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815B1 - 천일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천일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815B1
KR101840815B1 KR1020170115432A KR20170115432A KR101840815B1 KR 101840815 B1 KR101840815 B1 KR 101840815B1 KR 1020170115432 A KR1020170115432 A KR 1020170115432A KR 20170115432 A KR20170115432 A KR 20170115432A KR 101840815 B1 KR101840815 B1 KR 10184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body
salt
whe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석
Original Assignee
김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석 filed Critical 김병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쉽게 채염작업을 할 수 있는 천일염 수거장치이다.
본 발명은 소금결정지에서 대파질을 위한 고무래부와; 소금 이송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이동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무래부의 대파질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래부를 상기 이동로 측으로 끌어당기는 수거보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천일염 수거장치{Sun sal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천일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쉽게 채염작업을 할 수 있는 천일염 수거장치이다.
염전은 천일염을 생산하는 곳으로, 펄에 논과 같이 사각형 모양의 얕은 가두리를 만들어 바닷물을 들이고 여러 날 동안 햇볕과 바람에 증발시킴으로써, 천일염을 만든다.
염전은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지며, 이 밖에 염퇴장, 도로 등이 부설되어 있다. 저수지는 해수를 가두는 곳이고, 증발지는 햇볕과 바람으로 물을 증발시키는 곳이며, 결정지는 증발지에서 농축된 해수를 엷게 펴서 건조시켜 천일염을 결정화시켜 채염하는 곳을 말한다.
채염을 위하여 작업자는 고무래를 이용하여 결정지의 바닥에서 결정화된 천일염을 긁어 모으는 일, 즉, 대파질을 한다.
이에 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8022호에는 염전용 고무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무래를 이용하여 결정지에서 대파질을 하는 것은 작업자의 힘 소모가 너무 크고 작업시간도 오래 걸려 채염의 능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243호에는 소금수거 및 채취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한 소금수거 및 채취장치는 전동방식으로 움직이는 중량이 무거운 차체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금을 수집할 수 있는 장치로, 적은 힘으로 채염이 가능해졌으나, 장치가 결정지에 진입하기 어렵다.
또한, 결정지에 들어가더라도 무거운 중량에 의해 결정지의 바닥과의 마찰력이 높아 대파질 시 소금결정지의 바닥이 훼손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836호 (특허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1614호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천일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천일염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고무래부에 간수배출공을 형성하고 브러시부와 패드부를 구비하여 소금결정지와의 밀착면적은 증대시켜 작업효율을 높이고, 마찰력은 감소시켜 결정지 바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일염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일염 수거장치는 소금결정지에서 대파질을 위한 고무래부와; 소금 이송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이동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무래부의 대파질을 보조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고무래부를 상기 이동로 측으로 끌어당기는 수거보조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거보조부는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휠과, 일단이 상기 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무래부와 연결되어 상기 휠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수거보조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고무래부의 위치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틸팅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수거보조부의 작동시, 반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래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권취보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고무래부측을 향하는 상기 본체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며,상기 와이어는 상기 휠에서부터 상기 권취보조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및 상기 틸팅부를 거쳐 상기 고무래부에 연결된다.
상기 수거보조부는 상기 고무래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정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급정지부는 상기 본체에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간섭고리부를 갖는 이동로드와, 일측이 상기 이동로드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로드와 함께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감지판을 구비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거리감지센서로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거리정보의 변화가 발생할 시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무래부는 소금결정지의 바닥에 접촉되는 밀착부가 하부에 구비된 밀판과, 일단이 상기 밀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밀착부는 브러시부 또는 패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상기 고무래부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밀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간수배출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래부는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1, 제2로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거보조부에서 연장된 와이어와 상기 제1, 2로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밀판에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2 로프가 통과할 수 있게 고리부가 형성된 제1 ,2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를 통과한 상기 제1, 2로프를 각각 독립적으로 권취하여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고무래휠과, 상기 고무래휠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천일염 수거장치는 수거보조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천일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일염 수거장치는 고무래부에 간수배출공이 형성되고 브러시부와 패드부가 구비되어 소금결정지와의 밀착면적이 증대되지만 마찰력이 감소되어 대파질 시 소금결정지의 바닥면의 훼손을 방지하고 천일염수거률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일염 수거장치의 수거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거구동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거구동부의 틸팅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의 긴급정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긴급정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천일염 수거장치의 고무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고무래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의 고무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고무래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거장치가 염전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일염 수거장치(1)는 소금결정지에서 대파질을 위한 고무래부(10)와 소금 이송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이동로(R)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무래부(10)의 대파질을 보조할 수 있도록 고무래부(10)를 이동로(R) 측으로 끌어당기는 수거보조부(50)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대파질은 염전의 소금결정지(A)에서 천일염을 수거하기 위하여 고무래부를 이용하여 소금을 일정위치로 모으는 작업을 일컫는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1)의 수거보조부(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거보조부(50)는 이동로(R)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60)와, 본체(6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3)와, 구동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휠(55)과, 일단이 휠(55)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무래부(10)에 연결되어 휠(55)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57) 또는 로프를 구비한다.
본체(60)는 상부에 구동모터(53)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이동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69)가 설치되는 하부판(61)을 구비한다.
하부판(61)은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나무 뿐만 아니라 충분한 강성을 갖는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동바퀴(69)는 소금 이송용 대차의 이동을 위한 이동로(R)를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소금 이송용 대차의 이동바퀴(69)와 동일한 형태인 풀리형으로 형성된다.
본체(60)는 구동모터가 구동할 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커버(62)를 더 구비한다.
커버(62)는 하부판(61)의 모서리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측부프레임(65)과, 측부프레임(65)들의 상단에서 측부프레임(65) 연결하는 상부프레임(63)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63)은 4개의 프레임이 하부판(61)과 대응되게 사각틀 모양으로 결합되고, 내측에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하도록 결합된다.
측부프레임(65)은 프레임들의 일단이 하부판(61)의 모서리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사각틀 모양의 상부프레임(63)의 모서리들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본체(60)는 육면체 형태로 구비된다.
프레임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비되고, 하부판(61)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커버(62)는 구동모터와 휠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기 위한 판(미도시)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에는 본체(60)의 외부에 구비되는 고무래부(10)에 연결된 와이어(57)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본체(60)는 하부판(61)에 직접 후술할 틸팅부(70)와 권취보조부(80)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하부판(61)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67)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53)는 구동모터(53)의 축이 이동로(R)와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하부판(6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두 개의 구동모터(53)가 구비될 시, 하부판(6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53)는 이동로(R)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 위치한 소금결정지(A)에서 고무래부(10)의 소금 수거를 보조하기 위해서, 해당 소금결정지(A)와 가까운 하부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55)은 구동모터(53)의 축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3)가 작동함에 따라 회전된다. 휠(55)은 본체(6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크기로 구비되며 풀리형으로 홈(55a)이 형성되어 있다. 형성된 홈(55a)을 따라 와이어(57)가 권취된다.
와이어(57)의 일단은 휠(55)에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단은 고무래부(10)에 연결된다. 와이어(57)는 구동모터의 작동시, 휠에 권취되면서 타단 측의 고무래부(10)를 끌어당겨 작업자의 대파질을 보조할 수 있다.
수거보조부(50)는 본체(60)에 대한 고무래부(10)의 위치변화에 대응되게 와이어(57)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틸팅부(70)를 더 구비한다.
틸팅부(70)는 대파질을 위한 고무래부(10)측을 향하는 본체(60)의 하부프레임(67)에 설치된다. 틸팅부(70)는 본체(60)의 하부프레임(67)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본체에 고정되고. 틸팅부(7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도르래케이스(71)와, 도르래케이스(7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도르래(73)가 구비된다.
도르래케이스(71)는 서로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에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게 개구가 형성되며 휠(55)의 평면과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고정도르래(73)는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도르래 케이스에 설치된다. 와이어(57)가 권취됨에 따라 한 쌍의 고정도르래(7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휠(55)에서 권취되는 와이어(57)는 하부프레임(67) 측에 설치된 도르래케이스(71)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도르래케이스(71)의 내부로 진입되고 도르래케이스(71)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도드래의 사이를 지나 도르래케이스(71)의 개방된 타단을 통해 틸팅부(70)의 외부로 인출되어 고무래부(10)와 연결된다.
상기 틸팅부(70)는 본체 측의 와이어(57) 부분이 고무래부(10)의 위치 변화에 의해 좌우로 굴절되더라도 한 쌍의 고정도르래(73)를 통해 와이어(57)가 안정적으로 휠에 권취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수거보조부(50)는 수거보조부(50)의 작동시, 본체에 작용하는 반작용에 의해 본체(6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래부(10)와 대향되는 본체(60)의 일측에 설치되는 권취보조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권취보조부(80)는 틸팅부(70)가 설치된 본체(60)의 하부프레임(67)과 대향하는 본체(60)의 하부프레임(67)에 설치된다. 권취보조부(80)도 휠(55)의 평면과 일직선상에 설치된다. 권취보조부(80)는 본체(60)의 하부프레임(67)에 결합되는 보조권취브라켓(81)과 보조권취브라켓(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휠(55)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57)를 보조하는 보조휠(83)을 구비한다.
권취보조부(80)가 구비됨으로써, 휠(55)에서 권취되는 와이어(57)는 휠(55)에서부터 본체(60)의 하부프레임(67)에 설치된 권취보조부(80)에서 보조권취되고 본체(60)의 하부 및 틸팅부(70)를 거쳐 고무래부(10)에 연결된다. 이에, 수거보조부(50)의 구동모터(53)가 작동함에 따라 본체 작용하는 반작용에 의해 본체(60)가 전복되는 것을 본체(60)의 무게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의 긴급정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거보조부는 고무래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긴급정지부(90)를 더 구비한다.
긴급정지부(90)는 수거보조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91), 가이드(91)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이동로드(94), 이동로드(94)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토퍼(95), 가이드(91)의 일측에 설치된 거리감지센서(97)와, 거리감지센서로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하고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99)를 구비한다.
가이드(91)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설치대(92)와, 안내관(93)으로 구분된다.
설치대(92)는 판형으로 일단이 도르래케이스(71)의 상부에 결합된다.
안내관(93)은 설치대(92)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안내홈(93a)이 형성된 관형으로 구비된다.
안내관(93)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93b)가 형성된다.
개구부(93b)는 후술할 스토퍼(95)가 왕복 이동한다.
이동로드(94)는 가이드(91)의 안내관(93) 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안내관(93)에 삽입되어 안내홈(93a)을 따라 왕복이동을 한다.
이동로드(94)는 일측 단부에 와이어(57)가 통과할 수 있는 간섭고리부(94a)가 형성된다.
간섭고리부(94a)는 와이어(57)가 권취될 시, 와이어(57)가 긴급정지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일정 이상으로 와이어(57)가 권취될 시, 와이어(57)와 고무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스토퍼(95)는 안내관(93)에 삽입될 시 안내관(93)에 형성된 개구부(93b)에 위치하는 이동로드(94)의 일측에 형성된다.
스토퍼(95)는 연장로드(95a) 및 감지판(95b)으로 구분되며, 연장로드(95a)는 일측이 이동로드(94)에 결합되고 타측은 개구부(93b)를 통과하여 안내관(9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감지판(95b)은 판형으로 연장로드(95a)의 타측에 형성되며, 후술할 거리감지센서(97)로 감지되는 부분이다.
연장로드(95a)는 이동로드(94)가 안내관(93)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됨에 따라 개구부(93b)를 따라 이동된다. 하지만, 이동로드(94)에 돌출되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개구부(93b)의 길이 이상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개구부(93b)의 길이 이상으로 이동시, 개구부(93b)의 단부에서 걸리게 된다. 즉, 연장로드(95a)는 이동로드(94)가 개구부(93b)의 길이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거리감지센서(97)는 가이드(91)에 형성된 개구부(93b)를 향하도록 가이드(91)의 일측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감지센서(97)는 개구부(93b)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부(99)는 구동모터 또는 거리감지센서(97)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거리감지센서로(97)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거리정보의 변화가 발생할 시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와이어(57)가 설정길이 이상으로 권취될 시 긴급정지부(90)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정길이는 와이어에 간섭고리부(94a)를 통과할 수 없도록 고리를 설치하거나 또는 와이어를 묶어서 설정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무래부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설정길이를 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57)가 설정길이 이하에서 권취될 때는, 이동로드(94)는 가이드(91)의 안내관(93)의 내부에서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때, 이동로드(94)는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95)에 의해 가이드(91)의 외부로 분리되지 않는다.
거리감지센서(97)는 개구부(93b)의 단부에 걸린 스토퍼(95)의 감지판(95b)과의 사이 거리(L0)를 측정한다.
컨트롤부(99)는 감지판(95b)과의 사이 거리(L0)가 수신될 시, 와이어(57)의 권취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이에, 이동로드(94)의 일단에 형성된 간섭고리부(94a)에는 와이어(57)가 통과하며 권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와이어(57)가 설정길이 이상으로 권취될 시, 이동로드(94)의 일단에 형성된 간섭고리부(94a)에 와이어(57)와 고무래부가 연결된 연결부가 걸리고, 연결부가 걸림에 따라 이동로드(94)는 가이드(91)의 안내관(93)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동로드(94)의 삽입에 따라 스토퍼(95)는 개구부(93b)의 단부에서 개구부(93b)의 타측 단부로 이동한다.
이에, 거리감지센서(97)는 감지판(95b)과의 거리(L0)에서 감지판이 형성되지 않은 이동로드(94)의 외측면과의 거리(LR)를 측정하게 된다.
컨트롤부(99)는 감지판(95b)과의 거리(L0)에서 감지판이 형성되지 않은 이동로드(94)의 외측면과의 거리(LR)가 수신됨에 따라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여, 와이어(57)의 권취를 멈추도록 구동모터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긴급정지부(90)는 설정길이 이상으로 와이어(57)가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고무래부와 수거보조부의 충돌을 방지한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고무래부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무래부(1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지지봉(11)과, 지지봉(11)의 단부에 결합되고 소금결정지(A)의 바닥에 위치하는 밀판(15)을 구비한다.
지지봉(11)은 밀판(15)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지봉(11a)(11b)과, 제1 및 제2 지지봉(11a)(11b)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지지봉(11c)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지지봉(11a)(11b)은 밀판(15)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결합된다.
제3지지봉(11c)은 파지부로서,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그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밀판(15)은 대파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좌우로 기다란 형태로 구비되고, 대파질 시 밀판(15)의 양단에서 천일염이 대파질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양단이 대파질 방향의 밀판(15)의 일 측 즉, 전면으로 소정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금결정지(A)의 바닥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설치된다.
밀판(15)에는 밀착부가 전면 또는 후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밀판(15)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밀착부를 설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도록 요철 구조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는 소금결정지(A)의 바닥에 대한 고무래부의 밀착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브러시부(16) 또는 패드부(17)를 적용할 수 있다.
밀판(15)에는 브러시부(16) 또는 패드부(17)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만 설치되거나 둘 모두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브러시부(16)만 복수 개 설치하거나 패드부(17)만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밀착부로 적용되는 브러시부(16)는 좌우로 기다란 형태의 밀판(15)을 따라 길게 형성된 브러시본체(16b)와, 브러시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세모(16a)들을 구비한다. 브러시본체(16b)는 상부가 플랜지(12)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플래지(12)와 브러시본체를 관통하는 체결수단(18)에 의해 플랜지(12)에 고정된다.
세모(16a)는 밀판(15)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러시본체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결국 소금결정지(A)와 밀착되는 부분이다. 이에, 작업자가 고무래부를 이용하여 대파질을 할 시, 촘촘히 구비되어 있는 세모(16a)들로 인하여 적은 대파질 횟수로 천일염을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한편, 밀착부로 적용되는 패드부(17)는 밀판(15)의 하부에 구비된 플렌지(12)에 브러시부(16)보다 대파질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되며, 좌우로 기다란 형태로 구비된 밀판(15)을 따라 좌우로 기다란 형태로 형성된다. 패드부(17)는 고무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브러시부(16)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플랜지에 고정된다.
고무래부(10)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밀판(15)을 관통하는 복수의 간수배출공(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간수배출공(14)은 밀판(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밀판(15)의 폭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슬롯형태로 형성된다. 간수배출공(14) 대파질 시, 밀판을 따라 올라오는 간수를 배출할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력을 감소시켜 적은 힘으로 대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밀판(15)의 중량을 감소시켜, 소금결정지(A)의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래부(10)는 지지봉(11)에 구비되어 고무래부(10)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바퀴(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바퀴(19)는 밀판(15)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지지봉(11a)(11b)의 하부에 대파질 방향으로 구름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밀판(15)의 후면방향에서 밀판(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고무래부(10)의 이동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대파질 시 밀판(15)과 소금결정지(A) 바닥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일염 수거장치(1)는 소금결정지(A)가 아닌 소금 이송용 대차의 이동로(R)에 수거보조부(50)가 구비되어 소금결정지(A)에 하중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무래부(10)에 간수배출공(14)이 형성되어 브러시부(16)와 패드부(17)가 구비되어 소금결정지(A)의 바닥면과의 밀착되는 면적은 증대되지만 마찰력은 매우 낮다.
도 10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고무래부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고무래부(30)는 소금결정지(A)의 바닥에 위치하는 밀판(15)과 밀판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지지봉(31)과,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와이어(57)에 연결되는 제1, 2로프(33)(35)와, 와이어(57)와 제1, 2로프(33)(35)가 연결되는 연결부(C)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40)을 구비한다.
지지봉(31)은 일단이 밀판의 일측과 결합되고 밀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지지봉(31)은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그립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핸들(49)이 설치된다.
제1, 2로프(33)(35)는 후술할 이동유닛(40)에 의해 고무래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와이어(57)와 각각의 일단이 서로 묶여 연결부(C)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와이어와 제1, 2로프(33)(35) 각각의 단부가 연결되는 고리등의 매개체로 연결부(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유닛(40)은 밀판(15)에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2지지로드(41)(43)와, 지지봉(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무래휠(45)과 휠의 축과 연결된 핸들부(49)를 구비한다.
제1, 2지지로드(41)(43)는 밀판(15)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형성되며, 제1, 2 로프(33)(35)가 통과할 수 있게 고리부(44)가 형성된다.
고리부(44)는 제1,2로프(33)(35)가 후술할 고무래휠에 권취될 시 제1, 2지지로드(41)(4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고리부(44)는 복수개로 제1, 2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1, 2로프(33)(3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2지지로드(41)(43)은 와이어이동보조휠(46)이 더 구비되어 제1, 2로프(33)(35)의 권취를 보조할 수 있다.
고무래휠(45)은 고리부(44)를 통과한 제1 ,2로프의 타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권취한다. 이에, 제1, 2로프는 어느 하나가 권취될 시 다른 하나는 권취가 풀리게 된다.
핸들부(49)는 휠의 축과 연결되고 작업자의 파지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고무래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고무래부(30)의 이동유닛(4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2로프는 타단이 고무래휠(45)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연결되고 밀판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연장되며, 제1, 2지지로드(41)(43)의 고리부(44)를 통과한 뒤 와이어(57)의 일단과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C)를 형성한다.
고무래휠(45)은 제1, 2로프의 타단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무래휠(45)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 시, 제1로프(33)가 고무래휠(45)에 권취되면 제2로프(35)는 고무래휠(45)에서 권취가 풀린다.
이때, 연결부(C)는 제1로프(33)가 통과하는 제1지지로드(41) 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고무래휠(45)을 회전할 시 제2로프가(35) 고무래휠(45)에 권취되고 제1로프(33)가 고무래휠(45)에서 권취가 풀려 연결부(C)가 제2지지로드(41) 쪽으로 이동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고무래부(30)는 연결부(C)를 고무래부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고무래부(30)를 이용하여 대파질을 할 시, 대파질에 따라 천일염이 고무래부(30)의 길이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되었을때, 연결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편중된 측이 편중되지 않은 측 보다 인장력이 강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용이 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작업자가 본 발명의 천일염 수거장치(1)를 이용하여 대파질 할 때, 적은 힘으로 작업자의 대파질이 가능하고, 대파질에 따라 소금결정지(A)의 바닥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요한 대파질 횟수를 줄여 천일염 수거의 능률이 향다.
또한, 고무래부와 수거보조부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천일염 수거장치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수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천일염 수거장치 10 : 고무래부
50 : 수거보조부 A : 소금결정지
R : 이동로

Claims (10)

  1. 소금결정지에서 대파질을 위한 고무래부와;
    소금 이송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이동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무래부의 대파질을 보조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고무래부를 상기 이동로 측으로 끌어당기는 수거보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래부는 소금결정지의 바닥에 접촉되는 밀착부가 하부에 구비된 밀판과, 일단이 상기 밀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고무래부는 상기 밀판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1,2로프와, 상기 와이어와 상기 제1,2로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상기 밀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밀판에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2로프가 통과할 수 있게 고리부가 형성된 제1 ,2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리부를 통과한 상기 제1, 2로프를 각각 독립적으로 권취하여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고무래휠과, 상기 고무래휠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고무래휠을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보조부는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휠과, 일단이 상기 휠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무래부와 연결되어 상기 휠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보조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고무래부의 위치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틸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보조부의 작동시, 반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래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권취보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고무래부측을 향하는 상기 본체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휠에서부터 상기 권취보조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및 상기 틸팅부를 거쳐 상기 고무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보조부는 상기 고무래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정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정지부는 상기 수거보조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간섭고리부를 갖는 이동로드와,
    일측이 상기 이동로드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로드와 함께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감지판을 구비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거리감지센서로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거리정보의 변화가 발생할시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래부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밀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간수배출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수거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15432A 2017-07-13 2017-09-08 천일염 수거장치 KR101840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9286 2017-07-13
KR1020170089286 2017-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815B1 true KR101840815B1 (ko) 2018-05-04

Family

ID=6219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432A KR101840815B1 (ko) 2017-07-13 2017-09-08 천일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17Y1 (ko) * 2018-10-24 2019-01-1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KR20200018883A (ko) * 2018-08-13 2020-02-2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소금밀대 견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55B1 (ko) * 2014-11-20 2015-02-10 한기영 소금채취장치
KR101746104B1 (ko) * 2017-02-01 2017-06-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소금밀대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55B1 (ko) * 2014-11-20 2015-02-10 한기영 소금채취장치
KR101746104B1 (ko) * 2017-02-01 2017-06-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소금밀대 견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883A (ko) * 2018-08-13 2020-02-2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소금밀대 견인장치
KR102132891B1 (ko) 2018-08-13 2020-07-1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소금밀대 견인장치
KR200488317Y1 (ko) * 2018-10-24 2019-01-1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815B1 (ko) 천일염 수거장치
KR101746104B1 (ko) 소금밀대 견인장치
KR102132891B1 (ko) 소금밀대 견인장치
KR100590852B1 (ko) 전선 권취장치
KR100928351B1 (ko)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CN206125355U (zh) 一种无人驾驶垃圾打捞船
KR101956241B1 (ko) 염전 밀대 견인 장치
CN109332061A (zh) 一种多分列式缆线涂装机器人
CN108922213A (zh) 一种交通指挥断电应急方法
CN214832645U (zh) 电磁驱动打桩机及自走式电磁驱动打桩机
CN109064767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交通信号灯
CN209815539U (zh) 一种副臂助力收放装置
JP3188742U (ja) 集材用の簡易設置型電動ウインチ
KR102426060B1 (ko) 통합형 소금수집적재장치
CN216235235U (zh) 一种退卷机的挡布装置
JP2007032229A (ja) 除雪機
JP3296747B2 (ja) ダム湖、貯水池等における浮遊物の収集装置
CN219526042U (zh) 钢轨吊运一体化小车
KR101952350B1 (ko) 염전용 소금 채집장치
KR102156787B1 (ko) 천일염 채집기
CN214286825U (zh) 一种桁车式刮泥桥系统
CN220165745U (zh) 一种钢丝卷搬运装置
CN212101726U (zh) 一种单卷筒垃圾吊结构
CN218522616U (zh) 多功能手推车施工装置
CN209456027U (zh) 一种具有降噪装置的地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