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31B1 -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31B1
KR101483031B1 KR1020137026467A KR20137026467A KR101483031B1 KR 101483031 B1 KR101483031 B1 KR 101483031B1 KR 1020137026467 A KR1020137026467 A KR 1020137026467A KR 20137026467 A KR20137026467 A KR 20137026467A KR 101483031 B1 KR101483031 B1 KR 10148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omponent
dovetail groove
stage
dove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283A (ko
Inventor
히로아키 무라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락쿠 고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락쿠 고가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락쿠 고가쿠
Publication of KR2013013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5/00Adjusting position or attitude, e.g. level,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or of parts thereof; Compensating for the effects of tilting or acceleration, e.g. for optical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4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4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using T-, V-, dovetail-section or lik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58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a single sliding p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992Reciprocating to recipro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컴팩트한 구조가 가능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제공한다.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1)는, 슬라이딩 방향(X)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3)의 측면 벽에 설치되어, 고정 부품(3)에 연결된 역삼각형의 돌출부(10)를 나사(6)로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2)의 도브테일(5)에 접촉시키고, 나사(6)로 조이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6)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고정 나사(6)는 상기 돌출부(10)에 맞닿게 한 슬라이딩 부품(2)의 도브테일(5)에 접촉시킨 나사(6)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고정 부품(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슬라이딩 조정 나사 및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으로 겸용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Slide operation-type dovetail groove sliding stag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관한, 특히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구동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관한 것이다.
정밀 기기의 위치 정렬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구동 수단에 의해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또는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일반적으로 채택한다.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결합된 한 쌍의 구동 수단인 랙과 피니언 기어 중, 한 쪽인 피니언 기어를 핸들로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쪽인 랙을 직진시켜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기구를 가진다. 또한,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결합된 한 쌍의 구동 수단인 수나사봉 및 암나사통 중, 한 쪽인 수나사봉을 핸들로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쪽의 암나사통을 직진시켜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정밀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기구를 가진다.
특허문헌 1의 도 2를 참조하여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구동 수단을 설명한다. 랙 피니언 기어에 의한 구동 수단은 슬라이딩 부품에 고정된 랙(특허 문헌 1, 도 2, 부호(13))과, 핸들과 회전축이 공통되도록 연결되어 고정 부품에 의해 지지된 피니언 기어(14)가 결합되어, 핸들(9)을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가 연동하여 회전하며 랙 위를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부품이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구동수단이다. 즉, 핸들은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 랙 피니언식에 따른 수동 스테이지는 후술하는 도브테일 홈식 스테이지라는 슬라이딩 기구와 조합하여 핸들 1 회전으로 약 18 mm를 슬라이딩하며, 빠르고 큰 움직임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구동 수단이다.
특허문헌 1의 도 22를 참조하여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구동 수단을 설명한다. 이송 나사식에 의한 구동수단은 정밀 기기가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품의 뒷면에 연결되는 암나사통(특허문헌 1 도 22의 (306))과 지지대에 연결되는 고정 부품에 고정된 블록을 관통하는 수나사봉(307)이 결합되어, 핸들(309)조작에 의해 수나사봉을 회전시켜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수단이다. 즉, 핸들은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이송 나사식에 의한 수동 스테이지는 후술하는 도브테일 홈식 스테이지라는 슬라이딩 기구와 결합하여 핸들 1 회전으로 약 4.2 mm를 슬라이딩하며 내하중성이 요구되는 반력봉(9)은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 구동수단이다.
특허문헌 2의 도 1을 참조하여 도브테일 홈에 의한 슬라이딩 기구을 설명한다.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및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서는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매끄럽게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기구로서 도브테일 홈식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브테일 홈식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특허문헌 1의 도 1(3))을 가지는 고정 부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2)를 가지는 슬라이딩 부품이 맞물리게 되어 슬라이딩 부품이 고정 부품에 대해 매끄럽게 슬라이딩하는 스테이지를 말한다.
특허문헌 2의 도 3을 참조하여 도브테일 홈 수동 스테이지에 있어, 원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시켜, 장착된 정밀 기기의 위치 설정을 실시하는 스토퍼 기구를 설명한다. 고정 부품의 측면에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특허문헌 2의 도3(10))가 설치되고 고정 부품인 도브테일 홈의 측면에 역삼각형의 돌출부(31)가 형성되도록 홈 부(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고정 나사의 끝부분인 슬라이딩 고정 나사 끝 부분을 홈 부에서 돌출부에 대고 돌출부를 안쪽으로 기울여 고정 부품 도브테일 홈과 맞물리는 슬라이딩 부품의 도브테일을 꽉 눌러 고정 부품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의 위치를 고정한다.
일본특허 제4606501호 일본특허 제4505535호
종래의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구동 수단으로써 핸들을 사용하고 있다. 즉,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핸들을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가 연동하여 회전하며 랙 위를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딩 부품이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기구이다. 또한,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핸들 조작으로 수나사봉을 회전시켜 암나사통 안에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부품이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서 핸들은 필수 구성 요소이며 또한 랙 피니언 기어의 구동 수단 또는 수나사봉 및 암나사통에 의한 구동 수단을 결합되어 복잡한 기구가 되고, 조작성 및 내구성상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핸들은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른 부품에 비해 더 큰 부품이다. 따라서,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높이가 상기 핸들의 높이에 따라 정해지며,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전체가 커진 스테이지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기존의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시키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품을 크게 움직일 경우 시간이 걸려 빠르게 슬라이딩 작업을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컴팩트한 구조가 가능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 부품을 슬라이딩 조작함으로써 정밀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고정 부품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를 나사로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인 도브테일에 접촉시켜 나사를 조임으로써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를 갖추고, 상기 슬라이딩 고정 나사는 상기 역삼각형 돌출부에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인 도브테일에 접촉시키는 나사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고정 부품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슬라이딩 조절 나사 및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으로써 겸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기능 및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정도를 조정하는 기능 및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기능을 전부 슬라이딩 고정 나사에 집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품의 고정을 해제하고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한 후, 동일한 슬라이딩 고정 나사로 계속 슬라이딩 부품을 빠르게 이동시키거나, 슬라이딩 부품을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것과 같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구동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고정 부품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를 나사로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의 도브테일에 접촉시켜 레버로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와,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레버식 슬라이딩 고정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핸들을 생략한 간단한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슬라이딩 부품에 고정된 랙과 고정 부품에 의해 지지된 피니언 기어를 결합하여 구동시키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 피니언 기어를 눌러 랙 피니언 기어의 여압 정도를 접촉 마찰로 조정하는 여압 조정 나사와,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작업할 때 잡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랙 피니언식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핸들을 생략한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랙 피니언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랙 피니언 기어의 여압을 조정할 수 있는 여압 조정 나사를 설치할 수 있고,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세 가지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기존의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또는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필수 구동 수단이었던 핸들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한 쌍의 구동 수단인 랙 피니언, 또는 암나사통 및 수나사봉의 한 쪽을 핸들로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쪽을 직진시켜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시키는 복잡한 기구를 생략하여 간단한 기구에 의해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졌다. 또한 슬라이딩 고정 나사에 의한 슬라이딩 부품의 고정을 해제 한 후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을 손가락으로 원하는 위치로 순간적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핸들을 생략하여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높이를 낮춰 더욱 컴팩트하고 경량의 스테이지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구동 수단이 슬라이딩 부품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가력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는 잡기 쉬운 가력봉으로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직접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고,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고정 부품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작업자가 가력봉으로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는 가력봉과 반력봉을 한 쌍의 조작용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힘을 실어 크게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와 섬세한 힘 조절로 조정해야 하는 경우 등에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슬라이딩 방향에 거의 평행한 또는 슬라이딩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측면 벽 고정 부품에 반력봉이 착탈 가능하도록 탭 구멍이 여러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조작에 따라 반력봉의 위치를 슬라이딩 방향에 거의 평행한 측면측 고정 부품 또는 슬라이딩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측면측의 고정 부품으로 임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반력봉의 위치를 여러 곳으로 설정할 수도 있어, 도브테일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슬라이딩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구동 수단이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미끄럼 방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는 미끄럼 방지 고무를 끼워 쥐고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직접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어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미끄럼 방지 고무가 슬라이딩 부품의 좌우측면 벽에 한 쌍이 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슬라이딩 부품을 미끄러짐 없이 견고하게 잡을 수 있고, 도브테일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더 나아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및 슬라이딩 부품과 상호 인접한 측면 벽에 한 쌍의 눈금 스티커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기존에는 눈금판을 핀으로 고정하고 있었지만 눈금 씰을 붙여 고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의하면, 간단한 구동 수단으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컴팩트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미끄럼 방지 고무를 이용한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장척형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Z축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두 대의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를 교차 방향(X 방향 및 Y 방향)으로 연결시킨 XY 축 스테이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구동 수단으로 랙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및 구동 수단으로 수나사봉 및 암나사통을 이용한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서는 피니언 기어를 핸들로 회전시킴으로써 랙을 직진시켜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서는 수나사봉을 핸들로 회전시킴으로써 암나사통을 직진시켜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랙 피니언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및 이송 나사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서는 핸들은 구동 수단으로서 필수 구성 요소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에서는 핸들을 구성 요소에서 제외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4)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5)을 맞물리게 하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력봉, 반력봉, 미끄럼 방지 고무와 같은 구동 수단을 사용하여 수동 슬라이드 조작으로 고정 부품(3)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2)을 슬라이딩시킨다. 즉, 기존의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서는 핸들의 회전 운동을 고정 부품(3)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2)의 직진 운동으로 변환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에서는 수동 슬라이드 조작으로 직접 슬라이딩 고정 부품(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2)의 직진 운동을 발생시킨다. 이하와 같이 구동 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의 제 1 실시형태를 평면도(도 1(a)), 저면도(도 1(b)), 좌측면도(도 1(c)), 우측면도(도 1(d)), 정면도(도 1(e))및 배면도(도 1(f))로 나타낸다.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는 슬라이딩 부품(2)과 고정 부품(3)으로 구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4)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5)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3)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2)을 슬라이딩시킨다. 이처럼 도브테일 홈(4)과 도브테일(5)을 정밀하게 맞물리게 함으로써, 슬라이딩 부품(2)는 고정 부품(3)에 대해 직선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품(2)의 측면 벽(도 1(c))에 설치된 눈금 씰(17a)및 고정 부품(3)의 측면 벽(도 1(c))에 설치된 눈금 씰(17b)에 의해 고정 부품(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2)의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눈금 씰(17a,17b)는 눈금이 인쇄된 스티커를 슬라이딩 부품(2)및 고정 부품(3)의 측면 벽(도 1(c))에 붙인 것이다. 종래에는 슬라이딩 부품(2)및 고정 부품(3)의 측면 벽(도 1(c))에는 눈금이 인쇄된 계기판을 나사로 고정하고 있었지만 눈금 씰(17a,17b)을 붙여 고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만들 수 있다.
도 1(a)와 같이 슬라이딩 부품(2)의 평면에는 정밀 기기 장착 구멍(18)이 설치되고, 정밀 기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도 1(b)와 같이 고정 부품(3)의 저면에는 지지대 고정용 체결 구멍(19a)이 설치되어,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은 지지대(미도시)에 체결된다. 따라서, 정밀 기기가 장착된 슬라이딩 부품(2)을 지지대에 고정된 고정 부품(3)에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e),(f)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6)를 나타낸다. 슬라이딩 고정 나사(6) 는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2)의 측면 벽(도 1(d))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 부품(3)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10) 슬라이딩 고정 나사(6) 끝에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2)의 도브테일(5)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고정 나사(6)를 조임으로써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을 고정한다. 또한, 이 돌출부(10)는, 상기 돌출부(10)와 고정 부품(3) 사이에 홈 부(11)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휘는 역삼각형이 된다. 슬라이딩 고정 나사(6)에는 그 구성에 따라 예를 들어, 손나사식과 레버식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도 1(e),(f)에 나타내는 손나사식 슬라이딩 고정 나사(6)가 사용된다. 상기 손잡이 나사식의 슬라이딩 고정 나사(6)은 역삼각형의 돌출부(10)에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2)의 도브테일(5)에 접촉시키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6)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고정 부품(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슬라이딩 조절 나사(7)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 정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슬라이딩 고정 나사(6)에 일원적으로 집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부품(2)을 분리 한 후 같은 슬라이딩 고정 나사(6)에 지속적으로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2)의 측면 벽(도 1(d))에는 슬라이딩 조정용 나사 구멍(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슬라이딩 조정용 나사 구멍(20)에 슬라이딩 조절 나사(7)(미도시)가 설치되어 슬라이딩 고정 나사(6)와 기능을 분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이 슬라이딩 고정 나사(6)를, 슬라이딩 부품(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인 가력봉(8)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 정도를 조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2)을 잡고 슬라이드 조작하는 기능을 슬라이딩 고정 나사(6)에 일원적으로 집약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부품(2)을 분리하고 슬라이딩 부품(2)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 한 후, 같은 슬라이딩 고정 나사(6)로 계속해서 슬라이딩 부품(2)을 빠르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슬라이딩 부품(2)을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등의 슬라이드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가력봉(8)은 착탈 가능하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해 둘 수도 있다.
나아가, 고정 부품(3)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슬라이딩 고정 나사(6)를 가력봉(8)으로 사용하여 슬라이딩 부품(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9)을 구비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가력봉(8)으로서 사용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6)와 반력봉(9)을 한 쌍의 조작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을 실어 크게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와, 섬세한 힘 조절로 조정해야 하는 경우 등에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3)의 측면 벽(도 1(d))에는 반력봉(9)이 설치 가능한 반력봉용 탭 구멍(12)이 설치된다. 이처럼 반력봉(9)의 설치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반력봉(9)은 여러 곳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반력봉(9)과 가력봉(8)은 착탈 가능하고, 불필요한 경우는 분리해 둘 수도 있다.
(제 2의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100 의 제 2의 실시형태를 평면도(도 2(a)), 저면도(도 2(b)), 좌측면도(도 2(c)), 우측면도(도 2(d)), 정면도(도 2(e))와 배면도(도 2(f))로 나타낸다. 도 2(e), 도 2(f)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106)를 나타낸다. 이 슬라이딩 고정 나사(106)는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103)의 측면 벽(도 2(d))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 부품(103)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10)를 슬라이딩 고정 나사(106)에 맞닿게 하여 슬라이딩 부품(102)의 도브테일(5)에 접촉시킨다. 이 슬라이딩 고정 나사(106)를 조여 넣음으로써 슬라이딩 부품(102)의 슬라이딩을 고정한다. 또한, 이 돌출부(10)는, 상기 돌출부(10)와 고정 부품(103) 사이에 홈 부(11)를 형성함으로써 쉬운 역삼각형이 된다. 슬라이딩 고정 나사(106)는 그 구성에 따라 손나사식과 레버식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도 2(e), 도 2(f)에 나타낸 레버식 슬라이딩 고정 나사(106)가 사용된다. 또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품(102)의 평면에는 정밀 기기 설치 구멍(18)이 설치되고, 정밀 기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품(103)의 저면에 지지대 고정용 체결 구멍(19a)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 부품(103)의 측면 벽(도 2(c))에 설치된 눈금 씰(17a)및 슬라이딩 부품(102)의 측면 벽(도 2(c))에 설치된 눈금 씰(17b)에 의해 고정 부품(10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102)의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102)의 측면 벽(도 2(c))에는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10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인 가력봉(108)이 장착된다. 나아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거의 평행한 측면측(도 2(c))의 고정 부품(103)에는, 작업자가 가력봉(108)으로 슬라이딩 부품(10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109)이 장착된다. 상기 가력봉(108) 및 반력봉(109)으로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102)을 쉽게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102)의 측면 벽(도 2(d))에는 가력봉(108)이 장착 가능한 가력봉용 탭 구멍(21)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슬라이딩 부품(102)의 측면 벽(도 2(e), 도 2(f))에는 가력봉(108)이 장착 가능한 가력봉용 탭 구멍(21)이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고정 부품(103)의 측면 벽(도 2(d))에는 반력봉(109)이 장착 가능한 반력봉용 탭 구멍(22)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고정 부품(103)의 측면 벽(도 2(e), 도 2(f))에는 반력봉(109)이 장착 가능한 반력봉용 탭 구멍(2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가력봉(108)및 반력봉(109)은 각각 슬라이딩 부품(102)및 고정 부품(103)의 측면 벽에 여러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력봉(108)은 가력봉용 탭 구멍(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나아가, 이러한 반력봉(109)은 반력봉용 탭 구멍(2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해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102)의 측면 벽(도 2(d))에는 슬라이딩 조정용 나사 구멍(20)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조정 나사를 장착할 수 있다.
(제 3의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200 제 3의 실시형태를 평면도(도 3(a)), 저면도(도 3(b)), 좌측면도(도 3(c)), 우측면도(도 3(d)), 정면도(도 3(e))와 배면도(도 3(f))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품(202)에 고정된 랙 과 고정 부품(203)에 의해 지지된 피니언 기어를 결합시켜 구동하고, 고정 부품(203)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202)를 슬라이딩시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를 눌러 랙 피니언 기어의 여압 정도를 접촉 마찰에 의해 조정하는 여압 조정 나사(23)를 구비한다. 이 여압 조정 나사(23)로 슬라이딩 조정 나사와 다른 기구에 의해 슬라이딩 조작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e), 도 3(f)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를 나타낸다. 이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는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202)의 측면 벽(도 3(c))에 설치된다.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는 그 구성에 따라 손나사식과 레버식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도 3(e), 도 3(f)에 표시된 레버식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는 고정 부품(203)에 고정된 누름판(27)(도 3(c))와 함께 사용하여 고정 부품(20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202)의 이동을 고정한다. 즉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는 누름판(27)에 마련한 개구(28)에 삽입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고정 나사(206)를 조여 넣으면 누름판(27)이 슬라이딩 부품(202)에 눌려, 마찰력으로 고정 부품(203)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202)을 그 위치로 고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고정 부품(103)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는 설치되지 않는다.
도 3(a)와 같이 슬라이딩 부품(202)의 평면에는 정밀 기기 설치 구멍(18)이 설치되고, 정밀 기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품(203)의 저면에는 지지대 고정용 체결 구멍(19a)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 부품(203) 측면 벽(도 3(d))에 설치된 눈금 씰(17a)및 슬라이딩 부품(202) 측면 벽(도 3(d))에 설치된 눈금 씰(17b)에 의해 고정 부품(203)에 대한 슬라이딩 부품(202)의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202)의 측면 벽(도 2(c))에는 작업자가 슬라이딩 부품(20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인 가력봉(208)이 장착된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에 거의 평행한 측면 쪽(도 2(d))의 고정 부품(203)은 작업자가 가력봉(208)으로 슬라이딩 부품(20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209)이 장착된다. 이 가력봉(208) 및 반력봉(209)으로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202)를 쉽게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슬라이딩 부품(202)의 측면 벽(도 3(e), 도 3(f))에는 가력봉(208)이 장착 가능한 가력봉용 탭 구멍(21)이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고정 부품(203) 측면 벽(도 3(e), 도 3(f))에는 반력봉(209)이 장착 가능한 반력봉용 탭 구멍(2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가력봉(208) 및 반력봉(209)은 각각 슬라이딩 부품(202) 및 고정 부품(203) 측면 벽에 여러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가력봉(208)은 가력봉용 탭 구멍(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반력봉(209)은 반력봉용 탭 구멍(2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300의 제 4의 실시형태를 평면도(도 4(a)), 저면도(도 4(b)), 좌측면도(도 4(c )), 우측면도(도 4(d)), 정면도(도 4(e))와 배면도(도 4(f))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2의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구동 수단이 다르나, 그 외의 구성 요소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수단은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302)의 측면 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슬라이딩 부품(302)을 원하는 위치에 슬라이딩하는 미끄럼 방지 고무(14)이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부품(302)을 미끄러짐 없이 견고하게 잡을 수 있고, 도브테일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 고무(14)는 슬라이딩 부품(302)의 측면 벽 좌우에 한 쌍이 되도록 부착된다. 한 쌍의 미끄럼 방지 고무(14)를 잡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품(302)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나아가, 미끄럼 방지 고무(14)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도 구동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302)의 측면 벽(도 4(d))에는 슬라이딩 조정용 나사 구멍(20)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조정 나사를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5는 장척형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400의 실시예 를 평면도(도 5(a)), 저면도(도 5(b)), 우측면도(도 5(c)), 정면도(도 5(d))와 배면도(도 5(e))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상술 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이다. 즉, 고정 부품(403)이 장척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딩 부품(402)의 이동 거리가 긴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경우이다.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402)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402)의 슬라이딩 정도를 조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402)를 잡고 슬라이드 조작하는 기능을 슬라이딩 고정 나사(406)에 일원적으로 집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가력봉으로 사용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406)과 반력봉(409)을 한 쌍의 조작용 기구로써 사용하여 슬라이드 작업을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500을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Z축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실시예를 평면도(도 6(a)), 좌측면도(도 6(b)), 우측면도(도 6(c)), 정면도(도 6(d))와 배면도(도 6(e))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이며, 고정 부품 503가 장척이고, 슬라이딩 부품(502)의 이동 거리가 긴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경우이다.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502)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502)의 슬라이딩 정도를 조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502)을 잡고 슬라이드 조작 기능을 슬라이딩 고정 나사(506)에 일원적으로 집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가력봉으로 사용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506)와 반력봉(509)을 한 쌍의 조작용 기구로 사용하여 슬라이드 작업을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두 대의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600을 교차 방향(X 방향및 Y 방향)에 연결시킨 XY 축 스테이지의 실시예를 평면도(도 7(a)), 저면도(도 7(b)), 좌측면도(도 7(c)), 우측면도(도 7(d)), 정면도(도 7(e))와 배면도(도 7(f))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상술 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이다. 즉, 제1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드 스테이지 1 을 2대 준비하고 교차하는 X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결한 경우이다. 작업자는 슬라이딩 부품(602)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602) 축의 슬라이딩 정도를 조정하는 기능과 슬라이딩 부품(602)을 잡고 슬라이드 조작하는 기능을 슬라이딩 고정 나사(606)에 일원적으로 집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가력봉으로 사용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606)와 반력봉(609)을 한 쌍의 조작용 기구로 사용하여 슬라이드 작업을 할 수 있다.
1. 100,200,300,400,500,600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2. 102,202,302,402,502,602a,602b 슬라이딩 부품
3. 103,203,303,403,503,603 고정 부품
4. 도브테일 홈
5. 도브테일
6. 106,206,306,406,506,606a(손나사식)슬라이딩 고정 나사, 606b(레버 식) 슬라이딩 고정 나사
7. 슬라이딩 조정 나사
8. 108,208,308,408,508,608 가력봉
9. 109,209,309,409,509,609a,609b 반력봉
10. 돌출부
11. 홈 부
12. 탭 구멍
14. 미끄럼 방지 고무
15. 손잡이 부분
17a, 17b. 눈금 씰
18. 정밀 기기 설치 구멍
19a, 19b. 지지대 고정용 체결 구멍
20. 슬라이딩 조정용 나사 구멍
21. 가력봉용 탭 구멍
22. 반력봉용 탭 구멍
23. 여압 조정 나사
24. 슬라이딩 조정용 나사 구멍
25. 지지 기둥
26. 지지 기반
27. 누름판
28. 개구

Claims (8)

  1.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정밀 장비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품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를 나사로 맞닿게 하여 상기 고정 부품의 도브테일에 접촉시켜 나사를 조여 넣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고정 나사는 상기 역삼각형의 돌출부에 맞닿게 하여 상기 고정 부품의 도브테일에 접촉시키는 나사의 회전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정 부품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슬라이딩 조절 나사 및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가력봉으로 겸용되며,
    또한, 상기 고정 부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상기 가력봉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2.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정밀 장비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상기 고정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품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를 나사로 맞닿게 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도브테일에 접촉시켜, 레버로 단단히 조임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와,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가 잡아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가력봉이며, 상기 고정 부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업자가 가력봉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3.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을 맞물리게 하고 슬라이딩 부품에 고정된 랙과 고정 부품에 의해 지지된 피니언 기어를 결합시켜 구동시키고 상기 고정 부품에 대해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정밀 기기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를 눌러 랙 피니언 기어의 여압 정도를 접촉 마찰에 의해 조정하는 여압 조정 나사와,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잡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가력봉이며, 상기 고정 부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가력봉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평행하는 측면 벽의 고정 부품 또는 슬라이딩 부품에는 가력봉 또는 반력봉이 착탈 가능한 탭구멍이 여러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직교하는 측면 벽의 고정 부품 또는 슬라이딩 부품은 가력봉 또는 반력봉이 착탈 가능한 탭 구멍이 여러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6.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인 도브테일 홈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도브테일(5)을 맞물리게 하고 고정 부품에 대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딩시켜 구동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정밀 장비의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고정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품에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돌출부를 나사로 맞닿게 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도브테일에 접촉시켜 레버로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을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 나사와,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의 측면 벽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해 잡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미끄럼 방지 고무이며, 고정 부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가력봉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품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 다른 손가락으로 반력을 잡는 반력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상기 미끄럼 방지 고무는 슬라이딩 부품의 좌우 측면 벽에 한 쌍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8.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는,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고정 부품 및 슬라이딩 부품의 상호 인접한 측면 벽에는 한 쌍의 눈금 스티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KR1020137026467A 2011-05-02 2012-05-02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KR101483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3275 2011-05-02
JP2011103275A JP4830053B1 (ja) 2011-05-02 2011-05-02 スライド操作式アリ溝摺動ステージ
PCT/JP2012/062080 WO2012150723A1 (ja) 2011-05-02 2012-05-02 スライド操作式アリ溝摺動ステ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283A KR20130133283A (ko) 2013-12-06
KR101483031B1 true KR101483031B1 (ko) 2015-01-15

Family

ID=4541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467A KR101483031B1 (ko) 2011-05-02 2012-05-02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2373B2 (ko)
JP (1) JP4830053B1 (ko)
KR (1) KR101483031B1 (ko)
CN (1) CN103534761B (ko)
DE (1) DE112012001967T5 (ko)
TW (1) TWI490884B (ko)
WO (1) WO2012150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9690B1 (ja) * 2012-06-11 2013-04-24 株式会社ミラック光学 スライド操作式アリ溝摺動ステージ
TWI477778B (zh) * 2013-06-27 2015-03-21 Hon Hai Prec Ind Co Ltd 檢測裝置
CN104536073B (zh) * 2014-12-17 2017-06-23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具有阿贝误差校正功能的光栅刻刀主动调整装置
CN104808691B (zh) * 2015-01-26 2018-01-02 吉林大学 一种周向定位式电机实验台架多自由度快速对中装置
TWM531420U (zh) * 2016-07-27 2016-11-01 Lih Jaw Ind Co Ltd 擴充式鎖具置放座(二)
CN109317986B (zh) * 2018-11-27 2023-11-07 山东源通产业发展有限公司 55°拼装式导轨定位锁紧安装结构
CN112388523A (zh) * 2019-08-12 2021-02-23 河南森源中锋智能制造有限公司 带有t形槽的底座组件及安装座
CN114029749B (zh) * 2021-11-29 2023-10-27 武汉武重机床有限公司 燕尾式滑台
CN116604109B (zh) * 2023-07-10 2024-01-16 台州市神鹰机床有限公司 水车式双线轨伺服展刀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657A (ja) * 1986-02-10 1987-08-14 Ricoh Co Ltd 複写機の原稿位置決め装置
JP2003048129A (ja) 2001-08-08 2003-02-18 Olympus Optical Co Ltd ステージ固定装置および方法
JP2008510994A (ja) 2004-08-23 2008-04-10 ベックマン コール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分析システムのためのセンサ位置合わせ装置
JP2010223611A (ja) 2009-03-19 2010-10-07 Miruc Optical Co Ltd 手動ステー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092Y2 (ja) * 1976-12-14 1983-03-01 株式会社リコー 原縞読取装置における固体センサ−の位置調整装置
JPS5753810A (en) * 1980-07-24 1982-03-31 Nippon Denso Co Ltd Magnetic card recorder
JPS5753810U (ko) * 1980-09-12 1982-03-29
US6174102B1 (en) * 1998-01-26 2001-01-16 New Focus, Inc. Modular motion stages utilizing interconnecting elements
JP4606501B2 (ja) 2009-03-19 2011-01-05 株式会社ミラック光学 手動ステージ
US8181949B2 (en) * 2009-05-25 2012-05-22 Yi-Po Hung Micro-adjustable parallel bench vise
JP4512166B1 (ja) * 2009-07-27 2010-07-28 株式会社ミラック光学 多機能送りネジ式アリ溝ステー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657A (ja) * 1986-02-10 1987-08-14 Ricoh Co Ltd 複写機の原稿位置決め装置
JP2003048129A (ja) 2001-08-08 2003-02-18 Olympus Optical Co Ltd ステージ固定装置および方法
JP2008510994A (ja) 2004-08-23 2008-04-10 ベックマン コール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分析システムのためのセンサ位置合わせ装置
JP2010223611A (ja) 2009-03-19 2010-10-07 Miruc Optical Co Ltd 手動ステ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22373B2 (en) 2015-05-05
CN103534761A (zh) 2014-01-22
WO2012150723A1 (ja) 2012-11-08
CN103534761B (zh) 2016-05-04
JP2012233808A (ja) 2012-11-29
TW201250706A (en) 2012-12-16
US20140090496A1 (en) 2014-04-03
KR20130133283A (ko) 2013-12-06
TWI490884B (zh) 2015-07-01
DE112012001967T5 (de) 2014-04-10
JP4830053B1 (ja)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031B1 (ko) 슬라이드 조작식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스테이지
JP4505535B1 (ja) 手動ステージ
US10684093B2 (en) Firearm accessory attachment system
US10011005B2 (en) Bar clamp
US9693627B2 (en) Quick-release mechanism for drawer slide parts
JP2011027556A (ja) 多機能送りネジ式アリ溝ステージ
JP4606501B2 (ja) 手動ステージ
JP2018537195A5 (ko)
JP5692754B2 (ja) ガイドストッパー装置
TWI445592B (zh) 夾持調整裝置及其旋轉調整機構
ATE522425T1 (de) Arretiervorrichtung für eine verstellbare lenksäule
JP2010256388A (ja) 光学機器のレンズシフト装置
JP4890652B1 (ja) 送りネジ式手動ステージ
TW201238786A (en) Adjus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adjusting device
JP5526091B2 (ja) 加工作業における加工補助装置
JP5965085B1 (ja) アリ溝式ワーク把持装置、及びアリ溝式ワーク把持装置付きアリ溝摺動ステージ
CN219761471U (zh) 夹具
JP2011177987A (ja) 切断用定規
JP4574716B2 (ja) 手動ステージ構成システム
JP2000275001A (ja) めねじ有効径測定器
JP2008189227A (ja) モニタの着脱機構
KR20200029826A (ko) 샤시모듈 시험용 프레임 미세조정장치
JPH10253783A (ja) 粗微動機構
JP2017029685A (ja) 遊技台規制装置および遊技台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