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301B1 -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8301B1 KR101488301B1 KR20130017302A KR20130017302A KR101488301B1 KR 101488301 B1 KR101488301 B1 KR 101488301B1 KR 20130017302 A KR20130017302 A KR 20130017302A KR 20130017302 A KR20130017302 A KR 20130017302A KR 101488301 B1 KR101488301 B1 KR 101488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oplastic elastomer
- weight
- parts
- elastomer composition
- heat res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수지성분의 상기 경질 세그먼트와 고무성분의 탄성을 갖는 연질 세그먼트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플라스틱과 고무의 두 성질을 모두 갖고 있어서 상온에서는 고무의 기능인 탄성을 갖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되어 성형가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경질 세그먼트의 함량비를 높임으로써, 열가소성 탄성체의 내열성 및 내그리이스성을 향상시켜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로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경질 세그먼트 함량비를 높이고 아민계 첨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내열성 및 내그리이스성 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및 미션에서 나오는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등속조인트 부트는 원활한 회전력 전달을 위해 조인트부가 베어링으로 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위는 그리이스가 있으며 고무소재가 상기 연결부위를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고출력을 위한 배기시스템의 변경으로 상기 부트 주변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종래 고무소재로는 장기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내구성 감소로 인하여 등속 조인트 부트의 고무가 찢어지면, 조인트부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그리이스가 찢어진 고무 사이로 흘러나와 엔진의 출력 저하는 물론, 자동차 수명을 단축하고 서스펜션 하부 소음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 기술은, 클로로프렌 고무를 기본으로한 내열성 개선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종래 클로로프렌 고무는 내그리이스성이 우수하여 등속 조인트 부트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사용 온도가 100℃ 이므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가교촉진제를 추가로 적용하고, 황 가교를 퍼옥사이드 가교로 변경하여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사용온도를 20℃ 향상시켰다. 또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저온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소제를 추가하여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사용온도를 -45 ~ 120℃ 로 확장하였다.
그러나,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의 사용온도 범위는 넓어졌지만, 사용수명이 짧고, 외부조건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변화율이 크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지속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고온에서도 등속조인트 부트의 성능을 유지하고 내그리이스성, 내염수성 등의 성능이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경질 세그먼트 함량비를 높이고, 분자량을 증대시켜 용융점도를 높여 내열성 및 내그리이스성 등을 개선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아민계 첨가제를 적용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을 더 향상시켜 고성능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로서,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BDO); 및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연질 세그먼트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콘(PTMEG); 및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열가소성 탄성체 중량에 대하여, 40 ~ 6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아민계 첨가제로서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은 1 ~ 3 중량부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은 1 ~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은 3 중량부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 등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 등이 포함되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경질 세그먼트 함량비를 높이며, 분자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체의 내열성 및 내그리이스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종래 클로로프렌 탄성체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 등과 같은 부품을 본 발명으로 교체함으로써, 고출력 엔진에서도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가 연결된 일례의 화학식이다.
도 2는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arbonyl-bis-caprolactam, CBC)의 화학식이다.
도 3은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henylene-bis-oxazoline, 1,3-PBO)의 화학식이다.
도 2는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arbonyl-bis-caprolactam, CBC)의 화학식이다.
도 3은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henylene-bis-oxazoline, 1,3-PBO)의 화학식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표 및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성분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수지성분의 경질 세그먼트(Hard segment)와 고무성분의 탄성을 갖는 연질 세그먼트(Soft segment) 등을 포함하여, 플라스틱과 고무의 두 성질을 모두 갖고 있는 고분자 재료로서,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되어 성형가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는 가교결합에서 강력한 공유결합을 하는 가황고무와는 다르게 수소결합, 이온결합, 반데르발스결합 및 물리적 가교결합 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가황고무와 비슷한 탄성을 지니지만 열을 가하면 탄화하는 가황고무와는 달리 압출 및 사출성형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열을 식혀주면 압출 및 사출성형된 모양을 유지하며 탄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이유는 열가소성 탄성체 내부의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 때문이다.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물리적인 결합을 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수소결합, 이온결합, 반데르발스결합 및 물리적 가교결합 등이 이용된다. 상기 연질 세그먼트는 고무와 같은 탄성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무질서 상태에 있는 분자들이 외부의 힘에 의해 규칙적이 되면 다시 무질서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에 의해 탄성이 생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은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가 연결된 화학식이며, 상기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일례는 테레프탈레이트와 부탄올이 포함된 경질 세그먼트 및 테레프탈레이트와 메틸렌 글리콜이 포함된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질 세그먼트 및 연질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BDO); 및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연질 세그먼트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콘(PTMEG); 및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함량
조성물의 내열성 및 내그리이스성의 향상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탄성체 중량에 대하여 종래 40 중량% 미만이었던 경질 세그먼트를 40 ~ 60 중량% 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디메틸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와 1,4-부탄디올(1,4-Butanediol, BDO)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벌크중합
고분자를 만드는 중합 방법에는 용액중합, 벌크중합, 서스펜션중합(현탁중합), 에멀전중합(유화중합) 등이 있다. 종래 열가소성 탄성체를 중합하기 위해서 용액중합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벌크중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벌크중합을 사용하면 열가소성 탄성체의 분자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분자량이 증대되면 탄성체의 용융점도가 높아지고, 높아진 용융점도로 인하여 열가소성 탄성체의 내열성 및 내그리이스성 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액중합은 단량체, 용매, 개시제를 사용하는 중합방식으로, 중합 시 발생되는 열은 용매의 증발환류로 쉽게 제거되지만, 중합완료 후 용매를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체 중합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좋지 않은 방법이다. 또한,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합체의 분자량은 다른 중합법에 비해서 낮고 또 중합 속도도 느리다.
또한, 상기 벌크중합은 단량체에 개시제를 사용하는 중합방식으로 불순물의 혼합이 없이 순수한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합반응의 말기를 제외하고는 중합체의 점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교반 및 중합열의 제거 등의 공정이 용이하다. 또한, 반응기구는 단순하고 조작이 간단하며 중합도가 높은 순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용액중합 방법을 적용하였던 종래 열가소성 탄성체의 분자량은 100,000 이하인 것에 비해 벌크중합 방법을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의 분자량은 종래보다 2배 이상 증가된 200,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성물의 증가된 분자량으로 인하여 기존의 열가소성 탄성체의 용융점도가 1.7g/min 에서 0.5g/min 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아민계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내열성을 종래보다 약 16% 이상 상승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안정제 및 노화방지제인 아민계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민계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될 수 있으나,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는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arbonyl-bis-caprolactam, CBC)의 화학식이며, 도 3은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henylene-bis-oxazoline, 1,3-PBO)의 화학식이다.
또한, 열가소성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민계 첨가제는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 1 ~ 3 중량부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 1 ~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 3 중량%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 2 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보강제, 충진제인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핵제, 난연제, 규회석, 탄산캄슘, 마이카, 카오린, 클레이,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5. 용도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자동차의 등속조인트 부트 등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제조방법
이하, 또 다른 관점에서 저점도 엔진오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공지의 기술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시중에 유통중인 비교예 1 및 2의 구성 성분 및 함량을 비교하여 물성시험을 하였으며 하기 표 1 및 표 2 에 정리하였다.
항목 |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
폴리머 | CR | - | 100 | 100 |
TPEE | 100 | - | - | |
충진제 | HAF(N330) | - | - | 60 |
FEF(N550) | - | 60 | - | |
가소제 | RS-700 | - | 10 | 5 |
첨가제 | 3C | - | 3 | 3 |
MB | - | 1 | 1 | |
Sunnoc | - | 3 | 2 | |
CBC | 3 | - | - | |
1,3-PBO | 2 | - | - | |
가류제 | S | - | 2 | 2 |
TMTD | - | 5 | 3 | |
ZnO | - | 4 | 2 | |
Stearic Acid | - | 1 | 0.5 | |
비고 | CR (클로로프렌고무) : Neoprene W, DDE (Dupont Dow Elastomer) TPEE (Hytrel 8685BK) : Hytrel 8685BK (Dupont) HAF (N330), FEF (N550) : 코리아카본블랙 3C : N-phenyl-N’-isopropyl-p-phenylene diamine (금호몬산토) MB : 2-mercaptobenzimidazole, (누켐, Nurchem) Sunnoc-DW (대운산업) CBC : Carbonyl bis caprolactam (DSM) 1,3-PBO : Phenylene bis oxazoline (Chemsphere Taiwan) ZnO (한일산화아연) Stearic Acid (단석산업) |
상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시중에 유통중인 비교예 1 및 2의 구성 성분 및 함량을 비교한 표이다.
상기 표의 실시예 1은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가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탄성체(The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arbonyl-bis-caprolactam, CBC)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henylene-bis-oxazoline, 1,3-PBO)를 포함하였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탄성체는 듀폰(Dupont)사에서 생산되는 Hytrel 8685BK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은 각각 DSM사 및 Chemsphere Taiwan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arbonyl-bis-caprolactam, CBC) 3 중량부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henylene-bis-oxazoline, 1,3-PBO) 2 중량부를 포함하였다.
상기 표의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듀폰사에서 생산되는 클로로프렌고무를 주성분으로 충진제, 가소제, 가류제 및 기타 첨가제가 포함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이다.
항목 |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재료 | 경도(Hs) | 43(shore D) | 60(shore A) | 60(shore A) | |
내열성 (140℃,336시간) |
경도변화(△Hs) | -2 | +26 | +35 | |
인장강도변화율(%) | -13 | -29 | -79 | ||
신율변화율(%) | -9 | -79 | -90 | ||
내그리이스성 (140℃,336시간) |
경도변화(△Hs) | -1 | -16 | 측정불가 | |
인장강도변화율(%) | -16 | 3 | |||
신율변화율(%) | -6 | -42 | |||
체적변화율(%) | +7 | +20 | |||
내가수분해성 (80℃,336시간,95RH%) |
경도변화(△Hs) | -1 | -5 | -10 | |
인장강도변화율(%) | +2 | -10 | -23 | ||
신율변화율(%) | +1 | -15 | -40 | ||
체적변화율(%) | +1 | +3 | +15 | ||
내염수성 (100℃,336시간,25중량% CaCl2) |
경도변화(△Hs) | +1 | +3 | +20 | |
인장강도변화율(%) | -5 | -10 | -39 | ||
신율변화율(%) | +17 | -30 | -48 | ||
영구압축줄음률(140℃, 22시간) | 69 | 50 | 78 | ||
저온 취성(-45℃ 이하) | -67 | -47 | -50 | ||
부품 | 내열 요동 내구 시험(140℃) | 만족 (168시간) |
불만족 (3시간) |
불만족 (1시간) |
|
상온 회전 내구 시험 | 735시간 | 335시간 | 215시간 |
상기 표 2는 상기 표 1의 구성 성분 및 함량으로 구성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물성시험 결과를 비교한 표이다.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신율변화율 및 체적변화율 등의 변화량이 작아야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이다.
상기 실시예 1은 쇼어 D(Shore D) 경도 43이며, 비교예 1 및 2의 쇼어 A(Shore A) 경도 60보다 크다는 것으로부터 실시예 1의 경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시험은 조성물이 열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 알아보는 시험으로 140℃ 에서 336시간 조건에서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및 신율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세 가지 측정값 모두 실시예 1의 변화량이 가장 작기 때문에 실시예 1이 열에 저항하는 힘이 크다는 뜻이므로 내열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내그리이스성 시험은 조성물이 그리이스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 알아보는 시험으로, 140℃ 에서 336시간 조건에서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신율변화율 및 체적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네 가지 측정값 모두 실시예 1의 변화량이 가장 작기 때문에 실시예 1이 그리이스에 저항하는 힘이 크다는 뜻이므로 내그리이스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성 시험은 조성물이 수분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 알아보는 시험으로, 80℃ 에서 336시간 동안 상대습도 95% 조건에서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신율변화율 및 체적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네 가지 측정값 모두 실시예 1의 변화율이 가장 작기 때문에 수분에 저항하는 힘이 크다는 뜻이므로 내가수분해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내염수성 시험은 조성물이 소금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 알아보는 시험으로, 100℃ 에서 336시간 동안 염화칼슘 25 중량% 조건에서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율 및 신율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세 가지 측정값 모두 실시예 1의 변화율이 가장 작기 때문에 실시예 1이 소금에 저항하는 힘이 크다는 뜻이므로 내염수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영구압축줄음률 시험은 140℃ 에서 22시간 조건에서 압축 후 되돌아오는 비율을 측정한 시험으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의 결과값보다 우수하였지만 비교예 2보다는 미약하여 실시예 1의 영구압축줄음률은 보통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저온취성 시험은 저온에서 조성물이 파단되는 가장 낮은 온도를 알아보는 시험으로 실시예 1의 값아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내열 요동 내구 시험은 140℃ 조건에서 조성물로 만든 부품의 내구성을 알아보는 시험으로 실시예 1이 168시간 동안 내구성이 유지되었으나, 비교예 1 및 2는 각각 3시간 및 1시간으로 실시예 1의 내구성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상온 회전 내구 시험은 고속 회전 조건에서 조성물로 만든 부품의 내구성을 알아보는 시험으로 실시예 1은 735시간 동안 내구성이 유지되었으며 비교예 1 및 2는 각각 335시간 및 215시간으로 비교예 1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기 물성시험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였을 경우, 실시예 1의 성능이 비교예 1 및 2보다 크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로서,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BDO); 및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연질 세그먼트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EG); 및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부터 유도되되,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아민계 첨가제로서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은 1 ~ 3 중량부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은 1 ~ 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세그먼트는 열가소성 탄성체 중량에 대하여, 40 ~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카보닐비스카프로락탐(CBC)은 3 중량부 및 1,3-페닐렌비스옥사졸린(1,3-PBO)은 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조성물은 자동차 등속조인트 부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17302A KR101488301B1 (ko) | 2013-02-19 | 2013-02-19 |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US13/936,535 US9133302B2 (en) | 2013-02-19 | 2013-07-08 |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having excellent thermal resist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17302A KR101488301B1 (ko) | 2013-02-19 | 2013-02-19 |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3647A KR20140103647A (ko) | 2014-08-27 |
KR101488301B1 true KR101488301B1 (ko) | 2015-02-04 |
Family
ID=5135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17302A KR101488301B1 (ko) | 2013-02-19 | 2013-02-19 |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133302B2 (ko) |
KR (1) | KR1014883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1341B1 (ko) * | 2018-12-21 | 2023-01-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0115A (ko) * | 1997-04-22 | 2001-03-15 |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 고분자 폴리아미드 |
KR20040061766A (ko) * | 2002-12-31 | 2004-07-07 | 주식회사 코오롱 |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KR20080062580A (ko) * | 2006-12-29 | 2008-07-03 | 주식회사 삼양사 | 저온환경에서 내충격성 및 고경도를 갖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
KR20100079613A (ko) * | 2008-12-31 | 2010-07-08 |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 고내열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8252B1 (ko) | 1999-02-04 | 2006-03-10 | 제일모직주식회사 | 내화학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
GB2417462A (en) * | 2004-08-31 | 2006-03-01 | Eastman Chem Co | Moulding of thermoplastic polyesters |
DE102005055080A1 (de) | 2005-11-16 | 2007-05-24 | Basf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nhydridhaltigen Vinylanomat-Vinylcyanid-Copolymeren |
-
2013
- 2013-02-19 KR KR20130017302A patent/KR1014883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08 US US13/936,535 patent/US913330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0115A (ko) * | 1997-04-22 | 2001-03-15 |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 고분자 폴리아미드 |
KR20040061766A (ko) * | 2002-12-31 | 2004-07-07 | 주식회사 코오롱 |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KR20080062580A (ko) * | 2006-12-29 | 2008-07-03 | 주식회사 삼양사 | 저온환경에서 내충격성 및 고경도를 갖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
KR20100079613A (ko) * | 2008-12-31 | 2010-07-08 |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 고내열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수지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3647A (ko) | 2014-08-27 |
US9133302B2 (en) | 2015-09-15 |
US20140235765A1 (en) | 2014-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543505A (zh) | 一种高性能丁腈橡胶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 |
CN106750651A (zh) | 一种耐热耐磨密封圈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 |
JP6889912B2 (ja)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 |
CN106905646A (zh) | 一种综合性能优异的耐高温氟橡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1488301B1 (ko) |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
KR101693637B1 (ko) | 고내열 이음 방지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 조성물 | |
KR100966220B1 (ko) | 마찰계수가 낮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 |
JP2008308632A (ja) | ゴム組成物および金属材とこのゴム組成物からなる複合体 | |
KR100897435B1 (ko) |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 |
KR102245611B1 (ko) | 금속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조성물 | |
KR102538846B1 (ko)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2308834B1 (ko) | 실리콘계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 |
KR20170038998A (ko) |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 |
JP2012001613A (ja) | 耐加水分解性に優れた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 | |
KR101897681B1 (ko) | 내유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 |
KR101913164B1 (ko) | 연료펌프의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 |
JP6307977B2 (ja) | 変性ポリブタジエン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942989B2 (ja) | ゴム用添加剤 | |
KR102648044B1 (ko) | 타이어 가류 브라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가류 브라다 | |
KR100586725B1 (ko) | 타이어 비드 필러 고무 조성물 | |
KR101609613B1 (ko) | 동적 피로특성이 향상된 유기가황제가 적용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 |
Nasruddin et al. | Study of selection of synthetic rubber as composite material with natural rubber for the outer coating of solid foam tires | |
JPH10265617A (ja) | ゴム組成物 | |
KR20070024774A (ko) | 사출성형용 실리콘 고무 조성물 | |
KR960007759B1 (ko) | 점착력의 지속성을 개선시킨 타이어 사이드월 배합고무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