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855A -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 Google Patents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855A
KR20200052855A KR1020190142082A KR20190142082A KR20200052855A KR 20200052855 A KR20200052855 A KR 20200052855A KR 1020190142082 A KR1020190142082 A KR 1020190142082A KR 20190142082 A KR20190142082 A KR 20190142082A KR 20200052855 A KR20200052855 A KR 20200052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guide member
rear guide
foo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855B1 (ko
Inventor
정현주
Original Assignee
정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주 filed Critical 정현주
Publication of KR2020005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855B1/ko
Priority to US17/773,06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21649A1/en
Priority to EP20883743.5A priority patent/EP4056064A4/en
Priority to PCT/KR2020/015258 priority patent/WO2021091202A1/ko
Priority to CN202080075073.0A priority patent/CN114616036B/zh
Priority to JP2022525552A priority patent/JP743665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 A43B3/28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7/00Edge or heel cutters; Machines for trimming the heel breas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의 구조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은, 마네킹 발의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구조의 전방 가이드, 마네킹 발의 뒤꿈치 부분을 감싸는 구조의 후방 가이드, 및 상기 전방 가이드와 후방 가이드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후 가이드 부재; 및 마네킹 발의 좌우 측면부 및 발바닥면을 감싸는 구조이고, 전후 가이드 부재와 함께 마네킹 발에 장착되는 측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실제 마네킹 신발처럼 보이는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계절 혹은 유행에 따라 자주 변경해야 하는 디스플레이용 마네킹 신발의 제작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Mannequin Shoes with Improved Decor and Comfort}
본 발명은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마네킹에 신발이 아닌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을 착용하게 함으로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실제 사람이 착용하는 신발을 착용한 것처럼 보이는 심미적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마네킹 발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착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과 비슷한 실물크기의 마네킹(mannequin)은 의류 또는 패션 소품을 착용시켜 보는 사람에게 새로운 상품을 선전하고 유행하는 스타일을 제시함으로써 수요자의 심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어 구매욕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형태, 색상, 소재, 조명 등을 계획하여 마네킹에 의류 등을 착용시키게 되며, 이때 단단한 형태로 제작되는 마네킹의 특성상 마네킹의 발에 의류 등과 어울리는 일반 신발을 착용시키기 어렵거나 착용시키는 경우에도 부자연스러운 문제가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네킹에 적합한 전용 신발의 구성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9561호(2015.01.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4103호(2018.11.2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보았을 때 마네킹에 실제 사람이 착용하는 신발을 착용한 것처럼 보이는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계절 혹은 유행에 따라 자주 변경해야 하는 디스플레이용 마네킹 신발의 제작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형 마네킹 신발은, 마네킹 발의 발가락 부분과 뒷꿈치 부분을 감싸는 전후 가이드 부재; 및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마네킹 발의 좌우 측면부 및 바닥면을 감싸는 구조인 측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 전후 가이드 부재는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전방 가이드, 마네킹 발의 뒷꿈치를 감싸는 후방 가이드 및 일측에 전방 가이드가 연결되고, 타측에 후방 가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 및 측방 가이드 부재에는 마네킹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와 연결부를 분리할 수 있는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는 전방 가이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구조로, 전방 가이드의 내부면에서 연결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는 마네킹 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가이드의 하면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만나는 일측을 기준하여 타측으로 갈수록 일정각도만큼 벌어져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가이드에는 마네킹 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一' 형태의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가이드에는 절개부에는 밴드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이드, 후방가이드, 연결부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기준하여, 연결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밴드부재를 설치하고, 밴드부재를 매개로 연결부와 전방가이드 및 후방가이드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부는 밴드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의 연결부와 접촉되는 측방 가이드 부재의 저면, 상기 저면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 상기 저면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저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의 사이, 상기 후면과 측면의 사이에는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와 측방 가이드 부재의 저면, 전면, 후면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접착을 위한 고정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후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측방가이드 부재의 측면은 전방 가이드 및 후방 가이드의 내측에 슬라이딩 상태로 결합되어 후방 가이드의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가이드의 측면에 설치되어 마네킹 발의 뒤꿈치에 밀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형 마네킹 신발의 구조는 단단하고 왜곡된 마네킹 발에 착용되는 신발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마네킹을 이용하여 전시하는 전시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전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계절 혹은 유행에 따라 자주 변경해야 하는 디스플레이용 마네킹 신발의 제작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약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마네킹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마네킹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전후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로써,
도 3(a)는 밴드부재가 가로로 부착된 상태도
도 3(b)는 밴드 부재가 세로로 부착된 상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마네킹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 전후 가이드 부재와 측방 가이드 부재의 결합 개념도로써
도 5(a)는 기본 수평 상태도
도 5(b)는 후방 가이드 부재가 낮게 상승된 상태도
도 5(c)는 후방 가이드 부재가 높게 상승된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네킹 신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마네킹 설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마네킹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마네킹(1)의 발바닥에는 마네킹(1)의 발바닥으로부터 내부로 연결관(5)이 내장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2)에는 연결관(5)에 삽입되는 지지대(3)가 고정된다. 따라서 받침대(2)를 지면에 위치시키고, 받침대(2)의 지지대(3)를 연결관(5)에 삽입하여 마네킹(1)을 직립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마네킹(1)에 마네킹 신발을 착용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대(3)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H)를 형성하고, 단단한 마네킹 발(10)에 신발을 착용시킨 후 지지대(3)를 신발의 관통구(H)를 통해 연결관(5)에 삽입시켜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마네킹 외에 지지대(3)가 마네킹의 종아리 부위 등에 연결되는 구조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마네킹의 경우에도 마네킹 자체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므로 통상의 일반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거나, 어색한 문제가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마네킹 신발의 전후 가이드 부재(100) 및 측방 가이드 부재(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전방이라 함은 도 2을 기준으로 발가락 부분이며, 후방이라 함은 뒤꿈치 부분이며, 측부라 함은 발등을 기준으로 양 옆을 말하며, 하부라 함은 발바닥 부분을 일컫는다.
본 분리형 마네킹 신발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 마네킹 신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남성 마네킹 신발, 아동 마네킹 신발에도 적용 될 수 있으며, 사진 촬영을 위한 임시 착용 신발로 캐주얼화, 정장화, 운동화, 부츠, 오픈화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 신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마네킹 신발(100)은 전후 가이드 부재(100) 및 측방 가이드 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100)는 마네킹 발(10)의 발가락 부분과 뒤꿈치 부분을 감싸며,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마네킹 발(10)의 좌우 측면부와 발바닥면을 감싼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후 가이드 부재(100)는 마네킹 발(10)의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전방가이드(110) 뒤꿈치 부분을 감싸는 후방가이드(120) 및 전방 가이드(110)와 후방 가이드(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형 마네킹 신발은 실시예에 따라 전후 가이드 부재(100)만 착용된 형태도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탈부착되도록 측방 가이드 부재(200)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접촉면은 고정 부재(F)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F)로는 양면테이프, 벨크로, 임시 고정용 고체풀, 임시 고정용 스프레이, 임시 고정용 액체풀, 가시돗트, 자석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매개로 상호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후 가이드 부재(100)에서 연결부(130)가 생략된 상태, 즉 전방 가이드(110)와 후방 가이드(120)만이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측방 가이드 부재(200)와 접촉되는 하부면에 고정부재(F)가 넓게 장착되어 상호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삽입되어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네킹 발(10)의 연결관(5)에 지지대(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 가이드 부재(100) 및 측방 가이드 부재(200)에는, 지지대(3)가 관통되는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S) 또는 관통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임 표시선이나 절개부(S) 또는 관통구(H)는 마네킹 발(10)의 연결관(5)의 위치에 따라 연결부(130) 또는 후방 가이드(120) 및 측방 가이드 부재(2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3)가 마네킹의 종아리 또는 엉덩이와 바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후방 가이드(120)의 트임 표시선(S)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3)가 삽입될 수도 있다.
마네킹의 발(10) 뒷꿈치 부분이 작은 경우, 트임 표시선(S)을 절개하여 상호 중첩시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킬 수 있도록 마네킹 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마네킹 발(10)의 뒷꿈치 각도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트임 표시선(S)이 뒷꿈치를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방 가이드(120)에서 트임 표시선(S)을 2줄로 구성하여, 하부의 좌우 양측 또는 십자형으로 절개해서 신발 굽 상부의 일부가 삽입되거나 오목한 신발굽 상부와 접촉면을 증가시켜 결합을 안전하게 할 수도 있다.
전방 가이드 부재(100)에도 트임 표시선(S)을 형성하여 전방 가이드(110)의 너비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방 가이드(110)에 형성되는 트임 표시선(S)은 마네킹의 발(10)의 발가락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전방 가이드(110)의 크기(내부 공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가이드(110)에서 평면상 마네킹 발(10)이 전방 가이드 (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전방 가이드(110)에서 앞쪽 중심 시작점에서 마네킹 발(10)의 발등점을 지나 뒷꿈치의 뒤 끝점까지 길게 형성되는 중심선(center line)을 기준선으로 정한 뒤에, 마네킹 발(10)의 형상이 좌우대칭이 아닌 점을 고려하여 내측보다 외측이 더 벌어지게 비대칭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트임 표시선(S)은 전방 가이드(110)의 내부면에서 연결부(130)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트임 표시선(S)은 선택적으로 절개할 수도 있다.
또한, 전방가이드(110)와 연결부(130)는 마네킹 신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완전히 분리되도록 절개부(S)가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부(130) 방향으로 상호 벌어질 수 있도록 일정각도만큼 벌어져 형성될 수 있다.
후방가이드(120)의 내면에는 후방가이드(120)를 마네킹 발(1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F)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고정부재(F) 또한 상기와 같이 양면테이프, 벨크로, 일반 접착제 등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의 발과 달리 마네킹 발(10)은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특히 뒷꿈치의 형상의 변형이 많아 신발을 착용시켜도 고정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도 3은 일례로써 도 2에 도시된 전후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같이 마네킹 발(10)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전방 가이드 부재(100)가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전방가이드(110)와 연결부(130), 후방가이드(120)와 연결부(130) 사이에는 탄성이 있는 밴드부재(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재(B)로는 고무줄, 탄성 있는 섬유, 고무줄과 직조된 섬유,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중앙에 좌우한 쌍의 밴드부재(B)를 이격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마네킹 지지대(3)는 한 쌍의 밴드부재(B)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관(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재(B)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네킹 발(10)의 뒷꿈치 또는 발가락 부분의 폭이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전방 가이드(110) 또는 후방 가이드(120)에 형성된 트임 표시선(S)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30) 전체가 신축성 밴드부재(B)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마네킹 신발의 전후 가이드 부재(100) 및 측방 가이드 부재(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마네킹 발(10)의 좌우 측면부 및 발바닥면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마네킹 발(1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측면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함께 마네킹 발(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전방 가이드 부재(100)의 상부면에 올려지므로 상기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하부면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자연스런 신발의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마네킹 발(10)에 마네킹 신발이 착용되는 경우, 마네킹 발(10)의 뒷꿈치 높이에 따라 전후 가이드 부재(100)는 경사를 형성하게 되며, 이 경사에 의하여 측방 가이드 부재(200)가 변형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트임 표시선(C)이 절개되어 있지 않는 경우,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마네킹 발(10)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심미감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절개선(C)을 형성하여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맞닿는 측방 가이드 부재 저면(210), 측방 가이드 부재 전면(220), 측방 가이드 부재의 측면(230)이 좌우 양쪽으로 구성되며, 측방 가이드 부재 후면(24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측방 가이드 부재 저면(210), 측방 가이드 부재 전면(220), 측방 가이드 부재 측면(230), 측방 가이드 부재 후면(240) 중 측방 가이드 부재 측면(230)은 마네킹 발(10) 뒷꿈치의 높이(h1, h2)의 설정에 따라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200)와의 접촉면에는 자연스럽게 겹쳐진 구간(M)이 형성되면서 상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도 5 개념도 참조)
이때 겹쳐진 구간(M)은 전방 가이드(110) 및 후방 가이드(120) 내면에 위치되며, 접착이 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마네킹 발(10) 뒷꿈치 조절 높이에 쉽게 적응된다.
이에. 외부에서 볼 때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200)가 마네킹 발(10)에 어색함이 없이 착용되는 양호한 외관미를 표출하게 된다.
또한, 마네킹 발(10)의 뒷꿈치 조절 높이((h1, h2)에 따라서 후방 가이드(120) 사이에 자연스러운 각도(P1, P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각도는 마네킹 발(10) 뒷꿈치가 높아질수록 후방 가이드(120)의 밀착도를 높여줌으로서 착용상태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앞 뒷부분에는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C)를 형성하여 상기 트임 표시선(C)을 필요시 절개하여 절개부가 될 수 있다.
마네킹 발(10)의 뒷꿈치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측방 가이드 부재(200) 절개부(C)를 겹치게 하거나 벌려주므써 상기 후면(240)은 상기 후방 가이드(120)에, 상기 전면(220)은 상기 전방 가이드(110)에, 상기 저면(210)은 상기 연결부(130)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며, 이때 접촉된 면은 고정부재(F)로 접착고정할 수 있다.
이에, 마네킹 발(10)의 뒷꿈치의 높이와 관계없이 측방 가이드부재(200)와 전후 가이드 부재(100)를 연결하여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200)가 고정부재를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마네킹 발(10) 뒷꿈치의 높이에 따라 전후 가이드 부재(100) 측면과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측면(230)은 서로 접촉하는 부분(M)의 위치와 넓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200)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M)에서 측방 가이드 부재의 측면(230)은 전방가이드(110)와 후방가이드(120)에 내입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신발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마네킹 발(10)의 뒷꿈치 높이가 도 5의 (a) → (b) → (c)와 같이 변화되면, 이에 따라 측방 가이드 부재(200)에 형성된 트임 표시선(M)의 절개를 이용하여 마네킹 발의 형태와 대응되는 구조로 손쉽게 변형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앞 부분에 형성된 절개선(C)의 절개는 자연스럽게 부분적으로 둘로 분리된다. 절개선(C)이 포함된 전면(220)은 전방가이드(110)의 발 앞꿈치 평평한 부분과 자연스럽게 접촉되게 된다. 전방 가이드 부재(100)에서 연결부(130)가 생략된 경우에는 전면(220)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고정부재(F)에 의해 탈부착 시킬 수 있다.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선(C)이 절개된 부분이 포함된 측방 가이드 부재의 측면(230)은 전방 가이드(110)의 내부에서 펴지거나 접히면서 전방 가이드(110)와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형상을 구현한다.
마네킹 발(10)의 뒷꿈치가 높은 경우에는 후방 가이드(120)의 상부와 측방 가이드 부재 측면(230) 상부의 사이가 벌어지면, 돌출된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절단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조절한다.
경우에 따라서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측면(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양측 면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측면(230)을 모두 제거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마네킹 발(10)에 착용되기 전에 상호 부착된 상태로 마네킹 발(10)에 착용시킬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로 마네킹 발(10)에 측방 가이드 부재(200)를 먼저 착용시킨 후, 전후 가이드 부재(100)를 나중에 착용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마네킹
2: 좌대
3: 지지대
5: 연결관
10: 마네킹 발
100: 전후 가이드 부재
110: 전방 가이드
120: 후방 가이드
130: 연결부
200: 측방 가이드 부재
210: 저면
220: 전면
230: 측면
240: 후면
B: 밴드부재
C: 측방 가이드 부재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
F: 고정부재
H: 관통구
S: 전방 가이드 부재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
h1, h2: 마네킹 발 뒤꿈치의 높이
M: 접촉 부분
P1, P2: 후방 가이드 뒷면 각도

Claims (8)

  1. 마네킹 발(10)의 발가락 부분과 뒷꿈치 부분을 감싸는 전후 가이드 부재(100); 및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마네킹 발(10)의 좌우 측면부 및 발바닥면을 감싸는 구조인 측방 가이드 부재(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100)는,
    마네킹 발(10)의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구조의 전방 가이드(110); 마네킹 발(10)의 뒷꿈치 부분을 감싸는 후방 가이드(120); 및 일측에 전방 가이드(110)가 연결되고, 타측에 후방 가이드(120)가 연결되는 연결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부재(100)에 있어서,
    전방 가이드(110)와 연결부(130)를 분리할 수 있는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S)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110)에 있어서,
    절개부(S)에는 밴드 부재(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100)는,
    상기 후방 가이드(120) 부재의 마네킹 발(10) 뒷꿈치 접촉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S)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 부재(200)는,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의 연결부(130)와 접촉되는 측방 가이드 부재(200)의 저면(210); 상기 저면(2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220); 상기 저면(2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230); 및 상기 저면(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24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220)과 상기 측면(230)의 사이; 상기 후면(240)과 측면(230)의 사이에는 트임 표시선 또는 절개부(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가이드 부재(100)와 측방 가이드 부재의 저면(210), 전면(220), 후면(240)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고정부재(F)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8. 제 6 항에 있어서,
    전후 가이드 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측방가이드 부재(200)의 측면(230)은 전방 가이드(110) 및 후방 가이드 (120)의 내측에 슬라이딩 상태로 결합되어 후방 가이드 (120)의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KR1020190142082A 2018-11-07 2019-11-07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KR10215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73,064 US20230121649A1 (en) 2018-11-07 2020-11-04 Mannequin shoes having improved decorativeness and convenience
EP20883743.5A EP4056064A4 (en) 2018-11-07 2020-11-04 MANNEQUIN SHOES WITH ENHANCED DECORATIVE VALUE AND CONVENIENCE
PCT/KR2020/015258 WO2021091202A1 (ko) 2018-11-07 2020-11-04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CN202080075073.0A CN114616036B (zh) 2018-11-07 2020-11-04 改善了装饰性和便利性的人体模型鞋
JP2022525552A JP7436651B2 (ja) 2018-11-07 2020-11-04 装飾性及び便宜性が改善されたマネキン履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64 2018-11-07
KR20180135764 2018-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855A true KR20200052855A (ko) 2020-05-15
KR102154855B1 KR102154855B1 (ko) 2020-09-11

Family

ID=7067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82A KR102154855B1 (ko) 2018-11-07 2019-11-07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21649A1 (ko)
EP (1) EP4056064A4 (ko)
JP (1) JP7436651B2 (ko)
KR (1) KR102154855B1 (ko)
CN (1) CN114616036B (ko)
WO (1) WO2021091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855B1 (ko) * 2018-11-07 2020-09-11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415A (ja) * 2002-09-06 2004-04-02 Aitemu:Kk サンダル展示用足型およびサンダルの展示方法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5-0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네킹 신발
KR101596208B1 (ko) * 2016-01-08 2016-02-19 김정숙 마네킹 지지 구조
KR101924103B1 (ko) 2018-09-19 2018-11-30 정현주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3449A (en) * 1948-07-02 1950-09-26 Rosenzweig Julius Adjustable foot covering
US3609888A (en) * 1970-02-13 1971-10-05 Jimmy G Rickman Bowling overshoe
JPS5240233U (ko) * 1975-09-09 1977-03-22
US4136468A (en) * 1978-02-21 1979-01-30 Munschy Dorothy G Footwear
JPS5891901U (ja) * 1981-12-18 1983-06-22 小松崎 守雄 ハ−フメ−ドでアジヤストする靴
JPH10215914A (ja) * 1997-02-04 1998-08-18 Hitoshi Aizawa 靴及び靴用ヒール部品
JPH1118803A (ja) * 1997-07-08 1999-01-26 Asics Corp サイズ可変シューズ
US6393734B1 (en) * 2001-02-26 2002-05-28 Chan-Chou Ou Adjustable and disposable foot care article
US20090133288A1 (en) * 2003-04-07 2009-05-28 Gallegos Alvaro Z Footwear with two-plate system
JP2004305449A (ja) * 2003-04-08 2004-11-04 Sumitomo Rubber Ind Ltd 靴の製造方法
EP1677637A2 (en) * 2003-10-10 2006-07-12 Skin Shoes LLC Modular shoe system
US7966747B2 (en) * 2004-10-08 2011-06-28 Pointe Noir Pty Ltd. Dance footwear
JP2011115400A (ja) * 2009-12-03 2011-06-16 Fumie Sasaki 分離可能な靴
CN103269621A (zh) * 2010-07-30 2013-08-28 创新移动显示器有限公司 带有各种组装机构的关节型人体模型
KR101230053B1 (ko) * 2010-12-31 2013-02-08 오지윤 보행이 편한 하이힐
EP2861093A4 (en) * 2012-06-13 2015-09-16 Elevate Fashion Ltd ADJUSTABLE SHOE
US9173447B2 (en) * 2014-03-25 2015-11-03 Kwabena Boakye Shoe protecting cover device
CN103948267B (zh) * 2014-04-28 2017-11-14 台州市中升塑业有限公司 一种带鞋跟的塑胶模特下身及其制作方法
US10681957B2 (en) * 2015-09-17 2020-06-16 Daniel Thomas Duarte Suspension bridging shoe
KR102154855B1 (ko) * 2018-11-07 2020-09-11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CN113727622B (zh) * 2019-02-22 2023-07-1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415A (ja) * 2002-09-06 2004-04-02 Aitemu:Kk サンダル展示用足型およびサンダルの展示方法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5-0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네킹 신발
KR101596208B1 (ko) * 2016-01-08 2016-02-19 김정숙 마네킹 지지 구조
KR101924103B1 (ko) 2018-09-19 2018-11-30 정현주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6064A4 (en) 2022-12-21
KR102154855B1 (ko) 2020-09-11
JP7436651B2 (ja) 2024-02-21
WO2021091202A1 (ko) 2021-05-14
CN114616036B (zh) 2023-05-30
CN114616036A (zh) 2022-06-10
JP2022549522A (ja) 2022-11-25
US20230121649A1 (en) 2023-04-20
EP4056064A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18897S1 (en) Shoe
US8938890B2 (en) Expandable shoe
USD841895S1 (en) Ankle support
KR101924103B1 (ko)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CN102123624A (zh) 具有可换式趾部及跟部构件或其它装饰的鞋类,服装及其它衣着以及相关的方法及系统
USD723251S1 (en) Pair of shoes
US20240016259A1 (en) Shoe with detachable sock
US20190082770A1 (en) Shoe
US66914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ing dancer's foot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US11771177B2 (en) Shoe with flexible upper
KR20200052855A (ko)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US9844240B2 (en) Snap sandals
US2362010A (en) Shoe
US1514706A (en) Shoe ornament
CN205040760U (zh) 一种可拆卸鞋跟的高跟鞋
CN204908131U (zh) 一种新型拖鞋凉鞋两用鞋
US2341675A (en) Shoe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200398725Y1 (ko) 신발 장식구
CN204812297U (zh) 拉链连接的靴
US2187103A (en) Shoe
CN205106571U (zh) 一种松紧度可调的皮鞋
KR200346289Y1 (ko) 마커 슈
KR200448251Y1 (ko) 착탈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한 신발
CN204635206U (zh) 一种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