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963A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963A
KR20170007963A KR1020150099069A KR20150099069A KR20170007963A KR 20170007963 A KR20170007963 A KR 20170007963A KR 1020150099069 A KR1020150099069 A KR 1020150099069A KR 20150099069 A KR20150099069 A KR 20150099069A KR 20170007963 A KR20170007963 A KR 2017000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image
cont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환
이재경
이동희
최우진
유환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963A/ko
Priority to PCT/KR2016/002158 priority patent/WO2017010651A1/ko
Priority to US15/744,367 priority patent/US20180203660A1/en
Priority to EP16824569.4A priority patent/EP3324282A4/en
Publication of KR2017000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14Vertic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결합하여 컨텐트의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으로는 화면의 크기에 제한이 되어 있어,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해 대화면을 구현하여 컨텐트의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부착시켜, 컨텐트의 영상을 제공할 시,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는 부분에는 베젤의 존재로 인해,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컨텐트의 영상에 포함된 사선이 베젤의 존재로 인해 하나의 일직선으로 이어지지 않고, 굴절되어 보이는 착시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시청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밀착시켜 하나의 컨텐트 영상을 표시할 시, 베젤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 상태를 나타내는 사선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선 이미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일부 사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나머지 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영상 왜곡을 보정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의 기준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이 어느 정도 이동했는지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컨텐트의 일부 영상 및 상기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을 확대하여 상기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의 기준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정도를 나타내는 확대 비율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비율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컨텐트의 일부 영상 및 상기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나머지 사선을 확대시키고, 확대시킨 나머지 사선을 이동시키는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일부 사선을 축소시키고, 축소시킨 나머지 사선을 이동시키는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선 이미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일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일부를 자르고, 자른 상태의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만큼 상기 제1 이미지를 자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만큼 상기 제2 이미지를 자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왜곡 상태를 정밀하게 보정하기 위한 위한 확대 가이드 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선 이미지는 상기 컨텐트의 종류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밀착시켜 하나의 컨텐트 영상이 제공될 시, 사용자는 베젤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편리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해 하나의 컨텐트 영상이 제공될 시, 영상의 왜곡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사용자가 컨텐트를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물리적인 입력에 의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병합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다른 컨텐트를 재생 중인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윈 가상 영역을 통해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 및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동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 및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출력되는 배치 가이드 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화면 연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운드 채널에 따라 자동으로 음성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29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물리적인 배치가 틀어진 경우, 이를 정렬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정렬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보정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화면 영역을 나타낸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영역이 삭제된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나타낸다.
도 4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이동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위치에 대응하는 스피커 볼륨 조절 영역을 나타낸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박스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리스트 표시 동작을 나타낸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련 정보 표시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하는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5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대 영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5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영상 선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키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2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접하여 배치될 시, 각 베젤의 경계에서 영상이 왜곡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을 수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영상 왜곡 보정 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6a 내지 도 6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이 수동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7a 내지 도 67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이 수동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8a 내지 도 6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9a 내지 도 6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0a 내지 도 7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왜곡된 영상을 정밀하게 보정하기 위해 베젤 경계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가이드 창을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2a 내지 도 72c는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밀착되어 배치된 경우, 왜곡 보정 이미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3a 및 도 7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OSD(On Screen Display) 메뉴 창에 포함된 메뉴 아이콘이 베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메뉴 아이콘의 표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분배기(171),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통신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주변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주변장치에 저장된 컨텐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케일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러(175)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분배기(171)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컨텐트를 자신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분배할 수 있다. 분배기(171)는 RF(Radio Frequency) 분배기(171_1) 및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분배기(171_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7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통신부(19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195)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95)는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동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일 측면이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각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자의 화면을 연동시켜 획득된 컨텐트를 하나의 병합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컨텐트 영상의 제1 부분 영상을 자신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부분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 영상을 자신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트윈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을 연동시켜 하나의 병합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화면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이고, 제2 화면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구비된 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트윈 모드로 동작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둘 중 하나는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고, 나머지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제어부의 사양이 더 좋은 장치가 마스터 기기가 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b)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제어부(170_1)는 제어 명령 수신부(910_1),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 입력 매니저(930_1) 및 웹킷(94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2 제어부(170_2)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 입력 매니저(930_1) 및 웹킷(94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수신부(910_1)는 트윈 모드로 동작 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후술할 화면 연동 요청일 수 있다.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는 제어 명령 수신부(910_1)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송 받아 이를 제2 제어부(170_2)에 포함된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2)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연동 요청이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2)에 전달된 경우, 제2 제어부(170_2)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과 자신의 화면을 연동시킬 수 있다.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로의 기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 매니저(930_1,2)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받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웹킷(940_1,2)은 웹 브라우저를 만드는 데 기반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 프레임워크이다.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2개인 경우로 예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연결된다(S1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통신부(195)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IP 공유기(Internet Protocol 공유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IP 공유기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이용되는 무선 통신 규격은 와이파이(Wi-Fi)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올 조인(Alljoyn) 기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올 조인(Alljoyn) 기술은 중계기(예를 들어, IP 공유기) 없이 장치 간 무선으로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일 수 있다. 올 조인을 통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 규격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규격, 블루투스(blutooth) 규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둘 중 하나는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고, 나머지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가 마스터 기기로, 나머지 하나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_2) 중 원격 제어 장치(200)와 연결된 장치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연결되지 않은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마스터 기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되었음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자신의 기기 정보를 공유한다(S103).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연결되는 순간, 각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195)를 통해 서로의 기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양 정보 및 채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IP를 통해 서로가 연결된 경우, IP 주소, 모델명 등 각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 정보는 제어부(170)의 성능 정보,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 정보, 해상도 정보 및 스케일러의 능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튜너(131)를 통해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저장된 채널 정보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저장된 채널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동기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채널 정보의 일부만을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채널 정보의 나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채널 정보를 공유하여 하나의 완성된 채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정보의 공유 이외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스캔된 채널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를 획득하고(S105), 획득된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하고(S107),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를 획득하고(S105), 획득된 제2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한다(S1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컨텐트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멀티 미디어 컨텐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트와 제2 컨텐트는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트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튜너(131)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제2 컨텐트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튜너(131)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제1 컨텐트 및 제2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컨텐트 및 제2 컨텐트가 동일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분배기(171)를 통해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분배기(171)는 마스터 기기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별도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분배기(171)는 RF(Radio Frequency) 분배기(171_1) 및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분배기(171_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분배기(171_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분배기(171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연결된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배기(171)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는 동일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컨텐트 및 제2 컨텐트가 동일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자 서버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5)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고, 재생하는 실시 예를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물리적인 입력에 의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F 분배기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HDMI 분배기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RF 분배기(17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분배기(171)는 수신된 RF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RF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RF 분배기(17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HDMI 분배기(173)는 주변 기기(30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HDMI 분배기(173)는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는 동일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HDMI 분배기(173)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HDMI 분배기(173)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CP 서버(500)로부터 컨텐트를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5)를 통해 CP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를 멀티 캐스트(muticast) 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자신이 멀티 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멀티 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트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CP 서버(500)로부터 스트리밍으로 동일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컨텐트를 재생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CP 서버(500)로부터 스트리밍으로 제1 컨텐트를 수신하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제1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접근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접근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CP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고, CP 서버(500)로부터 제1 컨텐트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한다(S109).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화면 연동 요청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을 연동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서 표시 중인 제1 컨텐트를 연동된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요청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트의 일부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제1 컨텐트의 나머지 부분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의 일부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 제2 컨텐트의 나머지 부분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의 수신 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111). 일 실시 예에서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 중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 중인 제1 컨텐트와 제2 컨텐트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와 제2 컨텐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가 동일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와 제2 컨텐트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트와 다른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트와 동일한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화면 연동 요청을 전송한다(S113).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트와 다른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로의 재생을 요청하는 컨텐트 전환 요청 및 화면 연동 요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한다(S115). 일 실시 예에서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컨텐트 전환 요청은 채널을 변경을 나타내는 채널 전환 요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서 재생 중인 제2 컨텐트의 채널 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서 재생 중인 제1 컨텐트의 채널 번호가 서로 다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5)를 통해 제1 컨텐트의 채널 번호로 변경하도록 하는 채널 전환 요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전환 요청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동일한 채널로 튜닝 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트를 동기화 시켜 재생한다(S117).
이하에서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컨텐트를 동기화 시켜 재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병합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205)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연동 요청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구비된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화면 연동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전달받은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컨텐트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구비된 버튼을 2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도 11의 (b)와 같이 연동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연동됨에 따라 보다 큰 화면으로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에 포함된 스케일러(175)는 제1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로 스케일링 할 수 있고, 스케일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장치의 해상도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103에서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상도가 더 낮은 디스플레이부(180)를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가 지원하는 해상도가 UDH(Ultra Definition)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가 지원하는 해상도가 HD(high Definition)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HD 해상도로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3을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다른 컨텐트를 재생 중인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를 설명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화면 상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205)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각 화면에서 재생 중인 컨텐트가 서로 다르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컨텐트 전환 요청 및 화면 연동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컨텐트 전환 요청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트를 제2 컨텐트에서 제1 컨텐트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1 컨텐트의 일부 영상(31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1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3)을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컨텐트를 시청 중 간단한 입력만으로, 어느 하나의 컨텐트를 대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설명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화면 상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205)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자신의 사이즈 정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각 화면에서 재생 중인 컨텐트가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재생되는 컨텐트를 제1 컨텐트(310)에서 제2 컨텐트(330)로 전환할 수 있다. 즉, 화면 연동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화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2 컨텐트의 일부 영상(33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2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31)을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컨텐트를 시청 중 간단한 입력만으로, 어느 하나의 컨텐트를 대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를 획득한다(S30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기기 정보의 공유 단계(S103)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사이즈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인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트윈 가상 영역을 생성한다(S303). 트윈 가상 영역은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으로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트윈 가상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대응하는 실제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 대응하는 가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트윈 가상 영역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가 트윈 가상 영역에 포함된 가상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S305), 포인터가 실제 영역을 벗어나 가상 영역에 위치한 경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산출한다(S307).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산출된 좌표 값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달한다(S309). 이하에서는 단계 S301 내지 S309를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윈 가상 영역을 통해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트윈 가상 영역(600)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실제 영역(6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역인 가상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실제 영역(610)의 좌표 값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상 영역(630)의 좌표 값들을 이용하여 트윈 가상 영역(600)의 좌표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실제 영역(610)의 최대 x 좌표 값은 x1(즉, 1920)이라 가정한다.
포인터(205)가 실제 영역(610)을 벗어나 가상 영역(630)으로 위치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가상 영역(600)의 가상 영역(630)에 위치한 포인터(205)의 좌표 값인 (x2, y2)=(2420, 200)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실제 영역(610)을 벗어났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이용하여 포인터(205)의 가상 좌표 값인 (x2, y2)=(2420, 200)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가상의 x 좌표 값인 2420에서 실제 영역(610)의 최대 x 좌표 값인 1920을 뺀 x 좌표 값 500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산출된 x 좌표 값 500 및 기존의 y 좌표 값 200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500, 200)을 자신의 화면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지점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획득한 동일한 컨텐트를 병합된 화면으로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며, 도 17은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16 내지 도 17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분배기(171)를 통해 동일한 컨텐트를 획득한 경우의 실시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_1)는 영상 분할부(172_1),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1), 프레임 자름부(176_1), 스케일러(175_1), 시간 동기화부(177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 또한, 영상 분할부(172_2),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2), 프레임 자름부(176_2), 스케일러(175_2), 시간 동기화부(177_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72_1, 172_2)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171)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의 영상을 복수의 프레임들로 분할할 수 있다.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1, 174_2)는 분할된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각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는 프레임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각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는 동일한 프레임에 동일한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1, 174_2)는 T0, T1, T2와 같이, 동일한 프레임에 동일한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 자름부(176_1, 176_2)는 각 프레임의 일부만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기 위해 프레임을 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자름부(176_1)는 각 프레임의 좌측 반 영역만을 남기고, 우측 반 영역을 자를 수 있고, 프레임 자름부(176_2)는 각 프레임의 우측 반 영역만을 남기고, 좌측 반 영역을 자를 수 있다.
스케일러(175_1, 175_2)는 잘라진 각 프레임을 각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러(175_1)는 잘라진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80_1)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링할 수 있고, 스케일러(175_2)는 잘라진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80_2)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링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부(177_1, 177_2)는 스케일링된 각 프레임에 삽입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재생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시간 동기화부(177_1, 177_2)는 서로 간의 통신을 통해 스케일링된 프레임의 식별자를 비교하고, 프레임의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해당 프레임을 각각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프레임의 타이밍이 맞게 되어 도 1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영상이 하나의 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의 정상적인 연동을 위해 각 장치의 배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8의 (a)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우측에 배치되어야 정상적인 배치인 것을 가정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경우, 화면 연동 또한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재생이 하나의 대 화면으로 원활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동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배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배치 설정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배치 설정 항목들은 좌 배치 설정 항목(710) 및 우 배치 설정 항목(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표시된 좌 배치 설정 항목(710)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버튼 입력을 통해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우 배치 설정 항목(730)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버튼 입력을 통해 선택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치 설정 항목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진입 시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 및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 및 제1 우측 스피커(185_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밀착되어 배치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좌측 스피커(185_1), 제1 우측 스피커(185_2), 제2 좌측 스피커(185_3), 제2 우측 스피커(185_4) 순서로 테스트 음성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각 테스트 음성 신호의 세기는 동일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마이크(291)는 각 스피커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입력 받은 테스트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각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ain)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스피커와 원격 제어 장치(200) 간의 거리 차이로 인해 제1 좌측 스피커(185_1)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1)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4) 중 어느 하나는 최고 이득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최저 이득일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제1 우측 스피커(185_2)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3)의 크기는 비슷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이득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1 좌측 스피커(185_1)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1 좌측 스피커(185_1)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구비된 스피커의 위치를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크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측에 배치됨을 인지할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작으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우측에 배치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가 정상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가 비정상적인 경우, 후술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배치 가이드 창(731)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상측에 제1 카메라(191_1)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상측에 제2 카메라(191_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91_1) 및 제2 카메라(191_2)는 전방에 위치한 사물(A)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191_1)에서 촬영된 사물(A)의 제1 이미지 및 제2 카메라(191_2)에서 촬영된 사물(A)의 제2 이미지는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되었을 것이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에 근접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응하는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근접 센서(16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밀착되면, 밀착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근접 센서(160)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된 것을 감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와 병합 화면을 사용할 수 있는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출력되는 배치 가이드 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배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치 가이드 창(731, 733)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치 가이드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간의 사이즈(인치)가 서로 다른 경우, 화면 연동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화면 연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보다 더 작음을 가정한다.
도 23의 (a)를 참조하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동일한 컨텐트가 입력된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트의 일부 영상(31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사이즈보다 더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컨텐트를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기기 정보의 공유 단계(S103)을 통해 저장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자신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3)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자신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케일러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3)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스케일링된 나머지 영상(313)을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이즈가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의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생성된 편차 보정 가이드 라인(810)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205)를 통해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3)이 편차 보정 가이드 라인(810)에 맞추어 표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채널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된 음성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운드 채널에 따라 자동으로 음성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채널은 2.1채널이고, 서로의 화면이 연동되어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사운드 채널이 2.1 채널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개의 스피커 및 1개의 우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좌측 스피커(185_1)는 본래의 lef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는 본래의 righ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는 저주파 음역을 출력하여, 마치, 우퍼(woofer)가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어, 2.1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좌측 스피커(185_1)는 본래의 lef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는 본래의 righ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는 본래의 left 오디오와 본래의 right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Left 오디오와 right 오디오가 믹싱된 오디오를 center 오디오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은 믹싱된 오디오인 center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의 3.0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7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채널은 5.1 채널이고, 서로의 화면이 연동되어 컨텐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사운드 채널이 5.1 채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프론트)에 2개의 스피커, 후면(리어)에 2개의 스피커, 중앙에 1개의 스피커 및 저음역대의 오디오를 강화한 서브 우퍼를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의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는 무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좌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left 오디오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후면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는 right 오디오일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후면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left 오디오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후면 좌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right 오디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의 4.0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을 설명한다.
도 27은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내지 100_4)가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연동하는 경우, 가상의 5.1 채널 사운드가 출력되는 실시 예이다. 즉,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_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_4)는 도 25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대로, 가상의 3.0 채널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가상의 2.1 채널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5.1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물리적인 배치가 틀어진 경우, 이를 정렬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이 경우이고, 도 29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커브드(Curved) 패널인 경우이다.
도 28(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은 밀착되는 면의 각도가 틀어진 상태이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은 트윈 모드로 진입될 시, 각각 제1 배치 가이드 라인(801) 및 제2 배치 가이드 라인(803)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2 배치 가이드 라인(801, 803)은 사용자로 하여금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리적인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라인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배치 가이드 라인(801, 803)이 일직선이 되도록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 28의 실시 예는 도 29에서 도시된 커브드 패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치 가이드 라인을 통해 수동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손쉽고,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물리적인 배치를 정렬하기 위한 대각선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정렬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각 제1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3)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3)은 사용자로 하여금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리적인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라인일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후 방향의 물리적인 밀착을 일치시키기 위한 라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813)이 일직선이 되도록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813)이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전후 방향의 물리적인 밀착이 일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대각선 가이드 라인에 대한 내용은 커브드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커브드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패널의 커브드 곡률에 대응하는 대각선 가이드 라인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병합 화면에 하나의 컨텐트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때,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컨텐트에 대한 영상을 일부 영상과 나머지 영상으로 각각 표시하는 병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밀착된 면에 대응하는 베젤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면 왜곡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하나의 컨텐트인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트(330)의 일부 영상(331)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트(330)의 나머지 영상(331)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되는 면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우측 베젤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측 베젤로 인해, 제2 컨텐트의 일부 영상(331)과 제2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33)이 매끄럽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왜곡 현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사용자에게 시청에 방해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보정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하나의 컨텐트를 병합 화면으로 표시하면(S4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하나의 컨텐트에 대한 일부 영상 및 나머지 영상 각각에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화면 영역을 삭제한다(S403).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일부 화면 영역이 삭제된 일부 영상 및 나머지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405).
이에 대해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화면 영역을 나타낸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영역이 삭제된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하나의 컨텐트인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트의 일부 영상(33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3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의 일부 영상(331)에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인 제1 일부 영역(415)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33)에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인 제2 일부 영역(417)을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삭제되는 제1 일부 영역(415)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우측 베젤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고, 삭제되는 제2 일부 영역(417)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측 베젤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일부 영역(415)이 삭제된 제2 컨텐트(330)의 일부 영상(33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일부 영역(417)이 삭제된 제2 컨텐트(330)의 나머지 영상(33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되는 영상의 일부 영역을 삭제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어서, 각 디스플레이부(100)의 밀착된 면에 대응하는 베젤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면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의 두께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일부 영역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동작할 때, 포인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들 각각은 트윈 모드로 동작한다(S510).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트윈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을 연동시켜 하나의 병합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 각각에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은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520).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 있고,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 조작에 대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 신호를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대한 신호를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일 수도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포인터 표시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포인터 표시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하고(S530),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540).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구성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구성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포인터(205)를 표시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205)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일 수도 있다.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205)를 이동시키는 입력,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 포인터(205)에 대한 드래그 입력, 포인터(205)에 대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은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길게 누름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를 표시할 때,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정보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 37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7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창(741)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가이드 창(74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을 포인터(205)로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드래그하면 병합 화면인 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정보 및 드래그 방향에 대한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하는 경우, 상술한 병합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창(741)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도 3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병합 화면 아이콘(742)를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병합 화면 아이콘(742)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병합 화면인 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확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도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위치하면, 상술한 병합 화면 아이콘(742) 및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병합 화면 아이콘(742) 또는 확대 영상 아이콘(74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c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병합 화면 아이콘(748)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병합 화면 아이콘(748)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병합 화면인 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컨텐트 목록 아이콘(748)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컨텐트 목록 아이콘(748)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하나 이상의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목록 표시는 방송 채널에 대한 EPG에 대한 정보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도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위치하면, 상술한 병합 화면 아이콘(748) 및 컨텐트 목록 아이콘(749)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병합 화면 아이콘(748) 또는 컨텐트 목록 아이콘(749)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병합 화면 표시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이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분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정보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d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4)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이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분할 화면 아이콘(743)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분할 화면 아이콘(743)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205)로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확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재생되는 컨텐트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 아이콘(746)을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205)로 녹화 아이콘(746)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를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동일한 컨텐트에 대해 서로 다른 재생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 시점 아이콘(747)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205)로 재생 시점 아이콘(747)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트(310)에 대해 서로 다른 재생 시점의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뿐만 아니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표시하는 제2 컨텐트(330) 화면에 상술한 가이드 정보에 대한 가이드 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6을 참조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550).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하나의 컨텐트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합 화면 표시, 트윈 모드에서 출력되는 병합 화면 또는 복수의 화면 각각에 대한 화면 크기 조절, 트윈 모드에서 출력되는 병합 화면 또는 복수의 화면 각각에 대한 화면 이동 및 오디오 출력부(185)의 볼륨 조절 동작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185)의 볼륨 조절은 음성 신호의 이득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화면 크기 조절에 대해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포인터(205)를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2 컨텐트(330)에 대한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에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5)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5)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 이전보다 화면 크기가 확대된 영상의 일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에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6) 및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되는 제2 컨텐트(330)에 대한 영상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 이전보다 화면 크기가 축소된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크기가 축소된 제2 컨텐트(330)에 대한 영상은 영상의 비율이 이전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화면 크기 조절하는 동작은 컨텐트에 대한 화면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35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 화면(350)은 PC버전 또는 전체 화면 버전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포인터(205)를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웹 브라우저 화면(350)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에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5)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 이전보다 화면 크기가 확대된 영상의 일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거리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에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6) 및 전환된 웹 브라우저 화면(35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된 웹 브라우저 화면(355)은 모바일 버전 또는 축소 화면 버전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일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0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나타낸다.
도 40a를 참조하면,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791, 793)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된 포인터(205)를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1 기준선(791) 및 제2 기준선(79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선(791)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트에 대한 화면을 21대9 비율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기준선일 수 있고, 제2 기준선(793)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트에 대한 화면을 32대9 비율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기준선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된 제1 기준선(791)에 조절될 화면의 비율인 "21:9"을 표시할 수도 있고, 21:9 비율에 따른 화면을 지칭하는 화면 비율의 명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된 제2 기준선(793)에 조절될 화면의 비율인 "32:9"을 표시할 수도 있고, 32:9 비율에 따른 화면을 지칭하는 화면 비율의 명칭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된 기준선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드래그된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을 기준선에 대응하는 화면 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가 포인터(205)를 제1 기준선(791)까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한 21대9 비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트(310)에 대한 21대9 비율의 화면은 상술한 병합 화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가 포인터(205)를 제2 기준선(793)까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한 32대9 비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트(310)에 대한 32대9 비율의 화면은 상술한 병합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0b를 참조하면,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794)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794)에 표시되는 영상의 비율을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 및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비율의 기준선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컨텐트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합 화면을 표시할 때,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표시된 병합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들 각각이 병합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 영역을 포인터(205)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병합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병합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 영역은 병합 화면의 좌측 최외각 또는 우측 최외각으로부터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와 같은 키(Key)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의 우측 일부 영역(413)을 포인터(205)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전체 화면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4)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하나의 컨텐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합 화면 표시 동작에 대해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포인터(205)를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2 컨텐트(330)에 대한 화면의 전환 기준선(790)을 넘어가도록 하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 기준선(790)은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205)가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2 컨텐트(330)에 대한 화면의 전환 기준선(790)을 넘어가지 않도록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트윈 모드에서 출력되는 병합 화면 또는 복수의 화면 각각에 대한 화면 이동 동작에 대해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이동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제1 컨텐트(310)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의 일부 영역을 포인터(205)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한 영상을 드래그 앤 드랍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각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해 변환된 일부 화면(315)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해 변환된 나머지 화면(316)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일부 화면(315) 및 변환된 나머지 화면(316) 각각은 획득된 드래그 앤 드랍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컨텐트(310)에 대한 화면일 수 있다.
제4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오디오 출력부(185)의 볼륨 조절 동작에 대해 도 44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위치에 대응하는 스피커 볼륨 조절 영역을 나타낸다.
도 4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제1 좌측 스피커 영역(411)은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고, 제1 우측 스피커 영역(412)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제2 좌측 스피커 영역(413)은 제2 좌측 스피커(185_3)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 영역(414)은 제2 우측 스피커(185_4)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제1 좌측 스피커 영역(411), 제1 우측 스피커 영역(412), 제2 좌측 스피커 영역(413) 및 제2 우측 스피커 영역(414) 중 하나의 영역에 포인터(205)가 위치하고, 볼륨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5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제1 좌측 스피커 영역(411)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_1)는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을 높이는 동작은 제1 좌측 스피커(185_1)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이득 크기를 높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획득 후 일정 시간 동안,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 이외의 제1 우측 스피커(185_2),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음소거(Mute)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_1)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은 높이고, 제1 우측 스피커(185_2)는 음소거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170_2)는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음소거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도 47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7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우퍼(woofer) 또는 center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우측 스피커 영역(412) 및 제2 좌측 스피커 영역(413)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포인터(205)가 위치하고,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각각은 우퍼(woofer) 또는 center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의 볼륨을 각각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획득 후 일정 시간 동안,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 이외의 제1 좌측 스피커(185_1)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음소거(Mute)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오디오 출력부(185)가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오디오 출력부(185)가 오디오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포함된 제1 좌측 스피커(185_1) 및 제1 우측 스피커(185_2)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포함된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하는 방송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경우에 채널 전환 입력이 입력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정보 표시창을 블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표시창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표시창은 표시 중인 채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포박스, 복수의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채널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박스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4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부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블랙 영역인 좌측 블랙 영역(511)에 제1 인포박스(754)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인포박스(754)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포박스(754)에는 방송 서비스 채널명,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블랙 영역인 우측 블랙 영역(521)에 제2 인포박스(755)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인포박스(755)에는 날짜 및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블랙 영역인 우측 블랙 영역(521)에 출력되는 오디오 볼륨 크기를 나타내는 볼륨창(756)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정보 표시창을 표시할 때,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병합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리스트 표시 동작을 나타낸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310)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310)의 나머지 영상(314)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해 변환된 일부 화면(315)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트(310)에 대해 변환된 나머지 화면(316)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일부 영역에 채널 리스트(761)를 표시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761)에는 복수의 방송 채널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일부 화면(315) 및 나머지 화면(316)의 크기는 채널 리스트 표시에 따른 병합 화면의 이동 이전의 일부 화면(312) 및 나머지 화면(314)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영상을 출력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영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련 정보 표시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출력한다(S5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컨텐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출력되는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95)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한다(S503).
여기서 전송되는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는 출력되는 제1 영상의 컨텐트 명칭, 컨텐트의 내용,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 내용, 출력되는 제1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S505).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컨텐트인 경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상인 경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제1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한다(S507).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컨텐트인 경우, 획득된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상인 경우, 획득된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관련 정보 표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 77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EPG(770)에는 하나 이상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스케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된 EPG(770)에서 하나의 컨텐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된 EPG(770)의 복수의 컨텐트 중 선택된 제1 컨텐트에 대응하는 영역(775)을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제1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제1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컨텐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EPG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EPG에서 선택된 컨텐트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대 화면인 병합 화면에 EPG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하는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5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확대된 EPG(771)의 일부 영상(772)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확대된 EPG(771)의 나머지 영상(77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대된 EPG(771)는 현재부터 8시간 이후까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확대된 EPG(771)의 일부 영상(772)에 현재부터 4시간 이후까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확대된 EPG(771)의 나머지 영상(773)에 4시간 이후부터 8시간 이후까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특정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서 출력되는 특정 영상의 특정 영역을 확대한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대 영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54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2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가이드 박스(620)에 대응하는 제1 컨텐트(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컨텐트(310)의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318)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계된 단말기(8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특정 영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영역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되는 단말기(80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단말기(800)는 통신 모듈(810), 디스플레이 모듈(820), 제어 모듈(830), 메모리(8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8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95)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20)은 다양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830)은 단말기(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840)는 단말기(8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4b 내지 도 54c를 참조한다.
도 5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4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3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은 단말기(800)로부터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영역 정보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318)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800)의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20)에 가이드 박스(63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83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83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3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20)에 확대 영상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30)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고, 제1 컨텐트(310)의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3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5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30)에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하지 않고,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30)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830)은 가이드 박스(630)에 대응하는 제1 컨텐트(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통신 모듈(810)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 영역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318)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수신된 선택 영역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컨텐트(310) 및 가이드 박스(620)를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의 원본을 나타내는 원본 축소 영상을 표시하고, 원본 축소 영상에서 실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이동된 출력 가이드 박스(610)에 대응하는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5를 참조하여 자세하 설명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영상 선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314)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일부 영역에 제1 컨텐트(310)의 원본 영상을 나타내는 원본 축소 영상(780)을 표시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실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70)는 원본 축소 영상(780)에 표시된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이동된 출력 가이드 박스(610)에 대응하여 제1 컨텐트(310)에 대한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설정 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설정 입력 이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설정 입력 이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설정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색상, 명암, 밝기, 선명도, 색농도, 화이트 밸런스, 백라이트 밝기 및 화면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화면 설정 이전의 제1 컨텐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화면 설정에 따라 변경된 제1 컨텐트(319)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제어부(170)는 화면 설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화면 설정 이전과 이후의 화면을 비교할 수 있다.
한편,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는 현재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는 과거 시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구성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현재 시점의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과거 시점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출력되는 영상의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으면, 출력되는 영상의 시점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 화면인 병합 화면에서 이미지를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 또는 사람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밀착된 베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지 않도록, 병합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이미지(390)의 일부 이미지(391)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1 이미지(390)의 나머지 이미지(393)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이미지(390)에 포함된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이미지(390)에 포함된 사람 얼굴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밀착된 베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39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이미지(390)의 일부 이미지(392)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이미지(390)의 나머지 이미지(394)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계된 단말기(8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단말기(8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8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단말기(80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목록 화면(76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이미지 목록 화면(760)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고, 이미지 목록 화면(760)에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399)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800)도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부터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820)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399)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또는 기능과 관련된 메뉴를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9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컨텐트(310)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창(764)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205)를 통해, 표시된 메뉴창(764)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컨텐트(310)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창(765)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포인터(205)를 통해, 표시된 메뉴창(765)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입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키(key)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된 입력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키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컨텐트(310)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컨텐트(3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키(745)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키(745)에는 숫자키, 화면 캡쳐키, 전원키 등 다양한 키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표시된 포인터(205)를 통해, 표시된 입력키(74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입력키(745)에 대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키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키가 입력키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표시할 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베젤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베젤의 존재로 인해, 각 베젤의 인접된 부분의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2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접하여 배치될 시, 각 베젤의 경계에서 영상이 왜곡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1010) 중 일부 영상(1011)을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1010) 중 나머지 영상(1013)을 표시하고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이 병합된 병합 화면 상에서 컨텐트의 전체 영상(1010)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접촉된 부분에 존재하는 베젤의 존재로 인해, 베젤의 인접 영역(1015)에서 표시된 컨텐트의 영상(1015)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의 영상에 사선이 포함된 경우,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사선이 하나의 선으로 이어지지 않고, 굴절되어 보이는 착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촉하여 컨텐트의 영상을 시청할 시, 왜곡된 영상의 존재로 인해 시청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이에, 왜곡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6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S601).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자신의 기기 정보를 공유한다(S603).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연결되는 순간, 각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195)를 통해 서로의 기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양 정보 및 채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채널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 정보, 해상도 정보 및 스케일러의 능력 정보 이외에 베젤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젤은 디스플레이부(180)를 고정시키는 테두리 부분일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치 정보 및 베젤의 두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서로 연결되는 경우, 인치 정보 및 베젤의 두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트윈 모드로 진입한다(S605). 트윈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을 연동시켜 하나의 병합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즉, 트윈 모드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제1 화면에 표시하고,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제2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연결되는 시점에 트윈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연결된 후,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트윈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트윈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S607).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는 영상 왜곡 보정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할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자동으로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에 대해서는 도 6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되어 트윈 모드로 진입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설정 메뉴(10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설정 메뉴(1020)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설정 메뉴(1020)의 일부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설정 메뉴의 나머지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설정 메뉴(10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베젤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베젤로 인해 각 베젤의 경계에서 발생된 영상의 왜곡 현상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정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뉴일 수 있다. 설정 메뉴(1020)는 사용자에게 수동 설정 또는 자동 설정을 선택하라는 문구, 수동 설정을 나타내는 수동 설정(manual set) 버튼 및 자동 설정을 나타내는 자동 설정(auto set)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 왜곡을 수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사선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자동 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 왜곡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시 도 63을 설명한다.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 상에서 수동 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사선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왜곡 보정 가이드를 표시한다(S611). 일 실시 예에서 사선 이미지는 사선을 포함하는 이미지로, 현재 영상의 왜곡 상태 및 영상의 왜곡 상태를 보정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선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하고, 사선 이미지의 나머지 이미지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는 사선 형태의 이미지가 아닌, 다른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사선 이미지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00_2)가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왜곡 보정 가이드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을 수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영상 왜곡 보정 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65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 각각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5를 참조하면, 영상 왜곡 보정 가이드는 사선 이미지(1030), 사선 이미지(10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라는 설명 문구(103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선 이미지(1030)는 영상의 왜곡 상태 및 영상의 왜곡 상태의 보정 과정을 보여주는 이미지일 수 있다. 사선 이미지(1030)는 사선을 포함하는 이미지로,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형태의 나뭇가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어떠한 형태의 사선이든 상관 없다. 사선 이미지(1030)의 일부 이미지(103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고, 사선 이미지(1030)의 나머지 이미지(1033)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사선 이미지(1030)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되고,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될 시, 영상이 왜곡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선 이미지(1030)는 나뭇가지 형태를 갖는 사선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영상이 왜곡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도 63을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S613), 수신된 명령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한다(S615). 단계 S613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한다.
도 66a 내지 도 6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이 수동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66a 내지 도 66c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사선 이미지(1030)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6a 내지 도 66c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 각각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6a를 참조하면, 사선 이미지(1030)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사선은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즉, 일부 이미지(1031)의 나뭇가지를 기준으로, 나머지 이미지(1033)의 나뭇가지가 밑으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우 버튼(238a)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일부 이미지(1031)를 우측으로, 나머지 이미지(1033)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우 버튼(238a)을 선택하는 명령은 휠(238)을 다운시키는 명령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6b 또한, 사선 이미지(1030)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사선은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즉, 일부 이미지(1031)의 나뭇가지를 기준으로, 나머지 이미지(1033)의 나뭇가지가 위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좌 버튼(238b)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일부 이미지(1031)를 좌측으로, 나머지 이미지(1033)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좌 버튼(238b)을 선택하는 명령은 휠(238)을 업시키는 명령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6a 및 도 66b에서 설명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사선 이미지(1030)를 구성하는 이미지들(1031, 1033)이 이동됨에 따라 사선이 어긋나지 않고, 일직선이 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6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이미지(1031) 및 나머지 이미지(1033)가 서로 어긋나지 않아, 사선이 일직선이 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선 이미지(1030)의 일부 이미지(1031) 및 나머지 이미지(1033) 각각이 처음 표시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만큼 이동되었는지를 좌표 값으로 산출할 수 있고, 산출한 좌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컨텐트의 일부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시, 산출한 좌표 값을 이용하여 각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각 이미지가 이동된 좌표 값만큼, 일부 영상 및 나머지 영상 각각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7a 내지 도 67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이 수동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67a 내지 도 67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사선 이미지(1040)를 확대시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7a 내지 도 67e를 참조하면, 영상 왜곡 보정 가이드는 사선 이미지(1040), 사선 이미지(1040)를 확대시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라는 설명 문구(10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7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병합된 화면 상에는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사선 이미지(104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선 이미지(104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된 제1 이미지(104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된 제2 이미지(104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선 이미지(1040)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사선은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즉,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일부 사선(1041a)을 기준으로, 제2 이미지(1043)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나머지 사선(1043a)이 밑으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2 이미지(1043)를 확대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이미지(1043)를 도 6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이미지(1043)를 확대시키는 명령은 제2 이미지(1043)를 선택하고, 휠(238)을 업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제2 이미지(1043)가 확대됨에 따라 제2 이미지(1043)에 포함된 나머지 사선(1043a) 또한, 확대될 수 있다. 제2 이미지(1043)에 포함된 나머지 사선(1043a)이 확대됨에 따라 나머지 사선(1043a)은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일부 사선(1041a)과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7c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일부 사선(1041a)을 기준으로, 제2 이미지(1043)에 포함된 나뭇가지 모양의 나머지 사선(1043a)이 위로 어긋나 있는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1 이미지(1041)를 확대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1041)를 도 6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1041)를 확대시키는 명령은 제1 이미지(1041)를 선택하고, 휠(238)을 업시키는 명령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이미지(1041)가 확대됨에 따라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나머지 사선(1041a) 또한, 확대될 수 있다.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나머지 사선(1041a)이 확대됨에 따라 나머지 사선(1043a)은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일부 사선(1043a)과 일직선을 이룰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이미지를 모두 확대하여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7e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1 이미지(1041) 및 제2 이미지(1043)를 확대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1041) 및 제2 이미지(1043)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1041) 및 제2 이미지(1043)를 확대시키는 명령은 휠(238)을 업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제1 이미지(1041) 및 제2 이미지(1043)가 확대됨에 따라 제1 이미지(1041)에 포함된 일부 사선(1041a) 및 제2 이미지(1043)에 포함된 나머지 사선(1043a)이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사선(1041a) 및 나머지 사선(1043a)은 일직선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이미지는 비율을 달리하여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1041)의 확대 비율은 제2 이미지(1043)의 확대 비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각 이미지의 확대 비율을 달리하여 각 이미지를 확대하여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특정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확대시켜 영상 왜곡 보정을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8a 내지 도 6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보다 더 큼을 가정한다.
도 68a 내지 도 68c에서는 사이즈가 더 작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기준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8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는 사선 이미지(1050)가 표시되어 있다. 사선 이미지(10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된 제1 이미지(105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된 제2 이미지(10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1051)는 나뭇가지 형태의 일부 사선(1051a)을 포함하고, 제2 이미지(1053)는 나뭇 가지 형태의 나머지 사선(10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사이즈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보다 더 크므로,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의 어긋난 정도가 동일한 사이즈인 경우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1053)를 선택하는요청이 수신된 경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라는 메시지 문구(1055),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한 상 버튼(1056) 및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하 버튼(1057)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상 버튼(1056)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2 이미지(1053)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하 버튼(1057)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2 이미지(1053)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 버튼(1056) 및 하 버튼(1057)을 선택하여, 제2 이미지(105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 버튼(1056)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확대 기능 및 하 버튼(1057)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축소 기능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상 버튼, 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서도 수행될 수 있다.
제2 이미지(1053)가 확대됨에 따라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이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이미지(1053)가 확대된 정도를 나타내는 확대 비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후,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하고,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시, 저장된 확대 비율에 대응되도록 나머지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8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1053)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메시지 문구(1061), 이미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측 이동 버튼(1062), 이미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측 이동 버튼(1063), 이미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우측 이동 버튼(1064) 및 이미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측 이동 버튼(1065)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버튼들(1062 내지 1064)를 선택하여,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4방향 키로도 수행될 수 있다.
제2 이미지(1053)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이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이미지(1053)의 위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1053)가 이동하기 전의 좌표를 기준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된 후, 변경된 제2 이미지(1053)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후,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하고,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시, 저장된 좌표 정보에 대응되도록 나머지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8a에서 수행된 영상 왜곡 보정 후, 도 68b에서 수행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68a에서 설명된 제2 이미지(1053)를 확대시키는 작업 후, 도 68b에서 설명된 제2 이미지(1053)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1053)의 확대 비율 및 제2 이미지(1053)의 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후,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하고,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시, 저장된 확대 비율 및 좌표 값에 대기초하여 나머지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왜곡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8c는 도 68a 및 도 68b에서 수행된 영상 왜곡 보정의 수행 후,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69a 내지 도 69c를 참조하여, 사이즈가 더 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를 기준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9a 내지 도 6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9a 내지 도 69c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보다 더 큼을 가정한다.
도 69a 내지 도 69c에서는 사이즈가 더 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를 기준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9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는 사선 이미지(1050)가 표시되어 있다. 사선 이미지(10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된 제1 이미지(105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된 제2 이미지(10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1051)는 나뭇가지 형태의 일부 사선(1051a)을 포함하고, 제2 이미지(1053)는 나뭇 가지 형태의 나머지 사선(10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사이즈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보다 더 크므로,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의 어긋난 정도가 동일한 사이즈인 경우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1051)를 선택하는요청이 수신된 경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라는 메시지 문구(1055),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한 상 버튼(1056) 및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하 버튼(1057)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하 버튼(1057)을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 도 6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051)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 버튼(1056)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확대 기능 및 하 버튼(1057)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축소 기능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상 버튼, 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서도 수행될 수 있다. 축소된 제1 이미지(1051)의 크기는 제2 이미지(1053)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1051)가 축소되어 제2 이미지(1053)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이미지(1051)가 축소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는 여백 영역(1059)이 생길 수 있다. 여백 영역(1059)에는 제1 이미지(1051)가 축소된 정도를 나타내는 축소 비율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1051)가 축소되어 제2 이미지(1053)의 크기와 동일해지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1051)의 원본 크기보다 축소된 정도를 나타내는 축소 비율을 저장할 수 있다.
축소된 제1 이미지(1051)의 크기와 제2 이미지(1053)의 크기가 동일해진 경우, 제어부(170)는 도 6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하라는 메시지 문구(1061), 이미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측 이동 버튼(1062), 이미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측 이동 버튼(1063), 이미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우측 이동 버튼(1064) 및 이미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측 이동 버튼(1065)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버튼들(1062 내지 1064)를 선택하여,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4방향 키로도 수행될 수 있다.
제1 이미지(1051)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일부 사선(1051a)과 나머지 사선(1053a)이 일직선을 이루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이미지(1053)의 위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1053)가 이동하기 전의 좌표를 기준으로, 이동 후, 제2 이미지(1053)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후,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하고,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시, 도 69b에서 저장된 제1 이미지(1051)의 축소 비율 및 도 69c에서 저장된 제2 이미지(1053)의 좌표에 기초하여 일부 영상을 축소 및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왜곡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63을 설명한다.
한편,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설정 메뉴 상에서 자동 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공유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베젤에 인접한 영상들 각각을 자르고(S619), 잘리진 상태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한다(S621). 단계 S619 및 S621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는 과정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한다.
도 70a 내지 도 7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기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이즈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두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0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사선 이미지(1080)를 표시하고 있다. 사선 이미지(10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된 제1 이미지(108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된 제2 이미지(10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1081)는 나뭇가지 형태의 일부 사선(1081a)을 포함하고, 제2 이미지(1803)는 나뭇가지 형태의 나머지 사선(108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0a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베젤(109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베젤(1093)의 존재로 인해, 일부 사선(1081a)과 나머지 사선(1083a)이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베젤(1091)의 두께 및 제2 베젤(1093)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1081)의 일부 이미지 및 제2 이미지(1083)의 일부 이미지를 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1081)의 일부 이미지(1081b)를 자르고, 제2 이미지(1083)의 일부 이미지(1083b)를 자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베젤(1091)의 두께만큼 제1 베젤(1091)에 인접한 제1 이미지(1081)의 일부 이미지(1081b)를 자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70)는 제2 베젤(1093)의 두께만큼 제2 베젤(1093)에 인접한 제2 이미지(1083)의 일부 이미지(1083b)를 자를 수 있다.
도 70b는 제1 베젤(1091)에 인접한 제1 이미지(1081)의 일부 및 제2 베젤(1093)에 인접한 제2 이미지(1083)의 일부가 잘라진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경우, 잘라진 제1 이미지(1081)의 일부 이미지(1081b)에 대응하는 영역만큼 공백 영역(1081c)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이미지(1083)의 일부 이미지(1083b)에 대응하는 영역만큼 공백 영역(1083c)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공백 영역을 없애기 위해, 잘라진 상태의 제1 이미지(1081) 및 제2 이미지(1083)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사선(1081a)과 나머지 사선(1083a)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영상 왜곡 보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따르면, 단계 S619 및 S621에서 설명된 영상 왜곡 보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과정은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트윈 모드로 진입 시, 자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될 수 있고, 그 이후에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왜곡된 영상을 정밀하게 보정하기 위해 베젤 경계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가이드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왜곡된 영상을 정밀하게 보정하기 위해 베젤 경계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가이드 창을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되는 위치에서, 베젤의 경계 영상(1096)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 시, 베젤의 경계 영상(1096)이 확대된 확대 가이드 창(1097)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확대 가이드 창(1097)을 통해 보다 더 정밀하게 왜곡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의 일부를 잘라서, 영상 왜곡 보정의 수행 시, 잘려지는 영상의 부분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가이드 하는 눈금자 형태의 가이드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밀착되어 배치된 경우에 다양한 형태의 왜곡 보정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2a 내지 도 72c는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밀착되어 배치된 경우, 왜곡 보정 이미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2a 내지 도 72c를 참조하면,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내지 100_4)가 서로 밀착하여 배치되어 있다.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내지 100_4)를 통해 하나의 컨텐트 영상을 표시할 시, 베젤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왜곡 보정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2a에서는 원 형태의 왜곡 보정 이미지(2001), 도 72b에서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왜곡 보정 이미지(2003), 도 72c에서는 2개의 사선을 이용한 왜곡 보정 이미지(2005)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 시, 설정 메뉴에서 왜곡 보정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되는 컨텐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왜곡 보정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가 텍스트인 경우에는 문자 형태의 왜곡 보정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고,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사선 형태의 왜곡 보정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트윈 모드로 동작 시, OSD(On Screen Display) 메뉴 창에 포함된 메뉴 아이콘이 베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메뉴 아이콘의 표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3a 및 도 7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OSD(On Screen Display) 메뉴 창에 포함된 메뉴 아이콘이 베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메뉴 아이콘의 표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3a 및 도 73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2021)을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2023)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컨텐트의 전체 영상에 OSD 메뉴 창(2030)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된 부분에서는 베젤(2041, 2043)들의 존재로 인해 컨텐트의 영상을 자연스럽게 제공하기 위해 컨텐트의 일부 영상이 잘려나갈 수 있다.
그러나, 도 7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들(2041, 2043)의 경계에 위치한 메뉴 아이콘(2031)은 잘려나가는 부분 없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들(2041, 2043)의 경계에 위치한 메뉴 아이콘(2031)은 컨텐트의 영상이 잘려나가는 부분만큼 잘린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일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컨텐트의 전체 영상 중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 상태를 나타내는 사선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이미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일부 사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나머지 사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의 기준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이 어느 정도 이동했는지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컨텐트의 일부 영상 및 상기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을 확대하여 상기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의 기준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일부 사선 및 상기 나머지 사선 중 하나 이상이 확대된 정도를 나타내는 확대 비율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비율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컨텐트의 일부 영상 및 상기 컨텐트의 나머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나머지 사선을 확대시키고, 확대시킨 나머지 사선을 이동시키는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일부 사선을 축소시키고, 축소시킨 나머지 사선을 이동시키는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이미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일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일부를 자르고, 자른 상태의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만큼 상기 제1 이미지를 자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만큼 상기 제2 이미지를 자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왜곡 상태를 정밀하게 보정하기 위한 위한 확대 가이드 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이미지는
    상기 컨텐트의 종류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50099069A 2015-07-13 2015-07-13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70007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69A KR20170007963A (ko) 2015-07-13 2015-07-13 디스플레이 시스템
PCT/KR2016/002158 WO2017010651A1 (ko) 2015-07-13 2016-03-03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5/744,367 US20180203660A1 (en) 2015-07-13 2016-03-03 Display system
EP16824569.4A EP3324282A4 (en) 2015-07-13 2016-03-03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69A KR20170007963A (ko) 2015-07-13 2015-07-13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963A true KR20170007963A (ko) 2017-01-23

Family

ID=5775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069A KR20170007963A (ko) 2015-07-13 2015-07-13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03660A1 (ko)
EP (1) EP3324282A4 (ko)
KR (1) KR20170007963A (ko)
WO (1) WO20170106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633A (ko) * 2017-10-11 2019-04-1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용 디지털 영상 기기를 이용한 투사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왜곡 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0272A (ko) * 2019-12-19 2021-06-30 구글 엘엘씨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직접 조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483B1 (ko) * 2016-03-18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 장치
US20190043441A1 (en) * 2017-08-07 2019-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adjusting a display property of data to reduce impaired visual perception
US11347466B2 (en) * 2017-08-14 2022-05-31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Wireless content delivery for a tiled LED display
US11301124B2 (en) * 2017-08-18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ing preview panel
US11237699B2 (en) 2017-08-18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al menu generation
JP7395931B2 (ja) * 2019-10-04 2023-12-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930446A (zh) 2020-01-13 2022-08-19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帧缓冲器的部分显示的方法和装置
CN111596558A (zh) * 2020-04-02 2020-08-2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智慧显示终端的显示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934391A (zh) * 2021-09-30 2022-01-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000A (en) * 1997-05-12 1999-09-21 Scitex Corporation Lt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7525511B2 (en) * 2004-07-02 2009-04-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play differences between monitors on multi-monitor computer systems
KR101483455B1 (ko) * 2008-07-01 2015-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US20110164065A1 (en) * 2010-01-06 2011-07-07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isplay Bezel Compensation For A Single Large Surface Display Formed By A Plurality Of Displays
TWI533286B (zh) * 2010-09-06 2016-05-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平面顯示裝置
JP5892408B2 (ja) * 2011-09-26 2016-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画面共有表示システム、画面共有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15985B1 (ko) * 2011-11-16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9347B1 (ko) * 2012-05-25 201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단말
EP2937856A4 (en) * 2012-12-19 2016-08-10 Nec Corp MOBILE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DE112013006542T5 (de) * 2013-01-30 2016-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euerung für Multi-Monitor-Anzeige
CN104123079A (zh) * 2013-04-28 2014-10-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进度条的位置调整方法及装置
KR201500007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3593111A (zh) * 2013-11-14 2014-02-1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移动终端屏幕共享的方法和移动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633A (ko) * 2017-10-11 2019-04-1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용 디지털 영상 기기를 이용한 투사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왜곡 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0272A (ko) * 2019-12-19 2021-06-30 구글 엘엘씨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직접 조작
US11301040B2 (en) 2019-12-19 2022-04-12 Google Llc Direct manipulation of display device using wearable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4282A1 (en) 2018-05-23
WO2017010651A1 (ko) 2017-01-19
US20180203660A1 (en) 2018-07-19
EP3324282A4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7963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7801094B (zh) 在信宿装置处控制信源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设备
CN107071532B (zh) 图像显示装置
EP26987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86027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7023793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10796B2 (en) Dual display with pointer controlled by a remote device
KR1022669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9786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340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253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0013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70031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휘도 제어 방법
KR201800061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417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17202A (ko) 출력 장치 및 그의 컨텐트 출력 방법
KR201700080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713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86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694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6661A (ko) 이동 단말기
KR202301124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