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765B1 - 녹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녹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765B1
KR101575765B1 KR1020150048663A KR20150048663A KR101575765B1 KR 101575765 B1 KR101575765 B1 KR 101575765B1 KR 1020150048663 A KR1020150048663 A KR 1020150048663A KR 20150048663 A KR20150048663 A KR 20150048663A KR 101575765 B1 KR101575765 B1 KR 10157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mesh
screen
green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모
Original Assignee
청호환경산업(주)
최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환경산업(주), 최영모 filed Critical 청호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4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765B1/ko
Priority to US14/830,697 priority patent/US201602880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3Rotary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의 전력소모로 물속에 부유하는 녹조를 지속적으로 제거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녹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는, 일부가 물에 침수되어 회전에 의해 녹조를 건져 올리며, 소정의 메쉬(mesh)가 적용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2세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세척부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1수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세척부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2수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녹조가 자중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폭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 끝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거부 및 제2수거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어 녹조가 적재되며 녹조와 물이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그물망 구조의 금속재질 제1필터유닛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발산하며 열전도에 의해 적재된 녹조를 건조시키는 히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녹조 제거장치{REMOVAL APPARATUS FOR GREEN ALGAE}
본 발명은 녹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물속에 부유하는 녹조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녹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녹조는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여 물색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으로, 주로 남조류가 원인이 되어 강이나 하천 및 호소 등에 발생한다.
남조류는 부영양화돼 수질이 나쁜 호수에서 여름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으로, 여름에 대량 번식해 수면에 뜨면 녹색을 띠므로 녹조(綠潮)현상이라 부르고 있다.
이와 대비하여, 편모조류와 규조류에 의해 바다가 붉게 물드는 현상을 적조(赤潮, red tide)라 부른다.
녹조가 번식하면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 적조와 마찬가지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고 물에서 썩는 냄새가 나 어업에 피해를 준다. 또한 독소를 가진 남조류가 많은 녹색의 호수 물을 마시면 간에 손상이 가거나 구토, 복통이 일어나며 많이 마시면 죽을 수도 있다.
그리고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먹이사슬구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녹조는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유해적조(HAB : harmful algal-bloom : 어패류의 식중독을 일으키는 패독 현상을 포함시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녹조현상은 이미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어 왔고, 녹조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황토, 약품 등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일시적으로 녹조를 제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녹조현상이 더욱 심해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수원 오염, 어류 폐사, 악취발생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약품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공지 기술로는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등록번호 10-1224170)"이 있다.
하지만, 약품을 이용한 제거방법은 지속적으로 약품을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임시적인 방편에 불가하며,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 또한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 구입 비용이 매우 높아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가 아닌 깊이가 깊은 강이나 하천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기에는 매우 많은 전력이 소모되므로 유지비용이 매우 높아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224170 (2013. 01. 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소한의 전력소모로 물속에 부유하는 녹조를 지속적으로 제거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녹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는, 일부가 물에 침수되어 회전에 의해 녹조를 건져 올리며, 소정의 메쉬(mesh)가 적용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2세척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세척부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1수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세척부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2수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녹조가 자중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폭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 끝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거부 및 제2수거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어 녹조가 적재되며 녹조와 물이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그물망 구조의 금속재질 제1필터유닛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발산하며 열전도에 의해 적재된 녹조를 건조시키는 히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250~400메쉬(mesh)가 적용되어 축회전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부가 물에 침수되는 메쉬수단과, 상기 메쉬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는 상기 메쉬수단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쉬수단은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와 별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서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회전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유닛에 양단부가 걸려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250~400메쉬(mesh)가 적용되어 일부가 물에 침수되는 메쉬수단과,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메쉬수단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쉬수단은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와 별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는, 상기 스크린부의 외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며 녹조를 제거하는 브러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하부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그물망 구조의 제2필터유닛이 구비된 복수 개의 측면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측면배출구는 상기 필터유닛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세척부에는 복수 개의 분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홀을 통해 에어가 교번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에 침수된 메쉬수단의 단부측에는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수류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류발생부는, 상기 메쉬수단의 끝단부를 물과 격리시키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이 배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된 격리케이스와, 상기 인출구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물속에 부유하는 녹조를 물 밖으로 건져 올린 후 제1세척부 및 제2세척부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은 태양전지유닛을 이용하여 히터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최소한의 전력소모만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수거된 녹조를 히터유닛을 이용해 건조시킴으로써 적재되는 녹조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적재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므로 강과 하천 등에 즉시 적용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스크린부의 외측과 내측에서 제1세척부 및 제2세척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녹조 제거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저수지와 같은 물의 흐름이 적은 곳에 적용시 수류발생부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녹조 제거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인 드럼타입(a)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컨베이어 타입(b)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녹조 제거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는, 스크린부(100), 제1세척부(200), 제2세척부(300),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를 포함하며, 물 위에 위치하는 부유수단(10)에 구비된다.
요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구비되는 부유수단(10)은 육지에 고정된 시설물, 물 위에 떠있는 배 등 녹조 제거장치가 물 위에 위치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스크린부(100)는, 소정의 메쉬(Mesh : 그물의 그물코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소정의 면적 안에 있는 구멍수를 의미한다)가 적용되어 일부가 물에 잠겨져 있는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물속에 부유하는 녹조를 물 밖으로 건져 올리는 것으로, 스크린부(100)의 회전시 물속에 부유하던 녹조가 스크린부(100)의 표면에 부착되어 물 밖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부(100)의 표면에는 스크린부(100)의 메쉬와 다른 메쉬를 갖는 보조스크린(미도시)을 2중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보조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녹조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부착된 녹조가 다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스크린부(100)의 내측에는 제1세척부(200)가 위치하며, 제1세척부(200)는 스크린부(1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스크린부(100)에 부착되어 물 밖으로 올라온 녹조를 스크린부(100)로부터 분리시킨다.
녹조는 입자가 매우 작고 점성을 띄기 때문에 제1세척부(200)의 에어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스크린부(100)의 구멍에 끼어 일부가 남게 되며, 이렇게 남아 있는 녹조를 2차로 제거하기 위해 스크린부(100)의 외측에는 제2세척부(300)가 위치한다.
제2세척부(300)는 스크린부(1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제1세척부(20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녹조를 2차로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제1세척부(200)와는 반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이러한 제1세척부(200)와 제2세척부(300)는 서로 마주보며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세척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떨어져나온 녹조를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스크린부(10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크린부(100)의 외측에는 제1세척부(200)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1수거부(500)가 구비되며, 스크린부(100)의 내측에는 제2세척부(300)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2수거부(600)가 구비된다.
에어에 의해 제거된 녹조는 미량의 물과 함께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에 적재되며, 녹조가 일정 이상 적재되면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를 분리하여 녹조를 수거하거나, 후술하는 메쉬수단(120)만 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스크린부(100)는 크게 도 1에 도시된 드럼타입(a)과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타입(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드럼타입(a)의 스크린부(100)는, 구동수단(140)과 연결되는 회전축(130)에 의해 축회전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부가 물에 침수되는 메쉬수단(120)과, 메쉬수단(12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0)을 포함하며, 메쉬수단(120)의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에는 제1세척부(200) 및 제2수거부(600)가 위치한다.
제1세척부(200) 및 제2수거부(600)는 메쉬수단(120)의 내측에 위치하지만 메쉬수단(120)의 회전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세척부(200)는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고, 제2수거부(600)는 동일한 위치에서 제2세척부(300)에 의해 제거된 녹조를 수거하며, 제2세척부(300)와 제1수거부(500) 또한 위치가 고정된다.
녹조를 이루는 플랑크톤은 수㎛ ~ 수mm의 크기를 가지고 점성을 띄는 매우 작은 생물이므로 메쉬수단(120)은 250~400메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수단(120)이 250메쉬 이하일 경우 스크린부(10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게 되어 메쉬수단(120)에 부착되는 녹조의 양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400메쉬 이상일 경우 녹조의 점성으로 인해 메쉬수단(120)의 구멍이 쉽게 막혀 녹조가 잘 붙지 않게 된다.
구동수단(140)은 메쉬수단(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모터뿐만 아니라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 타입(b)의 스크린부(100)는, 서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회전유닛(150)과, 복수 개의 회전유닛(150)에 양단부가 걸려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250~400메쉬가 적용되어 일부가 물에 침수되는 메쉬수단(120)과, 회전유닛(15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0)을 포함한다.
상술한 드럼타입(a)과 동일하게 제1세척부(200) 및 제2수거부(600)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메쉬수단(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수단(120)은 제1세척부(200) 및 제2수거부(600)와 별개로 회전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타입의 스크린부(1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간이 넓은 경우에 유리하며, 복수 개의 회전유닛(150)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메쉬수단(120)을 직선으로 평행하게 구비하거나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한 후 물속에 침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이 저수지와 같은 곳에 적용된다면 메쉬수단(120)이 침수되어 있는 물이 흐르지 않고 고여있기 때문에 메쉬수단(120)이 지속적으로 회전한다 하여도 녹조 제거효과를 일정 이상으로 높이기 어렵다.
따라서, 물에 침수된 메쉬수단(120)의 단부측에는 물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수류발생부(9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류발생부(900)는, 메쉬수단(120)의 단부측에 외부를 감싸며 구비되어 물과 메쉬수단(120)을 격리시키되, 물이 유입되는 인입구(911)와 물이 배출되는 인출구(912)가 형성된 격리케이스(910)와, 인출구(912)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920)을 포함한다.
흡입수단(920)은 격리케이스(910)의 외부에서 인출구(912)와 연결되는 흡입관(921)과, 흡입관(921)의 끝단에 구비되는 흡입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흡입펌프(미도시)의 작동시 흡입관(921) 및 인출구(912)를 통해 격리케이스(910) 내부의 물이 배출되며, 이에 따라 격리케이스(910) 외부의 물이 인입구(911)를 통해 지속적으로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는 메쉬수단(120)에 부착되어 물 밖으로 나온 녹조가 자중에 의해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부(100)의 표면, 즉 메쉬수단(120)의 표면에는 녹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110)가 스크린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부(110)는 단순히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출된 지지부(111)와 측면부(112)가 서로 연결되어 마주보는 지지부(111) 및 측면부(11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지지부(111)와 측면부(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녹조가 유입되어 부착된 상태로 물 밖으로 나오게 되며, 지지부(111)와 측면부(112)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녹조가 자중에 의해 다시 물속으로 떨어지지 못하게 된다.
에어를 분사하는 제1세척부(200) 및 제2세척부(30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분사홀(210)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분사홀(210)은 오와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홀(210)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별도의 콤프레셔(미도시)를 통해 공급받지만 지속적으로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압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순간적인 분사압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분사홀(210)을 통해 에어가 교번하여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세척부(200) 및 제2세척부(300)로부터 제거된 녹조가 수거되는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는 하우징(510) 및 제1필터유닛(530)을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제1수거부(500)와 제2수거부(600)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510)의 상측에는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로부터 제거된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구(520)가 형성되고, 중심부 측에는 유입구(520)를 통해 유입된 녹조가 적재되는 그물망 구조의 제1필터유닛(530)이 구비된다.
제1필터유닛(530)은 녹조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만 통과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며,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250~400메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510)의 하측에는 제1필터유닛(530)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하부배출구(540)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그물망 구조의 제2필터유닛(560)이 구비된 복수 개의 측면배출구(550)가 형성된다. 제2필터유닛(560) 또한 250~400메쉬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된 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배출구(550)는 필터유닛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필터유닛(530)에 녹조가 지속적으로 적재되면 제1필터유닛(5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녹조와 함께 유입된 물이 하우징(510) 내에서 차오르게 된다. 이렇게 제1필터유닛(530)의 상측에 고이는 물은 제2필터유닛(560)을 통과하여 측면배출구(550)를 통해 배출되며, 하부배출구(540) 및 측면배출구(550)를 통해 배출된 물은 녹조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하우징(510)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배출관(590)을 통해 본 발명이 위치하는 강, 하천 등에 유입된다.
이렇듯, 하우징(510) 내부에 유입된 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배출구(550)를 하우징(5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에 유입된 녹조는 물이 배출된 후에도 일정량의 물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적재되는 양이 증가할수록 점성 및 부피가 상당히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1수거부(500) 및 제2수거부(600)에는 적재된 녹조를 건조시키는 히터유닛(5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조를 건조시키는 히터유닛(570)은 따듯한 바람을 분사하는 열풍장치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커서 적용시 유지비용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열선과 같은 발열체를 이용하여 적재된 녹조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510)의 내측에 서로 직교하는 가이드프레임(580)을 구비한 후 복수 개의 제1필터유닛(530)을 장착하였으며, 가이드프레임(580) 내측에 히터유닛(570)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프레임(580)과 제1필터유닛(530)에 열을 전달하여 적재된 녹조가 건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제1필터유닛(53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프레임(580) 자체를 히터유닛(570)을 적용하여 녹조를 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는 강, 하천 등에 적용 후 지속적으로 작동하여도 전력소모가 크지 않도록 히터유닛(57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유닛(7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수단(140) 또한 태양전지유닛(700)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지만, 태양전지유닛(700)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이 크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적은 히터유닛(570)에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고, 여유가 있다면 구동수단(140) 또한 생산된 전력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유닛(700)을 스크린부(100)의 상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비와 눈 등으로부터 스크린부(100)를 보호하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제거장치는 스크린부(100)의 외면과 접촉되어 녹초를 제거하는 브러쉬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부(400)는 스크린부(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스크린부(1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크린부(100)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스크린부(10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녹조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브러쉬부(400)는 녹조를 제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스크린부(100)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는 녹조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함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세척부(200)와 제2세척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제2세척부(300)의 세척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과 직접 녹조를 제거하는 역할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세척부(200)보다 앞에 위치하거나 제2세척부(30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 : 부유수단 100 : 스크린부
110 : 걸림부 120 : 메쉬수단
130 : 회전축 140 : 구동수단
150 : 회전유닛 200 : 제1세척부
300 : 제2세척부 400 : 브러쉬부
500 : 제1수거부 600 : 제2수거부
700 : 태양전지유닛 900 : 수류발생부

Claims (10)

  1. 일부가 물에 침수되어 회전에 의해 녹조를 건져 올리며, 소정의 메쉬(mesh)가 적용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1세척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2세척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세척부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1수거부;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세척부에 의해 제거된 녹조가 적재되는 제2수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녹조가 자중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표면에 폭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 끝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거부 및 제2수거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어 녹조가 적재되며 녹조와 물이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그물망 구조의 금속재질 제1필터유닛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발산하며 열전도에 의해 적재된 녹조를 건조시키는 히터유닛을 포함하는, 녹조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250~400메쉬(mesh)가 적용되어 축회전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부가 물에 침수되는 메쉬수단과,
    상기 메쉬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는 상기 메쉬수단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쉬수단은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와 별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서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복수 개의 회전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유닛에 양단부가 걸려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250~400메쉬(mesh)가 적용되어 일부가 물에 침수되는 메쉬수단과,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메쉬수단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쉬수단은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수거부와 별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제거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는, 상기 스크린부의 외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며 녹조를 제거하는 브러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하부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그물망 구조의 제2필터유닛이 구비된 복수 개의 측면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측면배출구는 상기 제1필터유닛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제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녹조 제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부 및 제2세척부에는 복수 개의 분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홀을 통해 에어가 교번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제거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물에 침수된 메쉬수단의 단부측에는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수류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류발생부는,
    상기 메쉬수단의 끝단부를 물과 격리시키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이 배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된 격리케이스와,
    상기 인출구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녹조 제거장치.
KR1020150048663A 2015-04-06 2015-04-06 녹조 제거장치 KR10157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63A KR101575765B1 (ko) 2015-04-06 2015-04-06 녹조 제거장치
US14/830,697 US20160288027A1 (en) 2015-04-06 2015-08-19 Removal apparatus for green alg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63A KR101575765B1 (ko) 2015-04-06 2015-04-06 녹조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765B1 true KR101575765B1 (ko) 2015-12-21

Family

ID=5508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663A KR101575765B1 (ko) 2015-04-06 2015-04-06 녹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88027A1 (ko)
KR (1) KR10157576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023B1 (ko) * 2016-11-07 2017-05-22 이에스피 주식회사 믹서형 조류제거장치
KR101787697B1 (ko) 2017-02-06 2017-11-15 대호산업 주식회사 녹조 제거 장치
KR20200049994A (ko) * 2018-10-30 2020-05-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WO2020242186A1 (ko) * 2019-05-27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20200136539A (ko) * 2019-05-27 2020-1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CN112620220A (zh) * 2020-12-17 2021-04-09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紫菜网帘定生绿藻去除装置
KR20210123504A (ko) * 2020-04-03 2021-10-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호소의 조류스컴을 건조하여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CN114271207A (zh) * 2022-01-04 2022-04-05 贾金煜 一种畜牧用自动化供水装置
CN114558382A (zh) * 2022-04-06 2022-05-31 上海清宁环境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排污渠道漂浮物、悬浮物及胶状污泥在线清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7948B2 (ja) * 2013-12-09 2017-01-25 カウンスィル オブ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大規模商業適用のための効率的でコスト効果の高い海藻収穫用装置
EP3761777A4 (en) * 2018-03-07 2021-12-15 Hinoman Ltd AQUATIC PLANT HARVESTING SYSTEM AND PROCESS
CN111481983A (zh) * 2020-04-17 2020-08-04 何国容 一种用于河道污水生态治理设备
CN111773778B (zh) * 2020-07-14 2021-06-08 台州黄岩北控水务污水净化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中打捞悬浮物的装置
CN113106944A (zh) * 2021-04-25 2021-07-13 江苏省无锡环境监测中心 一种水下蓝藻快速收集设备
CN113856272B (zh) * 2021-11-05 2022-09-16 南京清中环境技术有限公司 集成式蓝藻藻水鳃式过滤器
CN114541351A (zh) * 2022-02-28 2022-05-27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一种移动式藻类收集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107A (ja) * 1993-10-08 1995-04-25 Hitachi Kiden Kogyo Ltd 濾体移動式除塵機
JP2006334523A (ja) * 2005-06-02 2006-12-1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濁水の固液分離装置
KR100967035B1 (ko) * 2003-04-08 2010-06-30 주식회사 포스코 부상 슬러지 침전장치
KR20110120811A (ko) * 2010-11-15 2011-11-04 박노경 기름제거장치
KR101224170B1 (ko) 2012-04-12 2013-01-29 (주)탑스엔지니어링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84403A (en) * 1926-10-28 1928-01-30 Francis Whitwell Brackett Improvements in rotary filters or strainers
US4322294A (en) * 1979-08-01 1982-03-30 Price Larry D Apparatus for removing oil and debris from water
US5106492A (en) * 1990-12-06 1992-04-21 Distinti John A Solar powered swimming pool skimmer
US6328165B1 (en) * 1995-06-13 2001-12-11 International Aquaculture Technologies Marine harvesting methods and apparatus
AUPO389796A0 (en) * 1996-11-29 1996-12-19 Techsearch Incorporated Filter with counter flow clearing
US6270669B1 (en) * 1999-11-09 2001-08-07 Tod Anthony Bauer Rotary self-cleaning drum strainer
US7670482B2 (en) * 2006-03-31 2010-03-02 Wietham Robert J Self-cleaning screen with check valve for use in shallow water pumping
ITMI20071789A1 (it) * 2007-09-17 2009-03-18 Losma S P A Macchina filtrante autopulente con filtro a tamburo rotante per liquidi contaminati.
US7958705B1 (en) * 2008-05-20 2011-06-14 Bourque John R Waterborne vegetation harvesting apparatus
US20100147781A1 (en) * 2008-12-15 2010-06-17 Desert Lake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extracting material from liquid and methods therefor
US8652324B2 (en) * 2010-03-25 2014-02-18 Robert J. Wietharn Self-cleaning screen assembly for filtering irrigation water
US20150083670A1 (en) * 2013-09-25 2015-03-26 Doug Jackson Rotating aqueous harves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107A (ja) * 1993-10-08 1995-04-25 Hitachi Kiden Kogyo Ltd 濾体移動式除塵機
KR100967035B1 (ko) * 2003-04-08 2010-06-30 주식회사 포스코 부상 슬러지 침전장치
JP2006334523A (ja) * 2005-06-02 2006-12-1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濁水の固液分離装置
KR20110120811A (ko) * 2010-11-15 2011-11-04 박노경 기름제거장치
KR101224170B1 (ko) 2012-04-12 2013-01-29 (주)탑스엔지니어링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023B1 (ko) * 2016-11-07 2017-05-22 이에스피 주식회사 믹서형 조류제거장치
KR101787697B1 (ko) 2017-02-06 2017-11-15 대호산업 주식회사 녹조 제거 장치
KR20200049994A (ko) * 2018-10-30 2020-05-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KR102212691B1 (ko) * 2018-10-30 2021-02-0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WO2020242186A1 (ko) * 2019-05-27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20200136539A (ko) * 2019-05-27 2020-1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102289588B1 (ko) * 2019-05-27 2021-08-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102506918B1 (ko) * 2020-04-03 2023-03-0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호소의 조류스컴을 건조하여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KR20210123504A (ko) * 2020-04-03 2021-10-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호소의 조류스컴을 건조하여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CN112620220A (zh) * 2020-12-17 2021-04-09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紫菜网帘定生绿藻去除装置
CN112620220B (zh) * 2020-12-17 2022-04-01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紫菜网帘定生绿藻去除装置
CN114271207A (zh) * 2022-01-04 2022-04-05 贾金煜 一种畜牧用自动化供水装置
CN114558382A (zh) * 2022-04-06 2022-05-31 上海清宁环境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排污渠道漂浮物、悬浮物及胶状污泥在线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8027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65B1 (ko) 녹조 제거장치
KR10129531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US9943786B2 (en) Screen intake cleaning system using variable flow of incompressible liquid
KR101113975B1 (ko) 조류 제거 선박
KR20140058139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0932661B1 (ko) 신도시 생태공원 인공수로 물 순환시스템
CN103755085B (zh) 河道型水库支流库湾水华消除及藻源净化装置及方法
CN206380428U (zh) 一种园林排水循环利用装置
KR100917400B1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CN207582224U (zh) 一种用于海绵城市的蓄水装置
CN110352752A (zh) 智能花房
CN212024920U (zh) 一种环保型人工湿地系统
KR102226355B1 (ko)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CN211509946U (zh) 一种园林绿化用循环节水式灌溉设备
KR101359437B1 (ko) 역세척 정화블럭이 구비된 자연친화적인 생태연못조성
KR100801881B1 (ko)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CN209768333U (zh) 一种用于整治环境污染的土壤修复结构
CN206521348U (zh) 一种循环水过滤器
CN207726944U (zh) 一种新型城市污泥蚯蚓堆制处理设备
RU2618091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осушительно-увлажн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в условия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олива дождевальной установкой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ми стоками
CN213368560U (zh) 一种农业种植用稻种浸泡装置
CN115506447B (zh) 一种雨水收集装置
CN216874301U (zh) 一种新农村园林景观设计用水循环处理装置
CN220486356U (zh) 一种水土流失防治装置
CN218862952U (zh) 一种城市水体景观用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