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198B1 -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198B1
KR101489198B1 KR20130163581A KR20130163581A KR101489198B1 KR 101489198 B1 KR101489198 B1 KR 101489198B1 KR 20130163581 A KR20130163581 A KR 20130163581A KR 20130163581 A KR20130163581 A KR 20130163581A KR 101489198 B1 KR101489198 B1 KR 10148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lope
panel
connecting member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박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텍
Priority to KR2013016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고, 시공상의 난점이 해소된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압판 및 연결재를 매개로 지반 보강용 인장재와 패널형 옹벽블록을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재 설치 각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취사면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그라우팅에 의해 정착된 지반 보강용 인장재; 판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상기 인장재가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장재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고정너트에 의해 상기 인장재와 결합되는 사면지압판; 상기 절취사면의 전방으로 이격하여 축조된 패널형 옹벽블록; 4개가 1조가 되어 각 후단부가 상기 사면지압판의 4지점에 결합되고 각 전단부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의 4지점에 결합된 연결재; 및 상기 절취사면과 패널형 옹벽블록 사이에 흙이 채워져 형성된 성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재 4개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의 4지점에서 상기 사면지압판 방향으로 수렴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Reinforced Earth Retaining Pane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of Cut Slope}
본 발명은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고, 시공상의 난점이 해소된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압판 및 연결재를 매개로 지반 보강용 인장재와 패널형 옹벽블록을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재 설치 각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 철도 등의 사회기간시설 공사를 위해 절토(切土) 또는 성토(盛土)에 의해 지형을 변경시키는 경우가 많다. 절토 또는 성토 지반을 그대로 방치하면 우천, 태풍 등에 의해 노출면의 토양이 외부로 유실되거나 지반이 붕괴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형성된 경사지에 대해서는 제반 조건에 따라 소일네일링, 어스앵커링, 락볼팅 등의 여러 가지 보강 공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경사지의 표면도 철근콘크리트 구조, 보강토 옹벽 구조 등으로 보강한다. 이중 보강토 옹벽 구조는 원 경사지반 앞에 옹벽블록, 옹벽패널 등을 쌓아 올리는 것인데, 옹벽블록(옹벽패널 포함, 이하 동일)과 원 경사지반 사이에는 뒷채움 흙을 층층이 채워 다진다. 상기 뒷채움 흙에 의한 성토부의 안정성 강화를 위해서 뒷채움 흙의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를 포설하여 뒷채움 흙의 층간 마찰력을 높이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지오그리드와 옹벽블록을 결합시킴으로써 지오그리드를 매개로 옹벽 블록과 성토부를 일체화시키고, 성토부의 자중을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에 이용하는 방법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설계 기준 등에는 지오그리드 시공의 경우 지오그리드 보강길이는 조건에 따라 보강토 옹벽 높이의 약 0.7배를 유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지오그리드 보강길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절토 면적을 최소화하여 기존 시설을 활용하면서 시공해야하는 기존 성토부 또는 자연훼손을 적게 하기 위해 절토면적을 작게하는 절토부에서는 위와 같은 규정에 부합하는 지오그리드 시공을 할 수 없었다.
1. 특허 제0467170호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2. 특허 제0835632호 "절취사면 보강토 옹벽 공법"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 등의 시공 없이 절취사면이 형성된 원 지반의 보강을 위해 시공된 소일네일, 어스앵커, 락볼트 등의 인장재에 연결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재와 옹벽블록을 결합시킴으로서 지반과 옹벽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킨 옹벽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 보강용 인장재의 정착력을 옹벽 안정화를 위한 장력으로 도입하면서, 시공상의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한 연결재 설치 각도 등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절취사면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그라우팅에 의해 정착된 지반 보강용 인장재; 판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상기 인장재가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장재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고정너트에 의해 상기 인장재와 결합되는 사면지압판; 상기 절취사면의 전방으로 이격하여 축조된 패널형 옹벽블록; 4개가 1조가 되어 각 후단부가 상기 사면지압판의 4지점에 결합되고 각 전단부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의 4지점에 결합된 연결재; 및 상기 절취사면과 패널형 옹벽블록 사이에 흙이 채워져 형성된 성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재 4개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의 4지점에서 상기 사면지압판 방향으로 수렴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은,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확공되도록 형성된 4개의 테이퍼홀; 및 상기 테이퍼홀의 전단을 커버하고 중앙에서 전후면으로 확공되는 양방확공공이 형성된 블록지압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재는 강봉형으로서, 전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부의 일단 외측에 콘형의 볼트머리가 형성된 콘볼트; 및 콘형 몸체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콘너트; 에 의해 상기 연결재 전단부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재 전단부가 상기 콘볼트의 원통부 내주연과 나사결합한 상태로 상기 블록지압판의 양방확공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콘볼트의 원통부 외주연과 상기 콘너트의 관통홀이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콘너트의 몸체와 상기 콘볼트의 볼트머리가 상기 블록지압판의 양방확공공 전·후방에 각각 끼워져 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재는 강봉형으로서, 후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면지압판은 중앙에서 전후면으로 확공되는 양방확공공이 4개 형성되어 있으며, 콘형 몸체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콘너트; 에 의해 상기 연결재 후단부가 상기 사면지압판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재 후단부가 상기 사면지압판의 양방확공공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2개의 콘너트가 상기 사면지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재 후단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콘너트 2개가 상기 사면지압판의 양방확공공 전·후방에 각각 끼워져 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를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패널형 옹벽블록의 4지점에 연결재가 결합되어 토압에 의한 편심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벽벽체의 틀어짐, 기울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에 따른 오차를 각각의 연결지점에서 해소할 수 있다.
2. 지반 보강용 인장재의 정착력을 옹벽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장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옹벽블록과 지반 사이의 뒷채움흙 다짐작업, 지오그리드 포설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다.
3. 종래에 시공이 어려웠던 패널형 옹벽블록 축조에 의한 패널 옹벽 설치가 가능하며, 인장재와 패널형 옹벽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재의 설치각도가 유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지반 보강용 인장재 설치 위치 변화, 패널형 옹벽블록 축조 위치 변화 등 시공상의 여러 가지 오차에 관계없이 손쉽게 패널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면지압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형 옹벽블록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패널형 옹벽블록에 형성된 테이퍼홀의 역할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볼트와 콘너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패널형 옹벽블록과 연결재 전단부간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블록지압판에 형성된 양방확공공과 콘볼트 원통부의 역할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사면지압판에 인장재와 연결재 후단부의 결합시킨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사면지압판의 양방확공공 전후방에 각각 콘너트가 결합하여 연결재 후단부를 고정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절취사면(11)이 형성된 지반(10)과 옹벽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연결재(50)를 매개로 패널형 옹벽블록(40)을 지반 보강용 인장재(20)에 엮어 매는 구조를 취한 것이다.
상기 인장재(20)는 지반(10) 절취사면(11)의 천공홀(12)에 삽입되어 그라우팅에 의해 정착된 지반 보강재이다. 본 발명의 옹벽 설치구조는 소일네일링 공법, 어스앵커링 공법, 락볼팅 공법 등의 절취사면 보강공법과 연계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에서는 상기 인장재의 예로 철근 4개가 1조로 적용되는 다철근 네일을 도시하였다.
상기 인장재(20)의 일단부는 지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인장재(20)의 돌출부(21)에는 사면지압판(30)을 끼워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사면지압판(30)에는 상기 인장재(20)의 돌출부(21)를 끼우기 위한 통공(3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후술할 연결재(50) 설치를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중앙에서 전후면으로 확공되는 양방확공공(32)을 체결공으로 적용한다. 상기 사면지압판(30)의 양방확공공(32)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2]는 철근 4개가 1조를 이루는 인장재의 돌출부 끼움을 위한 통공(31) 4개와 연결재(50) 4개의 결합을 위한 양방확공공(32) 4개가 형성된 사면지압판(3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사면지압판(30)은 상기 인장재(50)의 돌출부(51)와 결합하는 고정너트(25)에 의해 상기 인장재(50)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너트(25)는 경우에 따라 상기 사면지압판(30)의 전면측에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상기 사면지압판(30)이 절취사면(11)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면지압판(30)의 전후면측에 각각 결합시켜 조일 수 있다.
상기 절취사면(11)의 전방으로는 패널형 옹벽블록(40)을 축조한다.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10) 위에 축조할 수 있으며, 상기 기초블록(10)은 바닥콘크리트(100) 위에 배치하고 기초파일(120)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은 연결재(50)를 매개로 사면지압판(30)과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 축조 과정에서의 전도(顚倒)를 방지하고 보강토 옹벽 설치 후 토압에 의한 옹벽 붕괴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사면지압판(30) 1개와 패널형 옹벽블록(40) 1개는 4개의 연결재(50)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재(50)는 4개가 1조가 되어 그 전단부(51)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4지점에 결합되고, 그 후단부(52)는 각각 상기 사면지압판(30)의 4지점에 결합된다. 절취사면(11)에 형성된 천공홀(12)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그 천공홀(12)을 덮는 사면지압판(30)과 옹벽을 구성하는 단위체인 패널형 옹벽블록(40)이 1:1로 대응하여 결합하므로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은 상대적으로 대면적이 되고, 상기 사면지압판(30)은 상대적으로 소면적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재(50) 4개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4지점에서 상기 사면지압판(30) 방향으로 수렴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다만 상기 사면지압판(30) 설치위치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축조 위치를 정확히 맞추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시공상 상기 연결재(50)의 설치각도와 설치길이가 부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연결재(50)의 설치각도 및 설치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연결재(50)의 전단부(51)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간의 결합구조([도 1]의 상세 "A", [도 6] 및 [도 7] 참조)와 상기 연결재(50)의 후단부(52)와 상기 사면지압판(30) 간의 결합구조([도 1]의 상세 "B", [도 8] 및 [도 9] 참조)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A", "B" 부분의 특징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연결재(50)의 설치 각도와 길이에 다소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시공에 어려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재(50)의 전단부(51)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간의 결합을 위해 다음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확공되도록 형성된 4개의 테이퍼홀(41) 및 상기 테이퍼홀(41)의 전단을 커버하고 중앙에서 전후면으로 확공되는 양방확공공(71)이 형성된 블록지압판(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재(50)는 강봉형으로서, 그 전단부(51)에는 수나사산을 형성시킨다. 상기 테이퍼홀(41)은 상기 연결재(50)가 지나는 통로가 되는데, 상기 연결재(50)의 진입 각도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테이퍼홀(41)의 단면 형상에 의해 연결재(50)의 진입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 상기 연결재(50)의 설치각도는 패널형 옹벽블록(40)과 사면지압판(30)의 상대적 위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데, [도 4]는 연결재(50) 설치각도의 오차 발생과 테이퍼홀(41)이 그러한 오차를 수용하는 상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패널형 옹벽블록(40)에 테이퍼홀(41)이 아닌 동일 직경으로 연속되는 홀이 형성된다면 위와 같은 오차를 수용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재(50)의 전단부(51)를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에 정착시키기 위한 블록지압판(70)이 상기 테이퍼홀(41)의 전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 중 상기 연결재(50)의 전단부(51)가 정착되는 부분에 함입부(44)를 형성시키고 상기 함입부(44) 바닥면에 상기 블록지압판(7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을 상하좌우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축조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패널형 옹벽블록(40)과 홈-턱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는 끼움홈(42)과 끼움턱(4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재(50)의 전단부(51)를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볼트(80)와 콘너트(90)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콘볼트(80)는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부(81)의 일단 외측에 콘형의 볼트머리(8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콘너트(90)는 콘형 몸체의 중앙에 관통홀(9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콘볼트(80)의 원통부(81)가 상기 콘너트(90) 관통홀(9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6]은 상기 콘볼트(80) 및 콘너트(90)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과 연결재(50) 전단부(51)간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재(50) 전단부(51)가 상기 콘볼트(80)의 내주연과 나사결합한 상태로 상기 블록지압판(70)의 양방확공공(71)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콘볼트(80)의 원통부(81) 외주연과 상기 콘너트(90)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콘너트(90)의 몸체와 상기 콘볼트(80)의 볼트머리(82)가 상기 블록지압판(70)의 양방확공공(71) 전·후방에 각각 끼워져 물리게 된다.
[도 7]의 (a)는 블록지압판(70)에 형성된 양방확공공(71)의 역할에 관한 모식도로서, 상기 양방확공공(71) 전·후방에 각각 콘너트(90)와 콘볼트(80)의 볼트머리(82)가 끼워져 물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50)는 시공상황에 따라 설치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너트(90)와 콘볼트(80)가 상기 양방확공공(71)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유격이 발생토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것에 구애받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유격공간은 상기 양방확공공(71)의 형태적 특징에 의해 형성된다.
[도 7]의 (b)는 상기 콘볼트(80) 원통부(81)의 역할에 관한 모식도이다. 시공상황에 따라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기울기 또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과 절취사면(11)간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데, 연결재(50)를 위와 같은 거리차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길이로 제작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볼트(80)의 원통부(81)를 매개로 콘볼트(80)와 콘너트(9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연결재(5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콘볼트(80) 내에서 나사결합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연결재(50)의 길이를 다변화하여 적용하지 않고도 시공상황에 따른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기울기 또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과 절취사면(11) 간의 거리 조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블록지압판(70)을 매개로 전단부(51)가 패널형 옹벽블록(40)과 결합된 연결재(50)는 그 후단부(52)가 상기 사면지압판(30)에 결합된다. 상기 사면지압판(30)은 지반 보강을 위해 설치된 인장재(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면지압판(30)을 매개로 연결재(50) 후단부(52)가 상기 인장재(20)와 결합되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패널형 옹벽블록(40)이 그 자중이나 성토부(60)에서 발생하는 측압에 의해 옹벽 바깥쪽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재(50)를 지반(10) 쪽으로 강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사면지압판(30)에 고정시켜야 한다.
[도 8]은 사면지압판(30)에 인장재(20) 돌출부(21)와 연결재(50) 후단부(52)를 결합시킨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사면지압판(30)에 형성된 4개의 양방확공공(32)에 각각 연결재(50) 후단부(52)가 끼워진 상태에서 콘너트(9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콘너트(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형 몸체의 중앙에 관통홀(9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91)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것이다. 다만, 관통홀(91)의 직경은 필요에 맞도록 제조하거나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상의 설명 및 도면에 의해 상기 콘볼트(80)의 원통부(81)와 체결되는 콘너트(90)의 관통홀(91)이 상기 연결재(50) 후단부(52)와 직접 체결되는 콘너트(90)의 관통홀(91) 보다는 크게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연결재(50) 후단부(52)가 상기 사면지압판(30)의 양방확공공(32)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2개의 콘너트(90)가 상기 양방확공공(32)의 상기 사면지압판(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재(50) 후단부(52)와 각각 나사결합하여, 상기 양방확공공(32) 전·후방에 각각 끼워져 물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9]는 사면지압판(30)의 양방확공공(32) 전·후방에 각각 콘너트(90)가 결합하여 연결재(50) 후단부(52)를 고정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재(50)의 설치각도는 다소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콘너트(90)가 사면지압판(30)의 양방확공공(32)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유격이 발생토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것에 구애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연결재(50)의 전단부(51)와 패널형 옹벽블록(40)에 구비된 블록지압판(70)간의 결합구조와 상기 연결재(50)의 후단부(52)와 사면지압판(30) 간의 결합구조는 모두 상기 연결재(50)의 설치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테이퍼홀(41) 역시 상기 연결재(50)의 설치각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연결재(50)의 설치거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연결재(50) 전단부(51)쪽에 콘볼트(80)와 콘너트(90)를 함께 적용하였다.
상기 절취사면(11)과 패널형 옹벽블록(40) 사이에는 흙이 채워져 성토부(60)가 형성된다. 종래 보강토 옹벽의 성토부는 층층이 견고하게 다지고 일정 층간마다 층간 마찰력 강화를 위한 지오그리드를 시공한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은 지반과 옹벽이 인장재(20) 및 연결재(50)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견고한 다짐이나 지오그리드 시공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지반 11 : 절취사면 12 : 천공홀
20 : 인장재 21 : 돌출부 25 : 고정너트
30 : 사면지압판 31 : 통공 32 : 양방확공공(사면지압판)
40 : 패널형 옹벽블록 41 : 테이퍼홀 42 : 끼움홈
43 : 끼움턱 44 : 함입부
50 : 연결재 51 : 전단부(연결재) 52 : 후단부(연결재)
60 : 성토부
70 : 블록지압판 71 : 양방확공공(블록지압판)
80 : 콘볼트 81 : 원통부 82 : 볼트머리
90 : 콘너트 91 : 관통홀
100 : 바닥 콘크리트 110 : 기초블록 120 : 기초파일

Claims (3)

  1. 절취사면(11)의 천공홀(12)에 삽입되어 그라우팅에 의해 정착된 지반 보강용 인장재(20);
    판면에 형성된 통공(31)으로 상기 인장재(20)가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장재(20)의 돌출부(21)와 결합하는 고정너트(25)에 의해 상기 인장재(20)와 결합되는 사면지압판(30);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확공되도록 형성된 4개의 테이퍼홀(41) 및 상기 테이퍼홀(41)의 전단을 커버하고 중앙에서 전후면으로 확공되는 양방확공공(71)이 형성된 블록지압판(70)을 구비하고, 상기 절취사면(11)의 전방으로 이격하여 축조된 패널형 옹벽블록(40);
    4개가 1조가 되어 각 후단부(52)가 상기 사면지압판(30)의 4지점에 결합되고 수나사산이 형성된 각 전단부(51)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4지점에 결합된 강봉형의 연결재(50);
    상기 절취사면(11)과 패널형 옹벽블록(40) 사이에 흙이 채워져 형성된 성토부(60);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통부(81)의 일단 외측에 콘형의 볼트머리(82)가 형성된 콘볼트(80); 및
    콘형 몸체의 중앙에 관통홀(9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91) 내주연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콘너트(9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재(50) 4개는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의 4지점에서 상기 사면지압판(30) 방향으로 수렴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콘볼트(80) 및 상기 콘너트(90)에 의해 상기 연결재(50) 전단부(51)가 상기 패널형 옹벽블록(40)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재(50) 전단부(51)가 상기 콘볼트(80)의 원통부(81) 내주연과 나사결합한 상태로 상기 블록지압판(70)의 양방확공공(71)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콘볼트(80)의 원통부(81) 외주연과 상기 콘너트(90)의 관통홀(91)이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콘너트(90)의 몸체와 상기 콘볼트(80)의 볼트머리(82)가 상기 블록지압판(70)의 양방확공공(71) 전·후방에 각각 끼워져 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연결재(50)는 후단부(52)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면지압판(30)은 중앙에서 전후면으로 확공되는 양방확공공(32)이 4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너트(90)에 의해 상기 연결재(50) 후단부(52)가 상기 사면지압판(30)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재(50) 후단부(52)가 상기 사면지압판(30)의 양방확공공(32)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2개의 콘너트(90)가 상기 사면지압판(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재(50) 후단부(52)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양방확공공(32) 전·후방에 각각 끼워져 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KR20130163581A 2013-12-26 2013-12-26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KR10148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3581A KR101489198B1 (ko) 2013-12-26 2013-12-26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3581A KR101489198B1 (ko) 2013-12-26 2013-12-26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198B1 true KR101489198B1 (ko) 2015-02-04

Family

ID=5259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3581A KR101489198B1 (ko) 2013-12-26 2013-12-26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1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099B1 (ko) * 2017-03-17 2017-11-02 한창헌 사면 전방 성토부 벽체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전방 성토 공법
KR101822412B1 (ko) * 2017-11-22 2018-01-29 (주)알지오기술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KR101869060B1 (ko) * 2017-08-02 2018-07-19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블록을 이용한 옹벽
KR102052336B1 (ko) 2018-08-27 2019-12-06 주식회사 정원지오텍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CN113073670A (zh) * 2021-03-18 2021-07-0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落深基础的侧模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161794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7005428A (zh) * 2023-06-08 2023-11-07 西南交通大学 边坡加固结构、施工方法及锚索尺寸的确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17A (ja) 2005-01-31 2006-08-10 Infuratetsuku Kk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031583B1 (ko) * 2009-01-16 2011-04-27 (주)기성지앤비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2972B1 (ko) * 2012-09-11 2012-12-20 철 장 멀티보강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17A (ja) 2005-01-31 2006-08-10 Infuratetsuku Kk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031583B1 (ko) * 2009-01-16 2011-04-27 (주)기성지앤비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2972B1 (ko) * 2012-09-11 2012-12-20 철 장 멀티보강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099B1 (ko) * 2017-03-17 2017-11-02 한창헌 사면 전방 성토부 벽체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전방 성토 공법
KR101869060B1 (ko) * 2017-08-02 2018-07-19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블록을 이용한 옹벽
KR101822412B1 (ko) * 2017-11-22 2018-01-29 (주)알지오기술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KR102052336B1 (ko) 2018-08-27 2019-12-06 주식회사 정원지오텍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CN113073670A (zh) * 2021-03-18 2021-07-0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落深基础的侧模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161794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11386B1 (ko) 2021-05-31 2023-03-1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7005428A (zh) * 2023-06-08 2023-11-07 西南交通大学 边坡加固结构、施工方法及锚索尺寸的确定方法
CN117005428B (zh) * 2023-06-08 2024-01-30 西南交通大学 边坡加固结构、施工方法及锚索尺寸的确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198B1 (ko) 절취사면에 대한 패널 옹벽 설치구조
KR101463231B1 (ko)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
JP5272923B2 (ja) 土留構造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565154B1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101373674B1 (ko)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088161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
JP4999773B2 (ja) 斜面安定化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支圧部材
KR101822412B1 (ko)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KR101656015B1 (ko) 사면 보강용 자연 암반 패널식 옹벽
KR102107793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고정 장치
KR101721451B1 (ko) 도로 침하 방지패널
KR101334792B1 (ko) 높낮이 조절형 맨홀뚜껑 시스템
KR101445369B1 (ko) 연결구를 이용한 쏘일네일링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41996B1 (ko) 블록을 이용한 옹벽
JP2005127012A (ja) 土留用アンカー
KR20120111522A (ko) 지반 성토용 타이케이블
JP6138887B2 (ja) 土留板
JP6258638B2 (ja) 山留め材継手金物および山留め支保工
JP201522758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と梁との接合構造
KR200194424Y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KR102612246B1 (ko) 영구식 사면 보강용 쏘일 네일링 구조
KR102120216B1 (ko) 쏘일 네일용 선단 보강헤드
JP7341579B1 (ja) 擁壁の補強工法
JP4472476B2 (ja) 傾斜地盤安定具及び傾斜地盤安定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