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355B1 -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355B1
KR102226355B1 KR1020180168046A KR20180168046A KR102226355B1 KR 102226355 B1 KR102226355 B1 KR 102226355B1 KR 1020180168046 A KR1020180168046 A KR 1020180168046A KR 20180168046 A KR20180168046 A KR 20180168046A KR 102226355 B1 KR102226355 B1 KR 10222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sewage
purification device
generating means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819A (ko
Inventor
박춘건
최창규
박석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6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3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녹조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을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단계에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히 설치가 가능한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하수배출구에 설치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는, 상기 하수배출구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수배출구의 하부가 중심이 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격벽으로 형성되어, 하수의 정체를 유발하여 녹조를 발생시키는 녹조발생수단;및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나선형 격벽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녹조발생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녹조가 포집되는 포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Simplified purification device to remove nutrient salts and organic matter that inflow into streamlet and tributary and cause algal bloom}
본 발명은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녹조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을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단계에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히 설치가 가능한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지구적인 이상기후의 발생과 하천 주변에 위치한 여러 축산시설 및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녹조(綠藻) 현상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녹조란 강이나 호수와 같은 하천에 남조류(藍藻類)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물의 색깔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녹조는 악취를 발생시켜 불쾌감을 유발하고, 독소물질을 배출하여 이를 섭취하는 경우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녹조가 광범위한 영역으로 발생하게 되면, 수중으로 유입될 수 있는 햇빛이 차단되고 용존산소가 유입되지 않아 수중 생태계의 파괴를 불러와, 결과적으로는 하천 전체의 환경을 파괴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하천의 대부분이 수돗물의 형태로 각 가정의 식수용으로 제공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법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많은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나 발생된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녹조 발생의 원인물질인 영양염류나 유기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거나, 물의 순환을 강제하여 자정작업을 촉진하는 방법, 첨가제를 이용하여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제시된다.
발생된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생화학적으로 녹조와 결합하는 물질을 첨가하거나, 장치에 의해 녹조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제시된다.
그러나, 원인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설비들은 그 설치나 유지관리에 발생하는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적재적소에 적용이 되지 못하고 일부 대형 유입처에만 적용이 되어, 소류(小流)나 지류(支流)로부터 유입되는 원인물질은 실질적으로 전혀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인 제거 방법도 이미 녹조가 발생하여 그에 따른 악영향이 발생한 이후의 처리에 관한 것이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닌 실정이다.
KR 10-1915003 B1 KR 10-2017-0141426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소류나 지류의 배출구에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되, 하천에 유입되기 전 단계에 녹조의 발생을 의도적으로 일으켜 원인물질의 소진을 유도하고, 녹조를 사전 제거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하천의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는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하수배출구에 설치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는, 상기 하수배출구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수배출구의 하부가 중심이 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격벽으로 형성되어, 하수의 정체를 유발하여 녹조를 발생시키는 녹조발생수단;및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나선형 격벽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녹조발생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녹조가 포집되는 포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수단은 부유성 녹조를 포집하는 상층부과 침전성 녹조를 포집하는 하층부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중심에는 낙하하는 하수가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저면에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배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분수단은, 회전축부;및 상기 회전축부가 중심에 끼워지도록 캡(cap) 형상을 가지되, 외부면은 날개를 가진 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에 헬리컬(helical)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원인물질인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을 사전에 녹조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원인물질이 미리 소진되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류나 지류에는 원인물질을 제거하는 설비가 비용의 문제, 대형화 또는 기계화에 따른 유지보수의 문제로 인하여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못한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은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고 복잡한 구성의 기계장치가 아니어서 유지보수도 매우 간단하여, 하천으로의 유입을 위한 어떠한 배출구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영양염류나 유기물질과 같은 원인물질은 미세한 물질이어서 녹조가 되거나 별도의 첨가물을 이용하지 않으면 걸러내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우나, 본 발명은 이러한 원인물질을 하천에 유입되기 전 단계에서 의도적으로 녹조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진되게 하여, 식수로 사용될 수 있는 하천으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천으로 유입전 원인물질의 소진으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원인물질을 최소화함으로써, 하천에서의 녹조 발생 가능성을 매우 낮출 수 있다.
간이한 형태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설치는, 종래의 해결방법에 비하여 설치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고, 또한 하천의 녹조 발생 가능성을 낮춤으로써 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부대 비용의 절감도 가져오는 바,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사회적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하천의 녹조 발생 가능성이 낮아짐에 따라, 이를 수돗물로 공급하기 위해 취해지는 추가적인 소독 단계도 제거될 수 있으며, 음용하는 인체에 발생할 수 있는 악영향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녹조를 발생시키되, 부유성 녹조와 침전성 녹조를 선별적으로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포집된 녹조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제거된 녹조를 이용한 또다른 활용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녹조를 이용한 토지의 개간을 위한 비료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가지 배분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가지 배분수단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조발생수단(100), 포집수단(200) 및 배분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위쪽을 상부, 아래쪽을 하부, 좌우를 측부로 정하여 설명한다.
각 하천에는 주변의 공장이나 축산단지 혹은 주택단지로부터 발생하는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배출구(10)가 다수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하수는 지하에 매설된 관형 배수관을 따라 하천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배수관의 말단인 하수배출구(10)는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하수가 하천으로 직접적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녹조를 유발하는 원인물질인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하수배출구(10)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을 살펴본다.
녹조발생수단(100)은 상기 하수배출구(10)의 자유단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서 인위적으로 하수의 정체를 유발하여 녹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녹조 발생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발생된 녹조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방법이나 첨가제를 추가함으로써 원인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녹조의 발생 이후의 후속조치에 불과하거나 별도의 첨가제 추가등에 따른 부가적인 경제적, 환경적 악영향을 일으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의 구비로 인하여, 하수를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단계에서 의도적으로 녹조를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녹조 발생의 원인물질인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이 소진되도록 하고, 발생된 녹조를 제거한 하수만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데,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이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녹조발생수단(100)은 나선형 격벽(110)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나선형의 중심은 상기 하수배출구(10)의 중심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수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하수가 본 발명과 가장 처음 접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녹조발생수단(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격벽(110)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조발생수단(100)에서 의도적으로 녹조를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녹조발생수단(100)에 위치한 하수가 빛에너지의 유입으로 광합성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개방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우수(雨水)의 유입 등으로 내부의 하수가 녹조가 발생하기 전에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격벽으로 중심부를 제외한 상부면을 폐쇄할 수도 있다.
녹조발생수단(100)은 어떠한 재질로 형성하여도 되는데, 지속적인 하수와의 접촉이 발생하므로 발청현상 등을 고려하면,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형 격벽(110)의 물성치인 폭과 전체 길이 및 곡률은 하수배출구(10)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수배출구(10)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나선형 격벽(110)의 폭과 길이 및 곡률을 크게 함으로써 녹조발생수단(100)에서 녹조가 발생되도록 하수의 흐름이 지체되도록 할 수 있고, 하수의 양의 적은 경우에는 나선형 격벽(110)의 물성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와 비용 등을 고려하여 녹조발생수단(100)의 크기롤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녹조발생수단(100)을 나선형 격벽(110)으로 규정하였으나, 하수의 흐름이 지체되는 사각형이나 그 외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다만, 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고려하면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녹조발생수단(100)의 중심에는 배분수단(3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집수단(200)을 살펴본다.
포집수단(200)은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의 나선형 격벽(110)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녹조를 포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된 하수는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에서 빛에너지와 하수의 영양염류 및 유기물질의 작용에 의하여 녹조가 발생하게 되고, 녹조가 발생된 하수는 녹조발생수단(100)의 나선형 격벽(110)을 따라 말단부로 흘러 배출되게 된다.
포집수단(200)은 그러한 나선형 격벽(110)의 말단부에 망(罔)의 형태로 구비되어, 녹조를 배출수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포집수단(200)은 사용자에 의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녹조가 포집수단(200)에 수용치 이상으로 포집된 경우에는 탈거하여 녹조를 제거한 다음에 재부착할 수 있다.
포집수단(200)은 상층부(210)와 하층부(230)로 구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녹조는 하수의 상부에 존재하는 부유성 녹조와 하수의 내부나 하부에 존재하는 침전성 녹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부유성 녹조와 침전성 녹조가 동일한 비율로 발생하지는 않으므로, 포집수단(200)의 일측에 집중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집수단(200)의 전체를 탈거할 필요없이 상층부(210)나 하층부(23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탈거하여 녹조를 제거함으로써 기능의 회복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포집수단(200)은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의 나선형 격벽(110) 말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적으로는 나선형 격벽(110)의 중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도 있고, 중간과 말단에 복수개 설치하여 포집수단(200)의 포집용량을 더 증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분수단(300)을 살펴본다.
배분수단(300)은 상기 녹조발생수단(100)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하수는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을 내포한 액체로서 점성이 있을 수 있어, 하수가 녹조발생수단(100)의 저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투입되면, 빛에너지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녹조의 발생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수배출구(10)로부터 유입되는 하수가 녹조발생수단(100)의 저면에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기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분수단(300)이 구비될 수 있다.
배분수단(300)은 회전축부(310) 및 몸체부(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부(310)는 상술한 녹조발생수단(100)의 중심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원통형 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부(310)는 후술할 몸체부(330)의 중심에 위치하여, 몸체부(330)가 회전축부(310)를 중심으로 회전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부(330)는 중심에 상기 회전축부(31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회전축부(310) 상부에 결합되도록 캡(cap)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330)는 낙하하는 하수에 의해 충격을 받는 부위이므로, 지속적인 충격에 의하여 마모가 일어날 수 있어, 회전축부(310)를 제외한 몸체부(330)만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몸체부(330)의 회전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부(330)의 회전은 하수의 유입에 의하여 몸체부(330)가 회전하면서 하수를 골고루 방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부(330)가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하여 회전축부(310)와 몸체부(330) 사이에 베어링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부(330)의 원주방향 외부면에는 헬리컬(helical)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류 날개(33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 날개(331)는 외부면에서 양각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고, 몸체부(330) 외주면에 음각으로 새겨진 형태 등 하수가 헬리컬한 방향으로 유동하게 하는 몸체부(330)에 형성된 형상 모두를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낙하하는 하수는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므로, 몸체부(330)의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331)는 낙하하는 하수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부터 엇나가게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330)의 비틀림을 유도하여 회전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배출되는 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추진력은 몸체부(330)의 회전을 더욱 강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하여, 낙하하는 하수는 중심으로부터 더 먼 지점까지 배분될 수 있어, 빛에너지와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녹조의 발생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작용 방법을 살펴본다.
기존에 구비된 하수배출구(10)로부터 배출된 하수는 하부에 형성된 녹조발생수단(100)의 중심에 위치한 배분수단(300)의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배분수단(300)에는 스크류 날개(331)가 외면에 형성된 몸체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하수가 몸체부(330)의 스크류 날개(331)를 따라 유동하게 되면, 수직방향에 엇나가는 방향으로 하수가 유동하게 되고, 이는 몸체부(330)의 회전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
몸체부(330)의 회전은 배출되는 하수와의 반작용으로 인하여 추진력을 얻어, 더욱 회전이 강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하여, 낙하하는 하수는 녹조발생수단(100)의 저면에 방사형으로 균등하고 넓게 배분될 수 있다.
배출된 하수는 녹조발생수단(100)의 형상인 나선형 격벽(110)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녹조발생수단(100)의 형태로 인하여 그 흐름이 시간적으로 지체되어 흐르게 된다.
녹조발생수단(100)의 상부에 공급되는 빛에너지는 녹조발생수단(100) 내부를 흐르는 하수에 포함된 영양염류 및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하수는 녹조가 발생되게 되고, 본 발명은 이러한 녹조의 발생을 장치 내부에서 의도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녹조가 발생된 하수는 포집수단(200)에 유입되게 되는데, 부유성 녹조는 포집수단(200)의 상층부(210)에, 침전성 녹조는 포집수단(200)의 하층부(230)에 의해 물리적으로 포집되게 된다. 또한, 녹조가 발생에 소진되지 않은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이 덩어리를 이룬 경우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포집수단(200)에 포집된 녹조를 포집수단(200)을 탈거하되, 상층부(210)와 하층부(230)를 선택적으로 탈거하여 녹조를 제거하고 재부착할 수 있게 된다.
녹조는 하수 내부의 영양염류 및 유기물질의 소진을 가져오게 되므로, 녹조가 제거된 하수에는 영양염류 및 유기물질이 최소화 되게 된다.
이러한 녹조가 제거된 하수는 최종적으로 하천으로 배출되게 되고, 영양염류 및 유기물질이 최소화된 상태이므로, 하천에서 녹조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하수배출구
100: 녹조발생수단
110: 나선형 격벽
200: 포집수단
210: 상층부
230: 하층부
300: 배분수단
310: 회전축부
330: 몸체부
331: 스크류 날개

Claims (5)

  1.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하수배출구에 설치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는,
    상기 하수배출구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수배출구의 하부가 중심이 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격벽으로 형성되어 하수의 정체를 유발하고, 상부면이 개방되거나 투명재질 격벽이 형성되어 빛에너지의 유입이 이루어져 녹조를 발생시키는 녹조발생수단;및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나선형 격벽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녹조발생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녹조가 포집되되, 부유성 녹조를 포집하는 상층부와 침전성 녹조를 포집하는 하층부로 이루어져 선택적 탈착이 가능한 포집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중심에는 낙하하는 하수가 상기 녹조발생수단의 저면에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배분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배분수단은,
    회전축부;및
    상기 회전축부가 중심에 끼워지는 탈착가능한 캡(cap) 형상을 가지되, 외부면은 헬리컬(helical)한 형태로 구성된 스크류 날개를 가진 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8046A 2018-12-24 2018-12-24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KR10222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046A KR102226355B1 (ko) 2018-12-24 2018-12-24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046A KR102226355B1 (ko) 2018-12-24 2018-12-24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819A KR20200078819A (ko) 2020-07-02
KR102226355B1 true KR102226355B1 (ko) 2021-03-12

Family

ID=7159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046A KR102226355B1 (ko) 2018-12-24 2018-12-24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3874A1 (ja) 2021-10-28 2023-05-04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レーザー溶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649Y1 (ko)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동양고속건설 침전조의 부유물 침전장치
KR200325111Y1 (ko) * 2003-06-16 2003-09-02 카멕스실업(주) 원추형 교반기
KR101893249B1 (ko) * 2015-12-21 2018-08-29 한국농어촌공사 수질정화 및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연속흐름식 미세조류 배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225Y1 (ko) * 1995-06-20 1999-03-30 이형도 극초단파 튜너의 누설전류 방지용 입력회로
KR20170141426A (ko) 2016-06-15 2017-12-26 김용수 수질 정화 장치
KR101915003B1 (ko) 2016-09-13 2018-11-06 한국기계연구원 녹조 제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649Y1 (ko)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동양고속건설 침전조의 부유물 침전장치
KR200325111Y1 (ko) * 2003-06-16 2003-09-02 카멕스실업(주) 원추형 교반기
KR101893249B1 (ko) * 2015-12-21 2018-08-29 한국농어촌공사 수질정화 및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연속흐름식 미세조류 배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819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867B2 (en) River course ecological treatment system
CN105220757B (zh) 一种处理道路径流雨水的组合装置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CN109851153A (zh) 一种黑臭河道快速综合治理的方法
NO132317B (ko)
BR102018068943A2 (pt) sistema para implantação ou despoluição e revitalização de lagos artificiais ou naturais
KR20030012398A (ko) 생태공학적 수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2226355B1 (ko)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JP2000303438A (ja) 水質浄化装置および水質浄化方法
CN101205096B (zh) 可避免潜流人工湿地填料淤塞的污水处理方法及其设施
KR101676378B1 (ko) 하천하상 계류순환 시스템
KR20140096252A (ko) 초기 비점 오염 우수 처리 시스템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Elangovan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sewage treatment plant: a case study atnagore
KR101547856B1 (ko) 침전물 부양형 수질 정화시스템
KR101823648B1 (ko)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JP2005256432A (ja) 河川流域における利水システム
KR101326581B1 (ko)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CN110528453B (zh) 智能化水面清理及循环装置
KR20220147868A (ko) 호수 정화 시스템
CN207468322U (zh) 一种城镇污水处理综合利用反应池
JP2004218211A (ja) フロート式スクリーン
KR20160095811A (ko) 친환경 다목적 댐
CN102121239A (zh) 一种大面积收污、治污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