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82B1 -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 - Google Patents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82B1
KR101483382B1 KR1020137008556A KR20137008556A KR101483382B1 KR 101483382 B1 KR101483382 B1 KR 101483382B1 KR 1020137008556 A KR1020137008556 A KR 1020137008556A KR 20137008556 A KR20137008556 A KR 20137008556A KR 101483382 B1 KR101483382 B1 KR 10148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membrane
membrane element
stretchable
tube
coll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059A (ko
Inventor
신이치 치쿠라
도시미츠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07Specific properties of the central tube or the permeate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3Specific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2Thermal or heat-resistance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로서, 집류체관과 분리막과의 고정부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하고, 장시간 열이력을 받는 것에 의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막 엘리먼트, 및 이에 이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는, 집류체관(10)과, 분리막과, 집류체관(10)과 상기 분리막을 고정하는 적어도 2지점의 고정부(4)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로서, 고정부(4) 사이의 집류체관(10)에, 적어도 하나의 신축부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이다.

Description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SEPARATION MEMBRANE ELEMENT AND FLUID COLLECTING TUBE FOR SEPARATION MEMBRANE ELEMENT}
본 발명은, 분리막에의 공급 유체 또는, 분리막으로부터의 투과 유체를 유통하는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集流體管)을 이용한 분리막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관상형, 중공사형, 스파이럴형, 플리츠형 등의 각종 분리막 엘리먼트가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분리막, 공급측 유로재 및 투과측 유로재의 단수 또는 복수가 구멍이 있는 집수관 둘레에 권취된 권취체를 갖는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막 엘리먼트를 사용할 때는, 압력 용기에 분리막 엘리먼트를 장전하고, 상기 압력 용기 안에 처리액을 유입, 가압함으로써 분리막에 의한 여과가 행해지지만, 처리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는, 고온의 열수(熱水) 또는 수증기라고 하는 고온 조건하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식품, 의약 및 파인케미컬에서의 프로세스 처리나, 이들 프로세스 후의 배액 처리에 이용되는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에서는, 액온이 높은 알칼리 용액이 처리액으로서 공급된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투과 증발(PV)법을 이용한 분리막 모듈이나, 증기 투과(VP)법을 이용한 분리막 모듈에서는, 분리막에 의해 생긴 고온 증기가 투과 가스 스페이서 안에서 집기관(集氣管)을 향해 흘러, 집기관 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와 같이 처리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는 고온의 유체를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5474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04-187220호 공보
상기와 같은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는, 고온시의 팽창과 냉각시의 복원(수축)에 의해 신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하에, 고온 환경하에서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서,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를 예로 설명한다.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막 등을 포함하는 권취체(2)가 집류체관(1) 둘레에 권취되어 있고, 이 권취체(2)가 외장재(3)로 덮인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권취체(2)는, 집류체관(1)의 축방향의 양단부(2a, 2b)가, 집류체관(1)에 고정부(4)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를 고온 환경하에서 운전하면, 특히 권취체(2)나 외장재(3)와 집류체관(1)의 재질이 상이한 경우,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체(2)나 외장재(3)가 팽창하는 것에 의해, 고정부(4)에 응력이 걸린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서의 운전을 정지한 경우에는,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체(2)나 외장재(3)가 냉각되어 수축하는 것에 의해, 역시 고정부(4)에 응력이 걸린다.
이와 같이,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는, 분리막이나 외장재의 신축에 따라, 집수관이나 집기관 등의 집류체관과 분리막과의 고정부에 응력이 걸리기 때문에, 고정부의 근방에서의 엘리먼트 단부(E)(도 4의 B, C 참조)의 변형에 의해 엘리먼트가 파괴되거나, 고정부에서 집류체관과 분리막이 박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가 장시간 가열되는(열이력을 받는) 것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에 있어서, 집류체관과 분리막과의 고정부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하고, 장시간 열이력을 받는 것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막 엘리먼트 및 이에 이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는, 집류체관과, 분리막과, 상기 집류체관과 상기 분리막을 고정하는 적어도 2지점의 고정부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로서, 상기 고정부 사이의 상기 집류체관에, 적어도 하나의 신축부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이다.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는, 고정부 사이의 집류체관에 신축부를 갖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서 분리막이나 외장재가 신축되어도, 집류체관이 이 신축에 추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먼트 전체적으로 일률적으로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집류체관과 분리막과의 고정부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하고, 장시간 열이력을 받는 것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환경하에서도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상기 신축부는, 감합 구조여도 좋고, 집류체관 본체끼리를 연결한 가동부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는, 상기 분리막, 공급측 유로재 및 투과측 유로재의 단수 또는 복수가 상기 집류체관 둘레에 권취되어 있는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여도 좋다.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는, 분리막 등이 집류체관 둘레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럴형 이외의 분리막 엘리먼트에 비해, 분리막 등에 의한 신축 응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은, 집류체관의 일부분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이다.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은,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갖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서 분리막이나 외장재가 신축되어도, 이 신축에 추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먼트 전체적으로 일률적으로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집류체관과 분리막과의 고정부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하고, 장시간 열이력을 받는 것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환경하에서도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I는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에 사용되는 신축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의 A~C는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의 A~C는 종래의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참조하는 도면에서, 전술한 도 4의 A~C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은, 폐수 처리나 해수 담수화 등에 이용되는, 액체 성분을 분리할 때에 사용되는 집수관이어도 좋고, 바이오에탄올 등을 기체 성분으로서 분리할 때에 사용되는 집기관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집류체관(10)은 관 주위에 개공(開孔)이 형성된 중공형의 구조를 가지며, 축방향에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신축부(10a)를 적어도 하나 갖는다. 예컨대, 분리막이나 외장재에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집류체관(10)은 100℃ 정도의 온도 상승에서 1 m당 5 ㎜~20 ㎜ 정도의 신장이 생긴다. 이 때문에, 신축부(10a)로서는, 20 ㎜~50 ㎜ 정도의 가동 폭을 담보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집류체관(10)이 축방향의 중앙부에 신축부(10a)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집류체관(10)의 신축부(10a)로서는, 예컨대 도 2의 A~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도 2의 A~D는, 신축부(10a)가 감합 구조인 경우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A 및 B는, 집류체관 본체(101, 102)와는 별개 부재인 관 이음(100)을 이용하여 감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2의 C 및 D는, 집류체관 본체(101, 102)끼리를 감합하는 구조로 하여 감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들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집류체관의 재료인 금속이나 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 각각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D에서는, 감합 구조를 갖는 신축부(10a)에 의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 상호의 거리가 변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예이다. 이 중, 도 2의 A는,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보다 직경이 작은 관 이음(100)에 의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상호 거리가 변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예이다. 또한 도 2의 B는,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보다 직경이 큰 관 이음(100)에 의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상호 거리가 변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예이다. 또한, 도 2의 C는 집류체관 본체(101)와, 집류체관 본체(101)보다 직경이 작은 부분을 갖는 집류체관 본체(102)가, 감합하도록 조합된 구조를 갖고 있는 예이다. 또한, 도 2의 D는, 집류체관 본체(101)와, 집류체관 본체(101)보다 직경이 큰 부분을 갖는 집류체관 본체(102)가, 감합하도록 조합된 구조를 갖고 있는 예이다.
신축부(10a)로서 상기와 같은 감합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는, 종래의 분리막 엘리먼트의 제조방법으로부터 큰 변경 없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감합 구조의 관의 치수 등에 대해서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이나 티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관을 이용하여 도 2의 C에 도시하는 감합 구조를 구성하는 경우는,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외경 D1은 10 ㎜~8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5 ㎜~50 ㎜이다. 이때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두께는 1 ㎜~3.5 ㎜ 정도이기 때문에, 집류체관 본체(102)의 직경이 작은 부분의 외경 D2는, 집류체관 본체(101)의 내경 D3에 대하여 0.1 ㎜~1 ㎜ 정도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통하는 유체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하면 좋지만, 증기를 유통하는 집기관에 적용하는 경우, 집류체관 본체(102)의 직경이 작은 부분의 외경 D2는, 집류체관 본체(101)의 내경 D3에 대하여 0.1 ㎜~0.5 ㎜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의 감합 부분(중복 부분)의 폭 W는 40 ㎜~50 ㎜ 정도이다. 폴리설폰(PSF) 수지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관을 이용하여 도 2의 C에 도시하는 감합 구조를 구성하는 경우도, 상기 금속관과 같은 정도의 치수로 하면 좋지만, 관의 두께를 금속관보다 0.5 ㎜~1 ㎜ 정도 두껍게 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맞춰 설계해야 한다.
다음에, 도 2의 E~I에 도시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E~I는, 신축부(10a)가, 집류체관 본체(101, 102)끼리를 연결한 가동부인 경우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E~G는 벨로우즈 구조인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2의 H 및 I는, 신축부(10a)로서 신축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이 신축부(10a)에 의해 집류체관 본체(101, 102)끼리를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다. 이들 가동부에 이용할 수 있는 재료는, 분리막 등의 재질과 분리막에 걸리는 열이력에 의해 생기는 신축률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박형의 스테인리스강, 티탄, 하스텔로이 등의 금속을 벨로우즈 구조로 성형한 것이나, 불소 수지, 불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 각각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E~G는, 신축부(10a)가,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를 연결한 가동부로 되어 있는 예이며, 벨로우즈부(103)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이 중, 도 2의 E는, 고온 환경하 이외에서의 사용시에, 벨로우즈부(103)의 내측 정상부(103a)에서의 직경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직경보다 작고, 벨로우즈부(103)의 외측 정상부(103b)에서의 직경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직경보다 큰 예이다. 또한, 도 2의 F는, 고온 환경하 이외에서의 사용시에, 벨로우즈부(103)의 내측 정상부(103a)에서의 직경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예이다. 또한 도 2의 G는, 고온 환경하 이외에서의 사용시에, 벨로우즈부(103)의 외측 정상부(103b)에서의 직경이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예이다. 벨로우즈부(103)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티탄, 하스텔로이 등의 금속으로서, 두께 0.1 ㎜~0.8 ㎜ 정도의 박형의 금속 소재나,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소재, 또는 불소 수지 등의 수지 소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신축부(10a)를 도 2의 E~G에 도시하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다른 구조와 비교하여 축방향의 신축에의 추종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큰 경우나, 신축률이 높은 분리막 엘리먼트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2의 H 및 I는, 신축부(10a)가,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를 연결하는 신축 부재(104)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이 중, 도 2의 H는, 수축시에 관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신축 부재(104)를 이용한 예이다. 또한 도 2의 I는, 수축시에 관의 내측으로 불룩해지는 신축 부재(104)를 이용한 예이다. 신축 부재(104)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 고무, 수소화니트릴 고무 등의 고무 소재나, 불소 수지, PET 수지 등의 수지 소재를 예시할 수 있지만, 통상, 고무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부(10a)를 도 2의 H나 I에 도시하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분리막을 권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차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방법에 비해 구조상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엘리먼트의 분리 효율을 높이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신축부(10a) 이외의 집류체관(10)의 구성 재료는, 종래 공지의 집류체관의 구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PPE 수지), 폴리설폰 수지(PSF 수지) 등의 수지재, 또는 스테인리스강, 티탄 등의 금속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온에서 운전하는 경우에는 금속재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집류체관(10)의 내경은, 사용되는 분리막 엘리먼트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컨대 20 ㎜~100 ㎜이다. 집류체관(10)의 두께는, 처리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컨대 1 ㎜~7 ㎜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에 대해서, 도 2의 A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집류체관(10)을 이용한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를 예로 설명한다. 도 3의 A~C는, 이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는, 분리막, 공급측 유로재 및 투과측 유로재의 단수 또는 복수가, 집류체관(10) 둘레에 권취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의 집류체관(10)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특허문헌 1에도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종래 공지의 분리막, 공급측 유로재, 투과측 유로재 등을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분리막, 공급측 유로재 및 투과측 유로재가 복수 이용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막 리프가 중심관 둘레에 권취된 권취체(2)를 갖는 구조가 된다. 또한, PV법이나 VP법에 이용되는 고내열형의 분리막 엘리먼트에서는, 예컨대 분리막으로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등의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막(平膜)이나, 이들의 복합막을 이용할 수 있다. 유로재로서는, PPS나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제 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에는, 분리막을 보호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외장재(3)(도 3의 A 참조)나 단부재(도시 생략)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재(3)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이나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여 분리막의 외측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부재이다. 단부재는,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막의 단부면을 보호하는 부재이다.
권취체(2)는, 집류체관(10)의 축방향의 양단부(2a, 2b)가, 집류체관(10)에 고정부(4)로 접착되어 있다. 이 고정부(4)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 종래 공지의 어느 접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가열에 의한 경화 반응을 행하기 위해서는,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를 고온 환경하에서 운전한 경우,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체(2)나 외장재(3)의 팽창에 따라,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상호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엘리먼트 전체적으로 일률적으로 팽창한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서의 운전을 정지한 경우에는,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체(2)나 외장재(3)의 수축에 따라, 2개의 집류체관 본체(101, 102)의 상호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엘리먼트 전체적으로 일률적으로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4)에 걸리는 응력이 저감되고, 장시간 열이력을 받는 것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서도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집류체관이 신축부를 포함하는 예로서, 축방향의 중앙부에 신축부를 1지점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신축부는, 고정부 사이에 있어서 적어도 1지점 있으면 좋고, 2지점 이상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로서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분리막 엘리먼트는 스파이럴형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09-9444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리츠형 분리막 엘리먼트 등이어도 좋다.
1: 집류체관 2: 권취체
2a, 2b: 권취체의 단부 3: 외장재
4: 고정부 10: 집류체관
10a: 신축부 100: 관 이음
101, 102: 집류체관 본체 103: 벨로우즈부
103a: 벨로우즈부의 내측 정상부 103b: 벨로우즈부의 외측 정상부
104: 신축 부재

Claims (10)

  1. 집류체관과, 분리막과, 상기 집류체관과 상기 분리막을 고정하는 적어도 2지점의 고정부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로서,
    상기 고정부 사이의 상기 집류체관에, 신장 및 수축이 모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신축부를 갖는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감합 구조인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류체관은,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집류체관 본체와, 상기 신축부를 갖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집류체관 본체끼리를 연결한 가동부(可動部)인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류체관은,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집류체관 본체와, 관 이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합 구조는, 상기 집류체관 본체와, 상기 관 이음이 감합된 구조인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류체관은,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집류체관 본체끼리를 감합시킨 감합 구조인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벨로우즈 구조인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구조는, 금속을 벨로우즈 구조로 성형한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신축 가능한 재료가 이용되는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엘리먼트는, 상기 분리막, 공급측 유로재 및 투과측 유로재의 단수 또는 복수가 상기 집류체관의 둘레에 권취되어 있는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인 것인 분리막 엘리먼트.
  10. 집류체관의 일부분에 축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모두 가능한 신축부를 갖는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
KR1020137008556A 2010-09-30 2011-09-27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 KR101483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1891 2010-09-30
JP2010221891A JP2012076002A (ja) 2010-09-30 2010-09-30 分離膜エレメント及び分離膜エレメント用集流体管
PCT/JP2011/072064 WO2012043553A1 (ja) 2010-09-30 2011-09-27 分離膜エレメント及び分離膜エレメント用集流体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59A KR20130058059A (ko) 2013-06-03
KR101483382B1 true KR101483382B1 (ko) 2015-01-14

Family

ID=4589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556A KR101483382B1 (ko) 2010-09-30 2011-09-27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20915A1 (ko)
JP (1) JP2012076002A (ko)
KR (1) KR101483382B1 (ko)
CN (1) CN103140276B (ko)
WO (1) WO2012043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3677A (ja) * 2013-06-03 2014-12-15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浄水器
JP6001013B2 (ja) * 2013-08-13 2016-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酸性ガス分離用スパイラル型モジュール
KR20160148871A (ko) 2015-06-17 2016-12-27 양순구 일방향 클러치 제동장치
WO2019157322A1 (en) * 2018-02-12 2019-08-15 Bl Technologies, Inc. Spiral wound membrane element for high temperature filtration
CN114632421B (zh) * 2020-12-16 2023-01-10 北京清源洁华膜技术有限公司 一种卷式膜膜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8204A (en) * 1974-06-27 1975-12-23 Frank A Thomas Interconnectors for spiral-wound filtration modules
US4021351A (en) * 1975-10-30 1977-05-03 Desalination Systems, Inc. Membrane cartridge with improved central collection tube
JPH06304416A (ja) * 1990-08-25 1994-11-01 Seitz Filter Werke Gmbh & Co 支持チューブ
JP2003275544A (ja) 2002-03-22 2003-09-30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6766A (en) * 1963-02-15 1966-04-19 Pall Corp Filter element
US3592766A (en) * 1970-05-06 1971-07-13 Marvel Eng Co Separable filter element assembly
US3784470A (en) * 1972-11-20 1974-01-08 Philco Ford Corp Composite coiled membrane assembly
US4257894A (en) * 1978-11-02 1981-03-24 Celanese Corporation Filter core extender and seal
DE3817793A1 (de) * 1988-05-26 1989-11-30 Seitz Filter Werke Rohrfoermiges filterelement
US5240677A (en) * 1989-01-26 1993-08-31 Shiley, Inc. Hollow fiber blood oxygenator
US5141637A (en) * 1990-11-30 1992-08-25 Pall Corporation Filter units with end connectors
US5264171A (en) * 1991-12-31 1993-11-2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spiral-wound hollow fiber membrane fabric cartridges and modules having flow-directing baffles
US20030006186A1 (en) * 1998-10-05 2003-01-09 Pulek John L. Spiral wound depth filter
US6315299B1 (en) * 1999-11-22 2001-11-13 Julian S. Taylor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 tension resistant O-ring
DE10301843B4 (de) * 2003-01-20 2011-08-11 Mann + Hummel GmbH, 71638 Filter
US7172696B1 (en) * 2004-01-02 2007-02-06 Spectrum Laboratories, Inc. Radial dispersion mass transfer device having a semi-permeable tubular hollow fiber membrane wound around a porous core
US8545658B2 (en) * 2005-11-09 2013-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filter sleeves having circumferential pleats for use in a bag-type filter assembly
US20120228208A1 (en) * 2011-03-11 2012-09-13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connector for filtration apparatus with reduced permeate pressure lo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8204A (en) * 1974-06-27 1975-12-23 Frank A Thomas Interconnectors for spiral-wound filtration modules
US4021351A (en) * 1975-10-30 1977-05-03 Desalination Systems, Inc. Membrane cartridge with improved central collection tube
JPH06304416A (ja) * 1990-08-25 1994-11-01 Seitz Filter Werke Gmbh & Co 支持チューブ
JP2003275544A (ja) 2002-03-22 2003-09-30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76002A (ja) 2012-04-19
US20130220915A1 (en) 2013-08-29
CN103140276B (zh) 2018-03-09
KR20130058059A (ko) 2013-06-03
WO2012043553A1 (ja) 2012-04-05
CN103140276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382B1 (ko)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엘리먼트용 집류체관
US8696904B2 (en) Multi-leaf reverse osmosis element
JP6149858B2 (ja) 膜分離装置および膜分離装置の運転方法
JP6102921B2 (ja) 分離膜ユニットを用いた造水方法
US20160207001A1 (en) Double pass reverse osmosis separator module
CN107921375B (zh) 用于借助逆流模式扩散透析的缠绕式膜模块和方法
JPH11333265A (ja) 膜モジュール
US10835870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a multi-leaf membrane module and multi-leaf membrane modules
JP2018126706A (ja) 膜分離装置および流体分離方法
US3581900A (en) Reverse osmosis liquid purification
US20150290589A1 (en) Encapsulating outer shell for membrane elements
US20020070158A1 (en) Membrane element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1532155B1 (ko)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
JP2007111674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JP2008296165A (ja) 膜分離装置
JP2000015064A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6326376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11110A (ja) 流体分離装置
CN111989152B (zh) 分离膜模块
JP7100531B2 (ja) 分離膜エレメント及び分離膜モジュール
JP3335520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H10137560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469495A (zh) 中空丝膜组件和中空丝膜组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