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941B1 -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941B1
KR102074941B1 KR1020190013266A KR20190013266A KR102074941B1 KR 102074941 B1 KR102074941 B1 KR 102074941B1 KR 1020190013266 A KR1020190013266 A KR 1020190013266A KR 20190013266 A KR20190013266 A KR 20190013266A KR 102074941 B1 KR102074941 B1 KR 10207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shoe
shoe heel
h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주
Original Assignee
정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주 filed Critical 정현주
Priority to KR102019001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 A43B3/28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wood, cork, card-board, paper or like fibrou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02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9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eel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네킹 신발 굽(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네킹이 착용하는 신발(20)과 같이 장식성이 강한 신발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교체가 용이한 마네킹 신발 굽(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 굽(100)은,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구조이며, 마네킹 신발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에 의하면, 마네킹 신발(20)이나 기타 다른 신발의 하부에 상황에 따라 알맞은 마네킹 신발 굽(100)을 선택하여 부착함으로써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실제 신발 굽(100)처럼 보이는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다양하고 쉬우면서 완벽한 신발 스타일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Mannequin shoe h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네킹 신발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네킹이 착용하는 마네킹 신발과 같이 장식성이 강한 신발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절이 용이한 마네킹 신발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네킹은 마네킹 디자인과 마네킹 브랜드에 따라 마네킹 발의 형태 및 발뒷꿈치 높이가 다양하다. 이렇게 형태가 변형된 마네킹 발에는 기존 신발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패션상품이 변경됨에 따라 신발도 변경되어야 하므로 마네킹 발에 맞고 신발 구조도 완벽한 마네킹 신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신발 본체와 신발 굽으로 구성되는데 신발 굽은 인간의 하중을 지지하고 동작에도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과 같이 견고한 소재로 그 위에 가죽과 같은 외피를 입히거나 도색, 코팅을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4103호에는 유연한 마네킹 신발이 제안되었지만, 마네킹 신발에 일반 신발굽을 사용시 신발굽이 약간 클 경우 신발굽 주변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단단한 플라스틱 신발굽을 깎아 내거나 갈아내고 다시 도색을 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구조의 마네킹 신발에 적용되는 가볍고 다루기 쉬운 마네킹 신발 굽이 필요하다.
마네킹 신발의 경우 지지대가 마네킹을 지지하므로 마네킹 신발굽은 마네킹 무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견고한 신발 굽의 기능은 크게 중요시되지 않는다. 또한, 신발 굽 상부가 오목한 일반적인 구두굽의 경우 평평한 마네킹 신발 하부에 붙이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일반 신발 굽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여기에 대한 해결책도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마네킹 신발 굽 접착방식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489561 에서 테두리 부재, 보강 플레이트 등 신발 굽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여러 겹을 겹치는 일반 신발 하부 구조를 기본개념으로 두고 있으나, 마네킹에 맞는 새로운 신발 굽 접착 구조 및 제작방법도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9561호(2015.01.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4103호(2018.11.26 등록)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네킹 신발에 부착하여 완성된 마네킹 신발을 제작할 수 있는 마네킹 신발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네킹 신발 굽 제작 시에 합리적인 소재를 활용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이 간편하고 응용성과 활용성이 높은 마네킹 신발 굽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는,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는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구조이며 마네킹 신발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네킹 신발 굽(100)을 들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신발 굽 형상의 성형틀의 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건조한 후 성형틀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중공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는 닥죽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은 평평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130)은 평평한 구조이며,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130)에는 덧댐부재(15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에는 마네킹의 발과 결속되는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은, 하부면(130)이 개방형 구조이며, 상기 마네킹 신발 굽(100)은 상기 하부면(130)에 삽입되는 신발 조절굽(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또는 하부면(130) 중 어느 일면은 한지가 접혀져 형성된 개폐식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마네킹 신발 굽의 제조방법으로, 신발 굽 형태의 성형틀을 준비하는 성형틀 준비단계(S110); 성형틀의 표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성형재료를 부착하고 건조시키는 성형재료 부착단계(S120); 건조된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틀을 분리하는 성형틀 제거단계(S130); 및 건조된 성형재료의 개방된 일측을 성형재료로 붙여서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재료는 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네킹 신발 굽의 제조방법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에 마네킹의 발(10)과 결속되는 지지대(3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120a, 130a) 또는 관통구(140)을 형성하는 관통구멍 또는 관통구 형성단계(S150);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130)에 덧댐부재(150)를 부착하는 덧댐부재 부착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문양과 장식부재를 형성하는 장식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에 의하면, 마네킹 신발이나 기타 다른 신발의 하부에 상황에 따라 알맞은 마네킹 신발 굽을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신발 굽 형태의 조절과 변경이 용이하며,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실제 신발 굽처럼 보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절 혹은 유행에 따라 자주 변경해야 하는 디스플레이용 마네킹 신발 굽의 제작 비용 및 교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네킹 신발 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댐부재가 부착된 마네킹 신발 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보조도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가 개방형 구조로 형성된 마네킹 신발 굽과 형태조절 신발 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구조로 형성된 마네킹 신발 굽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은,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10)는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구조이며, 마네킹 신발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힐의 굽 형상을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네킹 신발(20)의 형태에 따라 펌프스 굽, 통굽, 웨지힐, 플랫폼 굽, 부츠 굽 등 다양한 형태의 신발 굽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웨지힐과 같은 경우에는 중공형으로 발꿈치 하부 아래인 위치에 상부면(120)과 하부면(130)에 관통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120)에 두께가 거의 없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두꺼운 접착제, 자석, 벨트로, 후크식 결속부재, 버튼식 결속부재 등과 같은 결합부재(500)를 이용하여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에 힘이 가해졌을 때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면(120)은 마네킹 신발(20)의 하부와의 틈이 없도록 결합하기 위해 상부면(120)에 양면 테이프와 같이 두께가 거의 없는 결합부재(500)로 접착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재(500)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부면(120) 내부 아래에 고정시켜 상부면(130)이 평평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500)로 두께와 부피가 있는 접착제, 벨크로, 후크식 결속부재, 버튼식 결속부재, 자석과 같은 결합부재(500)들은 상부면(120)의 개폐식 구조에서 내부로 함몰시켜서 상부면(120)과 결속시 마네킹 신발 본체(20)와 마네킹 신발 굽(10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조절해서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재(500)는 상황에 따라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500)로 자석을 사용하다가 변경되는 마네킹 신발 굽(100)형태의 상황에 맞게 벨크로, 후크식 결속부재, 버튼식 결속부재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500)를 통해 상기 상부면(120)은 마네킹 신발(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에 힘이 가해졌을 때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 굽(100)은 종이, 혼합지, 비닐, 실리콘, 플라스틱, 스티로폼, 알루미늄, 섬유, 편직, 합성섬유, 가죽, 부직포, 닥지 등과 같이 가볍고 3차원적인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한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재료를 이용하여 마네킹 신발 굽(100)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마네킹 신발 굽(100)의 제조방법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구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발 굽 형상의 성형틀의 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건조한 후 성형틀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내부에 신발(20) 하부나 덧댐부재(150)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서 기획된 구조가 없는 중공형 구조일 수 있다(도 1의 점선은 비어있는 내부를 의미함). 이 때, 상부면(120) 또는 하부면(130)은 폐쇄된 구조일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네킹은 좌대(40)에 연결된 지지대(30)에 의해 유지되므로, 마네킹 신발굽(100)은 마네킹의 무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마네킹 신발굽(100)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단하면서 다루기에 용이하게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10)가 한지를 이용해 제조된 중공형 구조인 경우에는 신발 굽(100) 형상이 유지될 수 있을 만큼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장점이 있다.
도 4(a) 및 (b)는 신발(2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일반 신발 굽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일반 신발 굽 형상의 상부면(120')는 신발 중창이 둥근 발뒷꿈치 형상에 따르고, 본체의 하부에 못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 설치가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반 신발 굽에 관통구(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30)를 통해서 마네킹 발(10) 및 마네킹 신발(20) 하부도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도 4(b)는 지지대(30)가 통과하지 않은 일반 신발 굽을 나타낸 것으로, 도 4(b)의 일반 신발 굽은, 하나의 실시 예로, 상부면(120')의 오목한 깊이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 결합부재인 자석(510)을 사용하여 상부면(120')과 결합되는 신발(20) 하부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벨크로와 같은 결합부재(500)인 경우는 암수의 높이를 조절하여 오목한 상부면(120')에 들어가서 접착시키면서 마네킹 신발(20) 하부에도 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다양한 신발 굽도 활용할 수 있다.
반면, 도 4(c) 및 (d)는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 굽(100)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면(120)이 평평한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은 통상적인 신발 굽과 달리 함몰되어 있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네킹의 발(10)과 결속되는 지지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면(120)에는 상부 관통구멍(12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면(130)에는 하부 관통구멍(1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120)과 하부면(130)을 통과하는 각각 관통구멍(120a, 130a)을 만들어 지지대(30)가 관통하여 마네킹 신발(20) 본체와 신발 굽(100)을 결합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것 같이,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상부면(120)은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면(120)에 부피감이 없는 접착제와 같은 결합부재(500)를 사용하여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면(130)에는 덧댐부재(15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덧댐부재(15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뎅가로 하부면(130)에 부착시킨다. 상기 덧댐부재(150)는 착용자 하중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 본체부(110)를 보호하는 목적이지만 상기의 덧댐부재(150)는 높이에 따라서 마네킹 신발굽(100)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덧댐부재(150)를 부착함으로써 실제 신발 굽과 같아 보이는 효과도 있다.
상기 덧댐부재(150)를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부면(130)은 폐쇄된 평평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면(130)이 평평한 구조인 경우에는 커다란 압력을 가하지 않고 즉석에서 덧댐부재(150)를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마네킹 발(10)은 같은 높이라도 스타일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서 마네킹 뒷발꿈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마네킹 신발 굽(100)이 좌대(40)에 제대로 놓이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 제작된 본체부(110)는 바닥에 위치한 좌대(40)로부터 마네킹 발뒷꿈치까지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가 중공형 구조의 3차원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매장에서는 상기 본체부(110)를 소정의 높이로 정확히 수평으로 절단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굽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도구(200)를 활용할 수 있다.
보조도구(2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한지로 본체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 외형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한 후, 보조도구(200) 표면에 표시 구멍(210)을 형성하여 준비해 둔다. 이렇게 준비된 보조도구(200)는 보조도구(200)의 상부면을 통해서 본체부(110)를 삽입시켜 겹친 후, 표시 구멍(210)을 통해 본체부(100)에 원하는 높이 형태의 표시선을 그려 넣는다. 이 후, 상기 표시선을 따라 절단시키면 다른 형태의 마네킹 신발 굽(100)이 완성된다. 이러한 보조도구(200)를 이용하면 본체부(120) 측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수평절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면(130)은 홀(131)이 형성된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면(130)이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신발 조절굽(400)을 활용하여 마네킹 신발굽(100)의 형태, 예를 들어,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형 본체부(110)의 하부면(130)이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공형 본체부(110)의 내부로 신발 조절굽(400)을 넣어, 신발 조절굽(400)의 일부를 홀(131)을 통해 돌출시켜 마네킹 신발 굽(100)의 높이와 같은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마네킹 신발 굽(100)의 높이와 같은 형태를 조절한 후 결합부재(500) 예를 들어 접착제로 신발 조절굽(400)을 본체부(11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은 한지를 접어서 결합시킨 개폐식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개폐식 구조는 본체부(110)의 상부와 하부를 접어서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으로 이루어져 자연스럽게 막혀져 내부가 보이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식 구조의 접혀서 겹쳐진 면은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은 접혀져 있으므로 중간에 지지대(30)를 삽입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120)과 하부면(130)이 지지대(30)을 지지하며, 본체부(110)을 제대로 세울 수 있다.
또한,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이 볼록한 구조이거나 오목한 구조인 경우에는, 접혀진 상부면(120)을 본체부(110)의 안쪽으로 밀어 넣거나, 바깥으로 당겨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의 상황에 따라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의 한지를 접어서 형성된 개폐식 구조인 경우에는, 접혀진 상부면(120)이나 하부면(130) 주위의 본체부(110) 측면을 본체부(110)의 안쪽방향으로 접어 밀어 넣거나, 본체부(110)의 바깥방향으로 접어 올림으로써 마네킹 신발 굽(100)의 높낮이 또는 둘레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부면(120)이 한지를 접어서 결합시킨 개폐식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면(120)에 결합부재(500)를 부착시킬 시, 접어서 겹쳐지는 면을 접착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결합부재(500)의 높이나 크기 및 신발(20) 하부 형태에 따라서 상부면(120)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500)로 다양하게 적용되는데 예로서, 접착제, 벨크로(Velcro fastener), 후크식 결합 부재(hook clasp), 버튼식 결합 부재(button locker), 클립 결합(clip catch), 걸쇠를 가진 잠금 결합(locking connection with sash fastener), 자석(magnetic fasten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지를 접어서 결합시킨 구조의 상부면(120)은 한지가 가지는 유연한 특성 때문에 이러한 결합부재(500)과 결합된 이후 마네킹 신발(20) 하부와의 결합시 틈이 생기지 않도록 잘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120)에서 신발 굽 내부(heel breast)에는 접혀진 상태로 신발(20) 하부에 부착하고, 상부면(120) 나머지 부분은 접지 않고 펴서 신발(20) 뒷꿈치 외부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120)의 한지를 접어서 평평하게 만들어 중에서 두께감이 없는 접착제 같은 결합부재(500)를 마네킹 신발(20) 하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는 코르크, 종이, 혼합지, 비닐, 실리콘, 플라스틱, 스티로폼, 혼합재료, 부직포, 합성재료, 한지, 닥지, 닥죽 등 가볍고 단단한 재료로 채워 질 수 있으며, 닥죽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닥죽은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정제시켜서 죽처럼 한 것으로 한지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이다. 중공형 구조의 본체부(110)의 내부가 닥죽으로 채워지는 경우에는 본체부(110)가 보다 견고해져서 마네킹 본체의 하중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마네킹 신발 굽(100) 형상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가 닥죽으로 채워지는 경우에는, 지지대(3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표면에, 마네킹 신발 굽(100)과 결합되는 마네킹 신발(2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소재를 입힐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의 표면에 구멍을 형성한 후, 마네킹 신발 굽(100)과 결합되는 마네킹 신발(2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소재를 입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 표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마네킹 신발 굽(100)이 더욱 가볍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 굽(200)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마네킹 신발굽의 제조방법(S100)은, 성형틀 준비단계(S110), 성형재료 부착단계(S120), 성형틀 제거단계(S130), 성형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틀 준비단계(S110)는, 마네킹 신발(20)의 형태를 고려한 신발 굽 형상의 성형틀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신발 굽 형상은 마네킹 신발 굽(100)의 형태에 따라 펌프스 굽, 플랫폼 굽, 부츠 굽, 웨지힐, 통굽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후, 성형틀의 표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성형재료를 부착하고 건조시키는 성형재료 부착단계(S120)가 수행된다. 상기 성형재료는 종이, 혼합지, 비닐, 실리콘, 플라스틱, 스티로폼, 알루미늄, 철사, 섬유, 니트, 가죽, 부직포, 합성재료 등 가볍고 형태를 제작할 있는 재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지일 수 있다. 한지는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종이이다.
상기 한지는 염착 단계와 소재문양 단계를 거친 후 재단하고, 재단된 한지에 풀을 칠해서 성형틀의 표면에 부착하면서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성형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틀의 상부나 하부 중에 넓은 쪽을 개방하여 한지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염착 단계와 소재문양 단계를 거치게 되는 경우에는 마네킹 신발 굽(100)에 외부 표피를 감싸는 과정이 없이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성형틀에 한지를 부착할 때, 성형틀의 표면에 콩기름과 같은 기름을 꼼꼼히 바르고 한지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틀의 표면에 기름을 바르는 경우에는, 부착된 한지가 건조된 후 손쉽게 성형틀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재단된 한지를 성형틀에 붙이면서 건조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한지를 성형틀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발 굽(100)의 형상을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성형틀에 한지를 여러 겹 덧발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건조된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틀을 분리하는 성형틀 제거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술된 것과 같이, 개방하여 성형재료를 부착시킨 본체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을 통해 성형틀을 분리할 수 있다.
성형틀을 분리한 후, 건조된 성형재료의 개방된 일측을 성형재료로 붙이거나 접어서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때, 개방된 일측인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또는 하부면(130)을 풀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해 추가로 성형재료를 붙여서 봉함으로써 마네킹 신발 굽(100)을 성형할 수 있다. 성형재료가 한지인 경우에는 개방된 일측의 한지를 접어서 겹쳐진 부분을 접착함으로써 마무리하여 마네킹 신발 굽(100)을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마네킹 신발 굽(100)의 형상이 신발(20) 하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통굽 또는 가보시(앞굽)의 경우에는 마네킹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본체부(110)는 닥죽과 풀과 같은 재료를 혼합하여 채운 후 성형할 수 있는데 필요시 관통구(140)를 만들어 놓고 진행한다.
필요에 따라, 성형단계(S140)을 수행한 후, 성형된 마네킹 신발 굽(100)에 마네킹의 발(10)과 결속되는 지지대(3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120b, 130b)을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에 형성하는 관통구멍 형성단계(S15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 형성단계(S150)는 본체부(110) 성형 단계(S140)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굽(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하부면(130)에 덧댐부재(150)를 부착하는 덧댐부재 부착단계(S160)을 수행할 수 있다. 덧댐부재(15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뎅가로 하부면(13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네킹 신발굽(100)의 형태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성형단계(S140) 이후에 보조도구(200)와 신발 조절굽(400)을 이용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작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도구(200) 및 신발 조절굽(400)에 대하여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성형재료가 한지인 경우에는, 상기 성형재료 부착단계(S120)전에 한지를 착색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한지(600)를 착색하는 단계는 제조된 한지(600)를 염액에 담그거나, 한지(600)에 붓으로 칠을 하거나 또는 상기 한지(600)에 염액을 뿌리는 방법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지(600)는 강도가 강하여 찢어지지 않으므로 염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강도가 약한 한지(600)는 붓으로 칠을 하거나 또는 염액을 뿌려서 염색을 진행할 수 있다. 염색된 후에는 한지(600)에 매염처리를 하고, 충분히 수세를 한 뒤 건조함으로써 색상이 부여된 (600)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지(600)를 염색함으로써 다양한 색상 및 유행하는 색상의 마네킹 신발 굽(100)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지(600)를 착색한 후에 가죽과 같은 신발 소재의 느낌을 나타내기 위해서 한지 줌치기 기법, 한지 탈색기법, 한지 전지기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한지(600)전통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한지 줌치기 기법은 두겹 이상의 한지를 물에 적셔서 손바닥으로 굴리고 비벼가면서 마찰을 줘서 한지가 마치 천(섬유)과 같이 부드럽고 구김이 있는 질감을 갖도록 만들어 주는 기법으로 가죽의 자연스럽게 주름진 문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 탈색기법은 기존의 색상 한지에 약품으로 탈색하여 오래되어 바랜듯한 얼룩진 문양을 표현할 수 있으며, 한지전지기법은 다양한 색지의 한지를 밑에 놓은 후에 다른 한지에 문양의 윤곽선이 보이도록 내부를 제거한 후 붙이는 한지 기법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것과 같이 전통적인 한지공예기법을 이용하여 자연스런 마네킹 신발 굽의 가죽 소재의 문양을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소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의 마무리 처리 방법으로 콩기름칠, 옻칠, 풀칠, 합성 마감재 칠을 하여 한지의 견고성, 내구성 및 내수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소재 처리된 한지를 본체부의 크기에 따라 재단 한다. 한지를 재단할 때에는 여유분을 넉넉히 주고 가위로 자르는 대신 손으로 뜯어서 둔다.
재단된 한지의 외부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상되는 스티치, 덧댐부재, 버클, 단추, 밴드, 테슬 등의 부속품 문양뿐만 아니라 장식문양도 형성할 수 있다. 재단된 한지의 외부면에 문양들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전사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스텐실 인쇄, 옵셋 인쇄, 솔벤트 인쇄, UV 인쇄, 홀로그램 인쇄, 3D 렌티큘러 인쇄, 형광, 인광, 발광, 금박, 은박을 포함한 인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법을 활용하여 직접 부자재를 구매하여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마네킹 신발굽(100)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면(130)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한지의 전통공예기법과 인쇄법을 활용하여 덧댐부재(150)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덧댐부재(150)를 구매하여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마네킹 신발 굽(10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 성형단계(S140) 이후에,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문양과 장식부재를 형성하는 장식단계(S17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식의 예로서, 진주, 크리스탈, 매듭실, 칠보, 도자기, 보석, 털, 깃털, 가죽, 자개, 나무, 금속, 도금 소재, 플라스틱, 인조보석, 인조가죽 등의 재료로 한 장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 굽 형상의 성형틀을 준비하고, 준비된 성형틀에 닥죽, 용융된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을 주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네킹 신발 굽(100)을 제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마네킹 신발 굽(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신발 굽(100)에 의하면, 마네킹 신발(20)이나 기타 다른 신발의 하부에 상황에 따라 알맞은 마네킹 신발 굽(100)을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실제 신발 굽처럼 보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절 혹은 유행에 따라 자주 변경해야 하는 디스플레이용 마네킹 신발 굽의 제작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완성된 마네킹 신발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가볍고 단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일반 신발이나 장식용 신발 밑에 마네킹 신발 굽(100)으로 시각적인 효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용이하고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면서 비용 절감할 수가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마네킹 발 20: 마네킹 신발
30: 지지대 40: 좌대
100: 마네킹 신발 굽 110, 110': 본체부
120, 120': 상부면 130, 130': 하부면
120a, 130a: 관통구멍
131: 홀 140, 140': 관통구
150: 덧댐부재 200: 보조도구
210: 표시 구멍 400: 신발 조절굽
500: 결합부재 510: 자석

Claims (10)

  1.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신발 굽 형상의 성형틀의 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건조한 후 성형틀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구조이며, 마네킹 신발(20)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네킹 신발 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는 닥죽으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 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은 평평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130)은 평평한 구조이며,
    상기 하부면(130)에는 덧댐부재(15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 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및 하부면(130)에는 마네킹의 발(10)과 결속되는 지지대(4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 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130)는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 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120) 또는 하부면(130)중 어느 일 면은 한지가 접혀져 형성된 개폐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 굽.
  9. 신발 굽 형태의 성형틀을 준비하는 성형틀 준비단계(S110); 및
    성형틀의 표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성형재료를 부착하고 건조시키는 성형재료 부착단계(S120);
    건조된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틀을 분리하는 성형틀 제거단계(S130); 및
    건조된 성형재료의 개방된 일측을 성형재료로 붙여서 신발 굽 형상의 본체부(1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140);를 포함하는, 마네킹 신발 굽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재료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신발 굽의 제조방법.
KR1020190013266A 2019-02-01 2019-02-01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66A KR102074941B1 (ko) 2019-02-01 2019-02-01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66A KR102074941B1 (ko) 2019-02-01 2019-02-01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941B1 true KR102074941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266A KR102074941B1 (ko) 2019-02-01 2019-02-01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9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79A (ko) * 2012-10-09 2014-04-17 박초록 키 높이 높은 굽 부츠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5-0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네킹 신발
KR101924103B1 (ko) 2018-09-19 2018-11-30 정현주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79A (ko) * 2012-10-09 2014-04-17 박초록 키 높이 높은 굽 부츠
KR101489561B1 (ko) 2012-12-31 2015-0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네킹 신발
KR101924103B1 (ko) 2018-09-19 2018-11-30 정현주 유연한 마네킹 신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6995B (zh) 鞋及相关制造方法
US3921313A (en) Injection molded boots
US6038702A (en) Decorative patch
US20050066550A1 (en) Shoes with interchangeable strap covers
US20100186259A1 (en) Shoe and boot construction with attachable components
US20060101673A1 (en) Fabric design panels for wearing apparel
JPH04505107A (ja) 加熱エンボスされた靴
US9032574B2 (en) Footwear production method
CN106488715A (zh) 一种模块化鞋子
JP7265617B2 (ja) 装飾部品を受け入れる靴構造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靴
CN112739232B (zh) 柔软的人体模型鞋及其制造方法
WO2010078495A2 (en) Customizable wearable garments and accessories
KR102074941B1 (ko) 마네킹 신발 굽 및 그 제조방법
CN103182766A (zh) 溜冰鞋的3d鞋体的成型方法
JPS61502445A (ja) 人形及び人形の製造法
CN204914737U (zh) 立体感复合面料
US10973290B1 (en) Virtually seamless and shape-retaining bag with a flexible and soft material exterior
US2391445A (en) Counter portion for shoes
ITMI20090204U1 (it) Scarpa con cinturino intercambiabile
CN216293194U (zh) 一种鞋面
CN219877591U (zh) 具有压条的鞋面构造
KR20210011801A (ko) 자개 장식방법 및 자개 제품
US2004015901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rt of a sports boot
JP5775205B1 (ja) 履物用台座、その台座を使用した履物及びその台座の製造方法
AU2010100067A4 (en) Shoes with Detachable Decorative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