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455B1 -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455B1
KR101483455B1 KR20080063643A KR20080063643A KR101483455B1 KR 101483455 B1 KR101483455 B1 KR 101483455B1 KR 20080063643 A KR20080063643 A KR 20080063643A KR 20080063643 A KR20080063643 A KR 20080063643A KR 101483455 B1 KR101483455 B1 KR 10148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vided images
arrangement
entir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652A (ko
Inventor
김영찬
최병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455B1/ko
Priority to US12/367,874 priority patent/US8482480B2/en
Priority to CN200910147782.0A priority patent/CN101620846B/zh
Publication of KR2010000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하나의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분할한 복수의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MULTI DISPLAY SYSTEM AND MULTI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내츄럴 표시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분할영상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N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풀(full) 표시방식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분할영상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표시하는 내츄럴(natural) 표시방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A는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풀 표시방식의 예시도이며, 도 1의 B는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츄럴 표시방식의 예시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풀 표시방식에서는, 분할영상이 표시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 의 테두리를 고려하지 않고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영상에 왜곡이 발생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츄럴 표시방식에서는, 분할영상이 표시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를 고려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츄럴 표시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확대비율, 캡쳐 위치 등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에 맞춰 생산과정에서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출하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새로이 구성하기 위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또는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테두리를 제거하고 패널만을 연결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한다거나, 또는 설치 공간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조정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고정된 설정 값을 변경할 방법이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 등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또는 이격 거리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내츄럴 표시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 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입력 받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입력 받은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전체영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및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입력 받은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격 거리 및 상기 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OSD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분할한 복수의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분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전체영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격 거리 및 상기 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OSD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은,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영상을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전체영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 및 상기 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또는 이격 거리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내츄럴 표시방식의 멀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격 거리 또는 배치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컨대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체영상"이라 하며,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분할영상"이라 한다. 전체영상과 분할영상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신호를 입력 받는 영상입력부(201)와, 입력 받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202)와, 영상처리부(202)에 의하여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203)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204)와,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부(203)에 표시하기 위한 OSD생성부(206)를 더 포함한다.
영상입력부(201)는 방송신호와 같은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디오플레이어(VCR), 디브이디(DVD)플레이어 또는 블루레이디스크(Blu-ray disc)플레이어 등과 같은 영상기기 및 퍼스널컴퓨터(PC)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신호 포맷에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04)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측에 마련된 복수의 키(key) 또는 버튼(button)을 포함한다. 각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에 대응한다.
사용자입력부(20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고, 이를 제어부(205)에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설정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테두리의 크기 또는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은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와,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202)는 영상입력부(201)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표시부(203)에서 표시 가능한 형태로 처리한다. 즉, 영상처리부(202)는 영상신호에 대한 디코딩, 이미지 인핸스먼트, 스케일링, 휘도, 콘트라스트 등의 조정을 포함한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0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205)는 사용자입력부(204)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도록 영상처리부(202)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05) 는 사용자입력부(204)를 통해 입력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테두리의 크기 등에 관한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전체영상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의 캡쳐영역 및 확대비율을 산출한다. 제어부(205)는 산출된 분할영상의 캡쳐영역 및 확대비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도록 영상처리부(202)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의 캡쳐영역 및 확대비율을 산출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5)는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OSD생성부(206)를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메뉴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수직 및 수평 테두리의 크기와, 분할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수직 및 수평 크기를 입력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영역의 수직 및 수평 크기는 제품에 따라 고정된 값이므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메뉴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및 수평 총 개수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수평 및 수직위치를 입력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의 캡쳐영역 및 확대비율을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는 4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분할영상 사이의 이격 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에 한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좌,우의 테두리의 크기가 같고, 수직 상,하의 테두리의 크기가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며, 다양한 변형과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4의 A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의 예시도이며, 도 4의 B는 전체영상을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츄럴 표시방식으로 표시할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분할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4의 B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4 개의 직사각형 영역이 각각의 분할영상에 해당되며, 점선의 좌,우 및 상,하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해당된다.
도 4의 C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를 픽셀 값으로 산출하는 것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수평픽셀 값 T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T=(L*D)/B
여기서,
T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수평픽셀 값,
L은 표시패널의 수평픽셀 값,
D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테두리의 크기(mm)
B는 표시패널의 수평길이 값(mm)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수직픽셀 값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이 가능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이하 수평 방향에 관한 산출 과정만을 설명하며, 수직 방향에 관한 산출 과정은 생략한다.
도 4의 D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영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을 산출하는 것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영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X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은 각각 하기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X=A*R/(A*N+2*(N-1)*T)
<수학식 3>
△=T*X/A
여기서,
X는 분할영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A는 표시패널의 수평픽셀 값,
R은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N은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에 해당하는 정수 값,
T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수평픽셀 값(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된 값)이다.
도 4의 E는 각각의 분할영상의 수평 캡쳐영역 및 수평 확대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영상의 수평 캡쳐영역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Cs와, 분할영상의 수평 캡쳐영역의 종결점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Ce는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4>
Cs=(X+2△)*(n-1)
Ce=(X+2△)*(n-1)+X
여기서,
Cs는 분할영상의 수평 캡쳐영역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Ce는 분할영상의 수평 캡쳐영역의 종결점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X는 분할영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된 값),
△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된 값)이다.
한편, 분할영상의 수평 확대비율은 분할영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전체영상의 수평픽셀 값 X와 표시패널의 수평픽셀 값의 비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일하게 입력되고, 입력된 전체영상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처리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전체영상을 PC 또는 셋톱박스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처리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처리된 분할영상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별도의 외부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분할영상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처리된 분할영상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구성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사용자입력부 등을 통하여 입력한다(S10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영상분배장치는 입력된 사용자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영상을 생성하도록 전체영상을 분할하여 처리한다(S102). 생성된 분할영상은 각각의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된다(S103).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장치의 풀 표시방식 및 내츄럴 표시방식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메뉴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영상의 수평 캡쳐영역 및 수평 확대 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관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디스플레이 장치 201: 영상입력부
202: 영상처리부 203: 표시부
204: 사용자입력부 205: 제어부
206: OSD생성부

Claims (2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입력 받은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전체영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및 멀티 디스플레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입력 받은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에 의해 입력 받은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격 거리 및 상기 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OSD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분할한 복수의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전체영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격 거리 및 상기 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OSD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멀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영상 사이의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영상을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전체영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의 크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영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영상의 배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총 개수 및 상기 복수의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24.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 및 상기 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위한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20080063643A 2008-07-01 2008-07-01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8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3643A KR101483455B1 (ko) 2008-07-01 2008-07-01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US12/367,874 US8482480B2 (en) 2008-07-01 2009-02-09 Multi display system and multi display method
CN200910147782.0A CN101620846B (zh) 2008-07-01 2009-06-19 多显示系统及其多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3643A KR101483455B1 (ko) 2008-07-01 2008-07-01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52A KR20100003652A (ko) 2010-01-11
KR101483455B1 true KR101483455B1 (ko) 2015-01-16

Family

ID=4146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3643A KR101483455B1 (ko) 2008-07-01 2008-07-01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82480B2 (ko)
KR (1) KR101483455B1 (ko)
CN (1) CN101620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8186A (ja) * 2010-11-25 2012-07-05 Kyocera Corp 電子機器
US9961295B2 (en) * 2012-06-22 2018-05-01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device
US20140292617A1 (en) * 2013-03-29 2014-10-02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ducing image artifacts on multiple displays
US9411552B2 (en) * 2013-07-16 2016-08-09 Google Inc. Bezel pixel layer in multi-panel display
CN104658436B (zh) * 2013-11-25 2018-09-28 丁炜慷 一种在拼接显示屏上点对点显示输入视频的方法
TWI679624B (zh) * 2014-05-02 2019-1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US9529563B2 (en) * 2014-09-30 2016-12-27 X Development Llc Masking mechanical separations between tiled display panels
KR101609368B1 (ko) * 2014-10-08 2016-04-05 주식회사 맥키스컴퍼니 실시간 3d 영상 다중 화면 동기화 시스템
US10157032B2 (en) * 2014-12-04 2018-12-18 Henge Docks Llc Method for logically positioning multiple display screens
KR20160076227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192950B2 (en) 2015-01-06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multi-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45553B1 (ko) * 2015-01-06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07963A (ko) * 2015-07-13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JP6081037B1 (ja) * 2016-03-29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受信再生装置、画像生成送信装置、表示システム、画像受信再生方法、画像生成送信方法、画像受信再生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送信プログラム
RU2699676C1 (ru) 2016-04-19 2019-09-09 Мицубиси Электрик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KR20170127098A (ko) * 2016-05-10 2017-11-21 (주)코텍 다른 타입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로 구성된 의료용 모니터 장치
US11707671B2 (en) 2017-03-07 2023-07-25 Ahmed ABDELKARIM Anamorphic display device
US11093197B2 (en) 2017-07-31 2021-08-17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display area utilizing a plurality of discrete displays
KR101979410B1 (ko) * 2017-09-19 2019-05-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KR102502562B1 (ko) * 2017-12-26 2023-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716703B (zh) * 2018-07-13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屏的图像处理方法及装置、拼接屏
US11334307B2 (en) * 2018-09-25 2022-05-17 Pixelhue Technology Ltd Image display method and video processing device
WO2024034701A1 (ko) * 2022-08-09 2024-02-15 (주)코텍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531A1 (en) 2001-05-11 2002-11-14 Xerox Corporation Mixed resolution displays
US6501441B1 (en) * 1998-06-18 2002-12-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scaling and displaying video and/or graphics across several display devices
KR20060023832A (ko) * 2004-09-10 200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5360B (en) * 1986-01-11 1989-10-25 Pilkington Perkin Elmer Ltd Display system
US5129028A (en) * 1990-11-01 1992-07-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Grid free, modular, large screen display
US5661531A (en) * 1996-01-29 1997-08-26 Rainbow Displays Inc. Tiled, flat-panel display having invisible seams
US6018340A (en) * 1997-01-27 2000-01-25 Microsoft Corporation Robust display management in a multiple monitor environment
US5956000A (en) * 1997-05-12 1999-09-21 Scitex Corporation Lt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6897855B1 (en) * 1998-02-17 2005-05-24 Sarnoff Corporation Tiled electronic display structure
US7145611B2 (en) * 2000-12-22 2006-12-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amless tiled display system
US7546540B2 (en) * 2001-05-11 2009-06-09 Xerox Corporation Methods of using mixed resolution displays
US7333071B2 (en) * 2001-05-11 2008-02-19 Xerox Corporation Methods of using mixed resolution displays
US7475356B2 (en) * 2001-05-11 2009-01-06 Xerox Corporation System utilizing mixed resolution displays
WO2003032290A1 (en) * 2001-10-08 2003-04-17 Imagearray, Ltd. Electron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0860982B1 (ko) 2002-06-17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이동수단을 가지는 다중표시장치
US7140024B2 (en) * 2002-07-29 2006-11-21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aphics applications
US7019713B2 (en) * 2002-10-30 2006-03-28 The University Of Chicago Methods and measurement engine for aligning multi-projector display systems
WO2004061609A2 (en) * 2002-12-30 2004-07-22 Mark Yuk-Lun Wong Multi-display architecture using single video controller
US7034776B1 (en) * 2003-04-08 2006-04-25 Microsoft Corporation Video division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US7667815B2 (en) * 2003-08-27 2010-02-23 Ming Su Multi-panel monitor displaying systems
EP1513060A1 (en) * 2003-09-08 2005-03-09 Barco N.V. Large-area display system, modular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US7570227B2 (en) * 2003-10-17 2009-08-0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ams
JP4698139B2 (ja) 2003-10-31 2011-06-0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46583A (ja) * 2004-06-04 2005-12-15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座標情報出力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7092247B2 (en) * 2004-07-16 2006-08-15 Semmie Kim Method of designing a size-adjustable multi-mode displa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667707B1 (en) * 2005-05-05 2010-02-23 Digital Display Innovations, Llc Computer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remote displays
GB2455456B (en) * 2006-08-23 2012-01-04 Raymond Richard Wilk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mputer data in a multi-screen display system
KR101394926B1 (ko) * 2007-07-10 2014-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0002399A1 (en) * 2008-07-01 201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Display configuration method for a remote visualization system
KR101466122B1 (ko) * 2008-10-21 2014-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멀티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19342B1 (ko) * 2008-11-25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41014B1 (ko) * 2008-11-28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00328447A1 (en) * 2009-06-26 2010-12-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figuration of display and audio parameters for computer graphics rendering system having multiple displays
US20110109526A1 (en) * 2009-11-09 2011-05-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screen image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441B1 (en) * 1998-06-18 2002-12-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scaling and displaying video and/or graphics across several display devices
US20020167531A1 (en) 2001-05-11 2002-11-14 Xerox Corporation Mixed resolution displays
KR20060023832A (ko) * 2004-09-10 200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2480B2 (en) 2013-07-09
CN101620846A (zh) 2010-01-06
KR20100003652A (ko) 2010-01-11
US20100001925A1 (en) 2010-01-07
CN101620846B (zh)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455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926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59073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JP2005078069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488058B2 (en) Method for setting frame rate conversion (FRC)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03939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42505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1026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EP1768397A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445427B (zh) 视频图像处理方法以及显示设备
EP206123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767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31541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04804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6031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51718B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378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327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73707A1 (en) Method for showing various color temperatures on a digital display
KR10071322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42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방송장르 표시방법
JP2010186044A (ja) 表示装置
JP2006133976A (ja) 機器設定情報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