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974B1 - 완충형 교명주 - Google Patents

완충형 교명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974B1
KR101488974B1 KR20130039200A KR20130039200A KR101488974B1 KR 101488974 B1 KR101488974 B1 KR 101488974B1 KR 20130039200 A KR20130039200 A KR 20130039200A KR 20130039200 A KR20130039200 A KR 20130039200A KR 101488974 B1 KR101488974 B1 KR 10148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housing
unit
space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472A (ko
Inventor
임윤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원
Priority to KR2013003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9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형 교명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교명이 새겨진 교명패널이 설치된 하우징과, 수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완충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부재와, 제1완충공간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부와, 하우징의 제2완충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주와, 지주를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는 제1 및 제2완충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다단으로 흡수하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운전자를 보호하고, 교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완충형 교명주{Newel post having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형 교명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의 충돌시 차량의 운전자를 보호하고, 교각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완충형 교명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명주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인 도로나 교량의 시점 또는 종점에 도로 또는 교량의 명칭이나 행정구역 상의 지명 등을 나타내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교명주는 풍파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하기 위해 통상 부피와 강성이 큰 화강석 등의 석재를 가공하여 지면 위에 고정설치 되는 것으로서, 특히 야간의 차량운행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 충돌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교명주의 재질 및 고정형 설치구조로 인해 그 충격력이 차량과 탑승자의 신체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차량은 물론 탑승자에게도 치명적인 피해를 주게 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상기한 교명주에 대한 접촉사고가 일정 횟수 누적되는 경우 교명주에도 다수의 크랙이 발생하는바 이는 차후 낙석의 발생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이 마련된 완충형 교명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교명이 새겨진 교명패널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완충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부재와, 상기 제1완충공간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완충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주와, 상기 지주를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발전하는 태양전지패널이 마련된 발전부와, 상기 교명패널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마련된 발광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층층이 배열되는 다수의 완충부재로 형성되며, 가장 바깥층부터 폐타이어로 형성된 제1완충부재와, 합성수지 재질의 주름관으로 형성된 제2완충부재와, 모래가 내부에 채워진 비닐튜브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완충부재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재는 내부에 상기 지주 및 제2완충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완충부재는 상기 비닐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닐튜브로 외부의 충격이 전달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비닐튜브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다수회 권취된 나선형으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방으로 볼록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지가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완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완충공간 내에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완충부는 다수의 단위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단위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완충재들은 각각의 전체부피에 대한 상기 내부공간의 부피의 비가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다수의 제설용 모래주머니가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는 제1 및 제2완충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다단으로 흡수하므로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운전자를 보호하고, 교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완충형 교명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의 제3완충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완충형 교명주(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교명이 새겨진 교명패널(211)이 설치된 하우징(200)과, 상기 수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완충공간(301,302)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부재(300)와, 상기 제1완충공간(301)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부(410)와, 상기 하우징(200)의 제2완충공간(302) 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주(420)와, 상기 지주(420)를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부(430)와,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발전하는 발전부와,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되며, 발전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한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220)를 구비한다.
본체(210)는 운전자들이 운행 중인 도로나 교량의 시점 또는 종점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210)는 고정볼트에 의해 지면에 볼팅되거나 하부의 일부가 지면 내이 매립되어 고정된다.
본체(210)의 전면은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방으로 볼록하게 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의 전단부도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본체(210)의 후면은 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210)의 전면에는 교명이 새겨진 교명패널(21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212)이 형성되며,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지(2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사지(214)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운전자에게 재귀반사시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반사지(214) 이외에도 형광도료를 본체(210)의 전면에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210)는 수용공간의 후방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213)을 더 구비한다. 상기 수납공간(213)에 제설용 모래주머니(215)나 염화칼슘이 채워진 포대 등을 보관한다. 이외에도 제설장비나 청소도구를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덮개(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21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덮개(220)는 본체(210)의 상단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거나 볼트 등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체(210)와 덮개(220)로 이루어진 하우징(200)의 소재는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추돌시 찌그러져 변형을 일으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합성수지 소재의 경우 차량의 추돌시 파편을 발생시켜 2차 사고의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이용되는 금속소재의 하우징(200)은 파편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우징(200)은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재(300)는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지주(420) 및 제2완충부(4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구획부재(300)는 본체(210)의 전면에 대해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본체(210)의 수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완충공간(301,302)으로 구획하기 위해 본체(210) 내부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본체(210) 내부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구획부재(300)에 의해 본체(210)의 전면과 구획부재(300) 사이에 제1완충공간(301)이 형성되고, 구획부재(300)의 내부 중공에 제2완충공간(302)이 형성된다.
제1완충부(410)는 본체(210) 내의 제1완충공간(301)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본체(210)의 전면과 구획부재(300) 사이에 우레판폼이 충진되고 경화되어 형성된다. 제1완충부(410)는 우레탄폼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210)의 전면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나 스티로폼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주(420)는 구획부재(300)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제2완충부(430)를 지지한다. 지주(420)는 상하단이 각각 본체(210)의 바닥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본체(210) 내부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420)는 제2완충부(430)를 통해 적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변형되지 않지만,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휘거나 부러지는 등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차량에 반작용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크게 감소시켜 운전자의 사상이나 차량의 심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제2완충부(43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지주(42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하우징(200)을 통해 전달되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완충부(430)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완충부재들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재들은 지주(420)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으로 층층이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장 바깥에 흡수량이 가장 큰 완충부재를 설치하고,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흡수량이 작은 완충부재를 설치해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2완충부(430)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바깥층에는 폐타이어로 형성된 제1완충부재(431)가 형성되고, 제1완충부재(431)의 내측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주름관으로 형성된 제2완충부재(432)가 형성되고, 제2완충부재(432)의 내측에는 모래가 내부에 채워진 비닐튜브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완충부재(433)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1완충부재(431)는 다수의 폐타이어를 본체(210)의 바닥에 상방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폐타이어의 전면은 호형 형상의 본체(210)의 전면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완충부재(431)는 폐타이어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과 폐타이어의 재질 자체에 의해 본체(21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제2완충부재(432)로는 주름관을 이용하며, 주름관은 제1완충부재(431)인 폐타이어의 내경을 형성하는 원형의 내측공간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제2완충부재(432)로 이용되는 주름관으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이중벽관이나 삼중 벽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름관은 외주면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 폐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충격을 분산시켜 제3완충부재(43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완충부재(431)와 제2완충부재(432) 사이에는 발포형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완충부재(431)와 제2완충부재(432) 간에 접착력을 강화시키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발포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폐타이어의 내부 빈 공간에 충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완충부재(433)는 제2완충부재(432)로 이용되는 주름관의 내부에 채워진다. 제3완충부재(433)는 비닐튜브의 내부에 모래를 채워 지주(420)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한다. 비닐튜브는 플렉시블한 비닐 소재로 형성되어 모래를 결속시킨다.
발전부는 본체(210)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발전하는 것으로서, 덮개(220)의 상면에 설치된 태양전지패널(501)과, 태양전지패널(501)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전지패널(501)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태양전지로 이루어진다.
발광부는 본체(210)의 전면에 설치된 교명패널(211)에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삽입홈(21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엘이디(502)를 구비한다. 상기 엘이디(502)는 발전부의 충전지에 연결되어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한다.
이때, 발광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210)에 설치되어 본체(210)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와, 상기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 데이터를 토대로 엘이디(5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이 기 설정된 광량보다 높으면, 낮시간으로 판단하여 충전지에서 엘이디(502)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이 기설정된 광량보다 낮으면, 밤시간으로 판단하여 충전지에서 엘이디(502)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발광부의 엘이디(502)에 의해 밤시간에도 교명패널(211)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발광부는 발전부를 통해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므로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완충형 교명주(100)에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차량이 가하는 충격은 1차적으로 하우징(200)에 전달된다. 하우징(200)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져 변형을 일으켜 1차적으로 일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완충부(430)로 충격이 전달된다. 하우징(20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은 제1완충부(410)에 의해 일부가 흡수되어 제2완충부(430)로 전달된다.
먼저, 제1완충부재(431)에 충격이 전달되면 폐타이어가 변형이 되면서 충격의 대부분이 흡수되고, 나머지 충격은 순차적으로 제2완충부재(432)와 제3완충부재(433)를 통해 흡수된다. 그리고 제3완충부재(433)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 일정 이상이면 지주(420)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차량에 반작용으로도 가해지는 충격을 크게 감소시킨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완충부(5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완충부(510)는 제1완충공간(301)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단위완충재(511)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210)는 제1완충공간(301)을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제1완충공간(301) 내에 다수의 격벽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단위공간들에 각각 단위완충재(511)가 삽입된다.
단위완충재(511)는 각 단위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우레탄폼으로 형성된다. 단위완충재(511)는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단위홀(512)이 마련된다. 이때, 단위완충재(511)들은 각각의 전체부피에 대한 각 단위홀(512)의 부피의 비가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즉, 전방에 위치한 단위완충재(511)보다 후방에 위치한 단위완충재(511)의 단위홀(512)의 갯수가 적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위완충재(511)는 각 단위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갖는 거푸집에 우레탄폼을 충진하여 제작하며, 단위홀(512)은 거푸집 내에 다수의 튜브를 삽입하고, 우레탄폼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튜브를 제거하여 형성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완충부(510)가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단위완충재(511)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의 충돌로 발생된 충격이 단위완충재(511)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흡수되며, 전방의 단위완충재(511)는 단위홀(512)의 비율이 높아 충격이 인가시 외형변형률이 높아 비교적 큰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고, 후방으로 갈수록 변형률이 적은 단위완충재(511)들이 배열되어 있어 하우징(200)의 외형 변형을 최소화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완충부(5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완충부(520)는 모래가 충진된 제3완충부재(433)의 비닐튜브(522) 내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521)을 더 구비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521)은 비닐튜브(5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다수외 권취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비닐튜브(522)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형성된 코일 스프링(521)은 비닐튜브(522) 내에 모래와 함께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이 전달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충격력을 상쇄하며, 비닐튜브(522)가 외형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완충형 교명주
200: 하우징
210: 본체
220: 덮개
300: 구획부재
410: 제1완충부
420: 지주
430: 제2완충부
431: 제1완충부재
432: 제2완충부재
433: 제3완충부재
501: 태양전지패널
502: 엘이디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교명이 새겨진 교명패널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완충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부재와;
    상기 제1완충공간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완충공간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주와;
    상기 지주를 둘러싸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층층이 배열되는 다수의 완충부재로 형성되며,
    가장 바깥층부터 폐타이어로 형성된 제1완충부재와, 합성수지 재질의 주름관으로 형성된 제2완충부재와, 모래가 내부에 채워진 비닐튜브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완충부재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완충부재의 비닐튜브 내부에는 상기 비닐튜브로 외부의 충격이 전달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비닐튜브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다수회 권취된 나선형으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교명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발전하는 태양전지패널이 마련된 발전부와;
    상기 교명패널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마련된 발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교명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내부에 상기 지주 및 제2완충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교명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방으로 볼록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교명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완충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완충공간 내에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완충부는 다수의 단위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단위홀이 마련된 다수의 단위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완충재들은 각각의 전체부피에 대한 상기 단위홀의 부피의 비가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교명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다수의 제설용 모래주머니가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교명주.
KR20130039200A 2013-04-10 2013-04-10 완충형 교명주 KR10148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200A KR101488974B1 (ko) 2013-04-10 2013-04-10 완충형 교명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200A KR101488974B1 (ko) 2013-04-10 2013-04-10 완충형 교명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72A KR20140122472A (ko) 2014-10-20
KR101488974B1 true KR101488974B1 (ko) 2015-02-02

Family

ID=5199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200A KR101488974B1 (ko) 2013-04-10 2013-04-10 완충형 교명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9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57Y1 (ko) * 2001-02-12 2001-09-28 김태희 커버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0348707B1 (ko) * 1999-11-25 2002-08-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330001Y1 (ko) * 2003-07-14 2003-10-17 신도산업 주식회사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0844210B1 (ko) * 2008-03-18 2008-07-04 주식회사 거원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707B1 (ko) * 1999-11-25 2002-08-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242757Y1 (ko) * 2001-02-12 2001-09-28 김태희 커버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330001Y1 (ko) * 2003-07-14 2003-10-17 신도산업 주식회사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0844210B1 (ko) * 2008-03-18 2008-07-04 주식회사 거원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472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85B1 (ko) 교각의 충격 흡수 시스템
US4666130A (en) Expanded cell crash cushion
KR101150938B1 (ko) 충격흡수장치
AU2018200397A1 (en) Highway Protection Barrier
JP2008045744A (ja) エネルギ吸収構造物、トリムコンポーネント、エネルギ吸収装置及びエネルギ吸収チューブの設計方法
CN209798608U (zh) 一种市政道路防撞缓冲装置
KR101488974B1 (ko) 완충형 교명주
KR100844210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CN110863468A (zh) 桥墩防撞气囊套箱装置
KR102418841B1 (ko) 보행자 보호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20020038016A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1016917B1 (ko) 도로의 안전 및 조명 시스템
EP1695874A1 (en) Cushion for crash attenuation system
KR101078225B1 (ko) 친환경 충격흡수시설
KR20100134380A (ko) 대형 선박 구조물 지지용 경량 서포트 블록
CN211285435U (zh) 一种公路施工安全用气式防撞墩
CN205033938U (zh) 油箱
KR101342983B1 (ko) 충진 블록을 구비한 도로 경계 장치
KR20090004498A (ko) 사각 펜더
KR200435121Y1 (ko) 충격흡수대
KR20160098734A (ko) Y 형 도로의 중앙분리대
CN216304470U (zh) 一种多功能交通警示柱
KR200439401Y1 (ko) 도로용 방호 펜스
JP4841356B2 (ja) 遮断機用開閉棒
CN220199239U (zh) 一种混杂夹芯结构防撞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