입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서브 유닛(10)은 예를 들면, 동물원 세트로 여러 동물의 모습을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한 모형 기구인 경우 동물 모양의 발에 삽입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유닛(10)은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 가능한 요소는 예를 들면 주파수 발진, 패턴 인식 및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서브 유닛(10)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유닛(10)은 특정 주파수를 발진하는 오실레이터가 장착되어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주파수를 발진하거나 바코드와 같은 특정 패턴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식별 가능한 특정 신호를 내보내는 RF-ID태그가 장착될 수 있다.
제1블록(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면체 또는 입체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1블록(20)의 적어도 일면에는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어 서브 유닛(10) 및 제2블록(30)과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 요소는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일 수 있다. 기계적 결합요소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 스터드(22)로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 스터드와 하면에는 관통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제1블록(20)은 서브 유닛(10)의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제1블록(20)은 서브 유닛(10) 식별 가능 요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내장되어 결합되는 서브 유닛(10)을 식별할 수 있다. 제1블록(20)에 내장되는 센서는 예를 들면, 주파수 수신기, 코드 리더기, 패턴 리더기, RF-ID독출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블록(20)은 결합된 서브 유닛(10)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한다.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서브 유닛(10)의 모형에 매칭되는 구조가 형상화 될 수 있다.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서브 유닛(10)이 식재료 세트인 경우 가스레인지 구조가 형상화 되거나, 교실놀이 세트인 경우 교실 구조가 형상화 되거나, 동물원 세트인 경우 동물원 구조가 형상화 될 수 있다.
또는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서브 유닛(10)의 모형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제1블록(20)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서브 유닛(10)이 식재료 세트인 경우 가스레인지 그림이 그려져 있거나, 교실놀이 세트인 경우 교실 그림이 그려져 있거나, 동물원 세트인 경우 동물원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
제1블록(20)의 결합 요소(22)에는 결합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결합되는 서브 유닛을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센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감지 센서 일 수 있으며 결합 요소 각각에 장착되어 결합된 서브 유닛(10)을 감지할 수 있다. 결합 감지 센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결합 감지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1블록(20)상에서 서브 유닛(10)의 결합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블록(20)은 결합 정보에 서브 유닛(10)의 결합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1블록(20)의 내부에는 광원(23) 및 스피커(24)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될 수 있다. 광원(23) 및 스피커(24)는 제2블록(30)과 결합시 동작하며, 제1블록(20)에 결합된 서브 유닛(10)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블록(20)은 제2블록(30)과 결합시 제2블록(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단, 제1블록(20)은 내장되거나 교체 가능한 배터리 등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블록(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면체 또는 입체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2블록(30)의 적어도 일면에는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어 제1블록(20)과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 요소는 기계적 결합 요소 또는 자기적 결합 요소일 수 있다. 기계적 결합요소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 스터드로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과 관통홀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블록(3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 스터드와 하면에는 관통홀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옆면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예를 들면 LCD, LED, OLED, PDP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블록(20)과 제2블록(30)의 규격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두 블록의 규격이 반드시 동일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제2블록(30)의 적어도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배치되어 시각적 컨텐츠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제2블록(30)은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블록(30)은 제1블록(20)과 결합시 결합 정보를 수신한다. 제1블록(20)과 제2블록(30)은 내장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호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ZigBee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3G 모듈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블록(30)은 결합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합 정보에는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종류, 개수 및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블록(30)은 예를 들면, 서브 유닛(10)이 식재료 세트인 경우에는 제1블록(20)에 결합된 식재료 서브 유닛을 통하여 완성되는 요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브 유닛(10)이 교실 세트인 경우 제1블록(20)에 결합된 서브 유닛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실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브 유닛(10)이 동물원 세트인 경우 제1블록(20)에 결합된 동물 서브 유닛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동물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30)은 서브 유닛(10)의 결합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컨텐츠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제2블록(30)은 동일한 종류의 서브 유닛(10)이 제1블록(20)에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한 경우라면 컨텐츠상에서 서브 유닛(10)에 대응되는 요소의 위치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블록(30)은 서브 유닛의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립물에 대한 명칭, 설명 등과 같은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2블록(3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서브 유닛(10)의 조합에 따라 완성되는 조립물과 관련된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 일 수 있으며, 제2블록(30)은 외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는 조립 완구의 조립 완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식재료 세트로 구성된 서브 유닛 2개가 제1블록에 결합되었을 때, 요리 과정을 표현하는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디스플레이 되며, 서브 유닛이 4개 결합되었을 때는 완성된 요리를 표현하는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6을 참조하면, 동물원 세트로 구성된 서브 유닛 2개가 제1블록에 결합 되었을 때, 해당하는 동물의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디스플레이 되며, 서브 유닛이 추가되면 추가된 서브 유닛과 매칭되는 동물의 영상 컨텐츠가 제2블록에 추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는 제1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내지 도8을 참조하면 제1블록의 표면에는 가스렌지와 불을 표현하는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 제1블록의 내부에는 광원이 내장되어 있으며 제1블록과 제2블록이 결합하면 내부 광원이 동작한다. 제1블록에 서브 유닛을 추가하게 되면 광원의 세기가 단계적으로 강해지며 이에 따라 제1블록의 표면에 그려진 불의 세기가 점점 강해지는 시각적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제1블록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1블록과 제2블록이 결합하면 스피커가 동작한다. 스피커는 예를 들면 물이 끓는 효과음을 낼 수 있다. 제1블록에 서브 유닛을 추가하게 되면 스피커의 음원 세기가 단계적으로 강해지며 이에 따라 음식이 조리되어 가는 과정을 청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개체별로 식별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서브 유닛;
    상기 서브 유닛과 결합하며 상기 식별 가능한 요소를 인지하여 결합된 서브 유닛을 식별하고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결합시 상기 결합정보를 수신하며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결합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주파수 발진, 패턴 인식 및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한 식별 가능 요소를 가지는 조립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각기 상이한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된 모형 기구인 조립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블록에 형성된 결합 스터드에 결합하는 조립 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구조가 형상화 되어 있는 조립 완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서브 유닛의 모형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는 조립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키는 조립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결합 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결합요소에는 결합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조립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에 결합된 서브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변화시키는 조립 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조립 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광원은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조립 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상기 제2블록과 결합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스피커는 결합된 서브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조립 완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은 상기 제2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립 완구.
PCT/KR2015/009178 2014-09-01 2015-09-01 조립 완구 WO201603610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78A KR101628881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 완구
KR10-2014-0115578 2014-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101A1 true WO2016036101A1 (ko) 2016-03-10

Family

ID=5544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178 WO2016036101A1 (ko) 2014-09-01 2015-09-01 조립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8881B1 (ko)
WO (1) WO20160361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127A1 (en) * 2016-03-16 2017-09-2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US11550528B2 (en) 2018-12-19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ccessory-mountable rob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78B1 (ko) * 2017-12-15 2019-11-27 김세례 동화 구연 장치, 및 동화 구연 방법
KR102180741B1 (ko) * 2019-02-11 2020-11-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장애 재활 치료장치
KR20230080986A (ko) 2021-11-30 2023-06-07 김세례 스마트 교육 완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796B1 (en) * 2000-06-19 2002-09-03 Judith Ann Shackelford Smart blocks
JP3765755B2 (ja) * 2001-12-28 2006-04-12 株式会社トミー ブロック玩具
KR20060107438A (ko) * 2006-08-28 2006-10-13 배봉규 음성 합성 기능과 적외선 통신 기능을 내장한 소리 내는학습용 완구
JP2009011838A (ja) *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676A (ja) * 2001-09-19 2003-03-25 Yamaha Corp 平面パズ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796B1 (en) * 2000-06-19 2002-09-03 Judith Ann Shackelford Smart blocks
JP3765755B2 (ja) * 2001-12-28 2006-04-12 株式会社トミー ブロック玩具
KR20060107438A (ko) * 2006-08-28 2006-10-13 배봉규 음성 합성 기능과 적외선 통신 기능을 내장한 소리 내는학습용 완구
JP2009011838A (ja) *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127A1 (en) * 2016-03-16 2017-09-2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US11213747B2 (en) 2016-03-16 2022-01-04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of stacking interlocking blocks
US11550528B2 (en) 2018-12-19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ccessory-mountabl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522A (ko) 2016-03-09
KR101628881B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6101A1 (ko) 조립 완구
EP3188812B1 (en) Interactive learning blocks
CN106068148B (zh) 用于与软件的交互的模块化构建
KR101588444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US20190022539A1 (en) Coding toy, block, stage, figure body toy and coding method
CN103877727B (zh) 一种由手机控制并通过手机进行交互的电子宠物
KR101713085B1 (ko)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시스템
US20150321089A1 (en) A novel toy console and methods of use
WO2016010357A1 (ko) 조립 유닛
CN210293277U (zh) 一种多合一的无线文物环境监测器及文物储藏柜
KR20150053083A (ko) 3차원 모션감지를 통한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00106A (ko) 입체퍼즐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WO2017014530A1 (ko) 토폴로지 인식 기능을 갖는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20220168625A1 (en) Gaming unit
WO2019013375A1 (ko) 블럭완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KR102000673B1 (ko) 상호작용 가능한 블록 도구
US20200166990A1 (en) Device and methodology for the interaction through gestures and movements of human limbs and fingers
KR101946464B1 (ko) 체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 및 그 방법
KR102479950B1 (ko) Ar을 통한 모듈 조립이 가능한 코딩 교육용 시스템
KR101598925B1 (ko)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KR102463835B1 (ko) 미션 해결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코딩 교육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24342A1 (ko) 스마트 블록 기반 체감형 컨텐츠 구현시스템
KR20130089780A (ko)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207517B1 (ko) 스마트 큐브 및 이의 동작방법
US11669134B2 (en) Fir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86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86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