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465B1 -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465B1
KR101488465B1 KR1020147021136A KR20147021136A KR101488465B1 KR 101488465 B1 KR101488465 B1 KR 101488465B1 KR 1020147021136 A KR1020147021136 A KR 1020147021136A KR 20147021136 A KR20147021136 A KR 20147021136A KR 101488465 B1 KR101488465 B1 KR 10148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ductor
display
crimping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506A (ko
Inventor
유키히로 카와무라
타카시 토노이케
사토시 타카무라
타케시 효타니
코이치 키타가와
에이지 아라마키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01R4/20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with transversal groove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서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그 압착부의 외부에서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202)을 벗겨서 알루미늄 심선(201)을 노출시킨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雌型)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삽입하고, 그 압착부(30)로 피복 전선(200)과 암형 압착 단자(10)를 압착 접속하는 단자 접속 방법에 있어서,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면에,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면(201aa)으로부터 압착부(30)의 내부 길이(L)에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표시(50)를 형성하고,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서 표시(50)의 위치까지 삽입한 후, 그 전선 선단부(200a)와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FOR COATED ELECTRIC WIRE, WIRING HARNESS, AND TERMINAL CONNECTION METHOD FOR COATED ELECTRIC WIRE}
이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등에 장착되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 설치된 전장 기기는 피복 전선을 묶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다른 전장 기기나 전원 장치와 접속해 상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와이어 하니스와 전장 기기나 전원 장치는 각각 장착한 커넥터끼리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커넥터에 구비되는 압착 단자에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고 있고, 특허 문헌 1에 명시된 압착 단자도 이러한 압착 단자의 하나이다.
특허 문헌 1에 명시된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 측의 절연 피복을 벗겨서 도체를 노출시킨 전선 선단부를, 선단 측이 닫힌 압착부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그 전선 선단부에 압착부를 압착 접속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압착부의 삽입 구멍이 작고, 삽입 구멍의 선단 측이 닫혀 있어서,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 삽입 구멍에 삽입했을 때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부 삽입 구멍에 대해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었는지, 압착부 외부에서 확인할 수가 없다. 만약, 도체의 삽입 구멍에 대한 삽입이 얕으면, 압착 시 도체와 압착부가 적절한 상태로 압착되지 않고, 원하는 도전 상태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9-176571호
이 발명은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 제자리에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하고,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전선 선단부를 갖춘 피복 전선에서 적어도 상기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갖춘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한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측 외주면에, 상기 전선 선단부의 상기 압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따라서, 그 전선 선단부가 상기 압착부에 대해 소정 길이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目印)를 갖추고, 상기 표시를, 상기 절연 피복보다도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면서,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긴 뒤에 형성하고,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폭이 넓어지도록, 그 절연 피복의 외주면을 덮듯이 둘레방향(周方向)으로 배치하면서, 상기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에서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한 폭이며,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압착부가 원하는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부에 상기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압착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서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그 압착부의 외부에서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의 선단 측의 절연 피복을 벗겨서 도체를 소정 길이 노출시킨 전선 선단부를 선단측이 닫힌 압착부에 삽입했을 때,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가 압착부에 대해 적절한 깊이 삽입되었는지, 압착부의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체의 삽입이 얕을 경우에는 도체와 압착부가 적절한 상태로 압착되지 않고 원하는 도전(導電) 상태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는, 전선 선단부의 압착부에 대한 삽입 길이를 나타내는 표시를, 절연 피복의 선단 측 외주면에서, 전선 선단부의 압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따른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전선 선단부에 노출하는 도체를, 예를 들면, 클로즈드 배럴형이나 오픈 배럴형 등의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정확하고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 예를 들면, 표시의 중앙과 압착부의 뒷부분(後端)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압착부로부터 노출하는 표시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부에 대해 과소 또는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와, 압착 단자의 압착부를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으면서 원하는 도전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단자 접속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선단부의 압착부에 대한 삽입이 얕으면, 피복을 제거한 도체부 선단부와 압착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안정적인 도전 상태가 실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클로즈 배럴형에 있어서는, 절연 피복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압착부의 압착 면적이 작아져, 피복 전선과 압착 단자와의 접촉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후단부로부터 단자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차단하지 못하고, 수분 방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처럼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를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면, 절연 피복도 압착부 내에 대해 소정 길이가 삽입되기 때문에, 압착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피복 전선과 압착 단자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접촉 길이가 얻어져 안정된 도전 상태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긴 뒤에 형성하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가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만큼 삽입된 것을, 그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클로즈드 배럴형의 압착 단자의 경우, 전선 선단부에 압착하는 압착부와, 그 압착부의 대향하는 내면끼리 밀착시켜서 밀봉한 봉지부 (封止部)와의 사이에 구배(句配) 부분이 있기 때문에,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의 후방측 개구부에서 전방측 봉지부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할 경우, 구배 부분의 기울기에 의해 전선 선단부의 삽입 양에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서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단자 접속 구조는, 표시(目印)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긴 후 형성하고,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단면에서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전선 선단부에 노출한 도체를, 그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이 압착부의 안쪽에 도달하는 소정 위치까지 정확하고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에서 설명한 전선 선단부는,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 측의 절연 피복을 벗겨서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압착부가 압착되는 절연 피복의 피복 선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압착부는, 예를 들면, 압착 전에 통(筒)모양을 가진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 혹은 대략 V자 모양을 가지는 오픈 배럴형의 압착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전선 선단부에 노출한 도체에 압착되는 압착부의 내면에, 오목 모양이나 볼록 모양의 세레이션을 형성해도 좋고, 압착부에 의해 그 압착부의 내면에 압착된 도체는 세레이션을 파고들어가 변형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증대해서 전기 저항이 적은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표시의 위치는, 예를 들어, 압착부에 삽입되는 전선 선단부의 삽입 길이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로 변경해도 좋다.
또, 상기 표시를,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폭 확장이 되도록 배치하면서, 상기 전선 전단부의 선단측 단면에서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한 폭이며, 상기 도체를 노출한 도체 선단부와 상기 압착부가 원하는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에 따르면, 압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표시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가 압착부에 대해서 소정 길이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했을 때, 전선 선단부에 형성한 표시가 압착부에 가려져 버리면, 표시를 눈으로 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는, 표시를,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하는 동시에 도체 선단부와 압착부가 원하는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와 대응해서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넓게 배치되어 있다.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했을 때, 폭이 넓게 형성한 표시 중 적어도 후단 측이 압착부로부터 노출되고, 그 표시의 전단 측이 압착부에 가려서 보이지 않으면,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게 된다.
또, 표시의 전단(前端) 측이 압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도체 선단부가 압착부의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되어 전선 선단부의 압착부에 대한 삽입이 얕고, 과소 삽입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 표시의 적어도 후단 측이 압착부로부터 노출되고, 전단 측이 압착부에 가려진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체를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로부터 노출되는 표시의 노출 폭을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표시를, 압착부 중 도체 선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해도 좋고,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했을 때, 표시의 전단 측이 압착부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도체 선단부의 적어도 선단측이 압착부의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 내인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시의 후단 측의 일부가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보이면, 그 노출하는 표시를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도체 선단부의 대략 전체 길이가 압착부의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압착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를, 상기 절연 피복보다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그 절연 피복의 외주 면을 덮듯이 둘레방향(周方向)으로 배치하는 것에 따르면, 피복 전선과 압착부의 대향면(對向面)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수분 방지 성능과, 전선 선단부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로서 겸용할 수 있다.
삭제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전선 선단부와 압착부를 직접 압착한 경우, 절연 피복과 압착부의 틈새로부터 수분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는, 표시를, 절연 피복보다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여, 절연 피복의 외주면을 덮듯이 둘레방향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 전술한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해, 도시되지 않은 압착 지그에 의해 전선 선단부에 압착부를 압착 접속했을 때, 피복 전선에 압착부를 직접 압착하는 것보다도, 높은 유연성을 가진 표시가 압착 형상에 뒤따라 변형하기 쉽고, 형상 변화에 대한 적응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와 압착부의 대향면 사이가 밀착 상태가 되어 수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압착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 예를 들면, 유연성을 가진 표시의 적어도 일부가 압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가려지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노출된 표시의 일부를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지,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유연성을 가진 재료는, 예를 들면, 고무, 겔재, 접착제, 점착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압착부의 내부 길이는, 예를 들면, 클로즈드 배럴형의 압착 단자에 있어서, 단면이 대략 통 모양인 압착부의 전선 삽입 방향에서의 길이 방향의 내부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오픈 배럴형의 압착 단자에 있어서, 압착 전의 단면(斷面)이 대략 U자 모양인 압착부의 전선 삽입 방향에서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은, 예를 들면, 도체 선단부의 도체 선단 면, 피복 선단부의 피복 선단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소망의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란, 예를 들면, 전선 선단부에 있어서 도체를 소정 길이 노출한 도체 선단부와 압착부가 압착되는 범위에 대응한다. 즉, 압착부 중 도체 선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범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를, 상기 전선 선단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그 전선 선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圍繞可能) 중공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에 삽입된 전선 선단부를,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하기 곤란하지만, 본 발명의 단자 접속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착부 선단에, 그 압착부의 대향하는 내면끼리를 밀착시켜서 밀봉한 봉지부(封止部)를 갖출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부의 선단 측을 봉지부로 밀봉하고 있어서, 압착부에 삽입된 전선 선단부를, 해당 압착부의 선단 측에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전선 선단부가 압착부에 대해서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 발명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가, 선단측이 봉지부에서 밀봉된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부를, 압착부의 대향하는 내면끼리 밀착시켜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압착부의 내부에 그 압착부의 선단측에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도전성(導電性)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면끼리 밀착시켜 구성하는 봉지부를 폭 방향으로 용접 고정해도 좋다. 이처럼, 봉지부를 폭 방향으로 용접 고정함으로써 봉지부의 수분 방지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양태로서, 상술의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구리선에 의한 도체 부분을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봉지부에 의해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른바 이종 금속 부식(이하에서는 전해 부식이라 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피복 전선의 도체로 기존에 이용되고 있던 구리계 재료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재료로 대체하고, 그 알루미늄계 재료로 만들어진 도체를 압착 단자에 압착한 경우에는, 단자 재료의 주석 도금, 금 도금, 구리 합금 등의 귀(貴)금속과의 접촉에 의해, 비(非)금속인 알루미늄계 재료가 부식되는 현상, 즉 전해 부식(電食)이 문제가 된다.
또한, 전해 부식이란, 귀금속과 비금속이 접촉한 부위에 수분이 부착되면, 부식 전류가 생겨 비금속이 부식, 용해, 소실되는 등의 현상이다. 이 현상에 의해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압착된 알루미늄계 재료로 만들어진 도체가 부식, 용해, 소실되고 마침내는 전기 저항이 상승한다. 그 결과, 충분한 도전 기능을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만, 상술한 도체를,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 채 압착 접속함으로써,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를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압착 단자와 피복 전선의 도체를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접속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압착부는, 예를 들면, 구리와 구리 합금 등의 구리계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체는, 예컨대 알루미늄제 소선(素線) 혹은 알루미늄 합금제 소선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전술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에서의 상기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와이어 하니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의 단자 접속 구조로 구성된 와이어 하니스, 혹은 1개의 단자 접속 구조로 구성된 와이어 하니스로 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 발명은, 도체를 피복하는 선단 측의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삽입하고, 그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이며, 상기 전선 선단부는,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소정 길이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상기 도체 선단부보다 후방측 부분의 피복 선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피복 선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선 선단부의 상기 압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표시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뒤 형성하고, 상기 압착부에 상기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 단자의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선 선단부와 압착부를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절연 피복을 벗겨서 도체를 소정 길이 노출시킨 전선 선단부를 선단측이 닫힌 압착부에 삽입했을 때, 피복 전선의 선단측에 노출된 도체가 압착부 내의 적절한 깊이 삽입되었는지,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은, 피복 선단부의 외주면에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을 기준으로서 전선 선단부의 압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따른 거리를 띄운 위치에 표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전선 선단부에 노출하는 도체를, 예를 들면, 클로즈드 배럴형이나 오픈 배럴형 등의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정확하고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소정 위치에 삽입된 전선 선단부의 도체와 압착부를 압착하기 때문에, 그 도체와 압착부를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고, 원하는 도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서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하는 경우, 예를 들면, 표시의 일부가 압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가려지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를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기고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뒤 형성하여, 상기 압착부에 상기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여서, 표시를,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에서부터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 예를 들면, 표시의 중앙과 압착부의 뒷부분(後端)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압착부로부터 노출하는 표시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가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선 선단부에 노출된 도체를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정확하고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삭제
피복 전선에서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 단자의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그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전선 선단부와 압착부를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발명에 따르면,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의 도체가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대해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선 선단부와 압착부를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의 설명도이고,
도 2는,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의 압착부의 폭 방향 중앙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원형 표시를 갖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5는, 제 3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6은, 제 4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7은, 제 5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8은, 제 6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9는, 커넥터에 대한 설명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7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11은, 제 8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제 9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도 13은, 제 10 실시 형태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다.
이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면은 암형 압착 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단자 접속 구조를 나타내고,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1)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1 (a)는 암형 압착 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한 사시도, 도 1 (b)는 암형 압착 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의 사시도이고,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1)의 압착부(30)의 폭 방향 중앙 종단면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2(a)는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 접속한 압착부(30)의 압착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압착 접속한 전선 선단부(200a) 및 압착부(3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둥근(丸) 형상의 표시(50)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3(a)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0)의 중심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0)의 대략 전체가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1)은 도 1(a)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전선(200)을 암형 압착 단자(10)에 접속해 구성하고 있다. 즉,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압착 접속하고 있다.
암형 압착 단자(10)는, 도 1과 같이, 그 암형 압착 단자(10)의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도시 생략하는 수형 압착 단자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20)와 박스부(2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의 트랜지션부(40)를 통해 배치된 압착부(30)를 하나로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암형 압착 단자(10)는 표면이 주석 도금(Sn도금)된 황동 등의 구리 합금조(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X)의 전방 측에서 보아 중공 사각주체의 박스부(20)와, 후방 측에서 보아 대략 통 모양의 압착부(30)로 되는 폐쇄 배럴형 단자이며, 박스부(20)에 삽입하는 삽입 탭을 갖춘 수형 압착 단자의 압착부도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X)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30)를 압착해서 접속할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폭 방향(Y)은 길이 방향(X)에 대해 평면 방향에서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 압착부(30)에 대한 박스부(20) 측을 전방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20)에 대한 압착부(30) 측을 후방으로 하고 있다.
박스부(20)는, 내부에, 길이 방향(X)의 후방을 향해 구부러져,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 편(21)을 갖추고 있다.
또, 박스부(20)는 바닥부(22)의 길이 방향(X)와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양 옆으로 이어진 측면부(23)에 둘러싸이고, 길이 방향(X)의 선단 측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착부(30)는 전선 압착부(31)와 봉지부(32)를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이 순서로 설치하고, 둘레 전체에서 연속하는 연속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봉지부(32)는 전선 압착부(31)로부터 전방 끝을 거의 평면 모양으로 눌러 변형시켜, 암형 압착 단자(10)를 구성하는 판 모양들이 겹친 편평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착부(30) 내부에 그 압착부(30)의 선단 측에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 압착부(31)는, 피복 압착부(31a)와 도체 압착부(31b)를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향해 이 순서로 연속하여 직렬로 설치하고 있다. 또 전선 압착부(31)는, 피복 압착부(31a)로부터 도체 압착부(31b)에 걸쳐, 전선 선단부(200a)(도체 선단부(201a)및 피복 선단부(202a))를 삽입 가능하게 후방 측만이 열려 있고, 선단 측 및 주면부 전체가 열려있지 않는 중공 형상(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복 압착부(31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31)의 길이 방향(X)의 피복 선단부(202a)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피복 선단부(202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체 압착부(31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전선 압착부(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31)의 길이 방향(X)의 도체 선단부(201a)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도체 선단부(201a)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 압착부(31a)및 도체 압착부(31b)는 압착 전의 상태에서는 서로 거의 같은 지름을 한 통 모양이다.
상기 암형 압착 단자(10)에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200)은, 알루미늄 소선을 묶은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수지로 구성된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심선(201)은 단면이 0.75㎟이 되도록 복수 개의 알루미늄 합금선을 묶어 구성하고 있다.
전선 선단부(200a)는, 피복 전선(200)의 끝부분에서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를 선단 측을 향해 이 순서로 직렬로 갖춘 부분이다.
도체 선단부(201a)는, 피복 전선(200)의 선단 측의 절연 피복(202)을, 암형 압착 단자(10)에서의 압착부(30) 내부 길이(L)보다 짧은, 전선 압착부(31)의 도체 압착부(31b)와 대응하는 소정 길이만큼 벗겨 알루미늄 심선(201)을 노출시킨 부분이다(도 3 참조).
그 소정 길이를 노출한 도체 선단부(201a)에 대해 도체 압착부(31b) 중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부분인 세레이션 부분(도 10 참조)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범위를,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로 하여 설정하고 있다.
또, 피복 선단부(202a)는 피복 전선(200)의 선단 부분인데, 피복 선단 면(202aa)보다 후방 측 부분이며, 알루미늄 심선(201)을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한 부분이다.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는,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가 압착부(30) 내의 밀봉 측 내 벽면에 대해 접촉되는 깊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그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부터 압착부(30) 내부 길이(L)과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둥근 형상의 표시(50)를 마킹하고 있다.
표시(50)는,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 압착부(30) 내부 길이(L)과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이며,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를 따라 설정한 가상 기준 선(Z)과 표시(50)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표시하고 있다. 또 표시(50)는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 따라 둘레방향(周方向)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 배열하고 있다(도 3(a) 참조).
또한, 압착부(30) 내부 길이(L)는,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이 접하는 압착부(30)의 밀봉 측 내 벽면에서부터,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가 노출되는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의 표시(50)는 도시하지 않는 레이저식 마킹 장치로부터 투광되는 레이저를, 레이저 인쇄 속도 1000mm/s로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 조사해, 그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서 적어도 일부분의 색을, 표시(50) 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빛깔(구체적으로는 흑색, 회색 등)으로 변색시켜 마킹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식 마킹 장치로부터 투광 조명하는 레이저로서 CO2 레이저를 이용해 마킹하면, 예를 들어, UV레이저를 이용해 표시하는 경우에 비해 CO2 레이저는 UV레이저보다 파장이 길기 때문에 피복 전선(200)의 절연 피복(202)에 대한 타격을 줄일 수 있고, 압착 상태에서의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레이저식 마킹 장치를 대신하는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소정 온도로 가열된 인두를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 눌러, 그 인두의 열 때문에,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서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을, 표시(50)주변 부분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색으로 변색시켜 표시해도 좋다.
또, 잉크젯식 마킹 장치 등에 의해 잉크로 표시(50)를 표시해도 좋지만 레이저식 마킹 장치로부터 레이저를 투광하고 표시하는 것이 표시(50)의 위치를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50)의 개수를,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이상 등의 희망하는 개수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표시(50)의 형상을, 예를 들면, 삼각, 사각, 별 모양, 마름모꼴, 타원형, X형태 등의 판별하기 쉬운 형상으로 설정해도 좋고, 실시 예의 개수 또는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위에서 설명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에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는 접속 방법 및 그때 나타나는 작용 효과에 대해 도 3을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후방 측에서 전방 측에 향해 길이 방향(X)으로 삽입해 표시(50)의 대략 왼쪽 절반이 압착부(30) 내부에 가려지고, 표시(50)의 대략 오른쪽 절반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도 3(a) 참조).
상기 표시(50)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 면(201aa)으로부터 압착부(30) 내부 길이(L)과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표시(50)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밀봉 측 내 벽면에 대해 접한다(도 3(b) 참조).
즉,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가 압착부(30)내부 길이(L)과 대응하는 길이만큼 삽입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제자리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압착 기구에 의해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와 압착부(30)의 전선 압착부(31)을 압착하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다(도 2 참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상기 표시(50)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 전선 선단부(200a)에 마킹한 표시(50)의 적어도 일부가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가려져 있으면, 그 노출된 표시(50)의 일부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시(50) 전체가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50)의 전체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얕고 과소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그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3(c) 참조).
또한, 표시(50) 전체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에 대해 지나치게 삽입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50)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50)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에서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를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 채,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면 필요한 통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50)의 형상을 좌우 대칭이고 중앙부를 알기 쉬운 형상(예컨대 ∞ 등)으로 하는 것으로, 표시(50)의 중심으로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가 일치하도록 위치를 맞추기 쉽다.
이렇게 구성한 암형 압착 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을 압착 접속하는 단자 접속 구조는, 압착부(30)의 선단 측을 봉지부(32)로,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봉하고 있어, 압착 후에, 압착부(30) 내부에 그 압착부(30)의 선단 측에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귀금속인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제의 암형 압착 단자(10)와 비금속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제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접촉 부분에 수분이 부착하는 것으로 생기는 전해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심선(201)의 표면이 부식되고 암형 압착 단자(10)와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전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를 압착부(30)에 대해 소정 위치에 삽입한 채 압착 접속함으로써, 구리계 재료에 의한 도체를 가지는 피복 전선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이른바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암형 압착 단자(10)와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구성하는 금속 종류에 상관없이,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한 연결 상태의 단자 접속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구리계 재료로 구성하는 소선을 묶은 심선을 절연 피복(202)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을 사용해도 좋다.
또, 전선 선단부(200a)에 마킹한 표시(50)는 해당 표시(50) 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색으로 변색되어 있으므로,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표시(50)와 해당 표시(50) 주변 부분이 판별하기 쉽고,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오인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50)는 절연 피복(202)의 일부 표면을 변색시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표시(50)가 박리하거나 색깔이 엷어 지지 않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50)의 확인은 직접 표시를 눈으로 봐도 좋고, 화상 검사로 모니터 등을 통해 확인해도 좋고, 검사 화상((畵像)에 화상 처리를 하면서 눈으로 확인해도 좋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1)의 암형 압착 단자(10)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1a)와 수형 압착 단자(미도시)를 이용한 압착 접속 구조체(1b)를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300)에 각각 장착한 예를 도 9를 이용해 설명한다.
압착 접속 구조체(1a)는 암형 압착 단자(10)를 이용한 연결 구조체이고, 압착 접속 구조체(1b)는 수형 압착 단자를 이용한 연결 구조체이다.
상기 압착 접속 구조체(1a, 1b)를 커넥터 하우징(300)의 각각에 장착함으로써,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암형 커넥터(3a)와 수형 커넥터(3b)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암형 커넥터(3a)와 수형 커넥터(3b) 양쪽이 와이어 하니스(301(301a, 301b))의 커넥터인 예를 나타내지만, 한편을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 한편을 기판이나 부품 등의 보조 커넥터로 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 압착 단자 부착 전선(1)의 암형 압착 단자(10)로 구성한 압착 접속 구조체(1a)를, 암형의 커넥터 하우징(300)에 장착하여 암형 커넥터(3a)를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a)를 구성한다.
또, 수형 압착 단자로 구성된 압착 접속 구조체(1b)를 수형 커넥터 하우징(300)에 장착하여 수형 커넥터(3b)를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b)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암형 커넥터(3a)와 수형 커넥터(3b)를 감합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301a)와 와이어 하니스(301b)를 접속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300)에는 압착 접속 구조체(1a, 1b)를 장착하고 있어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301)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압착 접속 구조체(1a)의 암형 압착 단자(10)와 압착 접속 구조체(1b)의 수형 압착 단자는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에 의해서 일체로 덮여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밀봉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300)의 내부에서 외기에 노출되어도, 전해 부식에 의한 도전성 저하가 일어나지 않고, 압착부(30)의 내부에서 알루미늄 심선(201)과 암형 압착 단자(10)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확실한 도전성을 갖춘 연결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복수 개의 압착 접속 구조체(1a, 1b)로 와이어 하니스(301)를 구성하고 있지만, 1개의 압착 접속 구조체(1a, 1b)를 커넥터 하우징(300)에 장착하고 와이어 하니스(301)를 구성해도 좋다.
하기의 제 2~제 10 실시 형태에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써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 형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50)를 압착부(30)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1개 마킹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처럼 원형의 표시(51,52)를 압착부(30)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와, 그 위치보다 선단 측 위치로 나누어 복수 표시해도 좋다.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의 표시(51,52)가 앞뒤로 배치된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4(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1)의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2)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뒤쪽의 표시(51)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 압착부(30)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의 경계 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 배치되어 있다.
반면, 앞쪽의 표시(52)는 뒤쪽의 표시(51)보다 선단 측 가까이에서, 그 표시(50)의 위치로부터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 이하의 거리를 띄운 위치의 외주 면에 따라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51,52)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보다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Y)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의 표시(51,52)가 표시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1)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도 4(a) 참조), 표시(51) 전체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에 대해 지나치게 삽입되어 있게 된다.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51)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51)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4(b)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와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표시(52)의 최소한 일부가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52)의 일부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얕고 과소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그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4(c)참조).
따라서, 표시(51)과 표시(52)를 조합해 앞뒤에 배치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양품인지를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51,52)을 표시(51,52)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빛깔(구체적으로는 청색, 적색 등)로 설정해도 좋고, 예를 들면, 표시( 51)를 파란 색으로 설정하고 표시(52)를 빨간 색으로 설정하면 표시(51,52) 끼리나 주변 부분을 판별하기 쉽게 되므로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51,52)의 확인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이어서, 상기의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형상의 표시(51,52)를 절연 피복(202)의 일부 표면을 변색시켜 마킹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 5에 나타내 제 2 실시 형태처럼 다른 형상의 원형 표시(61)와 삼각 표시(62)를 길이 방향(X)으로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인쇄해도 좋다.
도 5는 제 3 실시 형태의 다른 형상의 원형 표시(61)와 삼각 표시(62)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5(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61)의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62)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원형의 표시(61)는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 압착부(30)의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의 경계 부분에 표시하고 있다.
한편, 삼각 표시(62)는 표시(61)보다 선단 측 가까이에서, 해당 표시(62)위치에서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 이하의 거리를 사이에 둔 위치의 경계 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61,62)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보다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의 표시(61,62)가 표시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표시(61)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도 5(a) 참조), 표시(61) 전체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에 대해 지나치게 삽입되어 있게 된다.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61)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표시(61)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5(b)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와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표시(62)의 최소한 일부가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62)의 일부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얕고 과소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그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5(c) 참조).
따라서, 표시(61)과 표시(62)를 조합해 앞뒤로 배치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양품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표시(61,62)의 표시 형상이 다르면, 표시들과 주변 부분이 판별하기 쉽게 되므로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표시(61)의 확인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61,62)를, 표시(61,62) 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빛깔(구체적으로는 녹색, 적색 등)로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표시(61)를 빨간 색으로 설정하고 표시(62)를 녹색으로 설정하면 표시(61,62)의 색과 형상이 다르므로, 형상만으로 구분보다는 표시(61,62) 끼리나 주변 부분을 더 한층 판별하기 쉽고,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61,62)의 확인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제 1~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50~52,61,62)를 절연 피복(202)의 일부 표면을 변색시켜 마킹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표시(50~52)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서의 적어도 일부분의 표면에, 표시(50~52) 주변 부분과 다른 색상의 재료를 부여하여 구성해도 좋다.
상기의 표시(50~52)를 부여하는 경우, 도시하지 않는 스크린 인쇄와 오프셋 인쇄로 된 마킹 장치와 잉크젯식 마킹 장치로 표시(50~52)주변의 부분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빛깔(구체적으로는 적색, 녹색 등)의 잉크를 인쇄 또는 도포해 마킹하고 있다.
이 결과,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50~52)와 그 표시(50~52) 주변 부분을 판별하기 쉽고,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연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오인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시(50~52,61,62)를 절연 피복(202)에 혼입된, 색깔이 다른 재료로 구성해도 좋고,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표시(50~52)와 해당 표시(50~52)주변 부분이 판별되기 쉬우므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연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50~52)는 절연 피복(202)에 대해 일체로 혼입되어 있어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표시(50~52)가 박리하거나 색깔이 엷어 지지 않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위의 제 1~제 3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형상의 표시(50~52)와 다른 형상의 표시(61,62)를 절연 피복(202)의 일부 표면에 마킹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제 4 실시 형태처럼, 다른 선 종류의, 선 모양의 표시(71)와 파선 표시(72)를 길이 방향(X)으로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인쇄 또는 도포하는 등 부분 마킹해도 좋다.
도 6은 제 4 실시 형태의 선 모양의 표시(71)와 파선의 표시(72)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6(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71)의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72)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선상(線狀)의 표시(71)는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으로부터 압착부(30)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의 경계 면을 따라 원주에 마킹되어 있다.
한편, 파선의 표시(72)는 표시(71)보다 선단 측 가까이에서, 해당 표시(71)위치에서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 이하의 거리를 사이에 둔 위치의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을 따라 원주에 마킹되어 있다.
또한, 표시(71,72)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보다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Y)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71,72)의 위치 또는 간격을, 예를 들면,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과 피복 선단부(202a)의 피복 선단 면(202aa)을 기준으로 설정해도 좋다.
상기의 표시(71,72)는 도시하지 않는 스크린 인쇄와 오프셋 인쇄로 된 마킹 장치와 잉크젯식 마킹 장치로, 표시(71,72) 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빛깔(구체적으로는 적색, 녹색 등)의 잉크를 인쇄 또는 도포해 마킹하고 있다. 예를 들면, 표시(71)를 빨간 색으로 설정하고 표시(72)를 녹색으로 설정하면 표시(71,72)의 선 종류와 빛깔이 다르기 때문에 판별하기 쉬워 진다.
상기의 표시(71,72)가 표시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표시(71)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도 6(a) 참조), 표시(71) 전체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에 대해 지나치게 삽입되어 있게 된다.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71)가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71)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6(b)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표시(72)가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72)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얕고 과소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그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6(c) 참조).
따라서, 표시(71)와 표시(72)를 조합해 앞뒤로 배치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양품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표시(71,72)의 선 종류와 빛깔이 다르기 때문에 선 종류만으로 구분하는 것보다는 표시(71,72) 끼리나 주변 부분을 더 한층 판별하기 쉽고,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71,72)의 확인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마킹하여, 파선의 표시(7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가 물의 통로가 되어 수분 방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길이 방향(Y)을 따라 표시를 마킹한 경우에 비해, 압착 상태에서의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상기 제 4 실시 형태가 다른 선 종류의 선 모양 표시(71)와 파선 표시(72)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마킹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7에 나타낸 제 5 실시 형태처럼 광폭의 표시(80)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따라 원주에 장착해도 좋다.
도 7은 제 5 실시 형태의 폭이 넓은 표시(80)을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도 7(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80)의 뒷부분이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80)의 전단이 가려진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광폭의 표시(80)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폭이 넓게 형성하고 있다. 그 표시(80)의 길이 방향(X)의 폭은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표시(80)의 후단 측은,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 압착부(30)의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하는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80)의 전단 측은, 해당 표시(80)의 후단 측보다 선단 측 가까이에서, 그 후단 측으로부터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의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80)는 절연 피복(202)보다 유연성을 가진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하는 동시에 절연 피복(202)의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을 따라 해당 외주 면을 덮듯이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표시(80)가 형성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표시(80)의 후단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도 7(a) 참조), 표시(80)의 후단 측이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에 대해 지나치게 삽입되어 있게 된다.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80)의 후단 측이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80)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7(b)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에 대해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표시(80)의 전단 측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80)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 양이 얕고 과소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그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7(c) 참조).
따라서, 표시(80)의 전단 측이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고, 표시(80)의 후단 측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된 조합이 되는 삽입 상태로 삽입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양품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했을 때, 높은 유연성을 가진 표시(80)가 압착 형상에 따라 변형하기 쉽고, 형상 변화에 대한 적응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200a)와 압착부(30)과 대향 면 간의 밀착 상태가 되어 수분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결과, 압착부(30)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뛰어난 수분 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서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폭넓게 둘레방향으로 형성한 표시(80)를 두고 있기 때문에, 표시가 물길이 되어 수분 방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길이 방향(Y)을 따라 표시를 마킹한 경우에 비해 압착 상태에서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 형태)
위의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두꺼운 표시(80)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8에 나타낸 제 6 실시 형태처럼 띠 모양의 표시(90)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따라 길이 방향(X)으로 표시해도 좋다.
도 8은 제 6 실시 형태의 띠 모양의 표시(90)을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설명 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8(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90)의 중앙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c)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90)의 전단 측이 가려진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띠 모양의 표시(90)는,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으로부터 압착부(30) 내부 길이(L)과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서 도체 선단 방향을 향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 이하의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또, 표시(90)는 피복 선단부(202a)의 외주 면에서 적어도 일부분의 색을, 표시(90) 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판별하기 쉬운 빛깔로 인두질 등으로 변색시켜 마킹하고 있다.
상기의 표시(90)가 표시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에서의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90)의 대략 중앙부가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90)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에 대해 제자리에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8(a)(b)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와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표시(90)의 전단 측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90)을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 양이 얕고 과소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그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8(c) 참조).
또, 표시(90)의 후단 측이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에 대해 지나치게 삽입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표시(90)의 전단 측이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고 표시(90)의 후단 측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조합이 되는 삽입 상태로 삽입함으로써,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양품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표시(90)를, 예를 들면, 두께를 가진 재료로 구성해도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면, 전선 선단부(200a)에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했을 때, 그 압착 부분의 압착 형상에 따라 표시(90)가 변형하기 때문에 압착 부분의 수분 방지 성능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제 5 실시 형태의 표시(80)와 제 6 실시 형태의 표시(90)를 해당 표시(80,90)의 주변 부분의 절연 피복(202)과 다른 색상으로 구성해도 좋고,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80,90)와 그 표시(80,90)의 주변 부분을 판별하기 쉽고,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표시(80,90)의 확인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절연 피복(202)의 표면을 변색(변질을 포함) 또는 해당 표면에 인쇄하거나 절연 피복(202)과 다른 색상의 재료를 혼련 등으로 하여, 표시(80,90)를 형성해도 좋다.
(제 7 실시 형태)
위의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51,52)를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보다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제 7 실시 형태처럼, 원형의 표시(51X,52X)를 압착부(30) 중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대응하는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워서 배치해도 좋다.
도 10은 제 7 실시 형태의 표시(51X, 52X)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10(a)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1X)의 중심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b)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2X)의 대략 전체가 가려지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의 내주면에는, 알루미늄 심선(201)을 압착한 상태에서, 알루미늄 심선(201)이 파고 들어가, 폭 방향(Y)의 홈인 세레이션(33)을 길이 방향(X)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세레이션(33)은 도체 압착부(31b)의 내측 중앙 바닥면에서 내측 양 측면에 이르기까지 폭 방향(Y)으로 연속하는 홈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표시(51X)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부터, 그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과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삽입 양에 대응한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하는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52X)는, 표시(51X)의 위치로부터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세레이션(33)을 갖춘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표시(51X,52X)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간격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의 표시(51X, 52X)가 표시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에서의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51X)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표시(51X)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을 압착 접속할 수 있는 범위의 대ㄹ략 전체 길이가 도체 선단부(201a) 내에 있는 상태로 삽입된 것을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10(a)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와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면, 도체 압착부(31b)에 의해 그 도체 압착부(31b)의 바닥면에 압착된 도체 선단부(201a)는 요홈 모양의 세레이션(33)에 파고들어 변형되기 때문에,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전기 저항이 적은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표시(52X) 전체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고 표시(51X) 전체가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되는 표시(51X)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도체 선단부(201a)의 적어도 선단 측이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을 압착 접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상태로 삽입된 것을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의 전역과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할 수 있다(도 10(b) 참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51X)와 표시(52X)를 조합해 배치함으로써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에서 압착되는 소정 위치에 삽입된 양품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제 7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 2 실시 형태의 표시(51,52)와 제 3 실시 형태의 표시(61), 표시(62)와 제 4 실시 형태의 표시(71,72)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8 실시 형태)
위의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80)를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11에 나타낸 제 8 실시 형태처럼 표시(80X)를,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11은 제 8 실시 형태의 폭이 넓은 표시(80X)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11(a)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80X)의 후단 측이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b)은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80X)의 전단 측이 가려진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표시(80X)는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폭이 넓게 형성하고 있다. 그 표시(80X)의 길이 방향(X)의 폭은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표시(80X)는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 해당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과 전역에서 접촉하게 압착되는 삽입 양에 대응한 거리를 사이에 둔 위치를 포함하는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80X)의 전단 측은 해당 표시(80X)의 후단 측보다 선단 측 가까이에서, 그 후단 측에서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세레이션(33)을 갖춘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위의 표시(80X)가 형성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에서의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와 표시(80X)의 후단 측이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80X)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도체 선단부(201a)의 대략 전체 길이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에 대해서 압착 접속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 든 상태에서 삽입된 것을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11(a) 참조).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와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 접속하면,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저항이 적은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표시(80X)의 전단 측이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고 표시(80X)의 후단 측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그 노출하는 표시(80X)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도체 선단부(201a)의 적어도 선단 측이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을 압착 접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든 상태에서 삽입된 것을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의 전역과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할 수 있다(도 11(b) 참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80X)의 전단 측이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고 표시(80X)의 후단 측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에 노출된 조합으로 되는 삽입 상태로 삽입함으로써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세레이션 부분에서 압착되는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양품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서 피복 전선(2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폭넓은 원주에 형성한 표시(80X)을 두고 있기 때문에, 표시가 물길이 되어 수분 방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길이 방향(Y)을 따라 표시를 마킹한 경우에 비해 압착 상태에서의 확실한 수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 9 실시 형태)
위의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선 모양의 표시(71)와 파선 표시(72)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따라 원주에 마킹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제 9실시 형태와 같이, 선 모양의 표시(80Z)를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대해서 그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X)에 교차하여 비스듬히 표시해도 좋다.
도 12는 제 9 실시 형태의 선 모양의 표시(80Z)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12(a)는 전선 선단부(200a)를 표시(80Z)의 길이 방향(X)중앙부와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가 일치하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b)는 전선 선단부(200a)를 표시(80Z)의 뒷부분이 압착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c)는 전선 선단부(200a)를 표시(80Z)의 전단이 압착부(30)내부에 숨은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선 모양의 표시(80Z)는 피복 전선(200)에서의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대해서 그 절연 피복(202)의 길이 방향(X)으로 교차되어 비스듬히 표시하고 있다. 그 표시(80Z)의 길이 방향(X)의 전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즉,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에 대해 도체 압착부(31b)의 세레이션(33)을 형성한 세레이션 부분이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표시(80Z)의 후단은,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을 기준으로 하여, 그 도체 선단 면(201aa)에서부터 압착부(30) 내부 길이(L)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하는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80Z)의 전단은, 해당 표시(80Z)의 후단보다 선단 측 가까이에서, 그 후단으로부터 도체 선단 방향에 대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가 필요한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의 절연 피복(202)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표시(80Z)가 표시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삽입할 때,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 대해 표시(80Z)가 교차되는 위치까지 삽입하는 동시에, 표시(80Z)의 길이 방향(X) 중앙부와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가 일치하는 위치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얕아지거나 깊어지는 것이 지나치지 않고,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를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에 대해서 압착 접속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도 12(a) 참조).
즉,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의 절연 피복(202)에 형성한 표시(80Z)와 암형 압착 단자(10)에서의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가 교차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표시(80Z)의 전단 측이 압착부(30)의 내부가 되는 위치에서 그 내부에 가려져 있고, 표시(80Z)의 후단 측이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압착부(30)로부터 노출하는 표시(80Z)를 눈으로 보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에 대해 제자리에 삽입된 것을, 해당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의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에 대해 암형 압착 단자(10)에서의 압착부(30)의 도체 압착부(31b)를 압착 접속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소정의 압착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했을 때, 표시(80Z) 전체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으면,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깊은 과잉 삽입이 된다. 또, 표시(80Z) 전체가 압착부(30)에서 노출되면 전선 선단부(200a)의 압착부(30)에 대한 삽입이 얕고 과소 삽입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가 표시(80Z)의 길이 방향(X)의 전단과 후단 사이와 대응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하면 양호한 상태로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80Z)의 뒷부분이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까지 삽입하거나(도 12(b) 참조), 혹은 표시(80Z)의 전단이 압착부(30) 내부에 가려지는 위치까지 삽입하면(도 12(c) 참조), 표시(80Z)의 후단 측이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서 외부로 반드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압착부(30)로부터 노출되는 표시(80Z)를 눈으로 보면,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의 적어도 선단 측이 도체 압착부(31b)의 세레이션 부분을 압착 접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들어 있음을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선단부(201a)가 도체 압착부(31b)의 세레이션 부분의 전역에서 접촉하도록 압착 접속할 수 있다.
(제 10 실시 형태)
위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50)를 마킹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제 10 실시 형태처럼, 선형의 보조 표시(100)를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절연 피복(202)의 노출 측 외주 면에 표시해도 좋다.
도 13은 제 10 실시 형태의 선 모양의 보조 표시(100)를 갖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삽입할 때의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에 대해 표시(50)가 가려지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 모양의 보조 표시(100)는 앞에서 설명한 레이저식 마킹 장치에 의해 표시(50)를 마킹할 때, 압착부(30)의 개구 측 후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절연 피복(202)의 노출 측 외주 면을 따라 원주에 마킹하고 있다.
즉,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 대해 깊게 삽입해 버려, 절연 피복(202)에 마킹한 표시(50)가 압착부(30)에 가려 보이지 않아도, 절연 피복(202)의 노출 측 외주 면에 부설한 보조 표시(100)을 보면 압착부(30)에 가려 보지 못한 부분에 표시(50)가 부설되어 있다는 것을 압착부(30)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에서 빼내지 않아도, 상기의 표시(50)가 있음을 압착부(30)의 외부로부터 확실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보조 표시(100)는 절연 피복(202)의 노출 측 외주 면의 일부에 표시해도 좋다.
이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 대응에서, 이 발명의 압착 단자는 실시 형태의 암형 압착 단자(10)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압착부는 클로즈드 배럴형 압착부(30)에 대응하고, 도체는 알루미늄 심선(201)에 대응하고, 뒤쪽 표시는 표시(51,51X, 61,71)에 대응하고, 앞쪽 표시는 표시(52,52X, 62,72)에 대응하고, 접속 구조체는 압착 접속 구조체(1a, 1b)에 대응하고,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3a) 및 수형 커넥터(3b)에 대응하고, 전선 선단부(200a)의 선단측 단면은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과 피복 선단부(202a)의 피복 선단 면(202aa)에 대응했지만, 이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나는 기술 사상에 따라 응용할 수 있어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에 암형 압착 단자(10)의 압착부(30)를 압착할 때, 압착부(30)에 작용하는 압착 압력에 의해 절연 피복(200)이 길이 방향(X)의 후방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선 선단부(200a)에 표시된 표시(50)는 압착부(3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경우,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를 압착부(3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 압착부(30) 내부에 위치할 예정의 표시(50)가, 압력에 의해 절연 피복(200)이 늘어나는 것 때문에, 압착부(30)의 뒷부분에서 노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표시(50)는 도시하지 않는 소정의 해석 수단에 의한 압착부(30)의 압력시의 거동 해석에 의해서, 상정되는 절연 피복(200)의 후방으로의 연신에 따른 이동량을 고려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위의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의 위치를 정하는 기준으로서,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를 기준으로 삼고 있지만, 선단 측의 절연 피복(202)을 소정량 제거하므로, 도체 선단부(201a)의 도체 선단 면(201aa)에서 피복 선단부(202a)의 피복 선단 면(202aa)에 이르는 거리가 일정하다. 이 때문에, 피복 선단 면(202aa)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박스부(20)과 압착부(30)로 구성되는 암형 압착 단자(10)로 구성했지만, 압착부(30)를 가진 압착 단자이면, 위에서 설명한 암형 압착 단자(10)의 박스부(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과 압착부(30)로 구성되는 수형 압착 단자라도, 압착부(30)만으로 구성하고, 여러 개의 피복 전선(200)의 알루미늄 심선(201)을 묶어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라도 좋다.
또한, 이 발명의 피복 전선(200)의 단자 접속 구조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200)의 전선 선단부(200a)에 오픈 배럴형 압착부를 압착 접속하는 접속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심선(201)의 도체 선단부(201a)가, 도시하지 않은 오픈 배럴형 압착부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는 것을, 해당 압착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전선 선단부를 오픈 배럴형 압착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표시를, 피복 전선의 선단 측에 노출된 알루미늄 심선의 도체 선단부에 표시해도 좋다.
또, 표시는 예를 들어 광학적인 센서, 화상 인식 장치 등으로 판독 가능해도 좋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레이저식 마킹 장치로부터 투광하는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마킹 장치와 잉크젯식 마킹 장치로 잉크를 인쇄 또는 도포하여 표시를 마킹했지만, 피복 전선(200)에 스탬프 해 표시를 마킹해도 좋다. 그러나, 피복 전선(200)에 스탬프 해 표시를 마킹하는 경우, 제조 라인에서 피복 전선(200)의 흐름을 일단 멈추고, 스탬프로 표시를 마킹하기 때문에, 피복 전선(200)이 흐르는 채로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나 잉크의 도포에 의한 마킹이 생산성이 높다.
1: 암형 압착 단자가 구비된 전선
1a, 1b: 압착 접속 구조체
3a: 암형 커넥터
3b: 수형 커넥터
10: 암형 압착 단자
20: 박스부
30: 압착부
31: 전선 압착부
31b: 도체 압착부
32: 봉지부
33: 세레이션
50,51,51X, 52,52X: 표시
61,62,71,72: 표시
80,80X, 80Z, 90: 표시
100: 보조 표시
200: 피복 전선
200a: 전선 선단부
201: 알루미늄 심선
201a: 도체 선단부
201aa: 도체 선단면
202: 절연 피복
202a: 피복 선단부
202aa: 피복 선단면
300: 커넥터 하우징

Claims (18)

  1. 도체를 피복한 선단측의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한 피복 전선의 전선 선단부를 압착 단자의 압착부에 삽입하고, 그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선 선단부는,
    상기 피복 전선에서의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소정 길이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와, 상기 절연 피복의 상기 도체 선단부보다 후방측 부분의 피복 선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피복 선단부의 외주 면에,
    상기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端面)을 기준으로서, 상기 전선 선단부의 상기 압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따른 거리를 띄운 위치에 표시(目印)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뒤 형성하고,
    상기 압착부에 상기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압착 접속하는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2.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하고,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전선 선단부를 구비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상기 전선 선단부의 압착 접속을 허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피복 전선과 상기 압착 단자를 압착 접속한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의 선단측 외주 면에,
    상기 전선 선단부의 상기 압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길이에 따라서, 그 전선 선단부가 상기 압착부에 대해서 소정 길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를,
    상기 절연 피복보다도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면서,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긴 뒤 형성하고,
    상기 피복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폭이 넓어지도록 그 절연 피복의 외주면을 덮듯이 둘레방향으로 배치하면서,
    상기 전선 선단부의 선단측 단면으로부터 상기 압착부의 내부 길이와 대응하는 거리를 띄운 위치를 포함한 폭이며, 상기 도체를 노출한 도체 선단부와 상기 압착부가 원하는 도전 상태로 압착 접속되는 범위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부에 상기 표시의 위치까지 삽입된 상기 전선 선단부를 압착 접속한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를,
    상기 전선 선단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그 전선 선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구성한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선단에, 그 압착부의 대향하는 내면끼리를 밀착시켜서 밀봉한 봉지부(封止部)를 갖춘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를,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적어도 상기 압착부를 구리계 재료로 구성한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6. 제 2항에 기재된 단자 접속 구조에서의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와이어 하니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7021136A 2012-10-23 2013-10-23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KR101488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3403 2012-10-23
JP2012233403 2012-10-23
JP2013033993 2013-02-23
JPJP-P-2013-033993 2013-02-23
PCT/JP2013/078666 WO2014065307A1 (ja) 2012-10-23 2013-10-23 被覆電線の端子接続構造、ワイヤハーネス及び被覆電線の端子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506A KR20140131506A (ko) 2014-11-13
KR101488465B1 true KR101488465B1 (ko) 2015-01-30

Family

ID=5054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136A KR101488465B1 (ko) 2012-10-23 2013-10-23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80235B2 (ko)
JP (2) JP5554460B1 (ko)
KR (1) KR101488465B1 (ko)
CN (1) CN104115334B (ko)
WO (1) WO2014065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606A1 (ja) * 2013-02-23 2014-08-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電線接続構造体、及び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147232B2 (ja) * 2014-08-25 2017-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931228B1 (ja) 2015-01-06 2016-06-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巻線を備える電機子及び電機子の巻線端末を端子に接続する方法
JP2016139473A (ja) * 2015-01-26 2016-08-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付電線製造方法及び端子付電線
JP6549923B2 (ja) * 2015-07-14 2019-07-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ワイヤハーネス
JP2018006160A (ja) * 2016-07-01 2018-0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74627B2 (ja) * 2016-11-11 2020-10-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接合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91009B2 (ja) * 2020-05-19 202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571A (ja) 2008-01-24 2009-08-06 Yazaki Corp 圧着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554A (en) * 1961-09-01 1965-07-27 Gene W Baker Multi-wire electrical system with identifying means
JPS5613685A (en) * 1979-07-11 1981-02-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ethod of mounting terminal of aluminum wire
US4781619A (en) * 1987-09-18 1988-11-01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wires thereto
US5142105A (en) * 1989-12-05 1992-08-25 Cooper Industries, Inc. Electrical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3245413A (ja) * 1990-02-21 1991-11-01 Yamaha Corp 被覆線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5281764A (en) * 1992-05-18 1994-01-25 Cooper Industr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coded twisted pairs
DE4435124A1 (de) * 1994-09-30 1996-04-04 Siemens Ag Elektrisches und/oder optisches Kabel mit einer Prägung auf dem Kabelmantel
US5862774A (en) * 1996-07-11 1999-01-26 Moss; Kurt A. Electrical wire identification marking methods and systems
EP1037080A1 (de) * 1999-03-10 2000-09-20 NORDDEUTSCHE SEEKABELWERKE GMBH & CO. KG Kabel, insbesondere Unterwasserkabel
CN1279549C (zh) * 2001-10-12 2006-10-11 矢崎总业株式会社 电线的制造方法、制造装置以及电线
JP3994822B2 (ja) * 2002-08-08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AU2003292616A1 (en) * 2002-12-27 2004-07-29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JP4522053B2 (ja) * 2003-05-07 2010-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電線の接続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5339850A (ja) * 2004-05-25 2005-12-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線ケーブル用端子の防水構造
FR2887069B1 (fr) * 2005-06-14 2016-09-09 Airbus France Cable electrique muni d'un marquage externe et procede de sertissage d'un fut d'un contact sur un cable electrique muni d'un marquage externe
JP5416358B2 (ja) * 2008-04-10 2014-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5480368B2 (ja) * 2010-03-30 2014-04-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接続構造体及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571A (ja) 2008-01-24 2009-08-06 Yazaki Corp 圧着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506A (ko) 2014-11-13
US9680235B2 (en) 2017-06-13
JP5639296B2 (ja) 2014-12-10
JP2014187024A (ja) 2014-10-02
US20150229039A1 (en) 2015-08-13
CN104115334A (zh) 2014-10-22
CN104115334B (zh) 2015-11-25
JPWO2014065307A1 (ja) 2016-09-08
JP5554460B1 (ja) 2014-07-23
WO2014065307A1 (ja)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65B1 (ko)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구조, 와이어 하니스 및 피복 전선의 단자 접속 방법
JP5480368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及びコネクタ
JP6133228B2 (ja) 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5151904A1 (ja)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5995799B2 (ja) 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方法
CN103155287A (zh) 连接器端子的电线连接结构
WO2011115004A1 (ja) 端子金具付き電線
JP2010165630A (ja) 端子付き電線
US1055989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e, wire harn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e
JP2013008610A (ja) 端子付電線
CN104584329A (zh) 装接有压接端子的铝电线
KR20190020968A (ko)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JP7157846B2 (ja) 端子付き電線
WO2011115005A1 (ja)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4847A (ja) 圧着端子、圧着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圧着端子の圧着方法
CN105489288A (zh) 扁平电缆以及扁平电缆的制造方法
JP2011165406A (ja) 接続構造体
JP2014164930A (ja) 電線付き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985104B2 (en) Shield sleeve for a plug connector
JP5249608B2 (ja) 電線接続器
JP6202055B2 (ja) シールド線のドレン線止水構造
CN115117675A (zh) 带端子的电线
JP2020119734A (ja) 端子、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