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925B1 -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 Google Patents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925B1
KR101598925B1 KR1020140064536A KR20140064536A KR101598925B1 KR 101598925 B1 KR101598925 B1 KR 101598925B1 KR 1020140064536 A KR1020140064536 A KR 1020140064536A KR 20140064536 A KR20140064536 A KR 20140064536A KR 101598925 B1 KR101598925 B1 KR 101598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unit
module
module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206A (ko
Inventor
조택연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92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형상끼리 상호 결합에 의해 조립 또는 분리되는 단위체로서, 회로기판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로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상기 몸체프레임끼리 연결시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기능을 확장하는 모듈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부별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공간 인식에 대응한 문자 혹은 그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입출력부; 상기 모듈부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부간 공간 위치 인식을 위한 초기 작동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프레임을 자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고, 공간상에 배치된 상기 몸체프레임의 결합 위치를 인식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APPARATUS WITH SNIPPET FOR HIGHLY INTELLIGENT OBJECT}
본 발명은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스마트 디지털 장치로서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여 2개 이상으로 나눠 보관 또는 상호 연결 사용 가능한 조각 형태의 쪼가리(snippet)로 이루어진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환경이라 불리는 현대는 일상이 수많은 휴대용 디지털 도구의 도움으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디지털 도구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 또는 통신을 통해서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런 휴대용 디지털 도구는 태블릿컴퓨터, 모바일 폼, 스마트폰, 웨어러블 컴퓨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비롯하여, 스마트 TV(smart TV), 스마트키(smart key),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을 지칭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디지털 도구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앱,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앱 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해당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지만, 상기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실현 및 지원하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하드웨어가 필수적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스마트 디지털 장치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용도에 맞는 하드웨어를 각각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휴대 가능한 소형의 모바일 폰을 소지하면서도, 그래픽 작업을 위해서 넓은 화면을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전자책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모바일 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태블릿컴퓨터를 소지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사용하는 문서작업의 경우에는 모바일 폰 이외에 문서작업용 노트북을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디지털 도구의 성격은 그 것이 가진 기계, 전기, 전자적 특성이 아니라, 사용자인 인간의 신체와 정신 그리고 생활양식이 가진 인체공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의 멀티 세그먼트 웨어러블 액세서리에서는 특정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세그먼트가 밴드 형태의 프레임에 결합 또는 조립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기술은 멀티 세그먼트들이 서로 결합되기 위한 프레임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러한 프레임이 없이는 멀티 세그먼트들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프레임의 크기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프레임의 크기보다 큰 사이즈의 스마트 장치를 구현하기 매우 어렵거나, 프레임의 크기보다 큰 사이즈로 확장될 수 없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일명 폰블록(phone block)은 2개 이상의 모듈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빵판(breadboard)과 같은 모듈 연결용 베이스프레임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러한 베이스프레임에 정해져 있거나 베이스프레임에서 허용하는 해당 위치에만 폰블록용 모듈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 또는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결합 위치에 해당 모듈을 연결해야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하고, 베이스프레임의 크기보다 큰 사이즈로 폰블록을 확장시킬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2의 두 개의 콤포넌트 장치용 분리형 힌지 어셈블리는 단순히 힌지 기능과 전원 및 회선 연결용 힌지 어셈블리일 뿐, 해당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콤포넌트들을 상호 연결 및 확장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휴대성 또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3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바일 통신 장치는 본체에 제 1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제 2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 사용할 뿐, 상기 디스플레이들을 2개 이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전방향(예: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확장 및 연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상술한 종래 기술의 장치들은 미리 정해진 수단 또는 결합 방법이나, 사용자가 해당 장치를 인식한 후 해당 장치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뿐, 공간상에 장치의 콘퍼넌트 또는 세그먼트가 배치된 후 스스로 결합 위치를 인식할 수 없다. 예컨대, 복수개의 콤퍼넌트 또는 세그먼트별 장치가 평면상에 랜덤하게 놓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 콤퍼넌트 또는 세그먼트별 장치의 결합위치를 일일이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해당 콤퍼넌트 또는 세그먼트별 장치를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일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형태와 구조, 사용자의 의식 그리고 무의식적 정신 그리고 행동의 방식을 수용하는 디지털 장치가 요구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미국공개특허 US2013/0271351(2013.10.17) 미국등록특허 US8,437,126(2013.05.07) 미국공개특허 US2011/0143769(2011.06.1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별 모듈부를 갖는 복수개의 쪼가리 고도지능객체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해당 쪼가리 고도지능객체를 선택하여 일부를 교체, 결합 혹은 분리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기능을 갖는 고도지능객체를 구현할 수 있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형상끼리 상호 결합에 의해 조립 또는 분리되는 단위체로서, 회로기판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로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상기 몸체프레임끼리 연결시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기능을 확장하는 모듈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부별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공간 인식에 대응한 문자 혹은 그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입출력부; 상기 모듈부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부간 공간 위치 인식을 위한 초기 작동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프레임을 자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고, 공간상에 배치된 상기 몸체프레임의 결합 위치를 인식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모듈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는 중앙제어모듈부, 말단신경모듈부, 제1통신모듈부, 제2통신모듈부, 제1카메라모듈부, 제2카메라모듈부, 센서모듈부, 파워뱅크모듈부 및 프로젝션모듈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프레임끼리 조립을 통해 고도지능객체의 기능을 확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을 근접 배치시키거나, 상기 몸체프레임별 상기 연결부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 최소 전력을 이용한 유휴상태를 기본작동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기본작동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와 접속된 연결부의 지자기 센서부 및 통신부를 통해 공간 위치 인식의 기준이 되는 상기 말단신경모듈부와의 상대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대응하게 상기 몸체프레임별 결합 순서를 문자, 숫자, 기호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모듈부는 메인보드에 마련된 컴퓨터용 중앙연산장치로 메모리장치의 운영체제를 실행하고,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모뎀, 통신단자를 구비한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신경모듈부는 전원스위치와 배터리를 구비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를 통해 상기 말단신경모듈부를 탑재한 몸체프레임의 절대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지자기 센서부에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인식용 자계를 자기발생기로 발생시켜서, 상기 말단신경모듈부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몸체프레임의 제어부를 초기작동상태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다른 몸체프레임의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지자기 센서부의 감지값인 자기장 세기 및 방향과 상기 절대 위치를 통해 상기 다른 몸체프레임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고, 쪼가리별 몸체프레임 연결 방법을 확정하는 인식 결과를 쪼가리별 통신부에게 각각 전송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조립시키려는 몸체프레임의 연결홈부와 접속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돌기부; 및 상기 연결돌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시키려는 몸체프레임의 연결돌기부와 접속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부와 상기 연결홈부는 상기 측면에서 쌍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도록 상기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의 결합부위와 상기 연결돌기부 또는 상기 연결홈부의 사이에는 절연부가 개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조립 개수가 선정되어 공간상에 배치될 경우, 선택된 개수의 쪼가리 고도지능객체가 서로의 공간 관계를 인식하여 최적의 배열을 유도하여 연결될 수 있으므로, 물리적으로나 하드웨어적으로 기능 확장시의 제한을 뛰어넘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대응한 개수만큼 서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에게 필요 기능별로 쪼가리 고도지능객체를 선택하여 소지할 수 있고, 편의성 및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도 기능이 확장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는 전기, 전자 혹은 기계적 특징을 공유하면서, 사용자의 휴먼펙터(human factor: ergonomic structure)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와 정신 그리고 행동을 수용하는 작동구조를 가지면서, 기존의 장치들에서 흩어져 있는 전기, 전자, 기계적 자원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한 디지털 장치 또는 디지털 도구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다양한 일상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쪼가리를 도시한 평면측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쪼가리의 저면측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의 모듈부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 3개로 이루어진 모바일 폰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 13개로 이루어진 태블릿컴퓨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쪼가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쪼가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및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쪼가리 고도지능객체(이하, '쪼가리'라 약칭 함)는 사용자의 소지(所持)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조각을 지칭하고, 조각들을 상호 연결, 즉 조립해 사용하는 스마트 디지털 장치 또는 도구이다.
또한, 쪼가리는 복수개로 공간상에 배치될 경우, 서로의 공간 관계를 인식하여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를 표시함에 따라 상호간 결합, 혹은 조립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쪼가리는 별도의 저장, 운반, 보관 혹은 충전 수단을 이용하여 한 곳의 위치에 모여 있다가, 책상 위 등과 같은 평면상에 이격 배치 또는 펼쳐 놓은 후,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전자회로적으로 완성 제품(예: 모바일 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이 될 수 있는 고도지능객체이다.
또한, 고도지능객체는 모바일 폰, 웨어러블 컴퓨터, 전자책,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디지털 기능을 가지고 있고 통신망을 통해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해, 사용자와 클라우드 슈퍼컴퓨팅을 매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고도지능객체는 각 쪼가리별 또는 각 기능 모듈부별로 나눠져 구분될 수 있고, 단위 기능 또는 단위 공간의 모듈부로 나뉘고 이를 연결해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쪼가리를 도시한 평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쪼가리의 저면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쪼가리(100)는 하나 이상 혹은 복수개(예: 최소 3개 내지 40개)로 구성된다. 예컨대, 쪼가리(100)들은 3개로 연결시 모바일 폰, 13개로 연결시 태블릿컴퓨터, 40개로 연결시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완성 제품이 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폰의 기본 구성에 해당하도록 쪼가리(100)가 마이크, 스피커, 이동통신단말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각각 구성되어 있고, 이들을 결합시키면 모바일 폰이 된다. 여기에, 몇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쪼가리를 더 부착 또는 결합시켜 문자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경우 전자책이 되고, 더 많은 쪼가리를 결합하면 패드 타입(pad type)의 컴퓨터, 즉 태블릿컴퓨터가 될 수 있다. 다시 여기에 더 강력한 CPU(예: 듀얼코어 프로세서 내지 헥사코어 프로세서)와 같은 중앙제어모듈부를 갖는 쪼가리 및 대용량 전원 공급 및 디스플레이 확장용 쪼가리를 더 결합시키면, 노트북 혹은 데스크탑 또는 슈퍼컴퓨터 급의 컴퓨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쪼가리(100)는 내부 구성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교체하거나, 따로 업그레이드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쪼가리(100)는 몸체프레임(110), 모듈부(120), 입출력부(130), 제어부(140),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측면 개수 기준으로 육면체를 갖는 쪼가리(100) 1개는 다른 6개의 쪼가리와 연결되어 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쪼가리(100)에서 입출력부(130), 제어부(140) 및 연결부(150)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최소한의 회로작동을 유지하기 위한 소형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거의 무전원 상태의 고도지능객체는 대용량 배터리를 내장한 고도지능객체와 연결될 때, 대용량 배터리를 내장한 고도지능객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거나, 다른 배터리를 내장한 고도지능객체의 전자 자기장 또는 자계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쪼가리(100)의 외형을 이루는 몸체프레임(110)은 대응하는 다른 몸체프레임(114)에 대하여 형상끼리 상호 결합을 통해 조립 또는 분리되는 단위체이다. 몸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되고, 그 회로기판에는 하기에 후술할 세부 구성품이 탑재되어 전자 제품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프레임(110)의 프레임평면(11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상끼리 상호 결합에 의해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형상을 갖되, 동일 형상 및 크기의 육각형, 사각형, 삼각형 및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육각형 형태의 몸체프레임(110) 또는 그 몸체프레임(110)을 갖는 쪼가리(100)가 개시된다.
만일 상호 형합에 의해 조립 또는 분리되어 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최선의 형상이 존재할 경우, 본 실시예의 쪼가리(100)가 상기 최선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육각형, 사각형, 삼각형,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형상 등으로 특정되는 것 이외에, 빈틈없이 일정 범위 평면 공간을 메울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쪼가리(100)에 적용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110)은 몸체프레임(110)의 위쪽 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입출력부(130)의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프레임평면(113)과, 프레임평면(113)의 각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몸체프레임(110)의 벽체를 이루면서 6개의 동일 형상의 측면적을 갖는 측면(111)과, 측면(1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커버 형태의 프레임저면(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평면(113)은 육각형, 측면(111)은 사각형, 프레임저면(112)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평면(113) 및 측면(111)은 투명 재질 또는 강화유리재질로 제작되어서 평면 및 측면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성되어서, 측면(111)간 접촉시의 경계선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평면(113), 측면(111) 및 프레임저면(112)에 의해 구획되고, 후술하는 구성품을 구비한다.
모듈부(120)는 몸체프레임(110)의 내부로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몸체프레임(110,114)끼리 연결시, 해당 몸체프레임(114)의 모듈부, 제어부, 연결부 및 입출력부와 상호 연동하여서, 기능을 확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입출력부(130)는 문자 혹은 그림 정보를 투영하는 디스플레이(모니터)와 디스플레이 화면상을 통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과, 터치스크린을 구동시키는 회로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각 쪼가리(100)마다 기본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입출력부(130)는 몸체프레임(110)의 외표면(예: 프레임평면)의 저면에 설치되고, 모듈부별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공간 인식에 대응한 문자 혹은 그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거나, 또는 입출력부(130) 자체가 터치스크린과 같은 장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30)는 모든 쪼가리들과 서로 전기 에너지를 교환할 수 있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접속 및 공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입출력부(130)는 모든 쪼가리들의 제어부의 연산과 제어를 공유 혹은 교환할 수 있는 접속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접속 기능은 연결부(150)를 통한 통신일 수 있고, 전파 신호에 의한 통신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출력부(130), 모듈부(120) 및 연결부(150)에 전자 회로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모듈부(120)간 공간 위치 인식을 위한 초기 작동 및 디스플레이 기능 혹은 터치에 의해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를 구현한다. 제어부(140)도 각 쪼가리(100)마다 기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계적 접속, 블루투스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통신부, 즉 정보 전달 장치를 통해서 쪼가리(100)들 끼리 상호 연결되어 각 수준의 디지털 장치로 결합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쪼가리(100)에 조립될 다른 쪼가리의 제어부와 연동하는 멀티형 제어부로서, 연결부(150)의 통신부를 통해 들어오는 다른 쪼가리의 연결부(150)의 식별자(예: 시리얼 넘버)를 통해 상호 인식 기능을 구현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몸체프레임(110,114)을 근접 배치시키거나, 상기 몸체프레임(110,114)별 연결부(150)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 최소 전력을 이용한 유휴상태를 기본작동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기본작동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40)와 접속된 연결부(150)의 지자기 센서부 및 통신부를 통해 공간 위치 인식의 기준이 되는 도 4의 쪼가리(101)의 말단신경모듈부와의 상대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대응하게 상기 몸체프레임(110,114)별 결합 순서를 문자, 숫자, 기호(예: 화살표)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입출력부(130)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150)는 몸체프레임(110,114)을 자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고, 전원, 신호, 정보를 전달 및 공유하며서, 공간상에 배치될 때 상기 몸체프레임(110,114)의 결합 위치를 인식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0)는 식별자 또는 ID를 구비하여, 다른 쪼가리에 구비된 연결부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0)는 상기 제어부(140)를 위해서 블루투스 및 NFC을 지원하는 통신회로인 통신부를 구비한다. 즉, 통신부는 NFC용 안테나를 비롯하여, 해당 통신 규격의 통신 회로를 갖는다. 예컨대, 통신부와 접속된 NFC용 안테나는 측면(111)의 안쪽면마다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0)는 언어 인식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구강 언어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기능별 쪼가리(100)를 구별할 수 있도록, 입출력부(130)를 통해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색체 또는 기호 등의 표식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별 쪼가리(100)를 구별할 수 있는 표식은 물리적으로 몸체프레임(11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50)는 기계적 접속을 위한 영구자석과 같이 자력을 갖는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를 구비한다.
연결부(150)와 모든 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는 내부 회선 또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50)는 음식 인식 기능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구강 언어 또는 구강 명령에 반응하여 자기력 발생 또는 정지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부(151)는 반구면 형상의 돌기로서 영구자석 또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합한 접속용 기구물로서 전원 또는 신호의 전달 경로가 되는 단자이고, 연결홈부(152)는 상기 반구면 형상이 기밀하게 안착될 수 있는 반구면 형상의 홈 또는 저면이 막힌 구멍으로서, 역시 영구자석 또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합한 접속용 기구물 및 단자이다.
즉,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는 자웅형(雌雄形) 자석쌍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가 발생하는 자기력은 가변적이어서 처음 조립될 때는 작은 자기력으로 위치를 잡아 조립되고,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강한 자기력으로 결합되거나, 다시 몸체프레임(110,114)이 움직이지 않은 휴유상태일 때에는 최소 자기력으로 변환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몸체프레임(110,114)이 움직이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처럼 다룰 수 있도록,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의 자기력이 강하게 유지된다.
또한,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는 충전 단자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돌기부(151)는 S극 또는 N극일 수 있고, 연결홈부(152)는 상기 연결돌기부(151)와 반대되는 극성, 즉 N극 또는 S극일 수 있다. 예컨대, 연결돌기부(151)가 S극으로 제작되는 경우, 연결홈부(152)는 N극으로 제작된다.
이를 더 응용하면, 연결돌기부(151,151a)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홈부(152,152a)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돌기부(151)는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측면(1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조립시키려는 몸체프레임(114)의 연결홈부(152a)와 접속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력(예: 인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결홈부(152)는 상기 연결돌기부(151)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111)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시키려는 몸체프레임(114)의 연결돌기부(151a)와 접속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력(예: 인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부(151)와 상기 연결홈부(152)는 쌍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도록 상기 측면(111)에 배치된다. 즉 측면(111)별로 연결돌기부(151) 및 상기 연결홈부(152)가 교차 배치되며, 이러한 교차 배치의 특징으로 인하여, 몸체프레임(110,114)간 인력의 작용으로 정상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때만, 모든 몸체프레임(110,114)의 터치스크린인 프레임평면(113)이 동일 방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다수의 몸체프레임(110,114) 중 어느 하나가 반대 방향으로 공간 상에 놓일 경우, 연결돌기부(151,151a) 및 연결홈부(152,152a)의 극성으로 인하여 척력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접속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정상적인 접속이 일어나지 않은 상황은 연결부(150)를 통해 제어부(140)에 의해 인식되고, 입출력부(130)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높인 것을 올바르게 돌려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부(151) 또는 상기 연결홈부(152)가 설치되는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결합부위(예: 장착 구멍)에는 절연부(153,154)가 더 설치, 즉 개재되어서, 몸체프레임(110,114)을 통한 누전 및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50)는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의 상대적으로 자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에 접속된 자력 증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150)는 전원 관리부를 더 구비한다. 전원 관리부는 쪼가리(100)간 거리에 따라 전파 수신 방식 또는 공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관리부는 서로 접속된 연결돌기부(151) 및 연결홈부(152) 쌍을 통해서 전원을 전달, 공유할 수 있는 전원 분배 회로(예: 스마트 그리드 기술)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수신 회로와 전원 분배 회로는 주지의 전력 통신 기술 혹은 전자 회로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의 모듈부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각 쪼가리(100 ~ 108)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는 상기 모듈부는 제어부와 접속된 중앙제어모듈부, 말단신경모듈부, 제1통신모듈부, 제2통신모듈부, 제1카메라모듈부, 제2카메라모듈부, 센서모듈부, 파워뱅크모듈부, 프로젝션모듈부 중 어느 하나로서, 각 쪼가리(100 ~ 108)의 몸체프레임끼리 조립을 통해 고도지능객체의 기능을 확장한다.
아울러, 상기 쪼가리(100 ~ 108) 이외에 다른 수개에서 수십개의 쪼가리(미 도시)들은 단순히 제어부와 입출력부 및 연결부만을 구비하고, 쪼가리(100 ~ 108)로부터 전원과 작동에 필요한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될 수도 있다.
쪼가리(100 ~ 108)는 유사시 사용자 육안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기능별로 구분 가능한 색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경우, 조립 방향 또는 연결 위치를 표시한 마크나, 서로 일치시키기 위한 색상부를 몸체프레임의 외부에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쪼가리(100)의 중앙제어모듈부는 메인보드에 마련된 컴퓨터용 중앙연산장치(예: 노트북 혹은 데스크탑 또는 슈퍼컴퓨터 급의 컴퓨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쿼드코어 또는 헥사코어 프로세서)로 메모리장치의 운영체제를 실행하고,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모뎀, 통신단자를 구비한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쪼가리(100)의 중앙제어모듈부는 배터리에 의해 유휴상태 또는 기본작동상태만을 유지하고, 이후 다른 쪼가리(101 ~ 108)들과 연결되었을 때 공유된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쪼가리(100)의 중앙제어모듈부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충전된 파워뱅크모듈부를 갖는 다른 쪼가리(106)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쪼가리(101)의 말단신경모듈부는 전원스위치(101-1)와 배터리를 구비하고, 말단신경모듈부는 전원스위치(101-1)를 켜면 시스템 제어 혹은 연결 가능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스위치(101-1)는 함몰 버튼식 스위치이거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전자식 스위치일 수 있다.
쪼가리(101)의 말단신경모듈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를 통해 상기 말단신경모듈부를 탑재한 자신의 몸체프레임의 절대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말단신경모듈부는 지자기 센서부에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인식용 자계를 자기발생기로 발생시켜서, 상기 말단신경모듈부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몸체프레임의 제어부를 초기작동상태로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의 주변에 있고 중앙제어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0)의 연결부에 구비된 지자기 센서부는 상기 말단신경모듈부의 자기발생기에서 발생된 위치 인식용 자계를 통해서 자기장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한다.
이후, 중앙제어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0)의 통신부는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의 통신부와 통신을 하여, 상기 자기장 세기 및 방향을 전송 받는다.
이후, 말단신경모듈부는 상기 다른 몸체프레임의 통신부, 즉 상기 중앙제어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0)의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자기장 세기 및 방향과 상기 절대 위치를 통해 상기 다른 몸체프레임의 상대 위치를 파악한다.
이러한 절대 위치 파악 및 지자기를 이용한 상대 위치 파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IPS(indoor positioning system)의 기술 또는 레이더 전파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그 결과, 말단신경모듈부는 몸체프레임 연결 방법, 즉 쪼가리(100 ~ 108)의 기능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를 포함한 상기 인식 결과를 쪼가리(100 ~ 108)별 통신부에게 각각 전송한다.
결합된 상태의 쪼가리(100 ~ 108)(예: 도 4 ~ 도 6 참조) 중에서 해당 쪼가리(103,104)의 제 1 카메라모듈부 및 제 2 카메라모듈부은 사용자의 시점(視點: target point)를 읽고, 컴퓨터 연산을 통해 전체 쪼가리들의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용을 상기 시점에 대응하게 좌우로 움직여 사용자 느낌상 쪼가리 경계선이 없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점이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쪼가리(100 ~ 108)의 경계 부분(예: 측면 테두리)과 같이 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글씨가 보이지 않은 영역에 도달하면, 터치스크린이 숨겨진 글자를 크게 확대해 표시하거나, 숨겨진 글자를 가까운 쪽의 터치스크린 부분에 표시하거나,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해 표시하거나, 전체 화면이 사용자의 시선 이동 속도에 맞춰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3)와 제 2 카메라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4)는 홍체 인식 기능, 화상 채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메라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4)는 후방카메라 및 플래쉬라이트를 구비하여,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파워뱅크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6)는 유선충전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무선전원과 거리에 따라 전파 수신 방식 또는 공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 받아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충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선충전기 및 무선충전기로부터 충전된 전원은 대용량의 배터리에 저장되거나, 조립에 의해 연결시 공유될 수 있다.
센서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7)는 신체에 접촉하는 프레임저면에 심박측정기, 온도계, 관성센서 등을 구비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8)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빔프로젝터용 LED광원, DLP(Digital Light Processing)칩셋, 렌즈,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모듈형 프로젝터로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저장, 운반, 보관 혹은 충전 수단에서 특정 목적의 쪼가리를 꺼낸다.
쪼가리(100 ~ 108)는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색체, 기호 등의 표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표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구별 및 선택 사용된다.
또한, 쪼가리(100 ~ 108) 중에서, 연결부의 언어 인식부에 의해 사용자의 구강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명령에 대응한 기능을 갖는 쪼가리(100 ~ 108)는 색체, 기호 등의 표식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쪼가리(100 ~ 108)를 구별 및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통신 목적 및 용도로 쪼가리(100 ~ 108)를 사용하려고 할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는 구강 언어 또는 구강 명령을 쪼가리(100 ~ 108)에 전달 또는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구강 언어 또는 구강 명령에 대응한 기능을 가진 해당 쪼가리(100 ~ 108)의 모듈부가 인식 및 반응함에 따라서 다른 모듈부와 구분할 수 있는 표식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통신 목적 및 용도의 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0 ~ 108)를 꺼내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목적 기능의 고도지능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 3개로 이루어진 모바일 폰의 사시도이다.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대로, 복수개의 상기 쪼가리(100 ~ 108)에서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와 제 1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2)와 제 2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5)를 선택한 후, 평면 공간에 서로 근접될 수 있도록 뿌려 놓는다.
이들 쪼가리(101,102,105)들은 자신의 기능을 고려해 위치를 설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안한다.
이때, 쪼가리(101,102,105)들은 사용자 입장에서 어느 하나의 쪼가리(101)를 기준으로 어떤 조립 위치에 다른 쪼가리(102,105)들이 조립되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된다.
이때,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식 결과를 다른 쪼가리(102,105)에게 전달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의 쪼가리(102)는 이동통신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갖는 제 1 통신모듈부로서 마이크(102-1), 안테나, 가속도센서, 배터리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동통신용 하드웨어는 모바일 폰의 핵심부분으로 전송신호를 처리하는 메인칩셋(main chipset)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메인칩셋은 RF칩(예: RFL, RFR, RFT 등)과 모바일 폰용 CPU를 포함한다. 플래시메모리는 전원이 꺼져도 기록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아 프로토콜 등 메인 소프트웨어, 사용자프로필, 전화번호부 등을 저장하고, 에스램(SRAM)은 임의로 번지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하는 주기억장치로서 ROM(Read Only Memory)과 달리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소멸한다.
또한, 타측의 쪼가리(105)는 이동통신용 제 2 통신모듈부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부 및 말단신경모듈부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 및 연동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스피커(105-1), 유심칩셋, 조도센서, 근접센서, USB포트, 배터리를 구비한다.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부, 자기발생기, NFC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립하려는 쪼가리(102,105)의 기능, 위치, 방향을 인식한다.
즉,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는 인식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쪼가리(102)의 마이크(102-1)가 위치한 측면과,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의 측면이 접촉하지 않게 하면서, 최대한 상기 마이크(102-1)의 반대쪽으로 제 2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5)의 스피커(105-1)를 배치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를 도출한다.
그 결과,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의 터치스크린에는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에 대응하여 같은 것끼리 짝을 지을 수 있는 화살표, 숫자 또는 동일 색상의 마크(10,20)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의 일측 마크(10)는 녹색 바 이미지일 수 있고, 타측 마크(20)는 적색 바 이미지로서, 전원스위치(101-1)가 가려지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대향되게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는 인식 결과인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를 제 1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2)와 제 2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5)에게 전송한다.
이런 경우, 제 1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2)는 마이크(102-1)의 반대쪽 측면 쪽에 가까운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일측 마크(10)와 동일한 녹색 바 이미지의 연결 마크(11)가 표시된다.
또한, 제 2 통신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5)는 스피커(105-1)의 반대쪽 측면 쪽에 가까운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타측 마크(20)와 동일한 적색 바 이미지의 연결 마크(21)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같은 것끼리 짝을 지을 수 있는 마크(10,11,20,21)들을 통해 쪼가리(101,102,105)의 연결 방향 및 위치를 가이드 받을 수 있고, 상기 마크(10,11,20,21)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쪼가리(101,102,105)의 대응하는 측면끼리 각각 접촉 및 결합시킴으로써, 완성 제품인 모바일 폰에 대응한 수준의 고도지능객체를 갖게 된다.
또한, 결합된 쪼가리(101,102,105)는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각각의 터치스크린을 합체하듯이 전체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치가 되거나, 제어부간 상호 연동을 통해 증가된 연산 능력을 가진 모바일 폰이 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쪼가리 13개로 이루어진 태블릿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13개의 쪼가리 그룹은 말단신경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1)에 의해 최적화된 연결 방향 및 위치로 조립되어서, 패드 타입 컴퓨터 또는 태블릿컴퓨터(200)가 될 수 있다.
이때, 제 1 카메라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3)와 제 2 카메라모듈부를 갖는 쪼가리(104)는 일종의 2개의 전방카메라를 사용한 스테레오식 카메라로서, 사용자의 동공 움직임 및 위치를 파악하고, 컴퓨터 연산을 통해 전체 쪼가리들의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용을 상기 동공 움직임에 대응하게 좌우로 움직여 사용자 느낌상 쪼가리 경계선이 없어지도록 하거나, 홍체 인식 기능, 화상 채팅 기능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쪼가리 40개를 조립할 경우,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완성 제품이 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쪼가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쪼가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르면, 앞서 상세히 설명한 각종 고도지능객체는 도 9에 도시된 사각형 쪼가리(100a) 혹은 도 10에 도시된 삼각형 쪼가리(100b)로서 대응되는 측면끼리 조립이 가능하고, 이 경우 빈틈없이 일정 범위 평면 공간을 메울 수 있다.
100,100a,100b,101 ~ 108 : 쪼가리 110,114 : 몸체프레임
111 : 측면 112 : 프레임저면
113 : 프레임평면 120 : 모듈부
130 : 입출력부 140 : 제어부
150 : 연결부 151,151a : 연결돌기부
152,152a : 연결홈부

Claims (8)

  1. 형상끼리 상호 결합에 의해 조립 또는 분리되는 단위체로서, 회로기판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부로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상기 몸체프레임끼리 연결시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기능을 확장하는 모듈부;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부별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공간 인식에 대응한 문자 혹은 그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입출력부;
    상기 모듈부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부간 공간 위치 인식을 위한 초기 작동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프레임을 자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고, 공간상에 배치된 상기 몸체프레임의 결합 위치를 인식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부는,
    상기 제어부와 접속된 중앙제어모듈부, 말단신경모듈부, 제1통신모듈부, 제2통신모듈부, 제1카메라모듈부, 제2카메라모듈부, 센서모듈부, 파워뱅크모듈부 및 프로젝션모듈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프레임끼리 조립을 통해 고도지능객체의 기능을 확장하고,
    상기 말단신경모듈부는 전원스위치와 배터리를 구비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를 통해 상기 말단신경모듈부를 탑재한 몸체프레임의 절대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지자기 센서부에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인식용 자계를 자기발생기로 발생시켜서, 상기 말단신경모듈부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몸체프레임의 제어부를 초기작동상태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다른 몸체프레임의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지자기 센서부의 감지값인 자기장 세기 및 방향과 상기 절대 위치를 통해 상기 다른 몸체프레임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고, 쪼가리별 몸체프레임 연결 방법을 확정하는 인식 결과를 쪼가리별 통신부에게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을 근접 배치시키거나, 상기 몸체프레임별 상기 연결부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 최소 전력을 이용한 유휴상태를 기본작동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기본작동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와 접속된 연결부의 지자기 센서부 및 통신부를 통해 공간 위치 인식의 기준이 되는 상기 말단신경모듈부와의 상대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대응하게 상기 몸체프레임별 결합 순서를 문자, 숫자, 기호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모듈부는 메인보드에 마련된 컴퓨터용 중앙연산장치로 메모리장치의 운영체제를 실행하고,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모뎀, 통신단자를 구비한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조립시키려는 몸체프레임의 연결홈부와 접속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돌기부; 및
    상기 연결돌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측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시키려는 몸체프레임의 연결돌기부와 접속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부와 상기 연결홈부는 상기 측면에서 쌍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도록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결합부위와 상기 연결돌기부 또는 상기 연결홈부의 사이에는 절연부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KR1020140064536A 2014-05-28 2014-05-28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KR101598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36A KR101598925B1 (ko) 2014-05-28 2014-05-28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536A KR101598925B1 (ko) 2014-05-28 2014-05-28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206A KR20150137206A (ko) 2015-12-09
KR101598925B1 true KR101598925B1 (ko) 2016-03-03

Family

ID=5487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536A KR101598925B1 (ko) 2014-05-28 2014-05-28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9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3769A1 (en) 2009-12-16 2011-06-16 Microsoft Corporation Dual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437126B2 (en) 2010-11-10 2013-05-07 Lenovo (Singapore) Pte. Ltd. Separable hinge assembly with two component device
US20130271355A1 (en)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ISTORY BLOG - MAN CITY STORIES, "마음대로 조립하는 퍼즐 스마트폰" (2011.10.14)*
서지스윈 @IT. 블로그 매거진, 구글, 모듈(부품) 조립형 스마트폰 'project ara' (2014.04.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206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8812B1 (en) Interactive learning blocks
US10942615B2 (e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EP3224693B1 (en) Charging device for removable input modules
US9584641B2 (en) Messaging device
EP3128293B1 (en) Modular smart necklace
US20150084900A1 (en) Removable input module
CN114402589B (zh) 用于2d和3d图形用户界面中的元素映射的智能触笔光束和辅助概率输入
JP2021532967A (ja) 仮想アイテム転送方法、装置、電子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954200B2 (en)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204131B1 (en) Storage and charging device for game pieces
US11783549B2 (en) Method for observing virtual environ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603108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21017783A1 (zh) 视角转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712641A (zh) 用于基于多面体提供vr图像的电子设备及其图像提供方法
WO2016036101A1 (ko) 조립 완구
CN106127534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会展系统
KR101598925B1 (ko)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
US20220276824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teracting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
KR101598928B1 (ko)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컨테이너유닛
KR101295335B1 (ko)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669134B2 (en) Fir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540802B1 (ko) 정다면체 속에 정다면체가 구현된 멀티 정다면체 체험 장치
US20230069328A1 (en) Snapshot messages for indicating user state
CN115869624A (zh) 游戏区域的标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265884A (zh) 触觉传感器、触碰事件的检测方法、感知设备及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