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50B1 - 공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공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50B1
KR101493150B1 KR20130045461A KR20130045461A KR101493150B1 KR 101493150 B1 KR101493150 B1 KR 101493150B1 KR 20130045461 A KR20130045461 A KR 20130045461A KR 20130045461 A KR20130045461 A KR 20130045461A KR 101493150 B1 KR101493150 B1 KR 10149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ing
ball
lev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010A (ko
Inventor
류정해
Original Assignee
류정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해 filed Critical 류정해
Priority to KR2013004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1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6Lottos or bingo games; Systems, apparatus or devices for checking such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 번호를 표시한 공을 무작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공에 적힌 숫자를 이용하여 각종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하부 개방구가 동축(同軸)으로 형성된 중공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를 케이싱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를 구비한 개폐부, 상기 케이싱의 개방구내에 위치한 하나의 공을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밀어올리는 올림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올림 레버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한 상승 이동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개방구내에 하나의 공이 위치하도록 공의 상향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상부 개방구를 개방시켜 하나의 공이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상기 공이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상부 개방구를 차단하여 공의 역방향 하강을 차단시키는 횡행 레버를 구비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는 상기 상승 이동부의 제2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횡행 레버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을 통하여 하나의 공을 차례차례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고, 공에 기재된 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 추출장치{APPARATUS FOR DRAWING A BALL}
본 발명은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 번호를 표시한 공을 무작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공에 적힌 숫자를 이용하여 각종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무작위로 하나의 공을 추출하고, 상부로 차례차례 밀어 올려서 선택된 공을 인식하며, 이 과정에서 추출된 공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고, 관리자가 쉽게 선택된 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공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은 번호를 무작위로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를 이용하여 각종 게임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일련의 번호를 무작위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번호를 항상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번호 추출기의 종래 기술로는, 일본 특허공개 평9-120467호의 추첨기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송풍기를 구비한 받침대와, 이 받침대 위에 재치된 추첨기 본체가 있다.
이와 같은 본체에는 송풍기의 송풍구로부터 공급되는 기류가 유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리자의 손이 드나들 수 있는 크기의 추첨용 구멍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번호 추첨기는 송풍기로부터 송풍된 기류가 본체의 측면을 따라서 흐르고, 종이로서 접혀진 제비표들이 추첨기 본체 내에서 혼합되는 동안, 관리자는 본체에 형성된 추첨용 구멍을 통하여 하나의 제비표를 선택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추첨기는 추첨기 본체 내에서 제비표가 어느 한쪽으로 몰리기 때문에, 추첨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어, 추첨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불합리하게 보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다른 종래 기술로는, 번호가 적힌 공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91517호의 "게임장치 및 그 게임방법"이다.
이와 같은 공들을 이용하여 번호를 추첨하는 종래 기술은, 여러 가지의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빙고 게임, 또는 로또 게임 등의 여러가지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된 것으로서, 쉽게 구입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무작위로 하나의 공을 차례로 추출하고, 추출된 공을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 과정에서 추출된 공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고, 관리자가 쉽게 선택된 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번호를 표시한 공을 무작위로 차례차례 추출하고, 추출된 공에 적힌 숫자를 이용하여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의 각종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번호를 표시한 공을 무작위로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상,하부 개방구가 동축(同軸)으로 형성된 중공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를 케이싱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를 구비한 개폐부;
상기 케이싱의 개방구내에 위치한 하나의 공을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밀어올리는 올림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올림 레버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한 상승 이동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개방구내에 하나의 공이 위치하도록 공의 상향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상부 개방구를 개방시켜 하나의 공이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상기 공이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상부 개방구를 차단하여 공의 역방향 하강을 차단시키는 횡행 레버를 구비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는 상기 상승 이동부의 제2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횡행 레버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을 통하여 하나의 공을 차례차례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고, 공에 기재된 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는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에 일체로 연결된 래크 기어에 치차결합하며, 상기 래크 기어는 케이싱의 바닥면에 형성된 긴 구멍을 관통하여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는 케이싱의 바닥면 하부 외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피니언 기어와 래크 기어를 통하여 상기 도어가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어가 케이싱의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승 이동부는 올림 레버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구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올림 레버의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 개방구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폐부의 도어가 하부 개방구를 개방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올림 레버가 회동하면서 상기 개방구내의 하나의 공을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제어부는 횡행 레버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횡행 레버의 하부측으로는 연결대가 하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된 "∨"형 구동 레버에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형 구동 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형 구동 레버에 접촉된 연결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횡행 레버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행 레버는 그 상부측에 각각 좌우 양측으로 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항상 닫침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지지되고,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형 구동 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연결대를 통해서 상부 개방구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하는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은 개방구의 둘레에 전자기력 감지 센서를 추가로 장착하고,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는 공의 내부에 내장되어 공의 표면에 인쇄된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마그네트를 감지하며, 상기 개폐부의 도어가 개방되어 개방구의 내부를 공이 상승하여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공의 마그네트를 감지하고, 공의 고유 번호를 인식하여 모니터의 화면에 번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는 도어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개방구의 내부로 진입하는 공의 마그네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돌기가 공을 개방구 내에서 상하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공에 내장된 마그네트를 재차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의하면, 제1 모터에 의해서 동작하는 개폐부, 제2 구동모터에 연동하는 상승 이동부 및 이동 제어부를 갖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무작위로 하나의 공을 차례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추출된 공은 그 추출 과정에서 전자기력 감지 센서와 공 내부의 마그네트를 통해서 정확하게 인식되며, 이 과정에서 추출된 공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고, 관리자가 육안으로도 쉽게 선택된 공을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의하면, 공을 무작위로 하나씩 차례차례 쉽게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공에 적힌 숫자를 오루없이 완벽하게 식별하여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의 각종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구비된 개폐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구비된 상승 이동부와 이동 제어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구비된 이동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구비된 상승 이동부와 이동 제어부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에 의한 공 추출작업의 초기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개폐부의 도어가 열려지고, 하나의 공이 개방구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는 상부 개방구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의 동작에서 개방구의 내측으로 하나의 공이 진입한 경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공에 내장된 마그네트를 재차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의 동작에서, 개방구 내측의 공을 상승 이동부의 올림 레버가 상부 개방구측으로 들어 올리고, 동시에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는 상부 개방구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의 동작에서, 상승 이동부의 올림 레버가 상부 개방구측으로 공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가 상부 개방구측으로 이동하여 공을 나란하게 떠받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의 동작에서,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가 상부 개방구에서 공을 떠받치고, 상승 이동부의 올림 레버는 개방구로부터 역회전하여 후퇴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의 동작에서,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가 상부 개방구에서 공을 떠받치고, 상승 이동부의 올림 레버는 개방구로부터 역회전하여 후퇴하며, 개폐부의 도어는 하부 개방구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는,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과 같이 추출된 공에 적힌 숫자를 이용하여 각종 게임을 진행하기 위하여 공(B)을 무작위로 추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상,하부 개방구(112a,112b)가 동축(同軸)으로 형성된 중공형 케이싱(110)을 갖는다.
이와 같은 케이싱(110)은 하부측에 다수의 공(B)들이 배치되고, 송풍기(미 도시)에 의해서 공급되는 바람, 또는 다른 구동 수단에 의해서 다수의 공(B)들이 무작위적으로 사방으로 튀는 공 저장용기(120)의 상부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110)은 상기 공 저장용기(120)에 담겨진 다수의 공(B)들을 그 상부측으로 하나씩 차례로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공(B)이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개방구(112)를 갖는다.
이와 같은 개방구(112)는 케이싱(110)의 하부면에 하부 개방구(112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면에 상부 개방구(112b)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상,하부 개방구(112a,112b)들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동축(同軸)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는,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 개방구(112a)를 개폐시키는 도어(132)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132)를 케이싱(110)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134)를 구비한 개폐부(1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개폐부(130)는 상기 공 저장용기(120)로부터 개방구(112)로 하나의 공(B)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하도록 도어(132)가 개폐된다.
이와 같은 개폐부(13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모터(134)의 회전축(134a)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136)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136)는 상기 도어(132)의 상부면에 일체로 연결된 래크 기어(138)에 치차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1 구동모터(134)는, 예를 들면 케이싱(110)의 측벽 외측에 고정되고, 그 회전축이 케이싱(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피니언 기어(136)를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130)의 래크 기어(138)는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긴 구멍(114)을 관통하여 케이싱(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132)는 케이싱(110)의 바닥면 하부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크 기어(138)의 양측방에는 케이싱(110) 내측면에서 래크 기어(138)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휠(138a)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부(130)는 상기 제1 구동모터(134)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피니언 기어(136)와 래크 기어(138)를 통하여 상기 도어(132)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어(132)가 케이싱(110)의 하부 개방구(112a)를 개폐시킨다.
즉, 상기 개폐부(130)는 도어(132)가 열려지면, 공 저장용기(120)에서 송풍기의 바람, 또는 다른 구동 수단에 의해서 튀어오른 하나의 공(B)이 개방구(112)의 내부로 진입한다.
그러나, 도어(132)가 닫쳐지면, 공이 개방구(112)의 내부로 진입하지 못함은 물론, 일단 개방구(112)로 진입된 공이 개방구(112)의 하부측으로 낙하하지도 못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는, 상기 케이싱(110)의 개방구(112) 내에 위치한 하나의 공(B)을, 케이싱(110)의 상부측으로 밀어올리는 올림 레버(142)를 구비하고, 상기 올림 레버(142)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144)를 구비한 상승 이동부(1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승 이동부(140)는 개방구(112)로 진입한 하나의 공(B)을 개방구(112)의 상부측, 즉 케이싱(110)의 상부측으로 밀어올리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상기 상승 이동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림 레버(142)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구(112)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130)의 반대측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승 이동부(140)는 도 3에 분해도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동모터(144)의 회전축(144a)에 상기 올림 레버(142)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그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110)의 상,하부 개방구(112a,112b)의 내측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상승 이동부(140)는 개폐부(130)의 도어(132)가 하부 개방구(112a)를 개방시키는 동안, 제2 구동모터(144)의 작동으로 올림 레버(142)가 회동하면서 개방구(112) 내측으로 하부로부터 진입한다.
이와 같은 올림 레버(142)는 개방구(112)에 위치된 하나의 공(B)을 케이싱(110)의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는 것으로서, 올림 레버(142)의 타측 상부면은 공(B)의 하부를 떠받치기 위한 오목한 호형면(142a)을 형성한다.
상기 올림 레버(142)는 제2 구동모터(144)의 회전축(144a)에 한 쌍의 장착 플랜지(146)와 나사(146a)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모터(144)의 정역회전 작동은 올림 레버(142)의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을 개방구(112)측으로 회전이동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는, 상기 상승 이동부(140)의 일측에 이동 제어부(150)를 연이어서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동 제어부(150)는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 개방구(112b)를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개방구(112)내에 하나의 공(B)이 위치하도록 공(B)의 상향이동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개방구(112b)를 개방시켜 하나의 공(B)이 케이싱(110)의 상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상기 공이 케이싱(110)의 상부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상부 개방구(112b)를 차단하여 공(B)의 역방향 하강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 레버(152)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횡행 레버(152)가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부 개방구(112b)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 제어부(150)는 횡행 레버(152)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횡행 레버(152)의 하부측으로는 연결대(154)가 하향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대(154)는 그 하단부가 둥근 머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154)에는 "∨"형 구동 레버(160)에 접촉가능하도록 인접 배치된다.
이와 같은 "∨"형 구동 레버(160)는 상기 제2 구동모터(144)의 회전축(144a)에 일체로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제2 구동모터(144)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형 구동 레버(160)가 회전작동된다.
이와 같은 "∨"형 구동 레버(160)는, 도 4에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 레버(152)의 연결대(154)에 인접 배치된 것으로서, 그 다리부(162a,162b)의 끝단은 각각 둥근 머리부를 형성하여 연결대(154)의 하단의 둥근 머리부에 접촉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구동모터(144)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형 구동 레버(160)가 회전작동하면, 다리부(162a,162b)가 횡행 레버(152)의 연결대(154)를 좌우로 밀게 되며, 결과적으로 횡행 레버(152)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좌우로 이동하는 횡행 레버(152)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 개방구(112b)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도 1 참조).
또한, 이와 같은 이동 제어부(150)는 횡행 레버(152)의 상부측으로, 각각 좌우 양측에 코일 스프링(158a,158b)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158a,158b)의 타측 단부는 케이싱(110)에 고정된다(도 5 참조).
도 5에는 상기 상승 이동부(140)와 이동 제어부(150)가 각각 제2 구동모터(144)의 회전축(144a)에 장착되어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의 홈포지션은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 개방구(112b)를 닫침 상태로 유지하도록 된 위치이다.
즉, 상기 횡행 레버(152)는 제2 구동모터(144)의 작동으로 좌우로 이동하는데, 이를 통하여 코일 스프링(158a,158b)을 인장시키거나, 수축시키면서 케이싱(110)의 상부 개방구(112b)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횡행 레버(152)는 제2 구동모터(144)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58a,158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홈포지션으로 복귀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 개방구(112b)를 닫는다.
이와 같은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는 상기 상승 이동부(140)의 제2 구동모터(144)의 작동에 연동하여 "∨"형 구동 레버(160)가 작동되면, 연결대(154)를 통해서 좌우로 이동하여 상부 개방구(112b)를 개방시킨다.
한편, 상기 케이싱(110)은 개방구(112)의 둘레에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를 추가로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는 공(B)의 내부에 내장된 마그네트(미 도시)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마그네트는 공(B)의 표면에 인쇄된 고유 번호에 일치하는 신호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130)의 도어(132)가 개방되어 개방구(112)의 내부로 공이 상승하여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공(B)의 마그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마그네트를 감지한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는 전기적인 신호로서, 공(B)의 고유 번호를 인식하여 모니터(미 도시)의 화면에 공(B)의 번호를 출력하도록 다른 부속장치, 예를 들면 제어 컴퓨터(미 도시)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를 이용하여 공(B)의 번호를 식별하는 구조에서, 상기 개폐부(130)는 도어(132)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133)를 추가로 구비한다(도 2 및 도 6b 참조).
이와 같은 개폐부(130)의 돌기(133)는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개방구(112)의 내부로 진입하는 공(B)의 마그네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확실하게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는 윈심형 코일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부분의 경우에, 원심형 코일의 내측을 통과하는 공(B)의 마그네트를 전자기력 변화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130)는 도어(132)를 순간적으로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돌기(133)가 공(B)을 개방구(112) 내에서 상하로 유동시킨다.
따라서, 공은 재차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의 원심형 코일 내측에서 상하로 유동하고,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는 공에 내장된 마그네트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또 다시 감지 안된다면, 상기 개폐부(130)의 도어(132)가 재차 좌우로 수평이동 작동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는, 공 추출 작업의 최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30)의 도어(132)가 하부 개방구(112a)를 닫은 상태이고,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가 상부 개방구(112b)를 닫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 저장용기(120)의 내부에 위치된 다수의 공(B)들은 송풍기(미 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바람, 또는 다른 구동 수단에 의해서 상하좌우 여러 방향으로 튀어오르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30)의 도어(132)가 개방되는데, 이와 같은 개폐부(130)는 제1 구동모터(134)의 작동으로 피니언 기어(136)가 회전하면, 래크 기어(138)를 통해서 도어(132)가 후진이동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케이싱(110)의 하부 개방구(112a)가 개방되면, 개방구(112) 측으로 하나의 공(B)이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서 진입한다.
이때, 상기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는 상부 개방구(112b)를 닫는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개방구(112)로는 하나의 공(B)만이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구(112)로의 공(B)의 진입과정에서,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공(B)에 내장된 마그네트를 확인하여 공(B)의 번호를 인식한다.
이와 같이 인식된 공(B)의 번호는 별도의 모니터상에서 숫자로 표시되어 공 추출에 의해서 선택된 번호를 외부로 표시한다.
만일,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공(B)에 내장된 마그네트를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도어(132)가 하부 개방구(112a)를 순간적으로 닫으면서 공(B)을 상하로 다소 유동시킨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모터(134)의 작동으로 도어(132)가 하부 개방부를 닫으면, 도어(132)에 마련된 돌기(133)가 공(B)을 밀어 올리면서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의 원심형 코일 내측에서 상하로 유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어(132)는 공(B)의 하부에서 닫침 및 열림 방향으로 대략 5mm 정도 좌우로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돌기(133)가 공(B)을 상하로 반복적으로 유동시킨다.
이와 같은 공(B)의 상하 유동은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공(B)의 마그네트를 재차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의 원심형 코일내부에서 공이 정지상태로 있다면,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공(B)의 마그네트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의 원심형 코일 내부에서 공(B)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는 공(B)의 마그네트를 오류없이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방구(112)의 내부로 하나의 공(B)이 진입하고,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공(B)의 마그네트를 확인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이동부(140)가 작동하여 올림 레버(142)가 개방구(112)의 공(B)을 상부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는 상부 개방구(112b)를 개방시킨다.
즉, 상승 이동부(140)의 제2 구동모터(144)가 작동하면, 올림 레버(142)가 q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측 단부가 개방구(112) 측으로 하부로부터 진입한다. 동시에, 제2 구동모터(144)의 작동은 이동 제어부(150)의 "∨"형 구동 레버(160)를 동시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형 구동 레버(160)의 다리부(162a,162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횡행 레버(152)의 연결대(154)를 좌측으로 밀게 되며, 결과적으로 횡행 레버(152)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개방구(112b)를 열게 된다.
이와 같은 횡행 레버(152)에 의한 상부 개방구(112b)의 개방작동은, 올림 레버(142)가 개방구(112)의 내측에 위치한 공(B)을 떠받치는 것과 동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올림 레버(142)가 개방구(112)의 공(B)을 밀어 올리고, 상부 개방구(112b)에서 공(B)을 떠받치는 때에, 상기 횡행 레버(152)는 상부 개방구(112b)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이며, 이때 상기 다리부(162a,162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횡행 레버(152)의 연결대(154)를 완전히 지나치게 된다.
따라서, 다리부(162a,162b)가 횡행 레버(152)의 연결대(154)를 지나치면, 연결대(154)와 다리부(162a,162b)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횡행 레버(152)는 코일 스프링(158a,158b)의 탄성 복원력을 통하여 다시 상부 개방구(112b)측으로 원위치, 즉 홈포지션 위치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횡행 레버(152)는 올림 레버(142)와 함께 나란히 공(B)의 하부측을 동시에 떠받친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 이동부(140)의 올림 레버(142)가 역회전,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구(112)로부터 하방으로 회전이동하여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구동모터(144)의 시계방향 역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 제2 구동모터(144)의 역회전은 다리부(162a,162b)의 시계방향 역회전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다리부(162a,162b)의 시계방향 역회전은 횡행 레버(152)의 연결대(154)를 지나쳐서 이동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는 여전히 상부 개방구(112b)를 닫는 상태로 유지하고, 그 상부측의 공(B)을 여전히 떠받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승 이동부(140)의 올림 레버(142)의 시계방향 역회전이 이루어져서 하부 개방구(112a)를 빠져나오면, 동시에 상기 개폐부(130)의 도어(132)는 다시 닫치게 된다.
이와 같은 올림 레버(142)의 역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부(130)의 도어(13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친 상태이고,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로는 하나의 공(B)이 이동 제어부(150)의 횡행 레버(152)에 의해서 떠받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의 위쪽으로 추출된 공은 그 번호가 관리자의 육안에 의해서 판별되고, 하나의 공(B)에 의한 번호 추출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가 식별한 공(B)의 마그네트에 의하여 인식된 번호는 별도의 모니터상에서 여전히 숫자로 표시된 상태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두번째 공(B)의 추출작업이 이루어지고자 하는 경우, 개폐부(130)의 도어(132)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열림으로써 또 다른 하나의 공(B)이 개방구(112)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두번째 공 추출에 의한 번호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두번째 공과 그 이후의 공(B)들에 대한 추출과정은, 도 6a 내지 도 8b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에 의하면, 공(B)의 추출 과정에서 전자기력 감지 센서(170)와 공(B) 내부의 마그네트를 통해서 공(B)의 번호가 정확하게 인식되어 추출된 공(B)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공(B)은 케이싱(110)의 상부측에서 관리자가 육안으로도 쉽게 그 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 추출장치(100)에 의하면, 공(B)을 무작위로 하나씩 차례차례 쉽게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공에 적힌 숫자를 오류없이 완벽하게 식별하여 빙고, 또는 로또 게임등의 각종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구동모터(134, 144) 대신에, 다른 구동수단, 예들 들면 여러 대의 공압 실린더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각종 센서들이 장착되어 구성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고, 이들을 자동화 시켄스에 따라서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32)의 개방상태를 감시하는 센서, 상승 이동부(140)의 올림 레버(142)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횡행 레버(152)의 좌우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공(B)이 케이싱(110)의 상부측으로 추출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 등 각종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의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공 추출장치 110: 케이싱
112: 개방구 112a,112b: 상,하부 개방구
114: 긴 구멍 120: 공 저장용기
130: 개폐부 132: 도어
133: 돌기 134: 제1 구동모터
134a,144a: 회전축 136: 피니언 기어
138: 래크 기어 138a: 휠
140: 상승 이동부 142: 올림 레버
142a: 호형면 144: 제2 구동모터
146: 장착 플랜지 146a: 나사
150: 이동 제어부 152: 횡행 레버
154: 연결대 158a,158b: 코일 스프링
160: "∨"형 구동 레버 162a,162b: 다리부
170: 전자기력 감지 센서 B: 공

Claims (7)

  1. 번호를 표시한 공을 무작위로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상,하부 개방구가 동축(同軸)으로 형성된 중공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를 케이싱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를 구비한 개폐부;
    상기 케이싱의 개방구내에 위치한 하나의 공을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밀어올리는 올림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올림 레버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한 상승 이동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개방구내에 하나의 공이 위치하도록 공의 상향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상부 개방구를 개방시켜 하나의 공이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상기 공이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상부 개방구를 차단하여 공의 역방향 하강을 차단시키는 횡행 레버를 구비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부의 횡행 레버는 상기 상승 이동부의 제2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횡행 레버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을 통하여 하나의 공을 차례차례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고, 공에 기재된 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에 일체로 연결된 래크 기어에 치차결합하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피니언 기어와 래크 기어를 통하여 상기 도어가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어가 케이싱의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케이싱의 바닥면에 형성된 긴 구멍을 관통하여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는 케이싱의 바닥면 하부 외측에 위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이동부는 올림 레버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구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올림 레버의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하부 개방구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폐부의 도어가 하부 개방구를 개방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올림 레버가 회동하면서 상기 개방구내의 하나의 공을 케이싱의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횡행 레버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횡행 레버의 하부측으로는 연결대가 하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된 "∨"형 구동 레버에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형 구동 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형 구동 레버에 접촉된 연결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횡행 레버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 레버는 그 상부측에 각각 좌우 양측으로 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방구를 항상 닫침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지지되고,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형 구동 레버가 작동되면, 상기 연결대를 통해서 상부 개방구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개방구의 둘레에 전자기력 감지 센서를 추가로 장착하고,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는 공의 내부에 내장되어 공의 표면에 인쇄된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마그네트를 감지하며, 상기 개폐부의 도어가 개방되어 개방구의 내부를 공이 상승하여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공의 마그네트를 감지하고, 공의 고유 번호를 인식하여 모니터의 화면에 번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도어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개방구의 내부로 진입하는 공의 마그네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돌기가 공을 개방구 내에서 상하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력 감지 센서가 공에 내장된 마그네트를 재차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 추출장치.


















KR20130045461A 2013-04-24 2013-04-24 공 추출장치 KR10149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461A KR101493150B1 (ko) 2013-04-24 2013-04-24 공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461A KR101493150B1 (ko) 2013-04-24 2013-04-24 공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10A KR20140127010A (ko) 2014-11-03
KR101493150B1 true KR101493150B1 (ko) 2015-02-13

Family

ID=524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461A KR101493150B1 (ko) 2013-04-24 2013-04-24 공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8666B (zh) * 2019-07-25 2024-05-24 苏州快诺优物联网技术有限公司 抽签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803A (ja) * 1994-09-20 1996-04-02 Konami Co Ltd ビンゴ遊戯機
JP2013013669A (ja) * 2011-07-06 2013-01-24 Heiwa Corp 弾球遊技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803A (ja) * 1994-09-20 1996-04-02 Konami Co Ltd ビンゴ遊戯機
JP2013013669A (ja) * 2011-07-06 2013-01-24 Heiwa Corp 弾球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10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3105A (en) Computerized roulette playing apparatus for a single player
US20070013139A1 (en) Prize game apparatus
US7775521B1 (en) Smart ball blower
KR101493150B1 (ko) 공 추출장치
JPH02213371A (ja) パチンコ機の変動入賞装置
JP4495548B2 (ja) 抽選装置
JP5520563B2 (ja) プッシュ式ゲーム機
JP5737887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5369731B2 (ja) 可変入賞装置及び遊技機
JP2008228965A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4041702B2 (ja) 弾球遊技機
JP4895987B2 (ja) ゲーム機
JP4334489B2 (ja) 遊技機の役物機構
JP5227574B2 (ja) ゲーム機
JP2007289476A (ja) 遊技機
JP5875266B2 (ja) 遊技機の遊技演出装置
JP4995356B2 (ja) ゲーム機
JP5226545B2 (ja) 遊技機
JP3888953B2 (ja) 弾球遊技機の入賞装置
JP4995333B2 (ja) ゲーム機
KR100572150B1 (ko) 복권자동판매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13543A (ja) ゲームの移動体移動装置及びゲーム機
JP5539611B2 (ja) 遊技表示装置
JP4783649B2 (ja) 遊技機
JP5827372B2 (ja) メダル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