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579B1 - 할로겐-프리 난연 폴리올레핀 - Google Patents

할로겐-프리 난연 폴리올레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579B1
KR101488579B1 KR1020127033930A KR20127033930A KR101488579B1 KR 101488579 B1 KR101488579 B1 KR 101488579B1 KR 1020127033930 A KR1020127033930 A KR 1020127033930A KR 20127033930 A KR20127033930 A KR 20127033930A KR 101488579 B1 KR101488579 B1 KR 10148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r
polyolefin oil
polyolefin
clay
boehm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415A (ko
Inventor
찰스 더블유. 힐스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케이블 테크놀로지즈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케이블 테크놀로지즈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너럴 케이블 테크놀로지즈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5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14Macromolec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뵈마이트, 나노점토, 미결정 탈크,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오일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할로겐-프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탁월한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들, 예컨대 저온 굽힘 및 열역학적 특성들을 갖는 전기 케이블용 피복재(예를 들면, 절연체 또는 재킷)로서 유용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할로겐-프리 난연 폴리올레핀{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OLEFIN}
본 발명은 뵈마이트, 나노점토, 미결정 탈크,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오일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할로겐-프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저온 굽힘(UL 1072) 및 열역학적 특성(ICEA S-94-649)과 같은 기계적 특성 및 난연성이 탁월한 전기 케이블용 피복재로서 유용하다.
염화폴리비닐(PVC)은 이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 압출 가공성, 유연성 및 착색 특성 때문에 전기 케이블의 피복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전 세계적인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PVC가 연소시 유해한 할로겐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PVC 대신 전기 케이블을 피복하기 위해 할로겐-프리 수지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폴리머를 함유하는 할로겐-프리 수지 조성물은 연소시 유독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지면서 전기 케이블 피복재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당업에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극성 폴리머 수지, 통상적으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코폴리머 및 수화 미네랄 필러를 기본으로 한다. 알루미늄 삼수화물(ATH)은 미네랄 필러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필요한 내화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 일반적으로는 약 200 내지 350 phr이 요구된다. 이러한 높은 필러 적재의 적절한 분산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필러 또는 관능성(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물) 폴리머의 유기실란 표면 처리와 같은 상용화제가 필요하다.
금속 수산화물, 예컨대 마그네슘 수산화물은 ATH에 있어서 치환체일 수도 있지만, 다량의 금속 수산화물이 또한 요구된다. 상기로 인해서 기계적 강도, 예컨대 내마모성, 장력 강도 등이 감소하는 문제점들이 야기된다. 기계적 강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경도 및 높은 밀도의 폴리에틸렌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에 의해서 피복된 전선의 유연성이 감소하며, 가공성도 불량해진다.
할로겐 프리 조성물의 예는 미국 특허 제4,948,669호; 제4,430,468호; 제4,434,258호; 제4,673,620호; 제4,701,359호; 및 제6,475,628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5/0137306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탁월한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전기 케이블용의 피복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할로겐-프리 조성물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이며, 탁월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전기 케이블용 피복재로서 유용한 할로겐 프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복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은 UL 1685(2007) 및 IEEE 1202(2006)의 트레이 케이블 난연 테스트 세목 및 ICEA S-94-649(2004)의 열역학적 세목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케이블은 또한 -4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또는 그 이하에서 저온 굽힘 테스트[UL 1072(2007)]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올레핀, 및 뵈마이트, 나노점토, 미결정 탈크,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오일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5 내지 20 phr(중량)의 뵈마이트, 약 5 내지 20 phr의 나노점토, 약 5 내지 20 phr의 미결정 탈크, 약 5 내지 20 phr의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약 2 내지 4 phr의 폴리올레핀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폴리머의 기계적 특성 및 난연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첨가제는 뵈마이트, 나노점토, 미결정 탈크,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오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5 내지 20 부(중량부)의 뵈마이트, 약 5 내지 20 부의 나노점토, 약 5 내지 20 부의 미결정 탈크, 약 5 내지 20 부의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약 2 내지 4 부의 폴리올레핀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전기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피복되어 있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은 UL 1685(2007) 또는 IEEE 1202(2006)의 트레이 케이블 난연 테스트 세목 및 ICEA S-94-649(2004)의 열역학적 세목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블은 또한 -4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또는 그 이하에서 저온 굽힘 테스트[UL 1072(2007)]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베이스 폴리머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은 일반식 CnH2n으로 나타내는 알켄으로부터 생성된 폴리머이다.
상기의 광대한 정의 내에서, 본 발명에 적합한 폴리올레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저밀도(LDPE), 고밀도, 고분자량(HDPE), 초고분자량(UHDPE), 선형 저밀도(LLDPE), 초저밀도 등을 포함함], 말레이트화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헥살렌, 폴리옥텐 및 이의 코폴리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코폴리머, 및 이의 혼합물, 혼련물 또는 합금이 있다.
메탈로센-촉매화 올레핀 코폴리머는 본 발명의 폴리머 합금 중 또 다른 폴리머를 구성한다. 이러한 코폴리머는 합금 중에 포함되어 폴리올레핀 계수를 변형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제조 중 폴리올레핀의 가공성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메탈로센-촉매화 올레핀 코폴리머는 당업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미국 특허 제6,451,894호; 제6,376,623호; 및 제6,329,45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코폴리머는 엑슨모빌(ExxonMobil) 및 도우 엘라스토머(Dow Elastomers)인 것 중에서 시판되는 다수의 공급물로부터 이용할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반응으로 매우 정밀한 폴리머 구조가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공중합 반응에 사용하는 올레핀 모노머의 가능성 내에서 3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제2 올레핀 모노머를 갖는 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모노머 선택 중 옥텐이 바람직하며 이는 수득된 코폴리머의 용융 흐름 특성의 변화 가능성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케이블용 피복 조성물(예를 들면, 절연체 또는 재킷) 중에 이용되는 베이스 폴리머는 또한 C3 내지 C20 알파-올레핀 및 C3 내지 C20 폴리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로 중합된 에틸렌으로 구성되는 폴리머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알파-올레핀은 약 3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의 범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알파-올레핀은 약 3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8개의 탄소 원자의 범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파-올레핀의 실례가 되는 비-제한적인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및 1-도데센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케이블 중에 이용되는 폴리머는 에틸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알파-올레핀/디엔 터폴리머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플리엔은 일반적으로 약 3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폴리엔은 약 4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의 범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폴리엔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환형 탄화수소 디엔일 수 있는 디엔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디엔은 비-콘쥬게이트형 디엔이다. 적당한 디엔의 예로는 직쇄형 비환형 디엔, 예컨대: 1,3-부타디엔, 1,4-헥사디엔 및 1,6-옥타디엔; 분지쇄형 비환형 디엔, 예컨대: 5-메틸-1,4-헥사디엔, 3,7-디메틸-1,6-옥타디엔, 3,7-디메틸-1,7-옥타디엔 및 디히드로 미리센 및 디히드로옥시넨의 혼합형 이성질체; 단일 고리 지환식 디엔, 예컨대: 1,3-시클로펜타디엔, 1,4-시클로헥사디엔, 1,5-시클로옥타디엔 및 1,5-시클로도데카디엔; 및 다-고리 지환식 융합 및 브릿지형 고리 디엔, 예컨대: 테트라히드로인덴, 메틸 테트라히드로인덴, 디시클로펜타디엔, 비시클로-(2,2,1)-헵타-2-5-디엔; 알케닐, 알킬리덴, 시클로알케닐 및 시클로알킬리덴 노르보르넨, 예컨대 5-메틸렌-2모르보르넨(MNB), 5-프로페닐-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5-(4-시클로펜테닐)-2-노르보르넨, 5-시클로헥실리덴-2-노르보르넨, 및 노르보르넨이 있다. EPR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디엔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1,4-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비닐리덴-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이다. 특별히 바람직한 디엔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및 1,4-헥사디엔이다.
베이스 폴리머 조성물 중 추가적인 폴리머로서는 상기에서 기재한 폴리올레핀들 또는 폴리올레핀 코폴리머들 중 임의의 것의 구조식을 갖는 비-메탈로센 베이스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약 10% 내지 약 40%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범위를 가짐)를 베이스 폴리머 중 다른 폴리머와 함께 결합하여 모두 사용하여 베이스 폴리머 중의 다른 목적하는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특정 환경에 있어서의 마지막 사용자의 요구사항 및 원료의 비용 및 이용성과 같은 인자의 결합이 확실한 조성물을 지시하거나 또는 아닐 수 있는 다른 환경하에서 특정 환경에서 바람직한 특정 실시형태를 야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베이스 폴리머는 에틸렌-옥텐, LDPE, LLDPE, EVA, EPR 또는 EPDM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뵈마이트(bohmite), 나노점토(nanoclay), 미결정 탈크(microcrystalline talc),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zinc hydroxystannate) 및 폴리올레핀 오일(polyolefin oil)을 포함한다. 뵈마이트는 보크사이트, 라테라이트 또는 내화점토의 주요 성분인 알루미늄 산화 수산화물(AlO(OH)) 미네랄이다. 이는 다이어스포어와 동종 이형이며, 양추 사방정계(orthorhombic dipyramidal system) 중 결정화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뵈마이트는 약 5 내지 20 phr,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phr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phr로 존재한다.
나노점토는 나노미터 범위에서 일차원인 것이 특징인 독특한 형태를 갖는 녹점토 군의 점토이다. 몬트모릴로나이트 점토(montmorillonite clay)는 녹점토 군의 가장 일반적인 일원이다. 몬트모릴로나이트 점토 입자를 흔히 판상체(platelet)라고 하며, 이는 두 방향으로의 치수가 입자 두께를 많이 초과하는 시트-유사 구조를 의미한다.
나노점토는 삽입물(intercalant)을 삽입한다면 상업적으로 유효해진다. 삽입물은 삽입물에 의한 표면 변형 과정 때문에 점토 갤러리 간격(clay gallery spacing)이 증가하는 점토-화학물질 복합체이다. 온도 및 전단의 적절한 조건 하에서 삽입물은 수지 매트릭스에서 박리될 수 있다. 삽입물은 몬트모릴로나이트 점토 갤러리를 유입시키고, 표면에 결합할 수 있는 유기 또는 반-유기 화학물질이다. 박리는 플라스틱 매트릭스 중 표면 처리된 나노점토의 분산을 말한다.
박리 형태의 나노점토 판상체는 이의 매우 작은 크기, 특히 시트 두께에 있어서 두드러지는 유연한 시트-타입 구조를 갖는다. 입자의 길이 및 너비는 1.5 ㎛에서 10분의 아주 소수의 마이크로미터만큼 줄어든다. 그러나, 두께는 매우 작아 단지 1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로 측정된다. 이러한 치수로 매우 높은 평균 형상비가 수득된다(200 내지 500). 또한, 미미한 크기 및 두께는 1 그램이 백만 개개 입자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노복합체는 표면 처리된 나노점토 및 플라스틱 매트릭스의 결합물이다. 폴리머 배합에서 나노복합체는 플라스틱 매트릭스가 화합물의 폴리머 수지 주성분과 양립된다면 나노점토를 최종 화합물로 운반하는 매우 편리한 수단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노복합체는 여러 가지의 조성물로 일리노이즈주 소재 Nanocor, Inc. of Arlington Heights(www.nanocor.com), 오하이오주 소재 PolyOne Corporation of Avon Lake(www.polyone.com) 및 Rockwood Additives(Southern Clay)(www.scprod.com)에서 농축물, 마스터배치 및 화합물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기타 나노점토는 미국 특허 제6,414,070호(Kausch 등) 및 PCT 특허 공개 WO 00/66657 및 WO 00/68312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나노점토는 약 5 내지 20 phr,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phr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phr로 존재한다.
탈크는 화학식, Mg3Si4O10(OH)2로 나타내는 수화 마그네슘 시트 실리케이트이다. 이의 성분 시트는 실리콘-산소 사면체의 두 개의 층 사이에 낀 마그네슘-산소/히드록실 팔면체 층으로 구성된다. 탈크 형태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개개 판상체가 큰 거대결정 탈크; 및 판상체가 매우 작은 미결정 탈크. 탈크는 편상 재료이므로 미세- 및 거대결정 탈크 사이의 차이가 이들의 형상비이다. 미결정 탈크는 20까지의 형상비를 갖고; 거대결정 탈크는 20 이상의 형상비를 갖는다. 미결정 탈크의 바람직한 입자 크기는 3 내지 5 미크론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미크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미결정 탈크는 약 5 내지 20 phr,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 phr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phr로 존재한다.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의 화학식은 ZnSnO3.3H2O이며, 다양한 공급처로부터 널리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약 5 내지 20 phr,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phr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phr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많은 폴리올레핀 오일이 유용하다. 폴리올레핀은 둘 다 사용가능하지만, 여기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 오일은 이의 밀도에 의해 베이스 폴리머와는 구별된다: 폴리올레핀 오일의 밀도는 약 0.830 g/cm3 또는 그 이하인 반면에 베이스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밀도는 약 0.890 g/cm3 또는 그 이상이다. 그러나 폴리올레핀 오일은 비-극성 및 비-전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폴리올레핀 오일의 바람직한 특성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20℃에서 약 60 내지 90 cP의 점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4 cP의 점도; 약 570 내지 610 g/mol의 평균 분자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90 g/mol의 평균 분자량; 및 약 0.826 내지 0.830 g/cm3의 밀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828 g/cm3의 밀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올레핀 오일은 약 0.1 내지 4 phr,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 phr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phr로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수화 미네랄, 예컨대 마그네슘 수산화물 또는 ATH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화 미네랄은 사용한다면 약 150 내지 220 phr,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200 phr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5 내지 195 phr이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당업에 공지되어 있는 상용화제는 수화 미네랄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고무 밀, 브라벤더 혼합기(Brabender Mixer), 밴버리 혼합기(Banbury Mixer), 버스-커 니더(Buss-Ko Kneader), 패럴 연속 혼합기(Farrel continuous mixer) 또는 이축 연속 혼합기(twin screw continuous mixer)와 같은 종래의 교합 장치를 사용해서 베이스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첨가제를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제는 베이스 폴리올레핀 폴리머에 첨가하기 전에 미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시간은 균질한 혼련물을 수득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조성물의 모든 성분은 전기 전도체 상에서 압출되도록 압출 장치에 도입하기 전에 함께 혼련 또는 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성물의 다양한 성분을 균일하게 함께 혼합 및 혼련한 후에 본 발명의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해 추가로 처리된다. 폴리머 케이블 절연체 또는 케이블 재킷의 종래의 제작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케이블 제작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압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인 압출 방법에서 코팅되는 선택적 가열 전도성 코어는 용융 폴리머 층이 전도성 코어에 적용되는 가열 압출 다이, 일반적으로는 클로스-헤드 다이를 통해 끌어당긴다. 다이를 나갈 시에는 폴리머가 열경화성 조성물로서 조정된다면 폴리머 층이 적용된 전도성 코어는 가열된 경화 섹션(heated vulcanizing section) 또는 연속 경화 섹션을 통과할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냉각 섹션, 일반적으로는 연신 냉각 배스(elongated cooling bath )를 통과해서 냉각될 수 있다. 각 단계에서 추가 층을 첨가하는 병행 압출 단계에 의해 복수의 폴리머 층을 도포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적당한 타입의 다이로 복수의 폴리머 층을 동시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체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전도성 금속을 이용하는 데도 불구하고 임의의 적당한 전기적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금속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이다. 송전에서 알루미늄 전도체/철근(ACSR) 케이블, 알루미늄 전도체/강화 알루미늄(ACAR) 케이블 또는 알루미늄 케이블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추가의 설명 없이 당업자라면 이전의 설명 및 이후의 실례가 되는 실시예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 및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청구하는 방법을 실행할 수 있을 것임이 명백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특정 조건 또는 상세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표 1은 본 발명의 것과 상이한 몇몇 케이블 재킷을 비교한 것이다.
케이블 샘플 가장 엄격한 요구사항의 설명
DFDE 1638
(압출 테이프)
LJ750C
(1/0 테이프 방패)
LJ750D
(1/0 테이프 방패)
LJ750G
(1/0 테이프 방패)
장력 (PSI) 1647 2279 1726 1727 > 1400
신장% 208 184 225 171 > 100
           
상온에서의 절단(lb 력/in) 45.7 50 40 54 >35
           
저온 굽힘 통과
(-25℃에서)
통과
(-25℃에서)
통과
(-35℃에서)
통과
(-55℃에서)
통과
(-25℃)
           
스모크 인덱스 13.93 30.37 완료되지 않음 22.17 < 25
           
열역학적(130℃ 피크) 실패 실패 통과 통과 통과
           
트레이 케이블 난연 테스트 실패 실패 실패 통과 IEEE 1202
목탄 높이   트레이 가득참 트레이 가득참 1.25 m 1.5m
스모크 방출(피크속도)       50.3 (0.19) 150 (0.4)
DFDE 1638는 Dow Chemicals에서 시판되어 이용가능한 할로겐-프리 폴리올레핀 재킷 재료이다. LJ750C는 ATH(180 phr) 및 미결정 탈크(20 phr)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재킷 재료이다. LJ750D는 ATH(180 phr), 뵈마이트(10 phr), 나노점토(10 phr) 및 미결정 탈크(20 phr)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재킷 재료이다. LJ750G는 ATH(180 phr), 뵈마이트(10 phr), 나노점토(10 phr), 미결정 탈크(20 phr),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10 phr) 및 폴리올레핀 오일(2 phr)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재킷 재료이다.
저온 굽힘 테스트는 UL 1072(2007) 섹션 38에 따라 실행하였다. 열역학적 테스트는 ICEA S-94-649(2004)에 따라 실행하였다. 트레이 난연 케이블 테스트는 UL1685(2007) 및 IEEE1202(2006)에 따라 실행하였다.
본 발명의 특정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여기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을 여기서 기재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해당되는 법칙에 의해 요구되는 정도로만 제한되는 것이다.

Claims (20)

  1. 알루미늄 삼수화물(ATH), 뵈마이트(bohmite), 나노점토(nanoclay), 미결정 탈크(microcrystalline talc),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zinc hydroxystannate) 및 폴리올레핀 오일(polyolefin oil)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의 기계적 및 난연 특성 개선용 첨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점도는 20℃에서 60 내지 9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분자량은 310 내지 57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밀도는 0.826 내지 0.83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점토는 몬트모릴로나이트 점토(montmorillonite c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6. 제 1 항에 있어서,
    5 내지 20 부(중량부)의 뵈마이트, 5 내지 20 부의 나노점토, 5 내지 20 부의 미결정 탈크, 5 내지 20 부의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2 내지 4 부의 폴리올레핀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7. 베이스 폴리머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첨가제는 알루미늄 삼수화물(ATH), 뵈마이트, 나노점토, 미결정 탈크,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점도는 20℃에서 60 내지 9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분자량은 310 내지 57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밀도는 0.826 내지 0.83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점토는 몬트모릴로나이트 점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7 항에 있어서,
    5 내지 20 phr(중량)의 뵈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7 항에 있어서,
    5 내지 20 phr의 나노점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7 항에 있어서,
    5 내지 20 phr의 미결정 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7 항에 있어서,
    5 내지 20 phr의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7 항에 있어서,
    2 내지 4 phr의 폴리올레핀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삭제
  18. 전도체 및 피복재를 구비하는 케이블로서,
    상기 피복재는 베이스 폴리머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알루미늄 삼수화물(ATH), 뵈마이트, 나노점토, 미결정 탈크, 아연 히드록시스테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점도는 20℃에서 60 내지 9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오일의 분자량은 310 내지 57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127033930A 2010-05-28 2011-04-05 할로겐-프리 난연 폴리올레핀 KR10148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89,801 2010-05-28
US12/789,801 US8269107B2 (en) 2010-05-28 2010-05-28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olefin
PCT/US2011/031248 WO2011149591A2 (en) 2010-05-28 2011-04-05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olef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415A KR20130053415A (ko) 2013-05-23
KR101488579B1 true KR101488579B1 (ko) 2015-02-02

Family

ID=4500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930A KR101488579B1 (ko) 2010-05-28 2011-04-05 할로겐-프리 난연 폴리올레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269107B2 (ko)
EP (1) EP2576730B1 (ko)
JP (2) JP2013527298A (ko)
KR (1) KR101488579B1 (ko)
AR (1) AR081921A1 (ko)
AU (1) AU2011258840B2 (ko)
BR (1) BR112012029714A2 (ko)
CA (1) CA2800871C (ko)
CL (1) CL2012003327A1 (ko)
DK (1) DK2576730T3 (ko)
ES (1) ES2808649T3 (ko)
MX (1) MX2012013790A (ko)
WO (1) WO20111495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4641B6 (cs) * 2013-06-27 2014-08-13 Spur A.S. Polyolefinický kompozit se zlepšenými zpracovatelskými vlastnostmi
TWI656183B (zh) 2014-06-10 2019-04-11 大眾電纜科技公司 用於導線之可固化兩部份塗層
US20160104555A1 (en) * 2014-10-10 2016-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CN108467545B (zh) * 2018-04-16 2021-03-09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隔音降噪、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964240B (zh) * 2019-12-25 2021-09-28 福州大学 一种鞋用耐磨阻燃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343A (ko) * 1999-11-15 2002-07-06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난연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002403A1 (en) 2008-07-02 2010-01-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ame resistant semi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zinc stannate, and articles therefrom
WO2010012413A1 (fr) 2008-08-01 2010-02-04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Composition auto-obturante pour objet pneumatiqu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258A (en) 1982-01-15 1984-02-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acid containing filled and plasticiz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based on ethylene interpolymers
US4430468A (en) 1982-07-21 1984-02-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rfactant-containing filled and plasticiz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based on ethylene interpolymers
US4673620A (en) 1984-02-27 1987-06-16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Elastomeric thermoplastic low voltage insulation on conductive substrate
US4701359A (en) 1985-01-28 1987-10-20 Fuji Photo Film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hotosensitive materials
US4948669A (en) 1988-02-08 1990-08-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ame retardant ethylene polymer blends
US6610408B1 (en) 1996-11-08 2003-08-26 Solvay Engineered Polymers TPO blends containing multimodal elastomers
US5955525A (en) 1997-02-28 1999-09-21 Servicios Condumex S.A. De C.V. Fire resistant low smoke emission halogen-free polyolefin formulation
BR9814447A (pt) 1997-08-27 2001-10-02 Dow Chemical Co Processo para preparar um polìmero acoplado, composição e seus usos
ATE297959T1 (de) * 1999-04-30 2005-07-15 Sued Chemie Ag Flammhemmende zusammensetzungen
DE19921472A1 (de) 1999-05-08 2000-11-16 Sued Chemie Ag Flammgeschützte Polymerzusammensetzung
US6658185B2 (en) * 1999-08-23 2003-12-02 Pirelli Cavi E Sistemi S.P.A. Optical fiber cable with components having improved compatibility with waterblocking filling compositions
US6492453B1 (en) * 1999-09-24 2002-12-10 Alphagary Corporation Low smoke emission, low corrosivity, low toxicity, low heat release, flame retardant, zero halogen polymeric compositions
JP3723025B2 (ja) * 1999-11-25 2005-12-07 株式会社フジクラ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US6329454B1 (en) 1999-12-08 2001-12-11 The Dow Chemical Company Filled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US6414070B1 (en) 2000-03-08 2002-07-02 Omnova Solutions Inc.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ally modified clay
EP1221464B1 (en) 2001-01-09 2007-09-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it and electrical wire covered with it
KR20050097501A (ko) * 2003-01-08 2005-10-07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미리-박리된 나노클레이 기초 마스터배취 및 이들의 용도
JP2005068339A (ja) 2003-08-27 2005-03-17 Mitsui Chemicals Inc 通信ケーブル充填材用添加剤および通信ケーブル充填材
CN1886453B (zh) 2003-11-25 2010-05-26 纳幕尔杜邦公司 阻燃的无卤素的组合物
US7803856B2 (en) * 2004-05-04 2010-09-2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with improved electrical and flammability properties
DE102004023085A1 (de) * 2004-05-11 2005-12-15 Clariant Gmbh Dialkylphosphinsäure-Salz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882717A1 (en) 2006-07-28 2008-01-30 DSMIP Assets B.V. Toughened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KR101156834B1 (ko) * 2007-06-21 2012-06-18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가교 폴리에틸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778899B (zh) * 2007-08-07 2013-04-1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增塑聚烯烃组合物
US7622522B2 (en) * 2007-09-27 2009-11-2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retardant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nd its use as a covering for coated wire
US7851559B2 (en) * 2007-11-13 2010-12-14 Teknor Apex Company Soft zero halog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elastomers
JP2009263597A (ja) * 2008-04-30 2009-11-12 Sumitomo Electric Ind Ltd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WO2010059508A1 (en) * 2008-11-23 2010-05-27 Albemarle Corporation Synthetic inorganic flame retardant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flame retarda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343A (ko) * 1999-11-15 2002-07-06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난연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002403A1 (en) 2008-07-02 2010-01-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ame resistant semi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zinc stannate, and articles therefrom
WO2010012413A1 (fr) 2008-08-01 2010-02-04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Composition auto-obturante pour objet pneuma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08649T3 (es) 2021-03-01
US20110290527A1 (en) 2011-12-01
AU2011258840B2 (en) 2015-08-20
CL2012003327A1 (es) 2013-03-08
CA2800871C (en) 2014-07-15
AU2011258840A1 (en) 2012-12-06
EP2576730A4 (en) 2017-09-13
AR081921A1 (es) 2012-10-31
JP2015091951A (ja) 2015-05-14
MX2012013790A (es) 2012-12-17
WO2011149591A2 (en) 2011-12-01
DK2576730T3 (da) 2020-08-17
JP2013527298A (ja) 2013-06-27
BR112012029714A2 (pt) 2016-12-13
EP2576730B1 (en) 2020-06-10
CA2800871A1 (en) 2011-12-01
EP2576730A2 (en) 2013-04-10
US8269107B2 (en) 2012-09-18
KR20130053415A (ko) 2013-05-23
JP5996600B2 (ja) 2016-09-21
WO2011149591A3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5798B1 (de) Hochflexible, halogenfreie und flammgeschützte thermoplastische kabelmischungen
CN105122111B (zh) 具有聚硅氧和脂肪酸酰胺增滑剂的聚合性组合物
EP2941776B1 (en) Fire and water resistant cable cover
CN107256730B (zh) 含有环氧基团的半导电性聚烯烃组合物
KR101314010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100025211A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357170B1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머 조성물
KR101488579B1 (ko) 할로겐-프리 난연 폴리올레핀
US7893132B2 (en) Power or communications cable with flame retardant polymer layer
KR101696122B1 (ko) 전도성 외피
JP6344201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絶縁電線・ケーブル
KR101037817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583908B1 (ko) 절연재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절연재의 제조방법
WO2016056634A1 (ja) 難燃性架橋樹脂成形体及び難燃性架橋性樹脂組成物とそれらの製造方法、難燃性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成形品
WO2019102920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成形品
EP4237488A1 (en)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WO2022112054A1 (en) Low-smoke self-extinguishing electrical cable and flame-retardant composition us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