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139A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139A
KR20140058139A KR1020120124803A KR20120124803A KR20140058139A KR 20140058139 A KR20140058139 A KR 20140058139A KR 1020120124803 A KR1020120124803 A KR 1020120124803A KR 20120124803 A KR20120124803 A KR 20120124803A KR 20140058139 A KR20140058139 A KR 20140058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blade
filtratio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985B1 (ko
Inventor
윤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그너스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그너스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그너스파워
Priority to KR102012012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985B1/ko
Priority to PCT/KR2012/009954 priority patent/WO2014073733A1/ko
Priority to US13/705,405 priority patent/US20140124432A1/en
Publication of KR2014005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8Power supply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
    • B01D2201/583Power supply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fluid circulating in the filtering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등의 원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천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하우징 내부에 설치 구비하되 상기 여과필터의 외측으로는 유입되는 원천수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원천수가 상기 여과필터을 통과할 때 그 표면에 필터링되면서 묻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이를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천수 공급 시 이에 함유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a strainer}
본 발명은 지하수 등의 원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천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하우징 내부에 설치 구비하되 상기 여과필터의 외측으로는 유입되는 원천수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원천수가 상기 여과필터을 통과할 때 그 표면에 필터링되면서 묻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이를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천수 공급 시 이에 함유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산업화 및 인구증가로 인해 물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심한 가뭄에 따른 수자원 고갈과 일부지역의 극심한 수질오염 등으로 인하여 농업용 관개용수 부족사태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제한급수를 시행하는 등 공공수역의 물 부족현상을 탈피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일부지역에서는 농업용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수맥 등을 찾아 관정(灌井) 공사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관정공사에 의해 얻어지는 관개용수는 원예하우스, 조경, 과수재배 농원, 화훼 농원 등 농작물 재배 목적으로 공급되는데, 용수에는 다량의 이물질이 협작물 등과 함께 섞여 있는 관계로 이를 직접 상기와 같은 농작물에 공급하지 않고 대부분 여과장치를 통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여과장치의 예로서는 철망, 타공판, 슬릿판(slit plate), 스크린(screen) 등을 장착하는 사이크론 방식과, 원심분리방식, 필터방식 등이 있다.
상기 여과장치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여과를 위한 스크린, 필터, 다공판 등이 협착물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오염되어 여과기능을 수행할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필터, 스크린, 다공판 등과 같은 여과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여과부재를 털어버리는 방식, 긁어내는 방식, 역세하는 방식 등이 있다.
한편,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필터의 이물질 제거작업에 대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여과필터를 분해하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4843호에는 '농업용 급수 여과기'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상기 '농업용 급수 여과기'는 여과기 통체와 뚜껑체를 밴드로 결합하고 통체의 상부와 전방에 급수 유입관과 배출관이 관접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통체의 하부 측벽부에 경사융출부를 설치하여 내부에 오물 수집실을 설치하고 상기 오물 수집실의 전방에 오물 배출관을 설치한 구성을 가진다.
최근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기 위해2지하수를 여과할 때 와류를 발생시켜 이물을 제거하는 '농업용 선회식 급수여과장치'가 실용신안 등록 제262908호에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여과 장치는 원수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처리수가 필터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제2001-46816호에는 유체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여과장치는 스크린을 승강시키면서 스크린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의 용기의 하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기술적 구성이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여과장치는 스크린을 승강시켜 이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체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다. 특히, 필터의 승강시 필터와 외주면과 용기 사이에 이물질이 들러 붙어 고착되는 경향이 있다.
KR 20-0104843 (등록번호) 1997.04.15. KR 20-0262908 (등록번호) 2002.01.18. KR 20-0326890 (등록번호) 2003.09.04.
상기와 같은 농업용 급수 여과기는 필터에서 걸러져 오물 수집실에 적층된 고형의 이물질이 수압에 의해서 오물 배출관을 통해 배출은 되나, 상기 오물 배출관이 물의 유출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확실한 이물질 제거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농업용 선회식 급수여과장치는 여과장치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처리수가 일정한 유속을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며 유지관리 및 보수가 어렵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과필터의 외측으로 유입되는 원천수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블레이드를 설치하고, 그 하부측에 고압으로 분사되는 노즐의 분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치차와, 착탈식 회동축을 이용하여 회전블레이드와회전치차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원천수가 유입되는 초기에는 여과필터의 이물질을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떨어뜨리도록 하고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력이 약해질 경우 상기 회전치차와 상기 수동식 회전수단을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여과필터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장치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인 여과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를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필터에 구비된 회전블레이드의 두께를 조절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여과필터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이 하부측으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천수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으로는 이물질이 함유된 원천수가 공급되는 원천수공급관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원천수가 여과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정화수배출관이 연결 설치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측에 설치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는 제거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수배출관(140)이 연결 설치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상부측으로는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유입되어 상기 정화수배출관과 연통되는 상부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으로는 제거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가 저장되어 상기 혼합수배출관과 연통되는 하부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여과필터, 및 유입되는 원천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여과필터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상기 여과필터의 외주면에 설치 구비되는 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여과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여과필터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여과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여과필터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어 유체의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여과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를 이용하여 여과필터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여과필터의 효율이 향상되어 혼합수의 배출간격이 커지게 됨으로써 원천수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구비된 회전블레이드가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요부가 분리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수동식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구비된 수동식 회전수단이 착탈되는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면으로는 관정 등을 통해 지하로부터 펌핑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지하수(이하 원천수라고 함)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원천수공급관(110)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원천수가 여과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수배출관(120)이 연결 설치되는 상부하우징(130)과,
상기 상부하우징(130)의 하부측에 설치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는 제거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수배출관(140)이 연결 설치되는 하부하우징(150)과,
상기 상부하우징(130)과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상부측으로는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유입되어 상기 정화수배출관(120)과 연통되는 상부공간부(160)가 형성되고, 하부측으로는 제거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가 저장되어 상기 혼합수배출관(140)과 연통되는 하부공간부(170)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여과필터(180)와,
상기 여과필터(18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원천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여과필터(180)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회전블레이드(190), 및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와 연결되고 분사노즐(200)의 분사력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과필터(180)의 하부측에 구비된 회전치차(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상기 원천수공급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원천수의 유입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의 일측면이 상기 여과필터(180)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천수공급관(110)을 통해 원천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에 의해 자동으로 원천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필터(180)의 하부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회전블레이드(190)를 그 단부에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연결체(191)가 회동축(19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에 외력(원천수의 공급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회동축(192)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연결체(191)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상기 여과필터(18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필터(180)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떨어뜨려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연결체(191)의 하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200)의 분사력에 의해 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상의 상기 회전치차(210)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치차(210)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블레이드연결체(191)의 하부면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그 원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단차(21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00)은 물저장부(미도시)로부터 물을 펌핑하는 분사펌프(201)와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펌프(201)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200)로부터 물이 분사되면 그 분사력이 상기 회전치차(210)에 구비된 상기 단차(211)에 가해지면서 상기 상기 회전치차(210)가 상기 회동축(19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치차(210)는 상기 블레이드연결체(191)와 고정되어 있어 이들이 항상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축(192)이 상기 여과필터(180)의 하부 중심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또 상기 회동축(192)은 상기 회전치차(210)와 상기 블레이드연결체(191)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는 유입되는 압력을 최대한도로 받을 수 있도록 굴곡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여과필터(180)와의 접촉 설치되는 각도(α)도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수압을 받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천수공급관(110)은 유입되는 원천수의 압력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에 직접 가압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원천수공급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원천수가 상기 여과필터(180)의 측면으로 유입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 와류에 의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천수공급관(110)에는 원천수를 유입시켜 주는 원천수공급밸브(111)가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정화수배출관(120)에는 이물질이 걸러진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공급밸브(1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수배출관(140)에는 이물질과 혼합되는 혼합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혼합수배출밸브(14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거, 상기 혼합수배출관(140)은 상기 하부하우징(150)의 측면이나 바닥면 어느 곳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30)과 상기 하부하우징(150)에는 그 내부의 유체압력을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의 차이 값에 따라 상기 혼합수배출관(140)을 개폐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센서의 구성은 제어부에 의해 양측의 압력값의 차이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부져를 울리게 한다든지 또는 자동으로 상기 혼합수배출관(140)에 구비된 상기 혼합수배출관(141)을 개방시키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회전되면서 유입되는 원천수의 압력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의 상부측과 하부측이 다르게 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여과필터(180)의 상부측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하부측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와 상기 회전치차(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과필터(180)에 여과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운 경우, (즉, 상기 하부하우징(150)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공간부(170)의 혼합수에 떨어진 이물질이 많이 함유된 경우와 상기 여과필터(180)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많은 경우를 포함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30)의 상측으로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와 상기 회전치차(210)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회전수단(220)을 더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동식 회전수단(220)은 상기 여과필터(18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축(192)에 그 하단부가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된 중심회동축(221)과, 중심회동축(22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핸들(2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92)에는 상기 중심회동축(22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축구멍(192a)이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192a)의 내측 하단부에는 암스프라인(일명 보스라고도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회동축(221)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구멍(192a)에 삽설되는 스플라인(splin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핸들(222)의 중심부에는 상기 중심회동축(221)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이를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레버(22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223)를 일측으로 밀어주면 상기 중심회동축(221)의 하단부가 상기 축구멍(192a)에 삽설되어 상기 회동축(192)과 상기 중심회동축(221)이 고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작동핸들(222)을 돌려주게 되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와 상기 회전치차(210)가 강제적으로 회전할 수가 있게 된다.(도 7a 참조)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223)를 상기와 반대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중심회동축(221)의 하단부가 상기 축구멍(192a)에서 빠져나와 상기 회동축(192)과 상기 중심회동축(221)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도 7b 참조)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223)의 연결구조는 도 7b와 같이 다수의 슬릿홈을 둘수도 있고,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공지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원천수공급밸브(111)와, 상기 정화수공급밸브(121), 상기 혼합수배출밸브(141), 상기 분사펌프(201), 상기 압력센서 등을 연결하여, 이들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당해 분야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그 세부 연결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100)의 작동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원천수공급밸브(111)를 열어 준다.
그러면, 상기 원천수공급관(110)을 통해 이물질이 함유된 원천수가 상기 여과필터(180)의 측면을 따라 유입되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190)를 밀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상기 회동축(19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의 측면부가 상기 여과필터(180)의 외주면을 긁어주게 된다.
이때 원천수가 여과되면서 상기 여과필터(180)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떨어자게 된다.
이와 동시에 원천수는 상기 여과필터(180)를 통해 여과되면서 상기 상부하우징(1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상부공간부(160)로 공급되고 이어 상기 정화수배출관(120)을 통해 해당 지역으로 공급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정화수공급밸브(121)는 개방시켜 둔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은 상기 하부공간부(170)에서 떠돌아 다니고 그 양이 많아지면 혼합수의 압력이 높아져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의 회전력이 약해져 감소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펌프(201)를 가동하여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상기 회전치차(210)의 단차(211)에 물을 분사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분사노즐(200)의 분사력에 의해 상기 회전치차(210)가 회전되게 되고 상기 회전치차(2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의 회전력이 증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와 상기 회전치차(210)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여과필터(180)의 여과기능을 더욱 지속시킬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00)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치차(210)를 회전시킬 경우에도 그 회전력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회전수단(220)에 구비된 상기 작동레버(223)를 작동시켜 상기 회동축(192)에 상기 중심회동축(222)을 연결시키고 상기 작동핸들(222)를 강제적으로 돌려주게 되면 상기 회전블레이드(190)가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블레이드(190)와 상기 회전치차(210) 및 상기 작동핸들(222)이 함께 회전되어도 상기 하부공간부(170)의 혼합수 압력이 계속해서 높아지게 되면 상기 혼합수배출밸브(141)를 열고 상기 혼합수배출관(140)을 통해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정화수공급밸브(121)는 닫아두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절차는 별도의 제어부를 구성하여 이를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여과필터의 외측으로 유입되는 원천수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블레이드를 설치하고, 그 하부측에 고압으로 분사되는 노즐의 분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치차와, 착탈식 중심회동축을 이용하여 회전블레이드와 회전치차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원천수가 유입되는 초기에는 여과필터의 이물질을 회전블레이드에 의해 떨어뜨리도록 하고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력이 약해질 경우 상기 회전치차와 상기 수동식 회전수단을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여과필터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장치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인 여과기능을 유지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0: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110:원천수공급관 111:원천수공급밸브
120:정화수배출관 121:정화수공급밸브
130:상부하우징
140:혼합수배출관 141:혼합수배출밸브
150:하부하우징 160:상부공간부 170:하부공간부
180:여과필터
190:회전블레이드 191:회전블레이드연결체 192:회동축
200:분사노즐 201:분사펌프
210:회전치차 211:단차
220:수동식회전수단

Claims (8)

  1. 원천수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으로는 이물질이 함유된 원천수가 공급되는 원천수공급관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원천수가 여과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정화수배출관이 연결 설치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측에 설치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는 제거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수배출관(140)이 연결 설치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상부측으로는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유입되어 상기 정화수배출관과 연통되는 상부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으로는 제거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혼합수가 저장되어 상기 혼합수배출관과 연통되는 하부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여과필터, 및
    유입되는 원천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여과필터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 떨어뜨릴 수 있도록 상기 여과필터의 외주면에 설치 구비되는 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하부측 중앙부에는 회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연결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연결체의 하부면에 연결 고정되고 분사노즐의 분사력에 의해 회전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단차가 구비된 회전치차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는 수압을 받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필터의 외주면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을 작게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설치 각도는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측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치차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회전수단이 연결 설치되되,
    상기 수동식 회전수단은 상기 여과필터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축에 그 하단부가 삽입 설치된 중심회동축과, 상기 중심회동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핸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동축은 그 하단부가 상기 회동축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슬릿홈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20120124803A 2012-11-06 2012-11-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151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03A KR101517985B1 (ko) 2012-11-06 2012-11-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PCT/KR2012/009954 WO2014073733A1 (ko) 2012-11-06 2012-11-23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US13/705,405 US20140124432A1 (en) 2012-11-06 2012-12-05 Water treatment filtering equipment with easy removing of foreign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03A KR101517985B1 (ko) 2012-11-06 2012-11-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39A true KR20140058139A (ko) 2014-05-14
KR101517985B1 KR101517985B1 (ko) 2015-05-06

Family

ID=5062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803A KR101517985B1 (ko) 2012-11-06 2012-11-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24432A1 (ko)
KR (1) KR101517985B1 (ko)
WO (1) WO2014073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018A (ko) 2017-07-24 2019-02-01 (주)지오퓨어텍 자동 재생 기능을 가진 여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EA038937B1 (ru) * 2017-12-29 2021-11-1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технологий "АТОМПРОЕКТ" (АО "АТОМПРОЕКТ") Активный фильтр бака-приямка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WO2019220828A1 (ja) * 2018-05-15 2019-11-21 株式会社荒井鉄工所 せん断部材及び濾過装置
CN108744701A (zh) * 2018-05-30 2018-11-06 江苏宇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滤芯组件
SE543689C2 (en) * 2019-10-04 2021-06-08 Mimbly Ab Improved filter assembly with self-cleaning
CN113813832A (zh) * 2021-08-31 2021-12-21 郑海波 一种可使废水混合均匀及去除杂质的洗煤废水储存罐
KR20240022793A (ko) 2022-08-12 2024-02-20 한영플랜트(주)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CN115845457B (zh) * 2023-02-28 2023-08-18 东莞市华清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过滤器滤筒的自清洗装置
CN116357800B (zh) * 2023-06-01 2023-09-01 上海开维喜阀门有限公司 一种抗磨损性能强的金属阀门
CN117849301B (zh) * 2024-03-07 2024-05-14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具有含油量监测功能的船舶油污水监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745A (en) * 1910-04-09 1912-07-23 Oliver C Smith Strainer-cleaner.
US2202191A (en) * 1937-05-21 1940-05-28 Cuno Eng Corp Filtering liquid
JPS6075314A (ja) * 1983-09-30 1985-04-27 Shimadzu Corp 浄化装置
GB2247187B (en) * 1990-08-24 1994-04-27 Chen Tsong Hae Liquid filter assembly
US5085771A (en) * 1991-05-15 1992-02-04 Huang Tien Hung Centrifugal filter casing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JPH1199398A (ja) * 1997-07-28 1999-04-13 Toto Ltd 浄化槽
US6224532B1 (en) * 1998-06-03 2001-05-01 Jeffery N. Beattey Centrifuge blade design and control mechanism
US6402948B1 (en) * 2000-04-21 2002-06-11 Phoenix Environmental Assets Corp. Filter-separator for purifying liquid hydrocarbons
US7445123B1 (en) * 2007-07-10 2008-11-04 Wen-Liang Chiou Ceramic filter with a ceramic filter core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4432A1 (en) 2014-05-08
KR101517985B1 (ko) 2015-05-06
WO2014073733A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985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EP3110521B1 (en) Filtration assembly for gradually screening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a single operational unit
KR101575765B1 (ko) 녹조 제거장치
CN105879466B (zh) 一种自驱动圆筒网式前池过滤器
KR20130128602A (ko) 여과장치
CN108126384A (zh) 一种球体式可翻转过滤装置及方法
CN210340558U (zh) 一种景观用雨水处理装置
KR100795159B1 (ko) 액체추출장치, 액체추출장치를 세척하는 방법 및 그 액체 추출 시스템
CN106731105A (zh) 一种开放式自清洗泵前过滤器及杂质过滤方法
WO2009050548A3 (en) Equipment for the cleaning of filters in water distribution plants
CN205699728U (zh) 一种圆筒网式过滤器
CN212937143U (zh) 一种可过滤型农业灌溉装置
KR20140140635A (ko) 세척탑
CN205699727U (zh) 一种自驱动圆筒网式前池过滤器
CN111357622A (zh) 一种甘薯智能滴灌栽培系统
CN104740924B (zh) 水涡轮推动型微滤机
CN216600978U (zh) 农业用温室种子培养装置
CN210905209U (zh) 一种用于园林水景的过滤装置
CN205099485U (zh) 一种水力全自动曝气精滤一体机
CN206521348U (zh) 一种循环水过滤器
CN108086399A (zh) 一种玫瑰园用雨水回收利用装置
CN107096278A (zh) 一种卧式双滚筒反冲洗过滤器
KR101972113B1 (ko) 역세척 앵글밸브
CN203602444U (zh) 农田喷滴灌专用过滤器
CN206423298U (zh) 细泥沙精滤装置和抗堵式滴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