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09B1 - 원형톱 - Google Patents

원형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09B1
KR101485709B1 KR1020130132463A KR20130132463A KR101485709B1 KR 101485709 B1 KR101485709 B1 KR 101485709B1 KR 1020130132463 A KR1020130132463 A KR 1020130132463A KR 20130132463 A KR20130132463 A KR 20130132463A KR 101485709 B1 KR101485709 B1 KR 10148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aw
saw blade
pad
vibr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호
김병진
신건
이미현
문창호
박봉희
이성진
김원수
최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3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09B1/ko
Priority to PCT/KR2014/010357 priority patent/WO2015065099A1/ko
Priority to JP2016527238A priority patent/JP6283744B2/ja
Priority to CN201480060258.9A priority patent/CN10581378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09B1/ko
Priority to PH12016500787A priority patent/PH1201650078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05Vibration-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5Details of saw blad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원형톱이 개시된다. 개시된 원형톱은 회전하는 원형톱날을 구비하는 원형톱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날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1 내측 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1 외측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톱의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고, 원형톱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절삭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형톱{CIRCULAR SAW}
본 발명은 원형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톱의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고, 원형톱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절삭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형톱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원형톱날(10)을 도시하며, 도 1b는 종래의 원형톱날(10)을 이용한 기계식 절단장치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는 종래의 원형톱날(10)에 적용되는 다공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원형톱은 봉재나 얇은 판재의 절단에 주로 사용되므로 진동에 취약하지 않고, 이에 따라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도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두꺼운 금속 판재를 절단하게 될 때에는 원형톱의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원형톱날의 지지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원형톱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16256호(발명의 명칭: 원형톱날 밀착 가이드 및 이를 채용한 원형톱 절단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0)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에 의하더라도, 절삭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면진동량 저감 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고, 고유진동수 증가에 한계가 존재하여 고속 절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계속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원형톱날(10)에는 다수의 구멍(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다공구조는 톱날과 피절삭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원형톱날(10)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11)은 원형톱날이 유연해지도록 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원형톱을 진동에 취약하게 하거나, 원형톱의 구조적 건전성에 대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기존의 대부분의 원형톱에서는 톱날의 팁에 가까운 곳에 구멍을 형성시키기도 하나, 이는 고유진동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없어 회전 속도가 제한되고 이에 따라 절삭속도 또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극후물 금속판재에 대한 기계식 절단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스를 이용하는 절단 방법 또한 널리 이용되고는 있으나, 가스 절단의 경우, 금속판재의 절단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용강에 의해 생성되는 절단설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며, 절단노즐을 이용하는 용융방식의 특성상 절단속도가 느리고, 절단면 또한 고르지 못하여 절단면 품질 저하를 필연적으로 수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금속판재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 절단 실수율 하락 및 추가 공정을 야기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형톱의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고, 원형톱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절삭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형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하는 원형톱날을 구비하는 원형톱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날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1 내측 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1 외측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외측 패드는 상기 제1 내측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패드는 상기 원형톱날의 내주연에 최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외측 패드는 상기 원형톱날의 외주연에 최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패드 및 제1 외측 패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패드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내측 패드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패드 및 제1 외측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형톱날의 원주를 따라 절곡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은 상기 원형톱날과 동심원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은 상기 원형톱날과 동심원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상기 회전축과 이루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상기 제1 외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상기 회전축과 이루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와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중심각의 크기는 35~40°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2 내측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2 외측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원형톱날에는 다수의 홀이 상기 원형톱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홀은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홀의 크기는 2 종류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톱의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고, 원형톱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절삭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원형톱날을 도시하며, 도 1b는 종래의 원형톱날을 이용한 기계식 절단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원형톱날에 적용되는 다공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원형톱날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파로서, 원형톱날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원형톱날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파로서, 원형톱날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원형톱날이 작동할 때 피절삭재 및 다른 부품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날에 형성되는 다공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적용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증가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적용에 따른 진동량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을 강도 400MPa, 폭 1200mm, 두께 200mm를 가진 극후물 금속판재에 적용시 절단속도를 종래기술인 가스절단과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극후물(일례로, 두께 100mm 이상) 금속판재를 절단하는 대구경 원형톱날을 구비하는 기계식 절단기에 있어 고속절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형톱의 진동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형톱날의 안쪽과 바깥쪽에 방진 패드를 동시에 설치함으로써 원형톱날의 뒤틀림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과 원형톱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동시에 저감한다.
또한, 원형톱의 마찰열에 따라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고유진동수의 변동이 없도록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홀을 설계하고, 직경이 서로 다른 홀을 교차하여 배치함으로써 공극률을 높여 방열 성능을 증가시킨다.
또한, 방진패드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톱 안쪽과 바깥쪽 방진 패드 사이에 다수의 홀을 배치하여 방진패드와 동시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원형톱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구조 기인 소음을 미연에 방지하고, 원형톱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절삭면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100)은 회전하는 원형톱날(110), 제1 내측 패드(120a), 제1 외측 패드(130a), 제2 내측 패드(120b), 제2 외측 패드(130b)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 패드와 외측 패드(120a, 120b, 130a, 130b)의 설치를 위한 패드 고정부(122a, 122b, 132a, 1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내측 패드(120a, 120b)와 제1, 제2 외측 패드(130a, 130b)는 서로 좌우대칭 구조를 갖는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내측 패드(120a)와 제1 외측 패드(130a)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측 패드(120a)는 원형톱날(110)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축으로부터 제1 거리(d1)에 상기 원형톱날(110)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원형톱날(110)의 진동을 억제한다.
그리고, 제1 외측 패드(130a)는 원형톱날(110)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축으로부터 제2 거리(d2)에 상기 원형톱날(110)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원형톱날(110)의 진동을 억제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패드(120a)는 원형톱날(110)의 내주연에 최인접하여 설치되고, 제1 외측 패드(130a)는 원형톱날(110)의 외주연에 최인접하여 설치되며, 제1 외측 패드(130a)는 제1 내측 패드(120a)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간격(di) 이격되어 설치되게 된다.
제1 외측 패드(120a)와 제1 내측 패드(130a) 사이의 소정의 간격(di)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홀(112)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패드(120a)와 제1 외측 패드(130a)는 각각 원형톱날(110)의 원주를 따라 절곡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내측 패드(120a) 및 제1 외측 패드(130a)는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증가하고, 제1 외측 패드(130a)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제1 내측 패드(120a)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1 내측 패드(120a)와 제1 외측 패드(130a)는 원형톱날(110)을 구성하는 가상의 부채꼴에 놓여지게 된다.
즉, 원형톱날을 구성하는 가상의 부채꼴에서 안쪽에 제1 내측 패드(120a)가 놓여지게 되고, 바깥쪽에 제1 외측 패드(130a)가 놓여지게 된다. 이때, 가상의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3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곡된 사다리꼴 형상의 제1 내측 패드(120a)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은 원형톱날(110)과 동심원일 수 있고, 절곡된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외측 패드(130a)의 절곡된 면 또한 원형톱날(110)과 동심원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 내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과 제1 외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도 동심원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내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회전축과 이루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제1 외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회전축과 이루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와 상응하게 된다.
제1 내측 패드와 제1 외측 패드의 타측에 위치하게 되는 제2 내측 패드와 제2 외측 패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2 내측 패드는 원형톱날(110)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2 방향(D2)으로 제1 거리(d1)에 원형톱날(110)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원형톱날(110)의 진동을 억제한다.
그리고, 제2 외측 패드는 제2 방향(D2)으로 제2 거리(d2)에 원형톱날(110)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원형톱날(110)의 진동을 억제한다.
이때, 제2 내측 및 외측 패드(120b, 130b)는 제1 내측 및 외측 패드(120a, 130a)와 좌우대칭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회전축으로부터 제1 내측 패드(120a)와 제2 내측 패드(120b)가 형성되는 거리는 제1 거리(d1)로서 서로 동일하고, 회전축으로부터 제1 외측 패드(130a)와 제2 외측 패드(130b)가 형성되는 거리 또한 제2 거리(d2)로서 서로 동일하며, 그리고, 제2 내측 및 외측 패드(120b, 130b)가 형성되는 제2 방향(D2)은 제1 내측 및 외측 패드(120a, 130a)가 형성되는 제1 방향(D1)과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좌우대칭 구조에 따라, 제1 및 제2 내측 패드(120a, 120b)는 원형톱날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외측 패드(130a, 130b)는 원형톱날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패드(120a, 120b)와 외측 패드(130a, 130b)를 통하여 원형톱날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억제되는 메커니즘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6은 원형톱날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파로서, 원형톱날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원형톱날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파로서, 원형톱날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원형톱날(110)이 작동할 때 피절삭재(40) 및 다른 부품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삭재(40)와 원형톱날(110)의 주기적인 접촉과 베어링(30)을 포함하는 회전축계의 진동은 원형톱날(110)이 축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축방향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내측 패드(120a, 120b)와 외측 패드(130a, 130b)가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경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도록, 내측 패드(120a, 120b)와 외측 패드(130a, 130b)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원판이 원주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양한 고유주파수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하지 않는 절선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절선에 방진 패드를 설치하면, 축방향 진동을 저감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패드(120a, 120b)와 외측 패드(130a, 130b)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35~40°의 각도로 설치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한선(L2) 아래로는 피절삭재(40)가 통과하게 되고, 상한선(L1) 위로는 원형톱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내측 패드(120a, 120b)와 외측 패드(130a, 130b)는 상한선(L1)과 하한선(L2)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형톱날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파를 살펴보게 되면, 높은 주파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톱날의 반경 방향을 따라 진동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진동하지 않는 절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절원에 방진 패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고속에서의 축방향 진동을 저감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패드(120a, 120b)와 외측 패드(130a, 130b) 서로 소정의 간격(di) 이격되어 설치되게 된다. 일례로, 내측 패드와 외측 패드는 원형톱날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거리의 2/5~4/5 부분을 피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원형톱(100)은 자체의 특정 진동수에서 진동량이 증가하는 고유진동수를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유진동수의 범위를 피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구경 원형톱의 경우에는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최대 회전 속도가 제한되고 쉽게 진동하게 된다.
상기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의 배열은 원형톱(100)의 고유진동수를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톱날(110)과 피절삭재(40)간 마찰열에 의한 표면 열화나 열변형을 수반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날(11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 형상, 즉, 다수의 홀(112)을 형성함으로써 방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고유진동수는 강성이 증가할수록 높아지고, 관성에 관한 변수들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원형톱날의 반경 방향으로 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다공 형상을 설계하게 되면, 관성을 줄이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유진동수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날에 형성되는 다공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 형상을 위해, 원형톱날(110)에는 다수의 홀(112)이 형성될 수 있고,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을 갖는 홀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피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 가공에 의해 미세하게 돌출되는 절삭 버(bur)는 원형톱과 점접촉을 하고 고주파 소음을 발생하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114)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적용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증가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의 설치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고, 다공 형상(112)을 설계하는 경우에도 고유진동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유연변형 고유진동수는 방진 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약 17% 증가하며, 발열을 위한 다공 형상을 설계하는 경우에도 고유진동수가 약 2% 내외의 고유진동수 변화만을 갖는다.
따라서,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 및 다공 형상(112) 설계로부터 최대 운전 속도를 약 15%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적용에 따른 진동량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하며, 최대 운전 속도에서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와 대비하여,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를 설치했을 경우 진동량이 약 70%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을 강도 400MPa, 폭 1200mm, 두께 200mm를 가진 극후물 금속판재에 적용시 절단속도를 종래기술인 가스절단과 비교하여 도시하며, 방진 패드(120a, 120b, 130a, 130b)의 설치에 따라 축방향 진동이 저감되고 임계속도도 증가하며, 이에 따라, 종래기술보다 절단속도를 약 2.3배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극후물 금속판재 절단시 발생하는 진동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마찰열의 방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대구경 원형톱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저속 회전 시 무른 소재의 파편이 톱날끝에 압착되어 톱날 수명을 저감시키고 절단면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원형톱의 구조에 기인하는 소음을 저감하여 작업자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원판에 톱날의 고유 진동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원형톱의 회전 제한 속도를 증가시키고, 절삭 효율을 증가시키며 제품의 실수율을 향상, 새로운 제품시장의 창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원형톱 110 : 원형톱날
120a, 120b, 130a, 130b : 방진 패드
122a, 122b, 132a, 132b : 방진 패드 고정부

Claims (16)

  1. 회전하는 원형톱날을 구비하는 원형톱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날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1 내측 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1 외측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외측 패드는 상기 제1 내측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측 패드 및 제1 외측 패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패드는 상기 원형톱날의 내주연에 최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외측 패드는 상기 원형톱날의 외주연에 최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패드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내측 패드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패드 및 제1 외측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형톱날의 원주를 따라 절곡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은 상기 원형톱날과 동심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이루는 원은 상기 원형톱날과 동심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상기 회전축과 이루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상기 제1 외측 패드의 절곡된 면이 상기 회전축과 이루는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각의 크기는 3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2 내측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에 상기 원형톱날과 평행하게 놓여진 상태로 상기 원형톱날의 진동을 억제하는 제2 외측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톱날에는 다수의 홀이 상기 원형톱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홀은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홀의 크기는 2 종류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톱.
KR1020130132463A 2013-11-01 2013-11-01 원형톱 KR10148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463A KR101485709B1 (ko) 2013-11-01 2013-11-01 원형톱
PCT/KR2014/010357 WO2015065099A1 (ko) 2013-11-01 2014-10-31 방진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원형톱, 금속판 절단 장치
JP2016527238A JP6283744B2 (ja) 2013-11-01 2014-10-31 防振パッド及びこれを含む丸鋸、金属板切断装置
CN201480060258.9A CN105813788B (zh) 2013-11-01 2014-10-31 抗振衬垫和包括该抗振衬垫的圆锯以及切割金属板的装置
PH12016500787A PH12016500787A1 (en) 2013-11-01 2016-04-27 Anti-vibration pad and circular saw comprising same, and apparatus for cutting metal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463A KR101485709B1 (ko) 2013-11-01 2013-11-01 원형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09B1 true KR101485709B1 (ko) 2015-01-22

Family

ID=5259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463A KR101485709B1 (ko) 2013-11-01 2013-11-01 원형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71Y1 (ko) * 2000-06-19 2000-12-15 세원테크주식회사 절삭톱의 진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71Y1 (ko) * 2000-06-19 2000-12-15 세원테크주식회사 절삭톱의 진동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759B1 (ko) 이동 가능한 요소 및 댐핑 시스템
JPWO2012032964A1 (ja) 動吸振器
KR20170032409A (ko) 철도 차량용 방음 차륜
US3932060A (en) Bifilar vibration dampers
JP2011079099A (ja) 工作機械
EP3077698B1 (en) Movable element, damping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ovable element
KR101485709B1 (ko) 원형톱
JP2006142689A (ja) ディスクカッター
JP5995513B2 (ja) 紡糸巻取装置
US4662259A (en) Arrangement in circular saws, and saw-blades therefor
US4033642A (en) Shaft mounting apparatus
WO2014156102A1 (ja) 鉄道車両用防音車輪
US4979417A (en) Rotating saw blade having improved critical vibrational speed
JP6283744B2 (ja) 防振パッド及びこれを含む丸鋸、金属板切断装置
KR101530779B1 (ko) 방진패드
CN214412487U (zh) 减振垫圈、电机减振组件及空调器
JP6447458B2 (ja) ダストカバー
JP7101711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イホイール
JP5959448B2 (ja) 2軸押出機の制振機構及び制振方法
JP5597085B2 (ja) 回転電機
CN201300497Y (zh) 一种降噪减振烧结金刚石圆锯片
EP3417969A1 (en) Double cutting disc with curved deformation lines
US8699182B2 (en) Fluid dynamic motor with reduced vibrations
JP2018534162A (ja) 振動を除去するためのガイドを備えた面取り工具
JP2021183377A (ja) 騒音と振動を下げる回転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