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168B1 -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 - Google Patents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4168B1 KR101484168B1 KR20130066976A KR20130066976A KR101484168B1 KR 101484168 B1 KR101484168 B1 KR 101484168B1 KR 20130066976 A KR20130066976 A KR 20130066976A KR 20130066976 A KR20130066976 A KR 20130066976A KR 101484168 B1 KR101484168 B1 KR 101484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fiber
- sand
- bottom ash
- filler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0882 bottom as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848 polyfunctional cura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11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633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FUGQJXVXHBTEM-UHFFFAOYSA-N 2-hydroperoxy-2-(2-hydroperoxybutan-2-ylperoxy)butane Chemical compound CCC(C)(OO)OOC(C)(CC)OO WFUGQJXVXHBT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4 asphal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14 polymer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67 vinyl 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성 및 물성균형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경제성 및 물성균형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은 주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경화제 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 20 wt% 내지 55 wt%, 및 버텀애쉬 소재를 포함하는 충전재 45 wt% 내지 80 wt%로 구성된 모르타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버텀애쉬 또는 버텀애쉬와 모래의 혼합물을 충전재로 사용함으로써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원료를 연소한 후 발생하는 버텀애쉬(bottom ash)는 이제까지 폐기물로 취급되어 매립지에 매립되어 왔다.
버텀애쉬는 Si, Al, Fe 등이 주성분을 이루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Si가 약 30∼60 중량%를 차지하고, Al 및 Fe가 각각 10∼30 중량%를 차지하며, Zn, Ni, Co 등의 원소들을 미량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성분인 Cd 및 Pb는 모두 0.0001 중량% 미만으로 극소량 포함하고 있어 버텀애쉬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버텀애쉬의 입자 크기는 매우 넓은 범위로 분포하는데, 보통 5 내지 100 μm 범위 크기의 분포를 갖는다. 그리고 버텀애쉬의 입자크기는 분쇄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버텀애쉬의 분쇄 시간을 10 시간, 15 시간, 20 시간으로 증가시켜 입자분포도를 확인한 결과 분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감소하고 0.5 내지 22 μm 범위의 입자크기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텀애쉬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도 함유하지 않으면서 분쇄를 통해 입자크기도 조절할 수 있는 버텀애쉬를 고분자 수지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폐기물로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새로운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버텀애쉬/PE 고분자 복합소재 조성물에 관한 한국특허출원 제2012-0081791호와 버텀애쉬/PP 고분자 복합소재 조성물에 관한 한국특허출원 제2012-092054호를 발명 및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하수도관 또는 그 외 배관 용도로서 강관 또는 주철관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상기 관들은 부식이 잘 되고 강도가 약한 단점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에폭시기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코팅하는 기술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코팅으로 인한 배관의 중량증가 및 원가상승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리섬유 복합관이 도입되었다. 유리섬유복합관은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관의 안쪽부터, 내면 보호층, 내면강화 GRP 층(Glass Reinforced Plastic layer), 모르타르층, 외면강화 GRP 층, 및 외면 보호층의 5개 층으로 구성된 관으로서, 다층구조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RP)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량이면서도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 복합관의 모르타르층은 유리섬유복합관의 내면강화 GRP층 및 외면강화 GRP층 사이에 위치하여 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리머 수지, 시멘트 및 모래(sand)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모르타르층의 경화를 위해 시멘트와 함께 혼합되는 모래는 무분별한 채취에 따른 환경파괴 문제로 그 수급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고 그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이므로, 모래를 대체할 만한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폐기물로 취급되던 버텀애쉬를 유리섬유 복합관의 모르타르층 제조에 사용되는 모래 대체물로 활용함으로써, 모래 사용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환경파괴 방지와 자원재활용, 및 물성균형이 우수한 유리섬유 복합관의 제조와 같은 일석삼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본원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 절감 효과가 크고 물성균형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텀애쉬 소재를 포함하는 모르타르층으로 이루어진 유리섬유 복합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물성 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다층구조의 유리섬유 복합관은 관 안쪽부터 차례로 내면보호층, 내면강화 GRP층, 모르타르층, 외면강화 GRP 층 및 외면 보호층이 적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층은 주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경화제 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 20 내지 55wt%와, 버텀애쉬를 포함하는 충전재 45 내지 80 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텀애쉬의 입자 크기는 1 ㎛ 내지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재는 입자 크기가 1.8 mm 내지 2.0 mm 인 모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재의 모래 및 버텀애쉬의 중량비는 1:1.5~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복합관 제조시 모르타르층에 사용되는 충전재를 버텀애쉬 소재로 대체하여 모래만으로 이루어진 충전재 사용대비 제조비용 절감효과가 큰 유리섬유 복합관을 제공한다. 또한, 모르타르층 제조에 사용되는 모래와 버텀애쉬의 입자 크기를 조절하여 물성균형이 우수한 유리섬유 복합관을 제공하는 효과도 갖는다.
제1도는 유리섬유복합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50 wt%와 충전재 50 wt%로 모르타르층을 제조한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리섬유복합관이 갖는 물성강도를 비교한 것으로, 도 2a는 굴곡강도를 도 2b는 압축강도를, 도 2c는 충격강도의 비교 결과를 도시한다.
제3도는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25 wt%와 충전재 75 wt%로 모르타르층을 제조한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리섬유복합관이 갖는 물성강도를 비교한 것으로, 도 3a는 굴곡강도를 도 3b는 압축강도를, 도 3c는 충격강도의 비교 결과를 도시한다.
제2도는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50 wt%와 충전재 50 wt%로 모르타르층을 제조한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리섬유복합관이 갖는 물성강도를 비교한 것으로, 도 2a는 굴곡강도를 도 2b는 압축강도를, 도 2c는 충격강도의 비교 결과를 도시한다.
제3도는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25 wt%와 충전재 75 wt%로 모르타르층을 제조한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리섬유복합관이 갖는 물성강도를 비교한 것으로, 도 3a는 굴곡강도를 도 3b는 압축강도를, 도 3c는 충격강도의 비교 결과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모르타르층의 충전재로서 버텀애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모래와 버텀애쉬의 혼합물을 모르타르층의 충전재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물성균형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물성강도가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은 다층 구조로 관 안쪽부터 차례로, 내면 보호층, 내면강화 GRP층(Glass Reinforced Plastic layer), 모르타르층, 외면강화 GRP 층 및 외면 보호층이 적재되어 형성된다.
내면 보호층 또는 외면 보호층은 관의 내층 또는 외층에서 관의 형태를 지지하는 것으로 성형후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열경화성 수지로 제조하는데,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내면 강화 GRP 층 또는 외면 강화 GRP 층은 경량이면서도 유리섬유 복합관의 내구성,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Reinforced Plastic, GRP)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에 지름 0.1mm 이하로 가공한 유리섬유를 보강하여 제조하였다.
모르타르층은 유리섬유복합관에 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주재, 시멘트 경화제 및 충전재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제조하였다.
모르타르층에 사용되는 주재는 유리섬유 복합관 제조에 사용 가능하다고 공지된 모든 수지로서 어느 한 종류의 수지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주재로 사용할 수 있다.
모르타르층을 제조하는 경우 주재, 경화제 및 충전재를 혼합하여 경화시키는데, 그 혼합 비율은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20 wt% 내지 55 wt% 및, 버텀애쉬(bottom ash) 소재를 포함하는 충전재 45 wt% 내지 80 wt%이다. 이때 경화제는 주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르타르층의 충전재는 버텀애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모래와 버텀애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충전재로서 버텀애쉬만을 사용하는 경우 모르타르층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 비율은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45-55 wt%, 충전재 45-55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재로서 버텀애쉬와 모래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 비율은 주재와 경화제의 혼합물 20-30 wt%, 충전재 70-8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텀애쉬와 모래의 혼합물을 충전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입자간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모래와 버텀애쉬의 입자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버텀애쉬는 1 um 내지 500 um 입자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 um 미만일 경우 입자가 작아 주재 또는 모래와의 혼합이 원활하지 못하고 입자간의 엉킴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1,500 um 초과일 경우 모르타르층의 공극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버텀애쉬와 혼합되는 모래의 입자 크기는 1.8 mm 내지 2.0 mm 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모래 입자 크기가 1.8 mm 미만이면 주재와의 혼합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2.0 mm를 초과하면 모르타르층의 공극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충전재로서 혼합되는 버텀애쉬와 모래는 모래 1 : 버텀애쉬 1.5~2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비율인 경우에 저가의 버텀애쉬로 고가의 모래를 대체하면서도 충전재의 공극을 균일하게 조절하여 모르타르층의 강도를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일 뿐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1) 실험재료
모르타르층의 주재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모르타르층의 충전재로서 입자 크기가 0.7 내지 0.9 mm인 모래(이하 S-sand)와 1.8 mm 내지 2.0 mm인 모래(이하 L-sand)를 사용하였으며, 버텀애쉬는 한국 중부 보령 화력본부에서 건식 회수에 의해 얻어진 것을 전처리 공정 없이 사용하였다.
(2) 모르타르층의 제조
모르타르층을 제조하기에 앞서 모래와 버텀애쉬의 수분을 제거하고자 60℃의 진공 오븐에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사용된 경화제는 세기아케아社의 MEKPO이며, 하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와 같은 함량으로 각 성분을 다이(die)에서 혼합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혼합에 사용된 다이는 가로 80mm, 세로 15mm, 높이 3mm 인 틀을 사용하였다.
혼합물 (불포화 폴리에스터 + 경화제 ) |
충전재 | ||||
버텀애쉬 | S-sand | L-sand | |||
혼합물 50 +충전재 50 |
실시예 1 | 50 | 50 | - | - |
비교예 1 | 50 | - | 50 | - | |
비교예 2 | 50 | - | - | 50 | |
혼합물 25 +충전재 75 |
비교예 3 | 25 | - | 75 | - |
비교예 4 | 25 | - | - | 75 | |
비교예 5 | 25 | 37.5 | - | 37.5 | |
실시예 2 | 25 | 45 | - | 30 |
(3) 물성측정 방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혼합비로 제조된 모르타르층을 포함하는 유리섬유 복합관을 제조한 뒤 물성측정을 하였다. 유리섬유 복합관 제조시 사용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CCP社의 3420BF이다.
압축강도는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LR 50K, Lloyd Instrument, UK)을 이용하여 ASTM D6112 방법에 따라 UTM을 이용하여 시료를 7번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굴곡강도는 KS M3008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충격강도는 ASTM D256 방법의 Unnotched izod impact strength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4) 측정 결과
혼합물 50 wt %와 충전재 50 wt %를 사용한 경우: 각 모르타르층에는 단일종의 충전재만을 사용하였다. 즉, 실시예 1은 버텀애쉬만을 충전재로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1 및 2는 각각 S-sand와 L-sand만을 충전재로 사용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강도의 경우 S-sand 만을 충전재로 사용한 비교예 1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버텀애쉬를 충전재로 사용한 실시예 1의 굴곡강도는 약 60MPa로 L-sand만을 충전재로 사용한 비교예 2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반면, 도 2b의 압축강도 및 도 2c의 충격강도의 경우 실시예 1이 비교예 1 및 2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버텀애쉬만을 충전재로 사용하는 실시예 1의 물성강도가 비교예 1 및 2보다 더욱 균일할 뿐 아니라, 모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1 및 2보다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혼합물 25 wt %와 충전재 75 wt %를 사용한 경우: 실시예 2는 버텀애쉬와 L-sand를 1.5 : 1로 혼합한 충전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및 4는 각각 S-sand와 L-sand만을 충전재로 사용하였고, 비교예 5는 버텀애쉬와 L-sand를 1 : 1로 혼합한 충전재를 사용하였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강도의 경우 S-sand만을 충전재로 사용한 비교예 3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버텀애쉬와 L-sand를 1.5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충전재로 사용한 실시예 2의 굴곡강도는 약 40MPa로 L-sand만을 충전재로 사용한 비교예 4 및, 버텀애쉬와 L-sand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충전재로 사용한 비교예 5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 3b의 압축강도는 충전재의 종류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도 3c의 충격강도는 실시예 2의 강도가 비교예 3-5의 강도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버텀애쉬와 L-sand를 1.5 : 1의 비율로 혼한하여 충전재로 사용한 실시예 2의 물성강도가 비교예 3-5보다 더욱 균일할 뿐 아니라, 모래사용량의 감소로 인해 비교예 3-5 보다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상기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실시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 내면보호층, 내면강화 GRP층(Glass Reinforced Plastic layer), 수지 모르타르층, 외면강화 GRP층(Glass Reinforced Plastic layer), 및 외면 보호층을 포함하는 유리섬유 복합관에 있어서, 상기 수지 모르타르층은;
주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경화제 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 20 내지 55wt%; 및
버텀애쉬(bottom ash)를 포함하는 충전재 45 내지 80 wt%;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텀애쉬는 입자 크기가 1㎛ 내지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입자 크기가 1.8 mm 내지 2.0 mm 인 모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및 버텀애쉬의 중량비는 1: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6976A KR101484168B1 (ko) | 2013-06-12 | 2013-06-12 |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6976A KR101484168B1 (ko) | 2013-06-12 | 2013-06-12 |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869A KR20140144869A (ko) | 2014-12-22 |
KR101484168B1 true KR101484168B1 (ko) | 2015-01-21 |
Family
ID=5259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66976A KR101484168B1 (ko) | 2013-06-12 | 2013-06-12 |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416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568A (ja) * | 1993-06-14 | 1995-01-10 | Sekisui Chem Co Ltd | 繊維強化合成樹脂管 |
KR20050031195A (ko) * | 2003-09-29 | 2005-04-06 | 최준한 |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성형품 및이의 제조방법 |
KR100745650B1 (ko) | 2005-08-17 | 2007-08-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외부 파형 섬유보강 플라스틱 관. |
KR20080082136A (ko) * | 2007-03-07 | 2008-09-11 |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 바텀 애쉬 코어층을 갖는 유리섬유 복합관 |
-
2013
- 2013-06-12 KR KR20130066976A patent/KR1014841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568A (ja) * | 1993-06-14 | 1995-01-10 | Sekisui Chem Co Ltd | 繊維強化合成樹脂管 |
KR20050031195A (ko) * | 2003-09-29 | 2005-04-06 | 최준한 |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성형품 및이의 제조방법 |
KR100745650B1 (ko) | 2005-08-17 | 2007-08-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외부 파형 섬유보강 플라스틱 관. |
KR20080082136A (ko) * | 2007-03-07 | 2008-09-11 |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 바텀 애쉬 코어층을 갖는 유리섬유 복합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869A (ko) | 2014-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2733B1 (ko) | 건설폐자재, 산업폐자재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머 콘크리트 | |
KR101944463B1 (ko) |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난연재료인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 |
CN105776949A (zh) | 一种基于鹅卵石的复材机床床身矿物铸件及其制备方法 | |
KR101257845B1 (ko) | 지금분쇄슬래그를 이용한 레진콘크리트 몰탈 조성물 및 레진콘크리트 원심력관 | |
CN105060779B (zh) | 一种用于钢筋混凝土结构加固的纤维增强水泥基复合材料 | |
KR101520171B1 (ko) | 박층 폴리머 콘크리트용 폴리설파이드 에폭시 혼합물 | |
CN104478215A (zh) | 超硬度人造石英石板材及其制造方法 | |
KR101767139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공법 | |
CN103772903A (zh) | 一种补强玻璃钢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 | |
CN103292055A (zh) | 复合玻璃钢管 | |
KR101484168B1 (ko) | 물성균형 및 경제성이 향상된 유리섬유 복합관 | |
CN109485366A (zh) | 一种建筑用改性砂浆 | |
CN104652778B (zh) | 一种乙烯基酯树脂重型砂浆地坪 | |
CN103773089A (zh) | 一种环保玻璃钢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 | |
KR20170076146A (ko) | 그래핀부산물이 혼입된 시멘트-모르타르 복합체 | |
KR101737760B1 (ko) | 하이브리드 하수관 보강 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 |
JP2020157588A (ja) | 積層体及び多層管 | |
KR101348874B1 (ko)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바닥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622567B1 (ko) | 전자파 차폐용 수경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경화체 | |
CN108192217A (zh) | 一种纤维增强热塑性模压化粪池及其生产方法 | |
KR101779260B1 (ko) |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원심력 콘크리트관 및, 그 제조방법 | |
CN107286695A (zh) | 一种多层石墨烯改性树脂/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705048B1 (ko) | 폐고무분말을 이용한 경량 유황콘크리트 및 고강도 경량 유황콘크리트 | |
CN109592929A (zh) | 一种人造加强型石英石板材 | |
KR101497983B1 (ko) | 노출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