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588B1 -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588B1
KR102289588B1 KR1020190062021A KR20190062021A KR102289588B1 KR 102289588 B1 KR102289588 B1 KR 102289588B1 KR 1020190062021 A KR1020190062021 A KR 1020190062021A KR 20190062021 A KR20190062021 A KR 20190062021A KR 102289588 B1 KR102289588 B1 KR 10228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air injection
algae
injection nozzle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539A (ko
Inventor
한무영
김충일
박현주
김흥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5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수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는 수면에 부상한 조류를 이송하는 조류이송장치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조류이송장치 상에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는 조류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조류를 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공기로 불어내어 조류를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ALGAE COLLECTING DEVICE USING A COMPRESSOR}
본 발명은 조류수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류는 하등 은화식물로서 물에서 포자에 의해 번식하여 엽록소로 동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조류는 온도 등 조건에 따라 크게 번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산소포화도가 낮아지는 등 다른 수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류를 제거하는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조류 제거에 대한 기술은 크게 공기부상법과, 오염물질 유입 제한법, 점토 살포, 수화펜스, 수중생물법, 화학적 처리, 저질토 처리(준설) 등이 있다. 이 중 공기부상법에 의한 조류 제거 기술은 기포에 의해 조류를 부상시킨 후 이를 스크레퍼나 컨베이어, 롤형 브러쉬 등으로 수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조류 수거 방법은 조류 수거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1405호(2014.03.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조류 수거 효율이 높은 조류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는 수면에 부상한 조류를 이송하는 조류이송장치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조류이송장치 상에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서로 이격되되 일렬로 나열된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하되,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 중 가장자리에 위치된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압축공기 분사각도가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으로 정의되고,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은 다수개가 조류이송장치의 조류이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는 조류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조류를 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공기로 불어내어 조류를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조류이송장치와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슈거장치에서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부상한 조류를 이송하는 조류이송장치(100)와, 조류이송장치(100)에서 이송된 조류를 수거하여 수납하는 조류수거함(200),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300), 압축기(30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을 포함한다.
조류이송장치(100)는 수면 상에 부상한 조류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류이송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는 조류 외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개의 미세 홀이 형성된 스크린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의 일단은 수면에 위치하고, 타단은 조류수거함(200)의 개방된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수거함(200)은 조류이송장치(100)에서 이송되어 낙하한 조류를 수거한다. 여기서, 조류수거함(200)은 상부가 개방된 함의 형태인 것을 예시하나 조류를 수거하여 수납할 수 있다면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류수거함(200)의 바닥이나 바닥과 근접한 측면에는 수거한 조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조류이송장치(100)의 일단이 수중에 위치하고 타단이 지상에 위치할 경우 조류수거함(200)은 지상에 구비될 수 있으나, 조류이송장치(100)의 타단이 지상에 위치하지 않고 조류를 수거하는 자연수계 중에 위치할 경우 조류수거함(200)은 선박(S)이나 바지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기(300)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일반적인 컴프레셔를 예시한다. 또한, 압축기(300)는 압축된 공기를 후술될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에 공급한다. 이러한 압축기(300)는 지상이나 선박, 바지선 상에 위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압축기(300)는 조류수거함(200)이나 조류이송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조류이송장치와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은 압축기(300)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를 조류이송장치(100)에서 이송되고 있는 조류에 분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조류이송장치(100)는 수평선에 대해서 제1 각(θ1)의 경사도로 경사지며,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은 수평선에 대해서 제2 각(θ2)의 경사도로 경사지게 된다. 여기서, 제2 각(θ2)은 제1 각(θ1)보다 작으며, 이에 따라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은 조류이송장치(100) 상에서 조류가 이송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이송장치(100) 상에서 일렬로 위치되되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섯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 즉, 제1 압축공기 분사노즐(410)과 제2 압축공기 분사노즐(420), 제3 압축공기 분사노즐(430), 제4 압축공기 분사노즐(440), 및 제5 압축공기 분사노즐(450)이 일렬로 위치된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개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류이송장치(100) 상에서 이송되는 조류는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조류수거함(200)으로 밀려나 수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조류이송장치(100) 상에서 일렬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일렬로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을 하나의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으로 하고 이러한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이 다수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공기 분사노즐군(H1)과, 제1 압축공기 분사노즐군(H1)과 소정간격 이격된 제2 압축공기 분사노즐군(H2)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은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압축공기 분사노즐군(H1)의 압축공기 분사력이 가장 크고, 제2 압축공기 분사노즐군(H2)과 제2 압축공기 분사노즐군(H2) 등 후단의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으로 갈수록 압축공기 분사력을 점진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처음부터 강한 압축공기를 분사할 경우 조류가 흩어져버리기 때문이며, 분사력이 약한 압축공기로 조류를 조류수거함(200)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시킨 후 강한 분사력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최종적으로 조류를 조류수거함(200)으로 이송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장치에서 압축공기 분사노즐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의 압축공기 분사방향이 모두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것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의 압축공기 분사 방향을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조류가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 방향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로 조류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의 압축공기 분사 방향뿐만 아니라 내측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의 압축공기 분사 방향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에서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로 갈수록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에서 분사된 압축공기가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조류에 가장 먼저 접촉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400)의 위치를 다른 압축공기 분사노즐(400) 보다 평면도를 기준으로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하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로 조류이송장치 상에서 이송되는 조류를 효과적으로 조류수거함으로 수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조류이송장치 200: 조류수거함
300: 압축기 400: 압축공기 분사노즐
410: 제1 압축공기 분사노즐 420: 제2 압축공기 분사노즐
430: 제3 압축공기 분사노즐 440: 제4 압축공기 분사노즐
450: 제5 압축공기 분사노즐 H1: 제1 압축공기 분사노즐군
H2: 제2 압축공기 분사노즐군 S: 선박

Claims (4)

  1. 수면에 부상한 조류를 조류수거함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서로 이격되되 일렬로 나열된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으로 정의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은 다수개가 조류이송장치의 조류이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은 상기 조류수거함에 근접할수록 압축공기의 분사력이 강해지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수평선에 대해 제1 각의 경사도로 경사지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평선에 대해 제2 각의 경사도로 경사지되, 상기 제2 각은 상기 제1 각보다 작으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로 갈수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 방향으로 향하는 각도가 점점 증가하고,
    상기 다수개의 압축공기 분사노즐군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가장 근접한 압축공기 분사노즐군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압축공기 분사노즐이 다른 압축공기 분사노즐보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조류수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2021A 2019-05-27 2019-05-27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10228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21A KR102289588B1 (ko) 2019-05-27 2019-05-27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21A KR102289588B1 (ko) 2019-05-27 2019-05-27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39A KR20200136539A (ko) 2020-12-08
KR102289588B1 true KR102289588B1 (ko) 2021-08-13

Family

ID=7377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21A KR102289588B1 (ko) 2019-05-27 2019-05-27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5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20B1 (ko) 2007-06-28 2007-10-04 윤길원 무동력 회전 살수장치
CN201176249Y (zh) * 2008-04-01 2009-01-0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综合型捞藻船
KR101575765B1 (ko) * 2015-04-06 2015-12-21 청호환경산업(주) 녹조 제거장치
KR101584608B1 (ko) 2015-09-08 2016-01-13 박병대 조류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05B1 (ko) 2013-08-02 2014-03-12 정순우 조류수거방법
KR102199368B1 (ko) * 2018-12-28 2021-01-06 에코피스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녹조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20B1 (ko) 2007-06-28 2007-10-04 윤길원 무동력 회전 살수장치
CN201176249Y (zh) * 2008-04-01 2009-01-0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综合型捞藻船
KR101575765B1 (ko) * 2015-04-06 2015-12-21 청호환경산업(주) 녹조 제거장치
KR101584608B1 (ko) 2015-09-08 2016-01-13 박병대 조류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39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424B1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US51972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aquatic plants
JP5662727B2 (ja) 貝類取り出し方法と貝類取り出し装置
CN106535665A (zh) 具有筛网清洗系统的萃取器
RU2005118557A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ла
CN109310935A (zh) 用于提取器系统的筛网
US4258534A (en) Aquatic harvesting apparatus
JP2012249601A (ja) 茶生葉洗浄装置
KR102289588B1 (ko) 압축기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CN107438689A (zh) 用于对液体介质底部上的沉积物进行取样的系统
SE509852C2 (sv) Skördeanordning för alger
CN207563262U (zh) 一种新型谷物去石机
EP1161363A1 (en) Shellfish dredging apparatus
US5566492A (en) Vacuum device for harvesting brine shrimp eggs
JPH0643A (ja) 海底植食動物を採取するための装置
EP0625003B1 (en) Sod handling
WO2020242186A1 (ko)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WO2003078744A2 (en) Shellfish dredging apparatus
KR100468487B1 (ko)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US6499239B1 (en) Method for extracting and grading sand
KR101293632B1 (ko) 침수 방식을 적용한 종자 선별 장치
CN214516335U (zh) 茶叶清洗设备
CN104273105A (zh) 贝类藻场集中采收装置
JP2530753B2 (ja) 食品素材の不要物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34978Y1 (ko) 폐석탄회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