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561B1 - 마네킹 신발 - Google Patents

마네킹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561B1
KR101489561B1 KR20120158756A KR20120158756A KR101489561B1 KR 101489561 B1 KR101489561 B1 KR 101489561B1 KR 20120158756 A KR20120158756 A KR 20120158756A KR 20120158756 A KR20120158756 A KR 20120158756A KR 101489561 B1 KR101489561 B1 KR 10148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coupled
shoe
hole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029A (ko
Inventor
정현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15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5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은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되며,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부재와, 테두리부재의 상면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테두리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부재의 상면에 결합되고, 연장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커버부재와, 연장부재에 결합되어 마네킹의 발등 또는 발뒤꿈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걸림부재와, 테두리부재의 후면 하부에 결합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은 마네킹의 발 바닥에 대응되는 테두리부재에 신발의 갑피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부재, 뒷굽의 기능을 수행하는 돌출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신발을 갑피 또는 뒷굽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걸림부재 또는 뒷굽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전체의 교체를 실시하지 않고 동일한 미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교체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테두리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지지대가 있는 마네킹의 경우에도 쉽게 신발을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네킹 신발{FOOTWEAR FOR MANNEQUI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마네킹 신발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의복이나 장신구를 전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마네킹의 신발에 관한 분야이다.
마네킹은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패션 소품을 장식하여 쇼원도 등에 디스플레이하여 수요자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의류 또는 패션 소품을 보고 구매욕을 느낄수 있도록 하는 실물크기의 인형을 말한다.
이러한 마네킹에는 수요자가 의류 또는 패션 소품을 착용한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의류, 패션 소품을 실제 사용자와 유사하게 착용을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마네킹에는 직립을 위하여 발과 지지플레이트 사이를 지지대로 연결된 마네킹의 경우 마네킹에 신발을 착용시키려면 지지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신발을 손상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마네킹에 착용되는 의복에 따라 어울리는 신발을 교환하여 착용하는 경우 신발을 지속적으로 손상시켜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의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므로, 마네킹의 형상에 따라 일 부분을 접어 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 뒤 착용을 시켜 마네킹에 의복을 피팅시킬 수 있으나 신발의 경우 접어지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므로 마네킹의 발에 착용을 한 경우, 마네킹의 발과 신발 사이에 간격이 발생시켜 미감상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은 신발의 갑피, 뒷굽 등과 같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부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교체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신발의 손상 없이 쉽게 마네킹에 신발을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은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되며,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부재와, 테두리부재의 상면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테두리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부재의 상면에 결합되고, 연장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커버부재와, 연장부재에 결합되어 마네킹의 발등 또는 발뒤꿈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걸림부재와, 테두리부재의 후면 하부에 결합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의 걸림부재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의 테두리부재는 마네킹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테두리부재의 후면 하부에는 돌출부재가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가 결합되고, 돌출부재는 보강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의 보강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일단이 보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되고, 돌출부재의 상면에는 고정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의 보강플레이트 또는 돌출부재의 상부 중 어느 일측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자성체가 결합되어 보강플레이트와 돌출부재가 자성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용 신발의 보강플레이트의 저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돌출부재의 상부에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결합돌기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결합돌기는 절개홈 방향으로 단면이 축소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은 마네킹의 발 바닥에 대응되는 테두리부재에 신발의 갑피 기능을 수행하는 걸림부재, 뒷굽의 기능을 수행하는 돌출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신발을 갑피 또는 뒷굽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걸림부재 또는 뒷굽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전체의 교체를 실시하지 않고 동일한 미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교체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테두리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지지대가 있는 마네킹의 경우에도 쉽게 신발을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신발의 의미를 설명하면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은 테두리부재(100), 연장부재(200), 커버부재(150), 걸림부재(300) 및 돌출부재(500)로 구성된다.
테두리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111)이 형성되거나 가압을 하는 경우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되어 위에서 설명한 지지대 등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마네킹 신발은 실제 신발과 달리 보행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지지대 등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관통공(111)이 형성되거나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관통공(111) 형상의 절개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테두리부재(100)의 상면에는 걸림부재(300)를 테두리부재(10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재(200)가 결합되며, 연장부재(200)에는 마네킹의 발등 또는 발뒤꿈치를 감싸는 걸림부재(3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테두리부재(100)의 상면에는 테두리부재(100)에 대응되는 형상, 즉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연장부재(200)가 관통배치되는 관톨홀(151)이 형성된 커버부재(150)가 결합되며, 이러한 커버부재(150)은 통상의 신발에서의 인솔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걸림부재(300)는 신발의 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네킹의 발등과 발뒤꿈치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샌달과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하나는 마네킹의 발등을 감싸고 다른 하나는 발뒤꿈치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걸림부재(300)는 신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최소한 마네킹의 발등 또는 뒷발꿈치 중 하나는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여 마네킹에 테두리부재(1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걸림부재(300)는 테두리부재(100)가 마네킹의 발 바닥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300)가 연장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벨크로, 가시도트단추, 접착테이프,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구성일 수도 있으며, 연장부재(200)를 자석으로 구성하고, 걸림부재(300)의 하단에 자석에 결합된 금속을 배치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걸림부재(300) 하단에 자석을 배치하고, 연장부재(200)를 금속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돌출부재(100)는 신발의 뒷굽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100)의 후면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돌출부재(100)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재(100)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재(100)는 마네킹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테두리부재(100)의 후면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500)가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4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돌출부재(500)는 보강플레이트(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변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00)의 후면 하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400)를 추가로 결합하여 테두리부재(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돌출부재(500)는 보강플레이트(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400)의 저면에는 보강플레이트(40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플레이트(410)가 결합되고, 돌출부재(500)의 상면에는 고정플레이트(410)가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삽입홈(510)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410)가 고정플레이트삽입홈(510) 내에 삽입되어 돌출부(500)가 보강플레이트(4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플레이트는 돌출부(5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삽입홈은 보강플레이트(4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플레이트(400)를 금속재로 구성하고, 돌출부재(500) 상부에 자성체(520)를 결합하여 자성체(520)의 자력에 의하여 보강플레이트(400)와 돌출부재(500)를 자성체(520)의 자력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강플레이트(400)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돌출부재(500)의 상부를 금속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재(50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530)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재(100)의 후면 하부에는 결합돌기(530)가 삽입되는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결합돌기(530)가 결합홈(110)에 삽입되어 돌출부재(500)가 테두리부재(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돌기(530)에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531)이 삽입되어 결합돌기(530)를 결합홈(110)에 삽입하는 경우 결합돌기(530)가 절개홈(531)방향으로 축소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50)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구(153)이 테두리부재(10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테두리부재(100)를 관통한 고정구(153)에는 돌출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의 분해사시도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500)의 상부에는 측면에서 힘을 가하는 경우 절곡되는 절곡로드(540)가 결합되며, 테두리부재(100)에는 절곡로드(54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재(500)의 절곡로드(540)를 관통공에 삽입한 후 절곡시켜 돌출부재(500)와 테두리부재(100)를 상호 결합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공(111)은 지지대 등이 삽입되는 것으로, 마네킹에 따라 지지대가 없는 경우, 관통공(111)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커버(113,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테두리부재
200 : 연장부재
300 : 걸림부재
400 : 보강플레이트
410 : 고정플레이트
500 : 돌출부재
510 : 고정플레이트삽입홈
520 : 자성체

Claims (9)

  1. 관통공(111) 또는 가압시 관통공(111)이 형성되는 절개선이 형성되며,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부재(100);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상면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재(200);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재(200)가 관통되는 관통홀(151)을 구비한 커버부재(150)
    상기 연장부재(200)에 결합되어 마네킹의 발등 또는 발뒤꿈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걸림부재(300); 및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후면 하부에 결합된 돌출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재(200)는 밸크로, 가시도트단추, 접착테이프, 양면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재(3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00)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0)는 마네킹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후면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재(500)가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400)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재(500)는 상기 보강플레이트(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400)의 저면에는 일단이 상기 보강플레이트(400)와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410)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재(50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10)가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삽입홈(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400) 또는 상기 돌출부재(500)의 상부 중 어느 일측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자성체(520)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플레이트(400)와 돌출부재(500)가 자성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저면에는 결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50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홈(11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530)에는 절개홈(5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530)가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경우 결합돌기(530)는 절개홈(531) 방향으로 단면이 축소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50)에는 고정구(153)가 상기 테두리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153)는 상기 돌출부재(5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0)에 관통공(11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111)에는 커버(113)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0)는 마네킹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500)의 상부에는 절곡로드(540)가 결합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00)에는 상기 절곡로드(54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500)의 절곡로드(540)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상기 돌출부재(500)를 상기 테두리부재(100)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용 신발.

KR20120158756A 2012-12-31 2012-12-31 마네킹 신발 KR10148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8756A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2-12-31 마네킹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8756A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2-12-31 마네킹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29A KR20140089029A (ko) 2014-07-14
KR101489561B1 true KR101489561B1 (ko) 2015-02-05

Family

ID=5173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8756A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2-12-31 마네킹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5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4905A (zh) * 2016-01-08 2017-07-18 金贞淑 人体模型支撑结构
KR102074941B1 (ko) 2019-02-01 2020-02-07 정현주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WO2020060162A1 (ko) 2018-09-19 2020-03-26 정현주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2855A (ko) 2018-11-07 2020-05-15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16B1 (ko) * 2016-11-17 2018-08-02 조영찬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192Y1 (ko) 2006-11-02 2007-11-08 황규환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의 하이힐
KR20110082255A (ko) * 2010-01-11 2011-07-19 박석자 Art 하이힐 굽
KR20110136507A (ko) * 2010-06-15 2011-12-21 우순구 조립식 구두
KR20120080145A (ko) * 2012-05-14 2012-07-16 박영배 뒷굽갈이 가능한 신사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192Y1 (ko) 2006-11-02 2007-11-08 황규환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의 하이힐
KR20110082255A (ko) * 2010-01-11 2011-07-19 박석자 Art 하이힐 굽
KR20110136507A (ko) * 2010-06-15 2011-12-21 우순구 조립식 구두
KR20120080145A (ko) * 2012-05-14 2012-07-16 박영배 뒷굽갈이 가능한 신사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4905A (zh) * 2016-01-08 2017-07-18 金贞淑 人体模型支撑结构
CN106954905B (zh) * 2016-01-08 2019-10-18 金贞淑 人体模型支撑结构
WO2020060162A1 (ko) 2018-09-19 2020-03-26 정현주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2855A (ko) 2018-11-07 2020-05-15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WO2021091202A1 (ko) 2018-11-07 2021-05-14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KR102074941B1 (ko) 2019-02-01 2020-02-07 정현주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29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561B1 (ko) 마네킹 신발
US8667712B2 (en) Footwear design personalizing
US8387284B2 (en) Footwear, clothing and other apparel with interchangeable toe and heel members or other orna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825557B1 (ko) 조립식 신발
US20130025165A1 (en) Attaching objects to footwear
CA2969779A1 (en) Sandal with self-anchoring sole structure
JP2006247243A (ja) 履物
KR101375521B1 (ko) 구두 뒷굽의 착탈이 용이한 구두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EP4056064A1 (en) Mannequin shoes having improved decorativeness and convenience
KR20110136507A (ko) 조립식 구두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KR20150004529A (ko) 장식물 체결장치
JP2012143546A (ja) 装飾靴
WO2019125944A1 (en) Footwear with upper attachment mechanism
CN219270262U (zh) 一种免系鞋带的鞋
KR200472888Y1 (ko) 장식구 치환이 가능한 신발
KR20130005011U (ko) 신발끈 결합구조
KR200278141Y1 (ko)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KR200271359Y1 (ko) 샌들
KR200397025Y1 (ko) 조립식 양방향 슬리퍼
KR200484356Y1 (ko) 신발끈 정리구
JP3053512U (ja) サンダルのストラップ固定装置
JP6247038B2 (ja) 履き物
KR101106181B1 (ko) 슬리퍼의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