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455B1 - 소금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소금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455B1
KR101491455B1 KR20140162367A KR20140162367A KR101491455B1 KR 101491455 B1 KR101491455 B1 KR 101491455B1 KR 20140162367 A KR20140162367 A KR 20140162367A KR 20140162367 A KR20140162367 A KR 20140162367A KR 101491455 B1 KR101491455 B1 KR 101491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bucket
collecting
conveyor
bucke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영
심광석
Original Assignee
한기영
심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영, 심광석 filed Critical 한기영
Priority to KR2014016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8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eciprocating pick-up conveyors
    • B65G65/10Raking or scraping devices
    • B65G65/12Raking or scraping devices operations at positions off-set from the conveyor centr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4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jigging pick-up conveyors, e.g. duck-b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7Articles manipulated as 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단지 소금을 모으는 과정만으로 손쉽게 소금을 채취함으로써 소금 채취가 쉽게 될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의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소금이 제일 잘 형성되는 시간이 16시 ~ 18시인데 노동인력 부족과 작업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뜨거운 햇볕 아래서 15시부터 소금 채취작업을 하여야 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본 발명에 의한 소금채취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모으는 과정에서 대파로 소금을 버킷에 모아주면 덤프되면서 컨베이어에 의해 바로 운반대차로 싣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소금이 잘 형성되는 오후 시간을 지나 시원한 18시 이후에 작업을 하였을 시, 작업이 손쉽고 1일 소금 생산량이 약 700 Kg ~ 800 Kg 정도 증가하므로 소득증대에 보탬이 되면서 1일 생성될 수 있는 최대한의 소금을 채취할 수 있어 소금 채취 능력이 월등하게 되는 소금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와 함께 운반대차위치공간부를 형성한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소금을 채취하여 운반대차위치공간부에 위치된 운반대차함으로 소금을 이송하는 소금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금채취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본 발명은 소금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단지 소금을 모으는 과정만으로 손쉽게 소금을 채취함으로써 소금 채취가 쉽게 될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의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1일 생성될 수 있는 최대한의 소금을 채취할 수 있어 소금 채취 능력이 월등하게 되는 소금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바닷물을 밭과 같은 형태의 염전에 끌어들인 후, 햇빛에 의해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소금 알갱이를 형성하고 이를 채취하는 것이다.
종래의 소금 채취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대파(소금을 모으는 도구)로 소금을 긁어모으고 삽으로 운반차량에 소금을 퍼 담은 후 소금창고로 이동시켜 소금을 채취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소금채취 작업은 쉴 새 없이 계속 모으고 퍼나르는 고된 중노동에 해당하여, 쉽게 작업하려들지 않았다.
근래 들어 개발된 종래기술에 따른 소금 채취장치의 경우, 장치 본체는 염전 옆길 쇠 파이프로 설치된 레일에 위치된 상태에서 소금을 담는 함이 염전 바닥에 모아진 소금 위치로 이동된 후, 작업자가 소금을 담는 함에 삽으로 퍼 담아 소금을 채취하도록 마련된 것이 있다. 이런 종래기술이라고 하더라도 삽으로 소금을 퍼 담는 작업은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고된 노동은 계속되고, 또한 작업자의 작업 숙달 정도가 낮고 지친 경우에는 염전 바닥에 설치된 장판이나 타일을 훼손하면서 긁어 함께 담을 수 있어 소금의 질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아울러 소금 알갱이가 삽이나 다른 물체에 의해 깨지는 경우엔 소금의 상품성을 저해할 우려도 있다.
이에 좀더 개량된 종래 기술에 따른 채취장치의 경우, 염전 바닥에 모인 소금을 긁어모아 담을 수 있는 금속의 자동 대파가 제시된 경우도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일일이 퍼 담지 않아도 되나, 장치 본체에 대해 염전 바닥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사람이 다시 소금을 삽으로 모아주면서 기계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자칫 바닥 장판이나 타일을 훼손하였을 때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자되며 소금의 질이 저하될 수 있고, 삽질로 인해 소금 알갱이가 깨짐으로 인해 소금의 상품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굵은 소금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양질의 소금을 제공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소금 이외에도 다량의 물도 함께 담기 때문에 소금을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노력에 비하여 소금의 채취량이 많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소금의 채취 효율도 향상시키고 양질의 소금을 채취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12584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69751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9770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력으로 염전의 소금을 손쉽게 채취함과 동시에 대파 작업만으로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금속 도구나 삽 등에 의한 충격이 소금 알갱이에 가격되지 않아 소금이 깨지지 않음으로써 양질의 소금을 손쉽게 채취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킷부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손쉽게 운반대차에 소금을 담기 때문에 단지 소금을 모으는 과정만으로도 빠르고 많은 양의 소금을 쉽게 채취할 수 있어 소금채취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울러 주행모터 및 차동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염전을 이동할 때 어느 곳이나 코너진 부분도 손쉽게 이동하여 소금채취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아진 소금이 운반대차에 바로 싣고, 소금이 담긴 운반대차는 소금채취장치와 함께 이동하면서 채취함으로써 채취된 소금을 다른 용기에 옮기지 않아도 됨으로써 소금의 손상을 방지하고 노동력도 줄이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킷이 펴지고 덤프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설정하고 작업을 하면 리미트 스위치와 타이머가 제어하여 가동 스위치를 한 번만 누르면 소금이 덤프되면서 콘베이어도 동시에 자동으로 소금채취 작동과 정지가 이루어져 준비상태로 대기함으로써 소금 채취가 손쉽게 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기계가 작동하는 동안 사용자는 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에 작업 시간이 많이 단축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와 함께 운반대차위치공간부를 형성한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소금을 채취하여 운반대차위치공간부에 위치된 운반대차함으로 소금을 이송하는 소금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채취부는, 장치베이스 일측에 결합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아래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소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버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채취부는, 상기 장치프레임 타측의 견인모터와 연결된 견인와이어에 의해 버킷부 일측을 당겨 회동시키는 와이어견인작동형; 상기 컨베이어 일측의 기어모터 및 회동기어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기어회동작동형; 및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유압회동작동형; 중 어느 하나의 작동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채취부는, 유압펌프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유압회동작동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치프레임 일측에 구비된 유압펌프; 및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을 버킷실린더, 및 리프트실린더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달하는 유압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유압펌프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버킷실린더; 및 유압펌프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컨베이어를 장치프레임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실린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버킷승강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컨베이어 및 버킷부를 작동시키는 장치컨트롤부; 상기 컨베이어를 승강 작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버킷부의 덤프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덤프제한센서; 상기 버킷부의 하한 회동을 감지하는 펼침감지센서; 및 상기 버킷부가 덤프 회동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컨베이어가 작동되도록 시간 설정하기 위한 컨베이어타이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에는, 바닥에 배수용 다공이 형성되어지되, 버킷부 바닥 안쪽으로 메쉬망 형상의 메쉬다공; 버킷부 바닥 안쪽에 형성된 내측다공; 및 버킷부 바닥 외측에 형성된 외측다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공이 형성되고, 버킷부 바닥 초입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메쉬망 또는 평판 형태로 직립되고 버킷부 안쪽으로 회동되는 체크가이드; 버킷부 바닥 선단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버킷부 하강시 선단 끝이 먼저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밀착되는 선단밀착부; 버킷부 내의 소금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으는 버킷스크류; 상기 컨베이어 아래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하강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완충부; 및 상기 컨베이어 아래 상부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버킷부의 덤프회동시 버킷부 회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덤프회동완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채취부는, 흡입력에 의해 소금을 흡입하여 운반대차함으로 이송하고, 장치베이스로 소금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흡입모터; 흡입된 소금이 위치되는 보조탱크; 및 상기 흡입관이 연결되어 흡입한 소금이 보조탱크로 이송시키는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의 아래에 설치되어 소금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개폐밸브설치부; 상기 개폐밸브설치부에는 소금의 유출입되도록 개폐작동되는 개폐밸브; 상기 보조탱크 아래에 일측이 결합되고 소금과 흡입된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관; 상기 싸이클론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입모터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모터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 상기 싸이클론과 보조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소금을 단속하는 싸이클론개폐밸브; 및 상기 보조탱크 아래에 설치되어 소금을 단속하는 탱크개폐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염전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승흡입관; 및 상승흡입관에서 보조탱크 상부의 싸이클론에 연결되는 유입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의 아래에 설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장치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이송부는: 이송 작동을 위한 주행모터;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바퀴; 및 주행모터에 의해 주행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행축상에 결합된 차동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베이스에 대해 소금채취부 및 장치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장치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회동부는: 상기 장치베이스 주위로 고정설치되어 원형링형태를 이루는 회동레일; 및 상기 회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장치프레임 다수 곳에 결합된 회전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 위치되고 소금채취부에 의해 채취된 소금이 담겨져 운반되는 운반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차부는: 소금이 담겨지는 운반대차함; 및 운반대차함의 아래에 설치된 운반대차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는 운반대차바퀴가 회전하는 중에 운반대차바퀴의 주행을 유도하는 운반대차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베이스 일측 또는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대차부가 장치베이스로 오르도록 설치된 운반대차상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차상차부는: 운반대차바퀴의 주행을 유도하는 운반대차상차레일; 및 운반대차상차레일과 장치베이스의 운반대차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운반대차상차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와 함께 운반대차위치공간부를 형성한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소금을 채취하여 운반대차위치공간부에 위치된 운반대차함으로 소금을 이송하는 소금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금채취부는, 장치베이스 일측에 결합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아래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소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버킷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부는, 선단이 염전 바닥에 놓여 버킷부 안에 소정량의 소금이 모이면 버킷부를 상기 컨베이어 하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상향으로 회동시켜 버킷부 안에 담긴 소금을 컨베이어로 전달하며, 상기 소금채취부는, 상기 장치프레임 타측의 견인모터와 연결된 견인와이어에 의해 버킷부 일측을 당겨 회동시키는 와이어견인작동형; 상기 컨베이어 일측의 기어모터 및 회동기어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기어회동작동형; 및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유압회동작동형; 중 어느 하나의 작동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력으로 염전의 소금을 손쉽게 채취함으로써 금속이나 도구 등에 의한 충격이 소금 알갱이에 가격되지 않아 소금이 깨지지 않음으로써 양질의 소금을 손쉽게 채취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버킷부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손쉽게 운반대차에 소금을 담기 때문에 단지 소금을 모으는 과정만으로도 빠르고 많은 양의 소금을 쉽게 채취할 수 있어 소금채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아울러 주행장치에 모터 및 차동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염전의 불안전한 코너 등 어느 곳이든지 손쉽게 이동하여 소금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소금이 제일 잘 형성되는 시간이 16시 ~ 18시인데 노동인력 부족과 작업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뜨거운 땡볕시간인 15시부터 소금 채취작업을 하여야 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면 모으는 과정에서 대파로 소금을 버킷에 모아주면 덤프되면서 컨베이어에 의해 바로 운반대차로 싣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소금이 잘 형성되는 오후 시간을 지나 시원한 18시 이후에 작업을 할 수 있어 1일 소금 생산량이 약 700 Kg ~ 800 Kg 가량 증가하며 이로써 소득증대에 보탬이 되고 노동력도 줄이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버킷이 펴지고 덤프되는 각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소정 시간동안 컨베이어 작동이 더 추가되도록 하는 등, 자동으로 소금채취 작동이 이루어져 무리한 노동력이나 삽질을 하지 않아도 소금 채취가 손쉽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와이어견인작동형의 장치베이스에 운반대차함이 탑재되기 전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와이어견인작동형의 장치베이스에 운반대차함이 탑재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와이어견인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의 소금을 덤프회동으로 컨베이어에 소금을 전달하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와이어견인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에 소금을 담는 예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와이어견인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의 소금을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예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와이어견인작동형에 있어서, 일측 염전에서 다른 측 염전으로 컨베이어 및 버킷부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 옮기는 상태의 측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기어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에 소금을 담는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기어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의 소금을 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에 소금을 담는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의 소금을 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가 구비된 상태에서 버킷부가 염전 바닥에 놓이고 운반대차함이 탑재되기 전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가 구비된 상태에서 버킷부가 염전 바닥에 놓이고 운반대차함이 탑재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실린더와 리프트실린더 작동으로 염전바닥에 놓인 버킷부로 소금을 모으는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실린더 작동으로 버킷부의 소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실린더 작동으로 버킷부가 컨베이어 측으로 접히고 리프트실린더 작동으로 컨베이어 및 버킷부가 장치프레임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망사형태의 메쉬다공을 형성한 버킷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장홈형태의 다공을 형성한 버킷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장홈형태의 다공을 형성한 버킷에 대한 것으로, 버킷 안쪽으로 스크류를 구비하여 버킷 내의 소금이 컨베이어로 잘 이송되도록 마련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가 염전 바닥에 놓여 소금을 담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유압회동작동형에 있어서, 버킷부가 상향 덤프회동으로 소금을 컨베이어로 옮기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버킷부 초입에 설치된 체크가이드에 대해서, 대파로 소금을 담을 때 체크가이드가 버킷부 안쪽으로 굽혀진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버킷부 초입에 설치된 체크가이드에 대해서, 대파로 소금이 담겨진 이후 체크가이드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에 의하여 소금을 채취하는 실시예시도로, 도면의 좌측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실시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의하여 소금을 채취하는 실시예시도로, 도면의 우측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실시 구성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C부분 구성에 대한 확대 예시 설명도로,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회전수집날개가 포함된 회전날개수집부에 대한 설명 예시도로, 도 26의 a는 측면 예시도이고, 도 26의 b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의하여 소금을 채취하는 것으로, 채취수집부 중 캐터필러수집날개에 의해 소금을 수집하여 채취하는 실시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의하여 채취된 소금이 담겨지는 운반대차에 대한 것으로, 운반대차가 장치베이스에 상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있어서 싸이클론 및 보조탱크와의 사이에 2개의 개폐밸브가 설치된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있어서 싸이클론 및 보조탱크와의 사이에 2개의 개폐밸브가 설치된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운반대차가 상차된 상태의 도면으로, 운반대차를 상차하는 운반대차상차부의 운반대차상차레일이 펼쳐진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에 운반대차가 상차된 상태의 도면으로, 운반대차를 상차하는 운반대차상차부의 운반대차상차레일이 위로 접혀진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는 염전에 있는 소금을 채취하기 위한 장치로써,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 구획으로 이루어진 염전 주위로 돌면서 시설된 주행레일(513)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가 이동하면서, 주위 염전의 소금을 채취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는, 주행레일(513)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12), 그리고 상기 장치베이스(12) 상부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12)와 함께 운반대차위치공간부(14)를 형성한 장치프레임(13) 등으로 하여, 소금채취장치(10)의 전체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에 상기 장치프레임(13) 일측에 결합되어 소금을 채취하여 운반대차위치공간부(14)에 위치된 운반대차함(531)으로 소금을 이송하는 소금채취부(20)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소금채취부(20)의 일측 끝은 염전에 있는 소금에 위치되고, 타측은 운반대차함(531) 부근에 위치되어 결국 소금채취부(20)에 의한 이송으로 소금이 염전에서 운반대차함(531)에 담겨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는 대파(소금을 모으는 도구)나 장치에 의해 염전 바닥에 형성된 소금을 소금채취장치(10)로 모으고, 모아진 소금을 소금채취장치(10)에 의해 운반대차함(531)에 담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22 등의 실시예에서는 염전의 소금을 대파로 밀어 넣어 담는 버킷과 버킷으로부터 전달된 소금을 이송시켜 운반대차함(531)에 담도록 작동되는 컨베이어(210)를 포함한 버킷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 내지 도 30 등의 실시예에서는 염전의 소금을 싸이클론(412)으로 흡입하여 운반대차함(531)에 담도록 작동되는 흡입형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31 및 도 32는 운반대차함(531)의 승차에 대한 설명 예시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에 있어서, 우선 도 1 내지 도 22 등에 참조된 버킷형 실시예에 대해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10)는 주행레일(513)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12), 장치베이스(1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프레임(13) 등이 마련되고, 이에 장치프레임(13)의 상부로 소금채취부(20)가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소금채취부(20)는, 장치베이스(12) 일측에 결합된 컨베이어(210)와 함께, 상기 컨베이어(210) 아래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소금을 컨베이어(210)로 이송하는 버킷부(220)를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컨베이어(210) 아래가 염전 바닥에 접하도록 컨베이어(210)를 하강시키고, 다시 컨베이어(210) 아래에서 회동되는 버킷부(220)를 회동시켜, 버킷부(220) 선단이 염전 바닥에 놓이도록 작업준비를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11 및 도 12 등에서처럼 장치베이스(12) 및 장치프레임(1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인 운반대차위치공간부(14)로 소금을 담는 운반대차함(531)을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대파로 염전 바닥의 소금을 모아 버킷부(220) 안으로 밀어 넣고, 버킷부(220) 안에 소정량의 소금이 모이면 스위치의 작동으로 버킷부(220)를 컨베이어 하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상향으로 회동시켜 버킷부(220) 소금을 컨베이어(2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스위치 작동으로 버킷부(220) 작동과 함께 컨베이어(210)도 승강작동을 함으로써 컨베이어(210)로 담겨진 소금은 상승하여 중앙의 운반대차함(531)에 담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소정 량의 버킷부(220)에 있던 소금이 모두 운반대차함(531)에 담겨지면 버킷부(220)는 다시 지면에 접하게 하고, 컨베이어(210)의 작동도 정지한 상태에서, 다시 대파로 소금을 버킷부(220)에 담는 등의 과정을 수회 반복한다. 이로써 운반대차함(531)에 소금이 다 차게 되면, 운반대차함(531)을 소금저장창고로 이동시켜 소금을 저장하고, 다른 빈 운반대차함(531)에 다시 소금을 채우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에 있어서, 버킷부(220)와 컨베이어(210)로 이루어진 버킷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6 등에서와 같이, 상기 장치프레임(13) 타측의 견인모터(230)와 연결된 견인와이어(231)에 의해 버킷부(220) 일측을 당겨 회동시키는 와이어견인작동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도면의 예에서처럼 상기 견인와이어(231)는, 컨베이어(210) 상측에 설치된 와이어중간지지부(232) 일측에 견인와이어(231) 한쪽 끝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견인모터(230)와 연결됨으로써, 견인모터(230)의 작동에 의해 전체 견인와이어(231)가 당겨지면서 결국 그 사이에 있는 버킷부(220)가 당겨지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의 견인와이어(231) 연결상태를 보면, 일측 끝단이 와이어중간지지부(232)에 고정되고, 상기 버킷부(220) 일측의 1버킷롤러(233)를 지나며, 와이어중간지지부(232) 중간의 연동롤러(234)를 지나고, 상기 버킷부(220) 타측의 제2버킷롤러(235)를 지나서, 컨베이어(210) 상부의 상롤러(236)를 지나, 견인모터(230)에 연결된 것이다. 그외 견인와이어(231) 작동을 위해 다수 롤러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 등에서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10) 일측의 기어모터(281) 및 회동기어(282)의 작동으로 버킷부(220)를 회동시키는 기어회동작동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회동기어(282)는 기어모터(28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작동되어 버킷부(220)를 회동시키는 것이며, 이에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속도를 버킷부(220)의 작동에 알맞도록 소정 사양으로 정하여져 실시될 것이다. 이로써 안정적으로 덤프회동 작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9 및 도 10 등에서와 같이 컨베이어(210)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291)의 작동으로 버킷부(220)를 회동시키는 유압회동작동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프레임(13)의 소정 위치에 유압펌프, 유압탱크, 및 유압작동을 위한 컨트롤러 등이 설치되는 것이며, 유압펌프와 유압모터(291)는 유압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로써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이 컨베이어(210)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291)로 전달되어, 유압모터(291) 작동으로 버킷부(220)가 회동되는 것이다.
유압회동작동형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과 다른 일 실시예로 도 11 내지 도 22의 예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압회동작동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치베이스(12) 및 장치프레임(13)을 기준으로 할 때, 컨베이어(210) 반대측에 배터리 및 유압펌프와 유압탱크 등 유압 작동부재(292)가 마련되고, 이러한 유압 작동부재(292)와 유압라인(미도시됨)으로 연결된 버킷실린더(293) 및 리프트실린더(294) 등으로 유압이 전달된다.
그리하여 작업자가 버킷승강스위치(121)를 조작하여 버킷실린더(293)가 수축작용하면 초기 도 13의 상태에서 도 14 상태로 전환되도록 버킷부(220)가 상향의 덤프회동되어 소금이 컨베이어(210)로 이송되고, 이후 다시 작업자가 버킷승강스위치(121)를 반대로 조작하여 버킷실린더(293)가 신장작동하면 버킷부(220)의 선단이 염전바닥에 접하게 되어, 작업자가 다시 소금을 모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가 컨베이어승하강스위치(125)를 조작하여 리프트실린더(294)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도 15에서처럼 전체 컨베이어(210) 및 버킷부(220) 등이 함께 장치프레임(13)을 따라 상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이후 후술되는 장치회동부(520)의 작동으로 다른 방향의 염전으로 회전되고 소금채취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이상에서처럼 와이어견인작동형, 기어회동작동형 및 유압회동작동형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작동으로 버킷부(220)가 덤프회동되어 버킷부(220)에 있는 소금을 컨베이어(210)로 쏟아붓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컨베이어(210)는 소금을 상향으로 이송하면서 소금채취장치(10) 중앙에 위치된 운반대차함(531)에 소금을 붓는 것이다.
이에 이를 위한 제어 구성들을 살펴보면, 버킷승강스위치(121)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컨베이어(210) 및 버킷부(220)를 작동시키는 장치컨트롤부(미도시됨)가 마련되어 전체 소금채취장치(10)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장치프레임(13) 일측에 마련된 작동부의 작동스위치를 작업자가 작동하면 장치컨트롤부(미도시됨)에서 각 해당하는 모터나 펌프 등을 작동하여 소금채취작업 또는 이동이나 회전 등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210)를 승강 작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211)가 마련되는 것이며, 대체로 컨베이어(210) 상부 측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치프레임(13) 타측에 설치되어 버킷부(220) 일측을 당겨 회동시키는 견인모터(230) 및 견인와이어(23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버킷부(220) 회동을 위해 유압모터(291), 유압펌프 등의 유압구성 또는 기어모터(281), 회동기어(282) 등의 기어회동구성 등에 의해 버킷부(220)의 상향에 대한 덤프회동 및 하강회동 등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210)에 설치되어 버킷부(220)의 덤프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덤프제한센서(122)를 더 구비하여, 덤프회동시 버킷부(220)의 초과되는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덤프제한센서(122)에 의한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장치컨트롤부(미도시됨)는 컨베이어타이머(124)에 의해 설정된 소정 시간만큼 추가된 시간동안 컨베이어(210)를 추가 작동한 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다시 버킷부(220)를 염전 바닥 방향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버킷부(220)의 소금이 컨베이어(210)로 모두 쏟아부은 다음에 버킷부(220)를 하향회동시켜 염전 바닥에 버킷부(220) 초입이 접하도록 작동한다.
이에 상기 버킷부(220)의 하한 회동을 감지하는 펼침감지센서(123)를 구비함으로써, 더 이상 버킷부(220)의 하향 회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버킷부(220)가 덤프 회동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컨베이어(210)가 작동되도록 시간 설정하기 위한 컨베이어타이머(124)를 구비하여, 컨베이어타이머(124)에 의해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컨베이어(21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버킷부(220)를 염전 바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킷부(220)에는, 바닥에 배수용 다공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버킷부(220) 바닥 안쪽으로 메쉬망 형상의 메쉬다공(221)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망사형태의 메쉬다공을 형성한 버킷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따라서 대파(소금 모으는 도구)로 염전의 소금을 모으는 중에 많은 양의 물이 함께 대파에 쓸려 버킷부(220)로 들어가게 되며, 이에 메쉬망 형상의 메쉬다공(221)으로 물이 빠지며, 이로써 버킷부(220)에는 소금만 남게 된다.
또한 버킷부(220) 바닥에 형성된 다공에 대한 다른 실시로, 버킷부(220) 바닥 안쪽에 형성된 내측다공(222), 및 버킷부(220) 바닥 외측에 형성된 외측다공(22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장홈형태의 다공을 형성한 버킷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즉 버킷부(220) 선단에는 외측다공(223)이 마련되어, 대파로 작업자가 밀고오는 소금과 함께 밀려오는 물의 상당량을 외측다공(223)을 통해 배출된다. 이로써 너무 많은 양의 물은 어느 정도 배출된다.
아울러 버킷부(220) 바닥 중간 부분에는 구멍이 없는 상태로, 비록 외측다공(223)으로 물이 빠진다고 해도 어느 정도 물이 소금과 함께 있기 때문에 버킷부(220) 안쪽 끝까지 밀어 넣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버킷부(220) 안쪽까지 작업자가 손쉽게 소금을 밀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 버킷부(220) 안쪽에는 보다 많은 수의 다공인 내측다공(222)이 형성된 것으로, 이미 버킷부(220) 안쪽까지 다다른 소금 중에 물이 포함될 경우엔 다시 물이 선단으로 흐르게 되면 물과 함께 소금도 빠져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버킷부(220) 안쪽에 내측다공(220)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어 결국 버킷부(220) 내에는 소금만 남게 된다.
아울러 도 18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장홈형태의 다공을 형성한 버킷에 대한 것으로, 특히 버킷 안쪽으로 스크류를 구비하여 버킷 내의 소금이 컨베이어로 잘 이송되도록 마련한 것이다.
즉 버킷부(220) 내의 소금을 컨베이어(210)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으는 버킷스크류(226)를 포함한 것이며, 이로써 버킷부(220)가 상향 회동으로 덤프회동되면 버킷부(220) 내의 소금이 컨베이어(210)로 이송되나, 일부 양측으로 넓게 형성된 버킷의 경우 미처 컨베이어로 이송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버킷스크류(226)의 회전으로 중앙의 컨베이어(210)로 잘 이송되게 된다. 즉 버킷부(220)가 덤프회동되면서 스크류모터(227)가 작동하여 버킷스크류(226)가 회전됨으로써, 버킷부(220)의 소금들이 모두 컨베이어(210)로 잘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도 19 및 도 20 등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컨베이어 하단 아래에 충격완충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컨베이어(210) 아래에는 컨베이어(210) 하강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완충부(212)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컨베이어(210)를 염전 바닥에 접하게 될 때 충격완충부(212)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버킷부(220) 바닥 초입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메쉬망 또는 평판 형태로 직립되고 버킷부(220) 안쪽으로 회동되는 체크가이드(224)가 마련된다.
즉 도 2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버킷부 초입에 설치된 체크가이드(224)에 대해서, 대파로 소금이 담겨질 때 체크가이드가 버킷부 안쪽으로 굽혀진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로, 소금을 모을 때에는 체크가이드(224)가 안쪽으로 굽혀져 손쉽게 소금을 버킷부(220) 안쪽으로 모을 수 있다.
그리고 도 22에서처럼 대파로 소금이 담겨진 이후 체크가이드(224)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가 되어, 버킷부(220)에 담겨진 소금의 유실을 방지한다. 이로써 버킷부(220)로 소금을 모으는 중에, 버킷부(220) 내로 담겨진 소금은 체크가이드(224)에 의해 밖으로 다시 나가지 않게 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킷부(220)에는, 버킷부(220) 바닥 선단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버킷부(220) 하강시 선단 끝이 먼저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밀착되는 선단밀착부(225)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선단밀착부(225)가 염전 바닥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대파로 밀더라도 버킷부(220) 앞쪽에 걸리지 않고 버킷부 안쪽까지 소금을 손쉽게 밀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0) 하측 상부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탄성력을 갖는 덤프회동완충부(213)를 구비하여 버킷부(220)의 덤프회동시 버킷부(220) 회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고, 버킷부(220)가 하향 회동시 덤프회동완충부(2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 등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형 실시예의 소금채취장치 중에서 버킷부의 상향으로 회동되는 덤프회동 및 아래로 복원되는 회동 등을 감지하는 센서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버킷부(220)가 상향으로 덤프회동하는 중에 소정 각도에 이르면 버킷부(220) 일측이, 컨베이어(210)에 설치된 덤프제한센서(122)에 접하며, 이러한 덤프제한센서(122)의 신호는 장치컨트롤부로 전송되어 버킷부(220)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에 컨베이어타이머(124)에 의해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지연된 이후 버킷부(220)는 반대의 하강 회동하게 된다. 이에 버킷부(220)가 하강회동하는 중에 염전 바닥에 앞서 설명한 버킷부(220)의 선단밀착부(225)가 염전 바닥에 닿게 되고, 또한 버킷부(220)가 컨베이어(210)에 설치된 펼침감지센서(123)에 접하며, 이러한 펼침감지센서(123)의 신호는 장치컨트롤부로 전송되어 버킷부(220)의 하향 회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후 컨베이어(210)의 작동도 정지되고 이후 작업자가 대파를 이용하여 염전의 소금을 다시 버킷부(220)로 모으며, 이후 다시 버킷부(220) 및 컨베이어(210) 작동으로, 장치 중앙의 운반대차함(531)에 소금을 담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에 있어서 염전의 소금을 흡입력을 이용하여 채취하는 흡입형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 23 내지 도 30 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하여 소금이 있는 염전에는 들어가지 않고 염전 주위를 주행하면서, 대파로 운송대차 가까운 곳에 모아진 소금을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입하여 채취하는 장치이다.
즉 소금채취장치(10)의 장치베이스(12) 일측에 설치된 소금채취부(20)의 흡입력에 의해 소금을 흡입하여 채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 흡입 방식으로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소금 알갱이가 손상되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채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의 기본 구성을 보면, 염전 사이의 주행공간을 이동하면서 모아진 소금을 채취하는 것으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장치,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운반대차, 장치의 전체 구조를 이루는 장치프레임(13) 및 장치의 저부베이스를 이루는 장치베이스(12), 운반대차가 놓여져 채취된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운반대차위치공간부(14), 그리고 소금을 염전으로부터 채취하기 위한 소금채취부(20) 등이 포함된 것이다.
그리고 소금채취부(20)는 장치베이스(12)로 소금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관(418)이 있고, 이러한 상기 흡입관(418)과 연결되어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흡입모터(411)가 마련되며, 흡입된 소금이 위치되는 보조탱크(414)가 마련된다.
이처럼 흡입된 소금이 보조탱크(414)에 다다르기 이전에, 흡입관(418)과 흡입모터(411) 사이에는 상기 흡입관(418)이 연결되는 싸이클론(412)이 마련된다. 이러한 싸이클론(412)에 의하여 흡입된 소금과 물 등은 아래의 보조탱크(414)로 떨어지나, 흡입모터(411)에 의해 흡입력을 갖게 하는 흡입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상기 싸이클론(412)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입모터(411)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모터(411)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모터(411)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 공기는 싸이클론(412)의 중앙 상부에 연결된 에어배출부(413)를 통하여 흡입모터(411)로 흐르는 것이다.
이로써 강력한 흡입력으로 염전의 소금과 일부 수분을 포함하여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된 소금 및 물(수분)은 싸이클론(412) 아래의 보조탱크(414)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보조탱크(414) 내에는 채취된 소금과 함께 다량의 물(수분)을 포함하게 되고, 소정 시간 담겨진 상태에서는 소금 알갱이 사이로 물도 포함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물은 우선 보조탱크(414)와 연결된 배수관(417)을 통하여 배수됨으로써, 채취된 소금에는 종래에 비하여 수분을 적게 포함하는 양질의 소금을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1차로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한 상태에서, 보조탱크(414) 내의 소금은 아래의 운반대차로 다시 모으게 되고, 차후 운반대차를 이동시켜 소금창고에 소금을 모으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탱크(414)의 아래에 설치되어 소금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개폐밸브설치부(41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밸브설치부(415)는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파이프 형상을 이룸으로써 쉽게 아래의 운반대차로 소금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설치부(415)에는 소금이 유출입되도록 개폐작동되는 개폐밸브(416)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장치컨트롤부(미도시됨)에 의해 소금채취장치(10)가 작동하고, 소금 채취하는 중에 보조탱크(414) 내에 소금이 소정 양만큼 채워진 상태를 감지하면 개폐밸브(416)가 열려 소금이 아래의 운반대차함(531)에 담기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에서는 보조탱크(414) 내에 담겨지는 소금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보조탱크(414) 내에 담겨지는 소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에 의하여 개폐밸브(416)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자동 작동제어구성이 마련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의 양태는 소금채취장치 및 염전 등의 실시 상황에 알맞게 하여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금이 일시 담기는 보조탱크(414) 아래에만 개폐밸브(416)가 마련된 경우에는, 개폐밸브(416)가 닫힌 상태에서 흡입모터(411) 작동으로 싸이클론(412) 및 보조탱크(414) 내에 저압이 형성됨으로 인해 흡입관(418)을 통하여 염전의 소금이 흡입된다. 이후 보조탱크(414) 내에 소금이 채워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흡입모터(411) 작동을 일시 정지하고 개폐밸브(416)를 개방하면 싸이클론(412) 및 보조탱크(414) 내에 대기압이 형성되고 소금이 아래의 운반대차함(531)으로 담겨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9 및 도 30에서와 같이, 싸이클론(412)과 보조탱크(414)에 걸쳐 두 개의 개폐밸브를 마련함으로써, 보조탱크(414) 내의 소금을 운반대차함(531)으로 담는 중에도 소금의 흡입과정이 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흡입관(418)이 일측에 연결되고 상부에 흡입모터(411)와 연결되는 싸이클론(412), 그리고 싸이클론(412) 아래의 보조탱크(414)가 마련되고, 아울러 상기 싸이클론(412)과 보조탱크(414) 사이에 설치되어 소금을 단속하는 싸이클론개폐밸브(421),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414) 아래에 설치되어 소금을 단속하는 탱크개폐밸브(423)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하여 최초 싸이클론개폐밸브(421)는 싸이클론밸브실린더(422) 작동으로 개방되고, 탱크개폐밸브(423)는 탱크밸브실린더(424) 작동으로 닫혀진 상태에서, 흡입모터(411) 작동으로 싸이클론(412)과 연결된 흡입관(418)에서 소금을 흡입한다. 흡입된 소금은 우선 싸이클론(412)을 지나 보조탱크(414)에 담겨진다.
이후 보조탱크(414) 내에 소금이 채워지면, 싸이클론(412)과 보조탱크(414) 사이의 싸이클론개폐밸브(421)가 싸이클론밸브실린더(422) 작동으로 닫히게 된다. 그리하여 싸이클론(412) 내에서는 항상 저압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탱크(414) 아래의 탱크개폐밸브(423)는 탱크밸브실린더(424) 작동으로 개방되어 아래의 운반대차함(531)에 소금이 담겨진다.
이후 다시 탱크밸브실린더(424) 작동으로 탱크개폐밸브(423)가 닫히고 싸이클론밸브실린더(422) 작동으로 싸이클론개폐밸브(421)가 열림으로써 싸이클론(412) 내의 소금이 아래의 보조탱크(414)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탱크개폐밸브(423)가 닫혀진 상태이므로, 보조탱크(414) 및 싸이클론(412) 내부는 저압을 형성하여 소금의 흡입작용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금을 아래의 운반대차함에 옮겨 담는 중에도 소금의 흡입과정은 연속해서 진행하기 때문에 소금의 채취 성능은 더욱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싸이클론개폐밸브(421) 및 탱크개폐밸브(423)에는 기밀되도록 밀폐패킹(425)이 마련됨으로써, 흡입모터(411)에 의한 공기 유출입을 막아 싸이클론(412) 및 보조탱크(414) 내부가 저압을 형성하도록 실시된다.
이에 더하여 싸이클론(412)과 결합되는 보조탱크(414)는, 상부로 싸이클론개폐밸브(421)가 마련되고 하부로 탱크개폐밸브(423)가 마련되며, 싸이클론개폐밸브(421) 및 탱크밸브(423)에 밀폐패킹(425)이 마련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일체형의 보조탱크(414)를 마련한 경우에는 그대로 싸이클론(412) 아래에 결합하여 시설할 경우, 제조 및 조립 작업이 간단하면서 각 밸브와 탱크 사이에 항상 기밀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흡입 효율이 더욱 향상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흡입모터(411)에 의한 흡입력으로 염전에서 소금을 흡입하여 채취하는 흡입관(418)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흡입관(418)은,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자바라 흡입관(미도시됨)으로 마련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와 같이, 염전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승흡입관(419)과 함께, 상승흡입관(419)에서 보조탱크(414) 상부의 싸이클론(412)에 연결되는 유입흡입관(42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승흡입관(419)은 상승 및 하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염전 옆의 트랙이나 둑을 넘나드는데 걸리지 않게 상승되고, 또한 낮은 높이의 염전 바닥에 아래가 근접되게 하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입흡입관(420)은 대체로 수평 방향의 길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금채취장치(10)로부터 염전 내의 소금에 이르는 거리만큼 수평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염전의 소금을 근접된 상태로 흡입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입관(418)의 아래에 위치되어 넓게 퍼진 소금을 흡입관 아래로 모이도록 하는 채취수집부(4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채취수집부(430)는 대체로 하광 상협으로 아래가 넓게 퍼져 주위 염전 바닥에 있는 소금을 넓은 범위에 걸쳐 흡입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주위 소금을 긁어모을 수 있는 구성을 더 부가함으로써 주위 소금을 좀더 빠른 시간 내에 모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의 예를 보면, 다수의 회전수집날개(432)가 흡입관(418)의 종방향 중앙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소금을 모으는 회전날개수집부(431)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캐터필러(441) 외면의 다수 캐터필러수집날개(442)에 의해 소금을 모으는 캐터필러수집부(440)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회전날개수집부(431)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26의 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회전수집날개(432)를 회전시키는 날개회전모터(433)와, 날개회전모터(433)에 의해 회전되면서 주위의 소금을 모으는 다수 개의 회전수집날개(432) 등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회전수집날개(432)의 끝 부분은 회전방향의 앞으로 좀더 굽어짐으로써 주위 소금이 점차로 중심으로 잘 모이도록 마련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회전수집날개(432)에 위치되고 다수 구멍으로 물이 배출되고 소금을 걸러 모으는 날개타공망(434)이 마련됨으로써, 염전 바닥의 물은 빠지게 하면서 소금 알갱이만 중심으로 모으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날개타공망(434) 아래에 위치되어 염전 바닥의 소금을 긁어모으는 날개고무판(435)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지, 고무나 실리콘 등의 부드러우면서 어느 정도 단단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날개고무판(435)에 의하여 소금을 채취하는 중에 소금 알갱이는 깨지지 않고 모으고, 또한 염전 바닥도 손상시키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중앙으로 모여진 소금은 공기 흡입력으로 흡입관(418)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수집날개(432)의 회전축과 날개회전모터(433)는, 직접연결되는 직결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직접연결방식에 의할 경우 회전수집날개(432)의 회전축에 회전을 위한 코일이 감겨진 모터의 구성, 또는 회전수집날개(432)의 종방향에 장축으로 결합되는 모터의 구성 등, 설치 상황에 알맞게 모터를 직결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날개회전모터(433)는 벨트나 날개체인(436)에 의해 연결되는 체인연결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집날개(432) 부근에 날개회전모터(433)를 위치시켜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캐터필러수집부(440)는, 다수의 캐터필러판이 연결되어 연속 회전되는 캐터필러(441), 그리고 캐터필러(441) 외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캐터필러수집날개(442) 등을 포함한 것이다.
이러한 캐터필러(441)는 서로 이격된 풀리 사이를 이어져 회전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흡입관(418)과 근접되게 중앙에 설치되고 캐터필러(441)가 회전되도록 하는 캐터필러중앙회전기어(443)와, 외측으로 설치되고 캐터필러중앙회전기어(443)와 함께 캐터필러(441)가 회전되도록 하는 캐터필러외측회전기어(444)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두 개의 회전기어 중에서 일측은 구동부재(주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고 다른 회전기어는 단지 피동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는 실시되는 상황이나 구조적 양태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되는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 27에서와 같이, 이러한 캐터필러는 중앙의 흡입관(418)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측으로만 마련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버킷형 또는 흡입형으로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에는, 상기 장치베이스(12)의 아래에 설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장치이송부(5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이송부(510)는 소금을 채취하는 중에 염전 주위를 주행하기도 하고, 소금의 채취를 끝낸 후 소금을 창고에 보관하기 위해 이동할 수도 있으며, 작업을 끝내고 장치 보관창고에 입고할 때에도 주행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장치이송부(510)는, 도 13 내지 도 15, 도 28 등에서처럼 이송 작동을 위한 주행모터(511), 그리고 주행모터(511)에 의해 회전되는 주행바퀴(512)가 마련된다. 또한 주행 중 회전이 원활하도록 주행 축상에 차동작동부(514)가 마련되어 염전에 설치된 주행레일(513)을 따라 원활히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염전을 돌면서 소금을 채취할 수 있고 채취된 소금이 소금 창고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는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처럼 주행방향의 좌측 및 우측에 있는 염전에 대해 번갈아 가면서 소금을 채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소금채취장치(10)의 흡입관(418)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180도 또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측 염전에 걸쳐 소금채취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1 내지 도 3, 도 28 등의 예시에처럼 소금채취장지(10)의 대부분이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을 보면, 상기 소금채취부(20)가 회동되도록 하는 장치회동부(5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장치회동부(520)는, 별도의 구동수단없이 작업자가 회전시켜 장치를 회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28에서처럼 회동작동을 위한 회동모터(521)와, 회동모터(521)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회동바퀴(522)가 마련되어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회동바퀴(522)의 회전을 유도하여 소금채취장치(10)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레일(523)이 마련되고, 이러한 회동레일(523)이 외측으로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524) 또는 다수의 프레임들이 포함되며, 이러한 회동플레이트(524) 또는 다수 프레임들은 장치베이스(12)에 고정된다.
이에 회동레일(523)이 원을 그리며 설치되는 것이므로, 회동레일(523)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바퀴(522)가 원을 그리며 회동될 것이다. 이로써 회전바퀴(522)가 설치된 장치프레임(13) 및 소금채취장치(10)의 대부분이 함께 회동됨으로써, 염전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소금채취가 번갈아가면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는 소금을 염전으로부터 채취하는 중에는 내부에 소금이 담겨지는 운반대차가 위치된다. 그리하여 채취되는 소금이 운반대차에 담겨지고, 운반대차에 소금이 채워지면 채취과정을 잠시 정지한 다음에, 채워진 운반대차를 소금창고로 이동하여 하역한다. 이러는 중에 소금채취장치(10)에는 다시 비어있는 운반대차를 위치시켜 소금채취 과정을 연속하게 된다.
이러한 운반대차를 위치시키고 내리기 위한 구성을 보면, 소금채취장치(10)의 상기 장치베이스(12) 상부에 위치되고 소금채취부(20)에 의해 채취된 소금이 담겨져 운반되는 운반대차부(5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운반대차부(530)는, 운반대차로써 소금이 담겨지는 운반대차함(531)이 마련되고, 운반대차함(531)의 아래에는 운반대차바퀴(532)가 마련되어 운반대차함이 이동된다.
그리고 운반대차바퀴(532)가 아래에 설치되고 상부에 운반대차함(531)이 구비되는 운반대차베이스(534)를 포함하며, 아울러 상기 장치베이스(12)에 있어서도 상부에는 운반대차바퀴(532)의 주행을 유도하는 운반대차레일(533)이 마련된다.
따라서 장치베이스의 운반대차레일(533)을 따라 운반대차부(530)의 운반대차바퀴(532)가 회전하여 소금채취장치(10) 내에 장착되고, 내부에 소금이 채워진 상태일 경우 소금채취장치(10)에서 하차하여 소금창고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운반대차의 상차 및 하차를 위한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장치베이스(12) 일측 또는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대차부(530)가 장치베이스(12)로 오르도록 설치된 운반대차상차부(5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운반대차상차부(540)는, 도 1 내지 도 3, 도 11 및 도 12, 도 31, 및 도 32 등에서처럼 운반대차바퀴(532)의 주행을 유도하여 운반대차함(531)이 상차 및 하차되도록 하는 운반대차상차레일(541)이 마련되고, 운반대차상차레일(541)과 운반대차부(530)의 운반대차레일(533) 사이를 연결하는 운반대차상차연결부(542)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염전에 시설된 주행레일(513)을 따라 이동되던 운반대차부(530)의 운반대차바퀴(532)는 운반대차상차부(540)의 운반대차상차레일(541)을 따라 상승하다가 장치베이스(12)의 운반대차레일(533)로 이동되어 운반대차위치공간부(14)에 위치된다. 이후 운반대차상차레일(541)을 도 32에서처럼 세우면, 소금채취장치(10)를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된 소금이 운반대차함(531)에 담겨지는 것이다.
이후 운반대차부(530)의 하차는 다시 소금 채취를 중지한 상태에서 도 1, 도 11, 도 31 등에서처럼 운반대차상차레일(541)을 지면의 주행레일(513) 위로 펼치고, 운반대차함(531)을 하차한다. 이후 운반대차함(531)을 소금보관창고로 이동시켜 소금을 하역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채취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우선 장치이송부(510)를 작동하여 소금을 채취할 염전 부근으로 소금채취장치(1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소금채취장치(10)의 장치베이스(12) 위로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운반대차인 운반대차함(531)을 위치시킨다. 대파로 작업자가 염전 소금을 한 군데로 모으는데, 버킷형의 경우 버킷부(220) 내로 소금을 담는다.
이후 소금채취장치(10)의 장치컨트롤부(미도시됨)에 의해 소금채취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흡입형의 경우 흡입모터 작동으로 운반대차함(531) 내로 소금이 모인다.
반면 버킷형의 경우 버킷부(220) 내에 소금이 담겨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킷승강스위치(121)를 작동하면, 버킷부(220)가 상향 작동하여 컨베이어(210)로 소금을 이송하여 운반대차함(531)에 소금을 담는다. 이처럼 소금을 채취하는 중에, 반대측 염전 소금을 채취하기 위해 컨베이어승하강스위치(125)를 작동하여 컨베이어(210)를 장치프레임(13)을 따라 상승시킨 후, 장치회동부(520)에 의한 장치 회전으로 반대 염전으로 버킷부를 위치시킨다. 이후 다시 염전의 소금을 채취하여 운반대차함(531)에 담는다.
또한 소금채취장치를 다른 염전으로 옮기기 위한 것으로, 장치컨트롤부의 제어에 의하여 주행모터(511)를 작동함으로써 소금채취장치(10)가 이동하고 소금채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소금채취장치 12 : 장치베이스
13 : 장치프레임 20 : 소금채취부
210 : 컨베이어 220 : 버킷부
291 : 유압모터 293 : 버킷실린더
294 : 리프트실린더
510 : 장치이송부 511 : 주행모터
512 : 주행바퀴 513 : 주행레일
520 : 장치회동부 522 : 회동바퀴
530 : 운반대차부 531 : 운반대차함

Claims (10)

  1.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와 함께 운반대차위치공간부를 형성한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소금을 채취하여 운반대차위치공간부에 위치된 운반대차함으로 소금을 이송하는 소금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금채취부는,
    장치베이스 일측에 결합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 아래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소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버킷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부는, 선단이 염전 바닥에 놓여 버킷부 안에 소정량의 소금이 모이면 버킷부를 상기 컨베이어 하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상향으로 회동되어 버킷부 안에 담긴 소금을 컨베이어로 전달하며,
    상기 소금채취부는,
    상기 장치프레임 타측의 견인모터와 연결된 견인와이어에 의해 버킷부 일측을 당겨 회동시키는 와이어견인작동형;
    상기 컨베이어 일측의 기어모터 및 회동기어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기어회동작동형; 및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유압회동작동형;
    중 어느 하나의 작동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채취부는, 유압펌프의 작동으로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유압회동작동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치프레임 일측에 구비된 유압펌프; 및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을 버킷실린더, 및 리프트실린더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달하는 유압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유압펌프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버킷부를 회동시키는 버킷실린더; 및
    유압펌프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컨베이어를 장치프레임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실린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버킷승강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컨베이어 및 버킷부를 작동시키는 장치컨트롤부;
    상기 컨베이어를 승강 작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버킷부의 덤프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덤프제한센서;
    상기 버킷부의 하한 회동을 감지하는 펼침감지센서; 및
    상기 버킷부가 덤프 회동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컨베이어가 작동되도록 시간 설정하기 위한 컨베이어타이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에는, 바닥에 배수용 다공이 형성되어지되,
    버킷부 바닥 안쪽으로 메쉬망 형상의 메쉬다공;
    버킷부 바닥 안쪽에 형성된 내측다공; 및
    버킷부 바닥 외측에 형성된 외측다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다공이 형성되고,
    버킷부 바닥 초입에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메쉬망 또는 평판 형태로 직립되고 버킷부 안쪽으로 회동되는 체크가이드;
    버킷부 바닥 선단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버킷부 하강시 선단 끝이 먼저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밀착되는 선단밀착부;
    버킷부 내의 소금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으는 버킷스크류;
    상기 컨베이어 아래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하강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완충부; 및
    상기 컨베이어 아래 상부에 상향으로 설치되어 버킷부의 덤프회동시 버킷부 회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덤프회동완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의 아래에 설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장치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이송부는:
    이송 작동을 위한 주행모터;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바퀴; 및
    주행모터에 의해 주행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행축상에 결합된 차동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베이스에 대해 소금채취부 및 장치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장치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회동부는:
    상기 장치베이스 주위로 고정설치되어 원형링형태를 이루는 회동레일; 및
    상기 회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장치프레임 다수 곳에 결합된 회전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 위치되고 소금채취부에 의해 채취된 소금이 담겨져 운반되는 운반대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차부는:
    소금이 담겨지는 운반대차함; 및
    운반대차함의 아래에 설치된 운반대차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베이스 상부에는 운반대차바퀴가 회전하는 중에 운반대차바퀴의 주행을 유도하는 운반대차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베이스 일측 또는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반대차부가 장치베이스로 오르도록 설치된 운반대차상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차상차부는:
    운반대차바퀴의 주행을 유도하는 운반대차상차레일; 및
    운반대차상차레일과 장치베이스의 운반대차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운반대차상차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취장치.
KR20140162367A 2014-11-20 2014-11-20 소금채취장치 KR101491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367A KR101491455B1 (ko) 2014-11-20 2014-11-20 소금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367A KR101491455B1 (ko) 2014-11-20 2014-11-20 소금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455B1 true KR101491455B1 (ko) 2015-02-10

Family

ID=5259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2367A KR101491455B1 (ko) 2014-11-20 2014-11-20 소금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45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23B1 (ko) * 2016-03-23 2017-03-2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이동식 소금수거장치
KR101840815B1 (ko) * 2017-07-13 2018-05-04 김병석 천일염 수거장치
CN109368107A (zh) * 2018-11-09 2019-02-22 上海原能细胞生物低温设备有限公司 一种生物样本储存库及其储存方法
KR102046144B1 (ko) 2019-03-06 2019-11-18 한기영 염전용 대파 견인장치
KR102056750B1 (ko) * 2018-11-22 2020-01-23 양윤근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102092699B1 (ko) * 2018-10-16 2020-03-24 신영구 염전소금 채취용 흡입장치
CN113321009A (zh) * 2021-07-09 2021-08-31 湖北和诺生物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烟碱生产废渣自动处理系统及方法
CN115198821A (zh) * 2022-08-30 2022-10-18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工作装置、工作方法及工程机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167A (ko) * 2009-05-18 2010-11-26 신옥테크(주) 소금 이송 장치
KR101223416B1 (ko) 2012-04-09 2013-01-17 김병석 소금 채집 및 적재장치
KR101367303B1 (ko) 2013-09-04 2014-02-27 김미복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KR20140087210A (ko) * 2012-12-28 2014-07-09 노희정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167A (ko) * 2009-05-18 2010-11-26 신옥테크(주) 소금 이송 장치
KR101223416B1 (ko) 2012-04-09 2013-01-17 김병석 소금 채집 및 적재장치
KR20140087210A (ko) * 2012-12-28 2014-07-09 노희정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KR101367303B1 (ko) 2013-09-04 2014-02-27 김미복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23B1 (ko) * 2016-03-23 2017-03-2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이동식 소금수거장치
KR101840815B1 (ko) * 2017-07-13 2018-05-04 김병석 천일염 수거장치
KR102092699B1 (ko) * 2018-10-16 2020-03-24 신영구 염전소금 채취용 흡입장치
CN109368107A (zh) * 2018-11-09 2019-02-22 上海原能细胞生物低温设备有限公司 一种生物样本储存库及其储存方法
KR102056750B1 (ko) * 2018-11-22 2020-01-23 양윤근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102046144B1 (ko) 2019-03-06 2019-11-18 한기영 염전용 대파 견인장치
CN113321009A (zh) * 2021-07-09 2021-08-31 湖北和诺生物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烟碱生产废渣自动处理系统及方法
CN113321009B (zh) * 2021-07-09 2021-12-17 湖北和诺生物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烟碱生产废渣自动处理系统及方法
CN115198821A (zh) * 2022-08-30 2022-10-18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工作装置、工作方法及工程机械
CN115198821B (zh) * 2022-08-30 2024-04-02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工作装置、工作方法及工程机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455B1 (ko) 소금채취장치
CN210047605U (zh) 一种用于河道水面垃圾打捞装置
CN113404495B (zh) 低扰动深海多金属结核采集传动机构及其采集方法
CN203889436U (zh) 一种垃圾中转站压缩装置
US4736710A (en) Device for picking up animals e.g. chickens from a ground surface
KR20170041394A (ko) 염전구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비트를 이용한 소금 자동 채염장치
CN204620367U (zh) 自走式全自动筛沙机
CN110314873A (zh) 一种多功能收获机
CN108901305A (zh) 一种联合式莲藕采收机械
CN107140392A (zh) 一种污泥输送系统
KR20160015466A (ko)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CN207030251U (zh) 一种污泥输送系统
KR20170081917A (ko) 부력채염기
JP2006311806A (ja) 水草回収法及びその装置
MX2011007644A (es) Desacelerador que comprende tanque de desaceleracion y transportador de extraccion.
KR101559979B1 (ko) 소금채취장치
CN113482080B (zh) 一种河道淤泥清除装置及清除方法
CN214878078U (zh) 一种港口运输带的清洁机构
CN115027630A (zh) 一种水面无人船
CN207828944U (zh) 一种开排沉箱
CN113737761A (zh) 一种漂浮物打捞上岸装置
CN211547654U (zh) 一种垃圾打捞船货仓转动调节机构
CN209618438U (zh) 一种自走式清车机
CN112064748A (zh) 一种市政排污装置
CN112160295A (zh) 一种拦截并收集垃圾的船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