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167A - 소금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소금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167A
KR20100124167A KR1020090043278A KR20090043278A KR20100124167A KR 20100124167 A KR20100124167 A KR 20100124167A KR 1020090043278 A KR1020090043278 A KR 1020090043278A KR 20090043278 A KR20090043278 A KR 20090043278A KR 20100124167 A KR20100124167 A KR 2010012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receiving member
discharge
pip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149B1 (ko
Inventor
이율재
Original Assignee
신옥테크(주)
이율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옥테크(주), 이율재 filed Critical 신옥테크(주)
Priority to KR102009004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14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금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흡입관에 연결되어 흡입된 소금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와, 수용부재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소금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흡입부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소금을 탈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수 드럼을 구비한 탈수부와,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소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이송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이송 장치는 간수가 함유된 소금을 탈수작업을 통해서 간수를 제거한 후 소금 저장창고로 이송하므로 소금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소금, 염전, 채염, 이송장치

Description

소금 이송 장치{Salt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소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전의 결정지에서 채염된 소금을 소금 저장 창고에 이송시 소금을 탈수시키며 이송시키는 소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전은 태양과 풍력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증발 농축하는 소금을 생산하는 시설로서,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를 구비한다. 염전의 모든 시설은 방조제방과 육수 침입 방지용 내제방에 의하여 외수와 단절된다.
저수지에서는 바닷물을 가두어 바닷물을 제염원료로 확보하고, 증발지에서 햇볕과 바람으로 물을 증발시켜 해수를 농축시키며, 결정지는 증발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증발지에서 농축된 포화함수를 엷게 펴서 농축시키고, 소금을 결정석출시켜 채염한다. 바닷물은 저수지, 증발지와 결정지를 거쳐 소금을 석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지로부터 채염된 소금은 매일 채염한 소금 창고로 하역 보관한 후, 소금에 함유된 간수를 증발시켜 물기가 빠진 상태에서 포장 출고된다. 간수가 많이 함유된 소금은 쓰고 떫은 맛을 내기 때문에 오랜기간 소금을 건조시켜 간수를 제거한다.
여기서 결정지로부터 소금 저장창고까지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100m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결정지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농로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도보에 의한 외발 손수레나 바지개를 멘 체 소금 저장창고까지 운반하는 방식으로 소금을 이송하였다.
이렇게 작업자가 직접 결정지에서 소금을 수거하여 외발 손수레나 바지개에 담은 후 소금 저장창고까지 농로를 따라 소금을 이송하는 방식은 작업자의 노동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고 특허89-002102에서는 '천일염전에 있어서의 양수, 소금이송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천일염전에 있어서의 양수, 소금이송방법은 하나의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수조속의 바닷물을 양수하는 작업과 수획된 소금을 저장창고로 흡입식으로 자동 운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천일염전에 있어서의 양수, 소금이송방법은 결정지에서 간수가 다량 함유된 소금을 소금 저장 창고로 이송하여 야적하므로 소금의 건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염전의 결정지에서 소금 저장 창고로 간수가 함유된 소금을 이송시 소금을 탈수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소금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이송 장치는 소금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소금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수용부재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상기 소금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흡입부와,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소금을 탈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수 드럼을 구비한 탈수부와, 상기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상기 소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이송부를 구비한다.
상기 탈수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소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상기 소금을 탈수 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와, 상기 탈수된 소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타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 탈수드럼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금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슈트를 구비한 배출부와, 상기 탈수드럼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탈수드럼에 의해 상기 소금에서 제거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재와, 상기 탈수드럼의 일 측에서 상기 탈수드럼의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상기 탈수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탈수드럼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재는 흡입된 소금이나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깃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깃은 상기 수용부재의 상측에 삽입된 상기 흡기관을 통해 흡입되는 소금이 상기 흡입구의 종단에서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재의 상측면에 설치된 상기 흡입펌프의 펌핑관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된 흡기관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1가이드깃과, 상기 흡기관을 통해 상기 수용부재로 주입된 소금이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용부재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펌핑관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펌핑관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2가이드깃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이송 장치는 간수가 함유된 소금을 탈수작업을 통해서 간수를 제거한 후 소금 저장창고로 이송하므로 소금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금 이송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이송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금 이송 장치(100)는 흡입부(200), 탈수부(300)와 이송부(400)를 구비한다.
흡입부(200)는 염전의 결정지에서 소금(10)을 흡입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흡입관(210), 수용부재(220), 흡입펌프(230)와 배출관(240)을 구비한다.
흡입관(210)은 소금(10)을 흡입할 수 있도록 원통형 관의 형태로 형성 되어 있다. 흡입관(210)은 결정지에서 소금 저장창고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관(210)의 일측은 결정지에 위치하고, 타측은 후술되는 수용부재(220)에 연결되어 흡입펌프(230)에서 제공받은 흡입력으로 소금(10)을 수용부재(220)로 이송시킨다. 흡입관(210)의 소재는 지형의 영향을 받지않으며 야적된 소금(10)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고, 염분에 의한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재(220)는 밀폐된 원통형 드럼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흡입관(210)이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흡입펌프(230)가 연결되어 있다. 수용부재(220)의 하부는 수용부재(220)의 내부에 적재된 소금(10)이 후술되는 배출관(24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재(220)는 흡입관(210)을 통해 흡입되는 소금(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용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재(220)의 내부에는 흡입된 소금(10)이 흡입펌프(230)로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깃(221)을 더 구비한다.
가이드깃(221)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이드깃(221)은 제 1가이드깃(222)과 제 2가이드깃을 구비한다.
제 1가이드깃(222)은 일측은 수용부재(220)에 삽입된 흡기관(230)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타측은 수용부재(220)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흡기관(230)을 통해 흡입된 소금(10)이 상승하여 후술되는 흡입펌프(230)의 펌핑관(23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가이드깃(223)은 일측은 펌핑관(231)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수용부재(220)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용부재(220)의 내부로 주입된 소금(10)이 수용부재(220)의 하부에서 수용부재(220)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펌핑관(230)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및 제 2가이드깃(222,223)에 의해 소금(10)은 흡입펌프(230)로 유입되지 못하고, 공기만이 흡입펌프(230)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또한, 가이드깃(221)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3에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깃(224)은 수용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된 흡입펌프(230)의 펌핑관(231)에 인접하며, 펌핑관(231)과 동일한 높이 상에 일정한 높이 차이를 가지고 일렬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다.
흡입펌프(230)는 수용부재(22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한다. 결정지와 소금 저장 창고는 일반적으로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해 있으므로 100m 정도의 거리를 둔 소금(10)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펌프(230)는 충분한 흡입 용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입펌프(230)는 펌핑관(231)을 더 구비한다.
펌핑관(231)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된 원통형 관으로서, 일측은 흡입펌프(230)에 연결되며, 타측은 수용부재(231)에 연결된다. 펌핑관(231)은 흡입펌프(230)와 수용부재(220)를 연결해주어, 흡입펌프(230)가 설치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배출관(240)은 수용부재(220)의 하측면의 일측에 형성된 관으로서 수용부재(220)에 주입된 소금(10)을 탈수부(300)로 배출한다. 배출관(240)은 후술되는 탈수드럼(320)의 주입구(310)로 소금(10)을 배출시 탈수드럼(320)의 외부로 소금(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만큼 탈수드럼(3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관(240)은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241)를 구비한다.
탈수부(300)를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탈수부(300)는 배출관(240)을 통해 배출되는 소금(10)을 탈수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프레임(310), 탈수드럼(320), 배출부(330), 배수부재(340), 지지부재(350)와 구동부(360)를 구비한다.
탈수드럼(320)은 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수드럼(320)의 일측면은 배출관(240)을 통해 소금(10)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주입구(321)가 형성되어 있다.
탈수드럼(320)의 외주면은 탈수드럼(320)의 내부로 공급된 소금(10)을 탈수 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322)가 형성된 망체 형태로 되어 있다. 관통구(322)의 크기는 소금(10)을 제외한 간수(20)만 배출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는 다르게, 탈수드럼(320)은 외주면이 망체가 아니라,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미세한 관통구(322)가 형성된 원통드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탈수드럼(320)은 관통구(322)에 낀 소금(10)을 간섭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탈수드럼(320)의 상부에 회전하는 브러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탈수드럼(320)의 타측면은 탈수드럼(320)을 통해 탈수된 소금(10)을 탈수드럼(32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23)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323)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구동부(360)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재(32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324)는 구동부(36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탈수드럼(320)에 전달하며, 고정몸체(325)와 고정날개(326)를 구비한다.
고정몸체(325)는 배출구(323)에 삽입되며, 소금(10)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몸체(325)의 일측면은 후술되는 구동모터(361)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날개(326)는 고정몸체(325)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날개(326)의 말단은 탈수드럼(320)의 내면에 연결되어 탈수드럼(320)을 지지한다. 고정날개(326)의 크기는 소금(10)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별도의 고정부재(324)없이 구동부(360)는 폐쇄된 탈수드럼(320)의 타측면에 고정되며 배출구(323)는 탈 수드럼(320)의 타측면에 회전중심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부(330)는 배출구(323)를 통해 배출되는 소금(10)을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슈트(331)를 구비한다. 배출슈트(331)는 배출되는 소금(10)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배출구(323)에 근접한 거리에 설치되며, 탈수드럼(320)의 단면에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재(340)는 탈수드럼(3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탈수드럼(320)에 의해 소금(10)에서 제거되는 간수(20)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호퍼(341)와 배수관(341)을 구비한다.
배수호퍼(341)는 관통구(322)를 통해 배출되는 간수(20)를 수집할 수 있도록 탈수드럼(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탈수드럼(320)의 길이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342)은 배수호퍼(341)의 하면에 연결되어, 배수호퍼(341)를 통해 수집된 간수(20)를 탈수부(3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지지부재(350)는 탈수드럼(320)의 일측에서 탈수드럼(320)의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탈수드럼(3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롤러(351)를 구비한다.
지지롤러(351)는 프레임(31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탈수드럼(320)의 일측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는 다르게 지지부재(350)는 지지롤러(351)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구(323)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부재(324)를 주입구(321)의 내부에 설치하고, 고정부재(324)의 고정몸체(325)의 일측면을 프레임(310)에 고정된 필로블록에 연결하여, 탈수드럼(3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구동부(360)는 프레임(310)에 고정되며, 탈수드럼(320)을 회전구동하며, 구동모터(361)를 구비한다. 구동모터(361)는 고정부재(324)에 연결되어, 탈수드럼(32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한편, 구동모터(361)는 탈수드럼(320)의 내부의 소금(10)이 배출구(323)로 이송되면서 회전할 수 있를 정도의 회전력을 탈수드럼(32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400)는 탈수부(300)에 의해 탈수된 소금(10)을 소금저장창고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컨베이어(410)를 구비한다. 이송컨베이어(410)는 배출슈트(331)의 말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금(10)과 접촉되는 부분과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이송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정지에 채염된 소금(10)을 흡입관(210)을 통해 흡입부(200)의 수용부재(220)로 흡입시킨다. 수용부재(220)의 내부로 흡입된 소금(10)은 제 1및 2가이드깃(222,223)에 의해 펌핑관(231)으로 유입되는 일없이 수용부재(220)의 하부에 적재된다. 적재된 소금(10)은 수용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관(240)을 통해 탈수부(300)로 배출된다.
배출관(240)에 의해 배출된 소금(10)은 탈수드럼(320)의 주입구(321)를 통해 탈수드럼(320)의 내부로 주입된다. 탈수드럼(320)의 내부로 주입된 소금(10)은 회전하는 탈수드럼(320)에 의해 탈수된다. 또한, 탈수드럼(320)은 배출구(323)가 주입구(321)보다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수드럼(320)의 내부로 주입된 소금(10)은 탈수되면서 배출구(323)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323)를 통해 배출된 소금(10)은 배출구(323)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배출슈트(331)에 수집되어 이송부(400)로 배출된다. 이송부(400)로 배출된 소금(10)은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소금 저장 창고에 이송된다.
한편, 탈수드럼(320)에 의해 소금(10)에서 제거된 간수(20)는 탈수드럼(320)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호퍼(341)에 의해 수집되며, 배수호퍼(341)의 하면에 설치된 배수관(3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부(340)에 의해 수집된 간수(20)는 두부 제작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금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금 이송 장치의 수용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금 이송 장치의 수용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소금 이송 장치의 탈수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금
20: 간수
100: 소금 이송 장치
200: 흡입부
300: 탈수부
400: 이송부

Claims (4)

  1. 소금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소금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수용부재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상기 소금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흡입부와;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소금을 탈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탈수 드럼을 구비한 탈수부와;
    상기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상기 소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소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상기 소금을 탈수 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와, 상기 탈수된 소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타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 탈수드럼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금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슈트를 구비한 배출부와;
    상기 탈수드럼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탈수드럼에 의해 상기 소금에서 제거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재와;
    상기 탈수드럼의 일측에서 상기 탈수드럼의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상기 탈수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탈수드럼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흡입된 소금이나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깃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깃은 상기 수용부재의 상측에 삽입된 상기 흡기관을 통해 흡입되는 소금이 상기 흡기관의 종단에서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재의 상측면에 설치된 상기 흡입펌프의 펌핑관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된 흡기관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1가이드깃과;
    상기 흡기관을 통해 상기 수용부재로 주입된 소금이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용부재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펌핑관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펌핑관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 2가이드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이송장치.
KR1020090043278A 2009-05-18 2009-05-18 소금 이송 장치 KR10104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78A KR101047149B1 (ko) 2009-05-18 2009-05-18 소금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78A KR101047149B1 (ko) 2009-05-18 2009-05-18 소금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167A true KR20100124167A (ko) 2010-11-26
KR101047149B1 KR101047149B1 (ko) 2011-07-06

Family

ID=4340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278A KR101047149B1 (ko) 2009-05-18 2009-05-18 소금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55B1 (ko) * 2014-11-20 2015-02-10 한기영 소금채취장치
KR20220003710A (ko) * 2020-07-02 2022-01-11 신영구 소금 채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60B1 (ko) * 2006-04-20 2007-08-29 김재수 채염 흡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55B1 (ko) * 2014-11-20 2015-02-10 한기영 소금채취장치
KR20220003710A (ko) * 2020-07-02 2022-01-11 신영구 소금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149B1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65B1 (ko) 녹조 제거장치
US4704047A (en) Land drainage system
WO2014205544A1 (en) System for harvesting seaweed and generating ethanol therefrom
KR101047149B1 (ko) 소금 이송 장치
KR101014825B1 (ko) 하천 수질정화용 인공섬
KR101240620B1 (ko) 채염장치
KR101289402B1 (ko) 거품 제거장치
KR100731837B1 (ko) 해수 펌핑장치
KR100753260B1 (ko) 채염 흡입 장치
CN218789302U (zh) 一种重楼种植防涝排水机构
CN111139887A (zh) 一种黑臭河道用一体化清淤外运装置
CN215049594U (zh) 一种便于清洗的畜禽粪污处理装置
CN106797908B (zh) 一种汽车尾气余热利用高密度活鱼运输装置
CN108548356A (zh) 海鲜运输的立式保鲜冷藏装置
CN209939017U (zh) 一种有机肥脱水装袋一体化装置
CN215543226U (zh) 药材清洗烘干一体机
CN112222120A (zh) 污泥清除装置及方法
CN219429961U (zh) 蒸糠机出仓装置
CN112243628B (zh) 一种预防莲藕病害藕塘底淤泥处理方法
CN215105842U (zh) 一种乔木种植自动抽排水系统
CN216493181U (zh) 一种冷冻肉解冻自动下料装置
CN212164265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粮食储存仓
CN215453871U (zh) 一种提高盐水利用率的盐碱地改良系统
CN214386747U (zh) 一种带除湿功能的除氧储物柜
CN215381387U (zh) 一种糖姜原料腌制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