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6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66A
KR20180001366A KR1020160080407A KR20160080407A KR20180001366A KR 20180001366 A KR20180001366 A KR 20180001366A KR 1020160080407 A KR1020160080407 A KR 1020160080407A KR 20160080407 A KR20160080407 A KR 20160080407A KR 20180001366 A KR20180001366 A KR 2018000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pointer
scre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진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66A/ko
Publication of KR2018000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원격 제어 장치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들과 연결된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을 활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밀착하여, 밀착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병합 화면을 통해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으로는 화면의 크기 등에 제한이 되어 있어,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해 대화면을 구현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또는 등록)될 수 있다.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연결된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원격 제어 장치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중 제1 포인터의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포인터의 좌표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포인터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제1 포인터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포인터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 포인터의 좌표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원격 제어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인터들을 표시함으로써, 멀티 터치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물리적인 입력에 의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병합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윈 가상 영역을 통해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 및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동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 및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출력되는 배치 가이드 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화면 연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운드 채널에 따라 자동으로 음성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29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물리적인 배치가 틀어진 경우, 이를 정렬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정렬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보정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화면 영역을 나타낸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영역이 삭제된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나타낸다.
도 4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이동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위치에 대응하는 스피커 볼륨 조절 영역을 나타낸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박스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리스트 표시 동작을 나타낸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련 정보 표시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하는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5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대 영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5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영상 선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키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4 내지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6 내지 도 67d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8a 내지 도 68c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9a 내지 도 70b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분배기(171),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통신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주변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주변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케일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러(175)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분배기(171)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컨텐츠를 자신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분배할 수 있다. 분배기(171)는 RF(Radio Frequency) 분배기(171_1) 및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분배기(171_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7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통신부(19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195)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95)는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 (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 (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 (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 (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 (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 (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시스템 (1)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00_2)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동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일 측면이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각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자의 화면을 연동시켜 획득된 컨텐츠를 하나의 병합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컨텐츠 영상의 제1 부분 영상을 자신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부분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 영상을 자신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트윈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을 연동시켜 하나의 병합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화면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이고, 제2 화면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구비된 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트윈 모드로 동작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둘 중 하나는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고, 나머지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제어부의 사양이 더 좋은 장치가 마스터 기기가 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b)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제어부(170_1)는 제어 명령 수신부(910_1),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 입력 매니저(930_1) 및 웹킷(94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2 제어부(170_2)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 입력 매니저(930_1) 및 웹킷(940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수신부(910_1)는 트윈 모드로 동작 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후술할 화면 연동 요청일 수 있다.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는 제어 명령 수신부(910_1)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송 받아 이를 제2 제어부(170_2)에 포함된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2)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연동 요청이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2)에 전달된 경우, 제2 제어부(170_2)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과 자신의 화면을 연동시킬 수 있다.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로의 기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 매니저(930_1,2)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_1)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받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웹킷(940_1,2)은 웹 브라우저를 만드는 데 기반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 프레임워크이다.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2개인 경우로 예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연결된다(S1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통신부(195)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IP 공유기(Internet Protocol 공유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IP 공유기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이용되는 무선 통신 규격은 와이파이(Wi-Fi)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올 조인(Alljoyn) 기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올 조인(Alljoyn) 기술은 중계기(예를 들어, IP 공유기) 없이 장치 간 무선으로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일 수 있다. 올 조인을 통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 규격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규격, 블루투스(blutooth) 규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둘 중 하나는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고, 나머지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가 마스터 기기로, 나머지 하나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_2) 중 원격 제어 장치(200)와 연결된 장치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연결되지 않은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마스터 기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되었음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자신의 기기 정보를 공유한다(S103).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연결되는 순간, 각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195)를 통해 서로의 기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 정보 및 채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IP를 통해 서로가 연결된 경우, IP 주소, 모델명 등 각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 정보는 제어부(170)의 성능 정보,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 정보, 해상도 정보 및 스케일러의 능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튜너(131)를 통해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저장된 채널 정보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저장된 채널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동기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채널 정보의 일부만을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채널 정보의 나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채널 정보를 공유하여 하나의 완성된 채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정보의 공유 이외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스캔된 채널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를 획득하고 (S105), 획득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하고(S107),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를 획득하고(S105), 획득된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한다(S1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멀티 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츠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튜너(131)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제2 컨텐츠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튜너(131)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동일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분배기(171)를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분배기 (171)는 마스터 기기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별도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분배기(171)는 RF(Radio Frequency) 분배기(171_1) 및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분배기(171_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분배기(171_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분배기(171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연결된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배기(171)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에는 동일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동일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의 제어부(170)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고, 재생하는 실시 예를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물리적인 입력에 의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F 분배기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HDMI 분배기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RF 분배기(17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분배기(171)는 수신된 RF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RF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RF 분배기(17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HDMI 분배기(173)는 주변 기기(30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HDMI 분배기(173)는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는 동일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HDMI 분배기(173)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HDMI 분배기(173)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CP 서버(500)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5)를 통해 CP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멀티 캐스트(muticast) 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자신이 멀티 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멀티 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 CP Server)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CP 서버(500)로부터 스트리밍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CP 서버(500)로부터 스트리밍으로 제1 컨텐츠를 수신하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제1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접근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접근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CP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고, CP 서버(500)로부터 제1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한다(S109).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화면 연동 요청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을 연동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서 표시 중인 제1 컨텐츠를 연동된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요청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츠의 일부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제1 컨텐츠의 나머지 부분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의 일부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 제2 컨텐츠의 나머지 부분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의 수신 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111).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 중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 중인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와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가 동일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와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화면 연동 요청을 전송한다(S113).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로의 재생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환 요청 및 화면 연동 요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한다(S115).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컨텐츠 전환 요청은 채널을 변경을 나타내는 채널 전환 요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서 재생 중인 제2 컨텐츠의 채널 번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서 재생 중인 제1 컨텐츠의 채널 번호가 서로 다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5)를 통해 제1 컨텐츠의 채널 번호로 변경하도록 하는 채널 전환 요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전환 요청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동일한 채널로 튜닝 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츠를 동기화 시켜 재생한다(S117).
이하에서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동기화 시켜 재생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병합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또한,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205)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연동 요청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구비된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화면 연동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전달받은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컨텐츠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구비된 버튼을 2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도 11의 (b)와 같이 연동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연동됨에 따라 보다 큰 화면으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에 포함된 스케일러(175)는 제1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로 스케일링 할 수 있고, 스케일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180)의 해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장치의 해상도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103에서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상도가 더 낮은 디스플레이부(180)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가 지원하는 해상도가 UDH(Ultra Definition)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가 지원하는 해상도가 HD(high Definition)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HD 해상도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3을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를 설명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화면 상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205)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각 화면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서로 다르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컨텐츠 전환 요청 및 화면 연동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컨텐츠 전환 요청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를 제2 컨텐츠에서 제1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1 컨텐츠의 일부 영상(31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1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13)을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 중 간단한 입력만으로,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대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설명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화면 상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하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205)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자신의 사이즈 정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화면 연동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각 화면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재생되는 컨텐츠를 제1 컨텐츠(310)에서 제2 컨텐츠(330)로 전환할 수 있다. 즉, 화면 연동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화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 (180)에 제2 컨텐츠의 일부 영상(33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제2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31)을 표시하도록 각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 중 간단한 입력만으로,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대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를 획득한다(S30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기기 정보의 공유 단계(S103)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사이즈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인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트윈 가상 영역을 생성한다(S303). 트윈 가상 영역은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위치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으로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트윈 가상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대응하는 실제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에 대응하는 가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트윈 가상 영역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가 트윈 가상 영역에 포함된 가상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S305), 포인터가 실제 영역을 벗어나 가상 영역에 위치한 경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산출한다(S307).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산출된 좌표 값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달한다(S309). 이하에서는 단계 S301 내지 S309를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트윈 가상 영역을 통해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트윈 가상 영역(600)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실제 영역(6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역인 가상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실제 영역(610)의 좌표 값들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가상 영역(630)의 좌표 값들을 이용하여 트윈 가상 영역(600)의 좌표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실제 영역(610)의 최대 x 좌표 값은 x1(즉, 1920)이라 가정한다.
포인터(205)가 실제 영역(610)을 벗어나 가상 영역(630)으로 위치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가상 영역(600)의 가상 영역(630)에 위치한 포인터(205)의 좌표 값인 (x2, y2)=(2420, 200)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실제 영역(610)을 벗어났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이용하여 포인터(205)의 가상 좌표 값인 (x2, y2)=(2420, 200)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가상의 x 좌표 값인 2420에서 실제 영역(610)의 최대 x 좌표 값인 1920을 뺀 x 좌표 값 500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산출된 x 좌표 값 500 및 기존의 y 좌표 값 200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500, 200)을 자신의 화면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지점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획득한 동일한 컨텐츠를 병합된 화면으로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며, 도 17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16 내지 도 17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분배기(171)를 통해 동일한 컨텐츠를 획득한 경우의 실시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_1)는 영상 분할부(172_1),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1), 프레임 자름부(176_1), 스케일러 (175_1), 시간 동기화부(177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 또한, 영상 분할부(172_2),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2), 프레임 자름부(176_2), 스케일러(175_2), 시간 동기화부(177_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72_1, 172_2)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 (17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을 복수의 프레임들로 분할할 수 있다.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1, 174_2)는 분할된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각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는 프레임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각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는 동일한 프레임에 동일한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식별자 삽입부(174_1, 174_2)는 T0, T1, T2와 같이, 동일한 프레임에 동일한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 자름부(176_1, 176_2)는 각 프레임의 일부만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기 위해 프레임을 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자름부(176_1)는 각 프레임의 좌측 반 영역만을 남기고, 우측 반 영역을 자를 수 있고, 프레임 자름부(176_2)는 각 프레임의 우측 반 영역만을 남기고, 좌측 반 영역을 자를 수 있다.
스케일러(175_1, 175_2)는 잘라진 각 프레임을 각 디스플레이부(180)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러(175_1)는 잘라진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80_1)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링할 수 있고, 스케일러(175_2)는 잘라진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 (180_2)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링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부(177_1, 177_2)는 스케일링된 각 프레임에 삽입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재생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시간 동기화부(177_1, 177_2)는 서로 간의 통신을 통해 스케일링된 프레임의 식별자를 비교하고, 프레임의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해당 프레임을 각각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프레임의 타이밍이 맞게 되어 도 1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영상이 하나의 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의 정상적인 연동을 위해 각 장치의 배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8의 (a)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00_2)가 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우측에 배치되어야 정상적인 배치인 것을 가정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비정상적으로 배치된 경우, 화면 연동 또한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재생이 하나의 대 화면으로 원활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동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배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배치 설정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배치 설정 항목들은 좌 배치 설정 항목(710) 및 우 배치 설정 항목(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화면 상에 표시된 좌 배치 설정 항목(710)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버튼 입력을 통해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우 배치 설정 항목(730)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버튼 입력을 통해 선택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치 설정 항목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진입 시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 및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 및 제1 우측 스피커(185_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밀착되어 배치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좌측 스피커(185_1), 제1 우측 스피커(185_2), 제2 좌측 스피커(185_3), 제2 우측 스피커(185_4) 순서로 테스트 음성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각 테스트 음성 신호의 세기는 동일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마이크(291)는 각 스피커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입력 받은 테스트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각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ain)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스피커와 원격 제어 장치(200) 간의 거리 차이로 인해 제1 좌측 스피커(185_1)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1)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4) 중 어느 하나는 최고 이득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최저 이득일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제1 우측 스피커(185_2)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G3)의 크기는 비슷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 테스트 음성 신호의 이득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이득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1 좌측 스피커(185_1)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제1 좌측 스피커(185_1)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구비된 스피커의 위치를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크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측에 배치됨을 인지할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성 신호의 크기가 가장 작으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우측에 배치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가 정상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가 비정상적인 경우, 후술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화면 배치 가이드 창(731)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상측에 제1 카메라(191_1)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상측에 제2 카메라(191_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91_1) 및 제2 카메라(191_2)는 전방에 위치한 사물(A)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191_1)에서 촬영된 사물(A)의 제1 이미지 및 제2 카메라(191_2)에서 촬영된 사물(A)의 제2 이미지는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되었을 것이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에 근접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응하는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근접 센서(16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밀착되면, 밀착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근접 센서 (160)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된 것을 감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와 병합 화면을 사용할 수 있는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출력되는 배치 가이드 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배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치 가이드 창(731, 733)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치 가이드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간의 사이즈(인치)가 서로 다른 경우, 화면 연동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경우, 화면 연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보다 더 작음을 가정한다.
도 23의 (a)를 참조하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동일한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의 일부 영상(31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1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사이즈보다 더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컨텐츠를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기기 정보의 공유 단계(S103) 를 통해 저장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사이즈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자신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13)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자신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케일러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 (313)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스케일링된 나머지 영상(313)을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이즈가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의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생성된 편차 보정 가이드 라인(810)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205)를 통해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13)이 편차 보정 가이드 라인(810)에 맞추어 표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채널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된 음성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운드 채널에 따라 자동으로 음성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채널은 2.1채널이고, 서로의 화면이 연동되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사운드 채널이 2.1 채널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개의 스피커 및 1개의 우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좌측 스피커(185_1)는 본래의 lef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는 본래의 righ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는 저주파 음역을 출력하여, 마치, 우퍼(woofer)가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어, 2.1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좌측 스피커(185_1)는 본래의 lef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185_4)는 본래의 right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는 본래의 left 오디오와 본래의 right 오디오를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Left 오디오와 right 오디오가 믹싱된 오디오를 center 오디오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은 믹싱된 오디오인 center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의 3.0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7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채널은 5.1 채널이고, 서로의 화면이 연동되어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사운드 채널이 5.1 채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프론트)에 2개의 스피커, 후면(리어)에 2개의 스피커, 중앙에 1개의 스피커 및 저음역대의 오디오를 강화한 서브 우퍼를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의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는 무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좌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left 오디오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후면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는 right 오디오일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후면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left 오디오이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후면 좌측에 배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가 연동된 화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right 오디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의 4.0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을 설명한다.
도 27은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내지 100_4)가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연동하는 경우, 가상의 5.1 채널 사운드가 출력되는 실시 예이다. 즉,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_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_4)는 도 25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대로, 가상의 3.0 채널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가상의 2.1 채널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5.1 채널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물리적인 배치가 틀어진 경우, 이를 정렬하도록 가이드 하는 배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이 경우이고, 도 29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커브드(Curved) 패널인 경우이다.
도 28(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은 밀착되는 면의 각도가 틀어진 상태이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은 트윈 모드로 진입될 시, 각각 제1 배치 가이드 라인(801) 및 제2 배치 가이드 라인(803)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2 배치 가이드 라인(801, 803)은 사용자로 하여금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리적인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라인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배치 가이드 라인(801, 803)이 일직선이 되도록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 28의 실시 예는 도 29에서 도시된 커브드 패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치 가이드 라인을 통해 수동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손쉽고,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물리적인 배치를 정렬하기 위한 대각선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각선 가이드 라인이 정렬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각 제1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3)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3)은 사용자로 하여금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리적인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라인일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후 방향의 물리적인 밀착을 일치시키기 위한 라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813)이 일직선이 되도록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대각선 가이드 라인(811, 813)이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전후 방향의 물리적인 밀착이 일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대각선 가이드 라인에 대한 내용은 커브드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커브드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패널의 커브드 곡률에 대응하는 대각선 가이드 라인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병합 화면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때,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일부 영상과 나머지 영상으로 각각 표시하는 병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밀착된 면에 대응하는 베젤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면 왜곡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하나의 컨텐츠인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츠(330)의 일부 영상(331)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츠(330)의 나머지 영상(331)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밀착되는 면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우측 베젤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측 베젤로 인해, 제2 컨텐츠의 일부 영상(331)과 제2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33)이 매끄럽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왜곡 현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사용자에게 시청에 방해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보정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하나의 컨텐츠를 병합 화면으로 표시하면(S4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일부 영상 및 나머지 영상 각각에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화면 영역을 삭제한다(S403).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은 일부 화면 영역이 삭제된 일부 영상 및 나머지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405).
이에 대해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화면 영역을 나타낸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영역이 삭제된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하나의 컨텐츠인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츠의 일부 영상(331)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제2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3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의 일부 영상(331)에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인 제1 일부 영역(415)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33)에서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인 제2 일부 영역(417)을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삭제되는 제1 일부 영역(415)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우측 베젤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고, 삭제되는 제2 일부 영역(417)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측 베젤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일부 영역(415)이 삭제된 제2 컨텐츠(330)의 일부 영상(33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일부 영역(417)이 삭제된 제2 컨텐츠(330)의 나머지 영상(33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되는 영상의 일부 영역을 삭제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어서, 각 디스플레이부(100)의 밀착된 면에 대응하는 베젤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면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의 두께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일부 영역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동작할 때, 포인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들 각각은 트윈 모드로 동작한다(S510).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트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트윈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을 연동시켜 하나의 병합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1 화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2 화면 각각에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은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S520).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 있고,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제어장치 (200)의 사용자 입력부(230) 조작에 대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 신호를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대한 신호를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일 수도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포인터 표시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포인터 표시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하고(S530),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540).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구성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구성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포인터(205)를 표시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 (205)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일 수도 있다.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205)를 이동시키는 입력,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 포인터(205)에 대한 드래그 입력, 포인터(205)에 대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입력은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길게 누름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표시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트윈 서비스 관리부(920)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를 표시할 때,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정보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 37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7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창(741)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가이드 창(74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을 포인터(205)로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드래그하면 병합 화면인 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정보 및 드래그 방향에 대한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하는 경우, 상술한 병합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창(741)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도 3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병합 화면 아이콘(742)를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병합 화면 아이콘(742)을 포인터 (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병합 화면인 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확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도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위치하면, 상술한 병합 화면 아이콘(742) 및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병합 화면 아이콘(742) 또는 확대 영상 아이콘(74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c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트윈 모드 동작에 따른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병합 화면 아이콘(748)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병합 화면 아이콘(748)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병합 화면인 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컨텐츠 목록 아이콘(748)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컨텐츠 목록 아이콘(748)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목록 표시는 방송 채널에 대한 EPG에 대한 정보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도 포인터(205)가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위치하면, 상술한 병합 화면 아이콘(748) 및 컨텐츠 목록 아이콘(749)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병합 화면 아이콘(748) 또는 컨텐츠 목록 아이콘(749)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병합 화면 표시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이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분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가이드 정보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화면 아이콘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d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4)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터 표시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는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이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분할 화면 아이콘(743)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분할 화면 아이콘(743)을 포인터(205)로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205)로 확대 영상 아이콘(744)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확대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재생되는 컨텐츠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 아이콘(746)을 표시할 수 있고, 포인터(205)로 녹화 아이콘(746)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를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재생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 시점 아이콘(747)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205)로 재생 시점 아이콘(747)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컨텐츠(310)에 대해 서로 다른 재생 시점의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뿐만 아니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표시하는 제2 컨텐츠(330) 화면에 상술한 가이드 정보에 대한 가이드 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6을 참조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550).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하나의 컨텐츠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합 화면 표시, 트윈 모드에서 출력되는 병합 화면 또는 복수의 화면 각각에 대한 화면 크기 조절, 트윈 모드에서 출력되는 병합 화면 또는 복수의 화면 각각에 대한 화면 이동 및 오디오 출력부(185)의 볼륨 조절 동작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185)의 볼륨 조절은 음성 신호의 이득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화면 크기 조절에 대해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포인터(205)를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2 컨텐츠(330)에 대한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에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5)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5)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 이전보다 화면 크기가 확대된 영상의 일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에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6) 및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되는 제2 컨텐츠(330)에 대한 영상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 이전보다 화면 크기가 축소된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크기가 축소된 제2 컨텐츠(330)에 대한 영상은 영상의 비율이 이전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화면 크기 조절하는 동작은 컨텐츠에 대한 화면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35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 화면(350)은 PC버전 또는 전체 화면 버전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포인터 (205)를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웹 브라우저 화면(350)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에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5)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 이전보다 화면 크기가 확대된 영상의 일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거리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에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6) 및 전환된 웹 브라우저 화면(35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된 웹 브라우저 화면(355)은 모바일 버전 또는 축소 화면 버전에 대한 웹 브라우저 화면일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0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나타낸다.
도 40a를 참조하면,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791, 793)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된 포인터 (205)를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1 기준선(791) 및 제2 기준선(79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선(791)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화면을 21대9 비율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기준선일 수 있고, 제2 기준선(793)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화면을 32대9 비율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기준선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된 제1 기준선(791)에 조절될 화면의 비율인 “21:9”을 표시할 수도 있고, 21:9 비율에 따른 화면을 지칭하는 화면 비율의 명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 (180_2)에 표시된 제2 기준선(793)에 조절될 화면의 비율인 “32:9”을 표시할 수도 있고, 32:9 비율에 따른 화면을 지칭하는 화면 비율의 명칭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된 기준선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드래그된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을 기준선에 대응하는 화면 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가 포인터(205)를 제1 기준선(791)까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한 21대9 비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310)에 대한 21대9 비율의 화면은 상술한 병합 화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가 포인터(205)를 제2 기준선(793)까지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한 32대9 비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310)에 대한 32대9 비율의 화면은 상술한 병합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0b를 참조하면,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조절될 화면의 비율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794)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포인터(205)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794)에 표시되는 영상의 비율을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조절될 화면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선 및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비율의 기준선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컨텐츠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합 화면을 표시할 때,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표시된 병합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들 각각이 병합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 영역을 포인터(205)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병합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병합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 영역은 병합 화면의 좌측 최외각 또는 우측 최외각으로부터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와 같은 키(Key)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크기 조절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 (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 (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의 우측 일부 영역(413)을 포인터(205)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180_2)의 전체 화면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 (310)의 나머지 영상(314)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하나의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합 화면 표시 동작에 대해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 표시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1 컨텐츠 (310)에 대한 화면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포인터(205)를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2 컨텐츠(330)에 대한 화면의 전환 기준선(790)을 넘어가도록 하는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 (180)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 (18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 기준선(790)은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205)가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제2 컨텐츠(330)에 대한 화면의 전환 기준선(790)을 넘어가지 않도록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트윈 모드에서 출력되는 병합 화면 또는 복수의 화면 각각에 대한 화면 이동 동작에 대해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의 이동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제1 컨텐츠(310)의 전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의 일부 영역을 포인터(205)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한 영상을 드래그 앤 드랍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각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해 변환된 일부 화면(315)을 제1 디스플레이부 (180_1)에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해 변환된 나머지 화면(316)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일부 화면(315) 및 변환된 나머지 화면(316) 각각은 획득된 드래그 앤 드랍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컨텐츠(310)에 대한 화면일 수 있다.
제4 실시 예로, 포인터(205)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오디오 출력부(185)의 볼륨 조절 동작에 대해 도 44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위치에 대응하는 스피커 볼륨 조절 영역을 나타낸다.
도 4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제1 좌측 스피커 영역(411)은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고, 제1 우측 스피커 영역(412)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제2 좌측 스피커 영역(413)은 제2 좌측 스피커(185_3)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고, 제2 우측 스피커 영역(414)은 제2 우측 스피커(185_4)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제1 좌측 스피커 영역(411), 제1 우측 스피커 영역(412), 제2 좌측 스피커 영역(413) 및 제2 우측 스피커 영역(414) 중 하나의 영역에 포인터(205)가 위치하고, 볼륨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5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제1 좌측 스피커 영역(411)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_1)는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을 높이는 동작은 제1 좌측 스피커(185_1)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이득 크기를 높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획득 후 일정 시간 동안,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 이외의 제1 우측 스피커(185_2),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음소거(Mute)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_1)는 제1 좌측 스피커(185_1)의 볼륨은 높이고, 제1 우측 스피커(185_2)는 음소거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170_2)는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음소거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도 47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입력을 나타낸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우측 스피커 및 제2 좌측 스피커에 대한 볼륨 조절 동작을 나타낸다.
도 47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우퍼(woofer) 또는 center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우측 스피커 영역(412) 및 제2 좌측 스피커 영역(413)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포인터(205)가 위치하고,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각각은 우퍼(woofer) 또는 center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의 볼륨을 각각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획득 후 일정 시간 동안, 볼륨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우측 스피커(185_2) 및 제2 좌측 스피커(185_3) 이외의 제1 좌측 스피커(185_1)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를 음소거(Mute)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오디오 출력부(185)가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오디오 출력부(185)가 오디오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포함된 제1 좌측 스피커(185_1) 및 제1 우측 스피커(185_2)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포함된 제2 좌측 스피커(185_3) 및 제2 우측 스피커(185_4)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하는 방송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경우에 채널 전환 입력이 입력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정보 표시창을 블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표시창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표시창은 표시 중인 채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포박스, 복수의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채널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박스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4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을(311)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3)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부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블랙 영역인 좌측 블랙 영역(511)에 제1 인포박스(754)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인포박스(754)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포박스(754)에는 방송 서비스 채널명,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블랙 영역인 우측 블랙 영역(521)에 제2 인포박스(755)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인포박스(755)에는 날짜 및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블랙 영역인 우측 블랙 영역(521)에 출력되는 오디오 볼륨 크기를 나타내는 볼륨창(756)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정보 표시창을 표시할 때,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병합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리스트 표시 동작을 나타낸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310)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310)의 나머지 영상(314)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한 병합 화면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해 변환된 일부 화면(315)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310)에 대해 변환된 나머지 화면(316)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일부 영역에 채널 리스트(761)를 표시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761)에는 복수의 방송 채널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일부 화면(315) 및 나머지 화면(316)의 크기는 채널 리스트 표시에 따른 병합 화면의 이동 이전의 일부 화면(312) 및 나머지 화면(314)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영상을 출력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영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련 정보 표시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출력한다(S5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출력되는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95)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한다(S503).
여기서 전송되는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는 출력되는 제1 영상의 컨텐츠 명칭, 컨텐츠의 내용,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 내용, 출력되는 제1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S505).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컨텐츠인 경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상인 경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제1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한다(S507).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컨텐츠인 경우, 획득된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1 영상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상인 경우, 획득된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관련 정보 표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 77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되는 EPG(770)에는 하나 이상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스케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된 EPG(770)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된 EPG(770)의 복수의 컨텐츠 중 선택된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역(775)을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제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제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EPG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EPG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대 화면인 병합 화면에 EPG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G 표시하는 병합 화면을 나타낸다.
도 5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확대된 EPG(771)의 일부 영상(772)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확대된 EPG(771)의 나머지 영상(77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대된 EPG(771)는 현재부터 8시간 이후까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확대된 EPG(771)의 일부 영상(772)에 현재부터 4시간 이후까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확대된 EPG(771)의 나머지 영상(773)에 4시간 이후부터 8시간 이후까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특정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서 출력되는 특정 영상의 특정 영역을 확대한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대 영상 표시를 나타낸다.
도 54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2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가이드 박스(620)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컨텐츠(310)의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318)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계된 단말기(8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특정 영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영역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되는 단말기(80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단말기(800)는 통신 모듈(810), 디스플레이 모듈(820), 제어 모듈(830), 메모리(8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8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95)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20)은 다양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830)은 단말기(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840)는 단말기(8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4b 내지 도 54c를 참조한다.
도 5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확대 영역 선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4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3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 중 하나 이상은 단말기(800)로부터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영역 정보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318)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800)의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20)에 가이드 박스(63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83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83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박스(63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20)에 확대 영상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30)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고, 제1 컨텐츠(310)의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3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5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830)은 디스플레이 모듈(830)에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하지 않고, 확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박스(630)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830)은 가이드 박스(630)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310)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영역 정보를 통신 모듈(810)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 영역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선택된 영역의 확대 영상(318)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수신된 선택 영역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310) 및 가이드 박스(620)를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의 원본을 나타내는 원본 축소 영상을 표시하고, 원본 축소 영상에서 실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이동된 출력 가이드 박스(610)에 대응하는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5를 참조하여 자세하 설명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영상 선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의 일부 영상(312)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화면 전체에 제1 컨텐츠의 나머지 영상(314)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일부 영역에 제1 컨텐츠(310)의 원본 영상을 나타내는 원본 축소 영상(780)을 표시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실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70)는 원본 축소 영상(780)에 표시된 출력 가이드 박스(610)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이동된 출력 가이드 박스(610)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310)에 대한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80_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설정 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설정 입력 이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 설정 입력 이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설정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색상, 명암, 밝기, 선명도, 색농도, 화이트 밸런스, 백라이트 밝기 및 화면 모드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화면 설정 이전의 제1 컨텐츠(3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화면 설정에 따라 변경된 제1 컨텐츠(319)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의 제어부(170)는 화면 설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화면 설정 이전과 이후의 화면을 비교할 수 있다.
한편,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는 현재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는 과거 시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구성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현재 시점의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과거 시점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출력되는 영상의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으면, 출력되는 영상의 시점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 화면인 병합 화면에서 이미지를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 또는 사람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밀착된 베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지 않도록, 병합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합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제1 이미지(390)의 일부 이미지(391)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제1 이미지(390)의 나머지 이미지(393)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이미지(390)에 포함된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70_1) 및 제2 제어부(170_2) 중 하나 이상은 제1 이미지(390)에 포함된 사람 얼굴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밀착된 베젤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각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39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_1)에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이미지(390)의 일부 이미지(392)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이미지(390)의 나머지 이미지(394)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트윈 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계된 단말기(8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단말기(8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8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단말기(80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목록 화면(76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이미지 목록 화면(760)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고, 이미지 목록 화면(760)에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8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8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399)를 제2 디스플레이부(180_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800)도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부터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820)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399)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또는 기능과 관련된 메뉴를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59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컨텐츠(310)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창(764)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205)를 통해, 표시된 메뉴창(764)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컨텐츠(310)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창(765)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포인터(205)를 통해, 표시된 메뉴창(765)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윈모드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입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키(key)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된 입력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키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컨텐츠(310)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컨텐츠(3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키(745)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키(745)에는 숫자키, 화면 캡쳐키, 전원키 등 다양한 키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80)는 표시된 포인터 (205)를 통해, 표시된 입력키(74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하나 이상은 표시된 입력키(745)에 대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키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키가 입력키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2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서로 연결되고, 일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일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함은,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나란히 배치되어 일 측면이 서로 맞닿은 경우 뿐 아니라, 상기 일 측면이 소정 거리 이내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와 연결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MI1)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MI2)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화면 연동 요청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_1, 100_2)의 화면들이 하나로 합쳐진 병합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스터 기기로서 동작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62 및 이하 도면들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마스터 기기로서 동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들 중 마스터 기기(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연결된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동작만이 활성화되고, 슬레이브 기기(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연결된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동작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활성화된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MI1)에 기초하여 하나의 포인터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뿐만 아니라,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되는 포인터까지도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예컨대, 멀티 터치 구현 등). 이에 따라, 도 62 내지 도 70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움직임 정보(MI1)뿐만 아니라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움직임 정보(MI2)까지도 수신하고, 수신된 움직임 정보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3에 도시된 각 단계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은 마스터 기기에 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도 6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연결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통신부(195)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 표시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S1010). 예컨대,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는 제1 모드(벡터 모드), 제2 모드(독립 모드), 및 제3 모드(익스클루시브 모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포인터 표시 모드의 종류는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제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이동 벡터와, 제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이동 벡터의 합을 이용하여 하나의 포인터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제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를 통해 표시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 각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포인터 표시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병합 화면을 통해 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표시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 표시 모드를 제1 모드(벡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다른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들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 표시 모드를 제2 모드(독립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포인터 표시 모드는 제3 모드(익스클루시브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포인터 표시 모드가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포인터 표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 표시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움직임 정보와, S1010 단계에 따라 확인된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S1020). 계산된 좌표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S1030).
S1020 단계 내지 S1030 단계와 관련하여, 각 포인터 표시 모드에 따른 보다 상세한 포인터 좌표 계산 및 포인터 표시 동작에 대해서는 도 64 내지 도 6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4 내지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벡터 모드)인 경우(S1100의 YES),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수신된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터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_1)는, 제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이동 벡터와, 제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이동 벡터의 벡터 합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계산된 포인터 좌표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120의 YES), 계산된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130).
반면, 계산된 포인터 좌표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120의 NO),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포인터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S1140).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S1110 단계 내지 S1140 단계에 대해서는 도 66 내지 도 67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6 내지 도 67d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6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제1 움직임 정보(MI1)와,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_1)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70_1)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_1)를 통해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MI1)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가 아닌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_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_2)를 통해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_1)는 통신부(195_1)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수신할 수 있다.
현재 설정된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벡터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_1)는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MI1) 및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이용하여 하나의 포인터에 대한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도 67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_1)는 제1 움직임 정보(MI1)에 대응하는 제1 이동 벡터와, 제2 움직임 정보(MI2)에 대응하는 제2 이동 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현재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Co)를 기준으로, 획득된 제1 이동 벡터와 제2 이동 벡터의 벡터 합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이동 좌표(Co')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포인터의 좌표(Co)를 기준으로 제1 움직임 정보(MI1)를 반영한 포인터 좌표를 제1 좌표(Co1)라 하고, 제2 움직임 정보(MI2)를 반영한 포인터 좌표를 제2 좌표(Co2)라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좌표(Co1)와 현재 포인터의 좌표(Co) 사이의 변화량이 제1 이동 벡터에 대응하고, 제2 좌표(Co2)와 현재 포인터의 좌표(Co) 사이의 변화량이 제2 이동 벡터에 대응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1 이동 벡터와 제2 이동 벡터의 벡터 합에 대응하는 이동 좌표(Co')가 계산될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계산된 좌표(Co')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계산된 좌표(Co')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도 6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된 좌표(Co')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계산된 좌표(Co')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수신된 좌표(Co')에 기초하여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연결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할당되는 포인터 좌표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_1)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100_2)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고, 배치 상태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좌표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각각이 Full HD 해상도(1920*1080)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는 (0,0)부터 (1919,1079)를 갖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는 (1920,0)부터 (3839,1079)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170_1)는 계산된 좌표(Co')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7c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MI1)를 수신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로부터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의 이동 좌표(Co')는 현재 포인터의 좌표(Co)를 기준으로 제1 움직임 정보(MI1)를 반영한 제1 좌표(Co1)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67d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로부터만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의 이동 좌표(Co')는 현재 포인터 좌표(Co)를 기준으로 제2 움직임 정보(MI2)를 반영한 제2 좌표(Co2)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와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 중 임의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시 65를 참조한다.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독립 모드)인 경우(S1150의 YES),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 좌표를 계산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S1160).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계산된 제1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하고, 제2 포인터 좌표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S1170).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수신된 제2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만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만을 표시할 수 있다.
S1160 단계 내지 S1170 단계에 대해서는 도 68a 내지 도 68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8a 내지 도 68c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8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MI1)를 수신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205_1)의 기존 좌표(Co1)와 제1 움직임 정보(MI1)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205_1)의 이동 좌표(Co1')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계산된 제1 포인터(205_1)의 이동 좌표(Co1')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205_1)를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_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한 제2 움직임 정보(MI2)와 제2 포인터의 기준 좌표(Tc2)에 기초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표시될 제2 포인터(205_2)의 기준 이동 좌표(Tc2')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인터의 기준 좌표(Tc2)는, 기설정된 임의의 어느 한 좌표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제2 포인터의 기존 좌표(Co2)에 대응하는 좌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포인터의 기존 좌표(Co2)가 (2920,500)이고, 기준 좌표(Tc2)가 기존 좌표(Co2)에 대응하는 좌표라고 가정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상에서의 기준 좌표(Tc2)는 (1000,500)일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기준 좌표(Tc2)와 제2 움직임 정보(MI2)에 기초하여 계산된 기준 이동 좌표(Tc2'; 예컨대 (800,700)으로 가정)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포인터의 기준 좌표(Tc2)는 (800,700)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수신된 기준 이동 좌표(Tc2')에 기초하여 (2720,700)에 해당하는 제2 포인터(205_2)의 이동 좌표(Co2')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좌표(Co2')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포인터(205_2)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제2 포인터의 기준 좌표(Tc2)가 기설정된 어느 한 좌표인 경우, 기준 좌표(Tc2)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기준 좌표(Tc2)와 제2 움직임 정보(MI2)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기준 이동 좌표(Tc2')를 계산하고, 계산된 기준 이동 좌표(Tc2') 또는 기준 이동 좌표(Tc2')와 기준 좌표(Tc2) 사이의 좌표 변화 값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수신된 기준 이동 좌표(Tc2') 또는 좌표 변화 값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이동 좌표(Co2')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좌표(Co2')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포인터(205_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8b를 참조하면,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제1 포인터(205_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서만 표시되고, 제2 포인터(205_2)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 (180_2)를 통해서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계산된 제1 포인터의 이동 좌표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205_1)를 도 6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계산된 제2 포인터의 이동 좌표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제2 포인터(205_2)를 도 6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모드에서, 제어부(17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205_1)와,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205_2)를 각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인터(205_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상에서만 표시되고, 제2 포인터(205_2)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상에서만 표시되는 바, 포인터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제2 움직임 정보(MI2)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직접 계산하고, 계산된 좌표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205_2)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8c를 참조하면, 예컨대 복수의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100_2)을 통해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100_2)의 포인터 표시 모드는 제2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8c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를 조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GS1)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를 조작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에 표시되는 게임 컨텐츠(GS2)를 이용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는 제2 모드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65를 설명한다.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3 모드(익스클루시브 모드)인 경우(S1180의 YES),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 좌표를 계산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S1190).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제어부(170_1)는, 계산된 제1 포인터 좌표와 제2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와 제2 포인터 각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00).
구체적으로, 계산된 제1 포인터 좌표와 제2 포인터 좌표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와 제2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제1 포인터 좌표와 제2 포인터 좌표 각각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 좌표와 제2 포인터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수신된 제1 포인터 좌표와 제2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와 제2 포인터 각각을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인터 좌표와 제2 포인터 좌표 중 어느 하나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고, 다른 하나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상기 어느 하나의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포인터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S1190 단계와 S1200 단계에 대해서는 도 69a 내지 도 70b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9a 내지 도 70b는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인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9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MI1)를 수신하고,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제2 움직임 정보(MI2)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205_1)의 기존 좌표(Co1)와 제1 움직임 정보(MI1)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205_1)의 이동 좌표(Co1')를 계산하고, 제2 포인터(205_2)의 기존 좌표(Co2)와 제2 움직임 정보(MI2)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205_2)의 이동 좌표(Co2')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70_1)는 계산된 이동 좌표들(Co1', Co2')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205_1)와 제2 포인터(205_2) 각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좌표들(Co1', Co2')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205_1)와 제2 포인터(205_2) 각각을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9b를 참조하면, 계산된 제1 포인터(205_1)의 이동 좌표(Co1')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고, 제2 포인터(205_2)의 이동 좌표(Co2')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205_1)를 디스플레이부(180_1)를 통해 표시하고, 제2 포인터의 이동 좌표(Co2')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수신된 이동 좌표(Co2')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205_2)를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9c를 참조하면, 계산된 이동 좌표들(Co1', Co2') 각각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이동 좌표들(Co1', Co2')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제어부(170_2)는 수신된 이동 좌표들(Co1', Co2')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205_1)와 제2 포인터(205_2)를 디스플레이부(180_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3 모드에서, 제어부(17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205_1)와,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205_2)를 각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인터(205_1)와 제2 포인터(205_2) 각각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멀티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들(100_1, 100_2)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제1 포인터(205_1)와 제2 포인터(205_2)를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0a와 도 70b는 제3 모드를 활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0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고, 미러링 기능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이미지(IMAGE)가 표시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의 병합 화면상에 이미지(IMAGE)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IMAGE)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70_1)는 표시된 이미지(IMAGE)에 대한 크기 조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들(200_1, 200_2)의 클릭 또는 터치에 대응하는 버튼을 입력하면서 제1 포인터(205_1)와 제2 포인터(205_2)가 멀어지도록 원격 제어 장치들(200_1, 200_2)을 움직이면, 제어부(170_1)는 원격 제어 장치들(200_1, 200_2)의 움직임 정보(MI1, MI2)에 기초하여 이미지(IMAGE)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도 7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를 통해 크기가 증가한 이미지(IMAGE)를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아닌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와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 중 어느 하나(예컨대, 제1 원격 제어 장치)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_1)는 제1 원격 제어 장치(200_1)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표시할 뿐, 제2 원격 제어 장치(200_2)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원격 제어 장치의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중 제1 포인터의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포인터의 좌표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포인터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제1 포인터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포인터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 포인터의 좌표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포인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각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가능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중 제1 포인터의 좌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포인터의 좌표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포인터의 좌표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제1 포인터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포인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포인터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 각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60080407A 2016-06-27 2016-06-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80001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07A KR20180001366A (ko) 2016-06-27 2016-06-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07A KR20180001366A (ko) 2016-06-27 2016-06-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66A true KR20180001366A (ko) 2018-01-04

Family

ID=6099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07A KR20180001366A (ko) 2016-06-27 2016-06-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548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US11950444B2 (en) 2019-05-03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0444B2 (en) 2019-05-03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246548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7963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7801094B (zh) 在信宿装置处控制信源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设备
EP26987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9749575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86027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3190786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310796B2 (en) Dual display with pointer controlled by a remote device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KR201601340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253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0013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EP3525453A1 (en) Display device
KR20170031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휘도 제어 방법
KR201800061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1340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17202A (ko) 출력 장치 및 그의 컨텐트 출력 방법
KR201700713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86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694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080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33429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2024005500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of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197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