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14B1 -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14B1
KR101481314B1 KR1020130106313A KR20130106313A KR101481314B1 KR 101481314 B1 KR101481314 B1 KR 101481314B1 KR 1020130106313 A KR1020130106313 A KR 1020130106313A KR 20130106313 A KR20130106313 A KR 20130106313A KR 101481314 B1 KR101481314 B1 KR 10148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ler
amount
output curre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14B1/ko
Priority to US14/099,761 priority patent/US9581348B2/en
Priority to DE102013225487.3A priority patent/DE102013225487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2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the stop or idling operation of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02P29/68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a drive component or a semiconductor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60H2001/3257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60H2001/3272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to control the revolving speed of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8Cooling; Hea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7Speeds
    • F25B2700/171Speeds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3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of electron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4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of an inve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를 구성하는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의 제어를 통해 제어기(11)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METHOD CONTROLLING FOR TEMPERATURE OF MOTOR DRIVEN AIR-CON COMPRESSOR CONTROLLER}
본 발명은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제어기의 동작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자동차(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의 공조시스템은 전자동 에어컨(FATC)으로 실내 냉,난방성능 향상을 위한 전동식 컴프레서를 적용하여 글로벌 이슈가 되는 환경문제와 지구 온난화 방지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흥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는 공간 활용과 경량화 및 출력밀도의 극대화를 위해 제어기(11), 모터(12), 압축기(1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고, 그 중 상기 제어기(11)는 전자회로를 기반으로 한 PCB보드 및 전자소자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전자회로들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제어기(11)의 냉각성능은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성능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상기 제어기(11)의 냉각방식은 에어컨의 냉매흐름에 의한 냉각과 주행풍에 의한 냉각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로, 차량 주행중에는 에어컨의 냉매흐름에 의한 냉각과 주행풍에 의한 냉각이 원활히 진행되기 때문에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는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주행 중 신호 대기시나 또는 시동 온(on) 상태에서 일시적인 주정차시에서는 주행풍에 의한 냉각 효과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제어기(11)의 내부온도는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기(11)의 상승 온도가 정상적인 온도범위를 벗어나서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면 제어기(11)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고장(fault) 상태시의 로직을 따라 동작을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동작이 종료되는 단점이 있다.
동작이 종료된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재가동을 위해서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후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제어기(11)를 리셋(reset)시켜야 하는 바, 이로 인해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 및 상품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3701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를 구성하는 제어기의 온도가 정상적인 온도범위를 벗어나도록 과동하게 상승하는 경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어기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에 의한 제어기의 동작불량을 개선함으로써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성능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은,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보다 일정온도 낮은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판단단계; 및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전류량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온도는 정상영역과 비정상영역의 경계가 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표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목표온도를 기준으로 2℃~4℃ 낮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량제어단계는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인 경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1차제어와 2차제어로 나누어서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일정%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모터 회전수를 압축기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변화량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제어에서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70%~80%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은,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온도판단단계; 및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전류량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량제어단계는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1차제어와 2차제어로 나누어서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일정%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모터 회전수를 압축기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가 제어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온도가 되도록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어기 온도에 의한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강제 구동 종료를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편의성 향상과 제품의 안정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선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11)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보다 일정온도 낮은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판단단계; 및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전류량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온도는 정상영역과 비정상영역의 경계가 되는 온도로서 6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어기(11)의 성능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정상영역은 제어기(11)의 온도가 제어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온도로 0℃~60℃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비정상영역은 제어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온도로 60℃ 이상의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목표온도(60℃)를 기준으로 2℃~4℃ 낮은 온도로서 보통 57℃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정상영역에는 과도기영역이 포함되는데, 상기 과도기영역은 상기 기준온도(57℃)와 상기 목표온도(60℃)사이의 영역이 된다.
한편, 상기 전류량제어단계는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57℃ 이상)인 경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1차제어와 2차제어로 나누어서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변화량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1차제어는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57℃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다음번 모터(12)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12) 회전수보다 일정%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1차제어는 상기 과도기영역에서 행해지는 제어로서,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다음번 모터(12)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70%~80%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차제어는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모터(12) 회전수를 압축기(13)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2차제어는 상기 비정상영역에서 행해지는 제어로서, 상기 2차제어는 상기 1차제어때보다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이 더 많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정상영역일 때에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100%이고 이때 에어컨의 성능도 100%가 된다. 하지만 제어기(11)의 온도가 과도기영역일 때에는 1차제어를 통해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80% 정도가 되고 이때 에어컨의 성능도 80% 정도가 된다.
상기 1차제어를 통해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정상영역일 때보다 일정수준 감소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에어컨의 성능도 일정수준 감소한 상태가 되지만, 차량의 실내공기는 이미 냉방이 된 상태이기에 승객은 실내공기의 온도변화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반면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감소된 상태이므로 제어기(11)의 온도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며, 이 결과 온도에 따른 제어기(11)의 동작 불능 예방 및 에어컨의 가동 중단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11)의 온도가 비정상영역일 때에는 2차제어를 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1차제어때보다 더 감소된 예를 들면 50%~60% 정도가 되고 이때 에어컨의 성능도 크게 감소한 상태가 된다.
2차제어를 하게 되면 제어기(11)는 압축기(13)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량만을 출력하기 때문에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크게 감소되고 또한 에어컨의 성능도 크게 감소하게 되지만, 종래와 같이 제어기(11)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구동을 종료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운전자는 종래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off) 및 제어기(11)의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이 결과 제품의 안정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단계 S11)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를 구성하는 제어기(11)의 온도를 검출하게 되고(단계 S12), 검출된 제어기(11)의 온도와 설정된 기준온도(57℃)를 비교하게 된다.(단계 S13)
여기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 제어로직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종료된다.
하지만, 상기 단계 S13에서의 비교결과 검출된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로 판단되면, 다음단계에서는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하게 된다.(단계 S14)
이때,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다음번 모터(12)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12) 회전수보다 70%~80% 정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1차제어하게 된다.(단계 S15)
상기 1차제어를 한 번 실시한 후 제어로직은 상기 단계 S13으로 피드백되어서 제어기(11)의 온도와 설정된 기준온도(57℃)를 다시 비교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기(11)의 온도가 기준온도(57℃) 이하로 판단되면(제어기의 온도가 정상영역인 경우), 더 이상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검출된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로 다시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57℃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전술한 1차제어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모터(12) 회전수를 압축기(13)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2차제어하게 된다.(단계 S16)
상기 2차제어를 한 번 실시한 후 제어로직은 상기 단계 S14으로 피드백되어서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을 설정변화량값과 다시 비교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판단되면, 더 이상 2차제어는 수행하지 않게 되고 대신에 상기 단계 S15를 통한 1차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다시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전술한 2차제어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으로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를 구성하는 제어기(11)의 온도를 제어하게 되면, 때에 따라 에어컨의 성능은 일정수준으로 감소하기는 하나, 제어기(11)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현상은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온도에 의해 제어기(11)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구동을 강제로 종료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외부 온도가 높은 하절기시 주행 중인 차량이 일시정지 하거나 주,정차를 하더라도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는 항상 구동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종래와 같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재구동을 위해 차량의 시동 오프(off) 및 제어기(11)의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바, 이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과 제품의 안정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3의 제1실시예는 제어기(11)의 온도를 기준온도(57℃)와 비교해서 제어로직을 수행한 것이고, 도 4의 제2실시예는 제어기(11)의 온도를 목표온도(60℃)와 비교해서 제어로직을 수행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11)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온도판단단계; 및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전류량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온도는 정상영역과 비정상영역의 경계가 되는 온도로서 6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어기(11)의 성능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정상영역은 제어기(11)의 온도가 제어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온도로 0℃~60℃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비정상영역은 제어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온도로 60℃ 이상의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정상영역에는 과도기영역이 포함되는데, 상기 과도기영역은 기준온도(57℃)와 상기 목표온도(60℃)사이의 영역이 된다.
한편, 상기 전류량제어단계는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상의 온도(60℃ 이상)인 경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1차제어와 2차제어로 나누어서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변화량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외부 환경에 의한 제어 불능 상태로의 모드 천이나, 차량 이상으로 비정상적 온도 상승분인 경우, 온도 상승분을 조건으로 하는 △2℃/sec 조건을 부여하게 되면, 제어기(11)의 고장(fault) 없이 베이스 출력인 아이들 알피엠(일례로 1,400rpm ~ 1,600rpm)으로 일정 출력 로직을 적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어기(11) 자체에서는 과다출력을 내지 않고 전류 디레이팅(derating) 기능으로 제어기(11)의 온도는 올라가지 않으며, 이 결과 제어기(11)는 일정온도 수준에서 동작은 지속적으로 유지가 된다.
상기 1차제어는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하의 온도(60℃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다음번 모터(12)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12) 회전수보다 일정%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1차제어는 상기 과도기영역에서 행해지는 제어로서,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다음번 모터(12)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70%~80%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차제어는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모터(12) 회전수를 압축기(13)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2차제어는 상기 비정상영역에서 행해지는 제어로서, 상기 2차제어는 상기 1차제어때보다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이 더 많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정상영역일 때에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100%이고 이때 에어컨의 성능도 100%가 된다. 하지만 제어기(11)의 온도가 과도기영역일 때에는 1차제어를 통해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80% 정도가 되고 이때 에어컨의 성능도 80% 정도가 된다.
상기 1차제어를 통해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정상영역일 때보다 일정수준 감소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에어컨의 성능도 일정수준 감소한 상태가 되지만, 차량의 실내공기는 이미 냉방이 된 상태이기에 승객은 실내공기의 온도변화를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반면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감소된 상태이므로 제어기(11)의 온도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며, 이 결과 온도에 따른 제어기(11)의 동작 불능 예방 및 에어컨의 가동 중단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11)의 온도가 비정상영역일 때에는 2차제어를 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1차제어때보다 더 감소된 예를 들면 50%~60% 정도가 되고 이때 에어컨의 성능도 크게 감소한 상태가 된다.
2차제어를 하게 되면 제어기(11)는 압축기(13)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량만을 출력하기 때문에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은 크게 감소되고 또한 에어컨의 성능도 크게 감소하게 되지만, 종래와 같이 제어기(11)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구동을 종료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운전자는 종래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off) 및 제어기(11)의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이 결과 제품의 안정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단계 S21)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를 구성하는 제어기(11)의 온도를 검출하게 되고(단계 S22), 검출된 제어기(11)의 온도와 설정된 목표온도(60℃)를 비교하게 된다.(단계 S23)
여기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 제어로직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종료된다.
하지만, 상기 단계 S13에서의 비교결과 검출된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를 벗어난 온도로 판단되면, 다음단계에서는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하게 된다.(단계 S24)
이때,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다음번 모터(12)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12) 회전수보다 70%~80% 정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1차제어하게 된다.(단계 S25)
상기 1차제어를 한 번 실시한 후 제어로직은 상기 단계 S23으로 피드백되어서 제어기(11)의 온도와 설정된 목표온도(60℃)를 다시 비교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기(11)의 온도가 목표온도(60℃) 이하로 판단되면(제어기의 온도가 정상영역인 경우), 더 이상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검출된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를 벗어난 온도로 다시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11)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60℃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전술한 1차제어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10)의 모터(12) 회전수를 압축기(13)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11)의 출력 전류량을 2차제어하게 된다.(단계 S16)
상기 2차제어를 한 번 실시한 후 제어로직은 상기 단계 S14으로 피드백되어서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T)을 설정변화량값과 다시 비교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판단되면, 더 이상 2차제어는 수행하지 않게 되고 대신에 상기 단계 S15를 통한 1차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즉, △T/sec > 2℃인 경우)로 다시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11)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전술한 2차제어를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11 - 제어부
12 - 모터 13 - 압축기

Claims (17)

  1.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보다 일정온도 낮은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판단단계; 및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전류량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량제어단계는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를 벗어난 온도인 경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1차제어와 2차제어로 나누어서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표온도는 정상영역과 비정상영역의 경계가 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표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상기 목표온도를 기준으로 2℃~4℃ 낮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이내에 포함되는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일정%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모터 회전수를 압축기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변화량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차제어에서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70%~80%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0. 차량 시동 온(on)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온도판단단계; 및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전류량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량제어단계는 상기 온도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상의 온도인 경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을 설정변화량값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따라 1차제어와 2차제어로 나누어서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온도는 정상영역과 비정상영역의 경계가 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일정%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차제어는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기의 초(sec)당 온도변화량이 설정변화량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모터 회전수를 압축기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반복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변화량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1차제어에서 상기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의 다음번 모터 회전수를 현재의 모터 회전수보다 70%~80%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기의 출력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KR1020130106313A 2013-09-04 2013-09-04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KR10148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13A KR101481314B1 (ko) 2013-09-04 2013-09-04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US14/099,761 US9581348B2 (en) 2013-09-04 2013-12-06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controller of an electric compressor for an air conditioner in a vehicle
DE102013225487.3A DE102013225487B4 (de) 2013-09-04 2013-12-10 Verfahren zum Steuern der Temperatur eines Steuergeräts einer Kompressoranordnung für eine Klimaanlage in einem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13A KR101481314B1 (ko) 2013-09-04 2013-09-04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14B1 true KR101481314B1 (ko) 2015-01-09

Family

ID=5247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313A KR101481314B1 (ko) 2013-09-04 2013-09-04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81348B2 (ko)
KR (1) KR101481314B1 (ko)
DE (1) DE10201322548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0650B2 (ja) * 2016-10-25 2021-06-02 富士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CN109520204B (zh) * 2018-11-26 2024-01-02 东风电动车辆股份有限公司 电动冷藏车带can功能制冷空调的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002A (ja) * 1999-08-27 2001-03-16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装置
JP2002243246A (ja) * 2001-02-15 2002-08-28 Sanden Corp 空調装置
JP2009138521A (ja) * 2007-12-03 2009-06-25 Sanden Corp 電動圧縮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003A (ja) 1995-10-23 1997-05-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4127230B2 (ja) 2004-03-26 2008-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100737014B1 (ko) 2006-09-05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식 에어컨 제어방법
WO2008142756A1 (ja)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永久磁石型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765925B1 (ko) 2011-02-21 2017-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압축기의 일체형 인버터 과열방지 방법
EP2680434B1 (en) * 2011-02-25 2020-09-30 NTN Corporation Electric automobile
KR101369674B1 (ko) 2011-03-30 2014-03-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압축기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002A (ja) * 1999-08-27 2001-03-16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装置
JP2002243246A (ja) * 2001-02-15 2002-08-28 Sanden Corp 空調装置
JP2009138521A (ja) * 2007-12-03 2009-06-25 Sanden Corp 電動圧縮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25487A1 (de) 2015-03-05
US9581348B2 (en) 2017-02-28
DE102013225487B4 (de) 2019-09-05
US20150066217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0781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99036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compressor of heat pump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CN104236010A (zh) 空调器的控制方法
CN104729193A (zh) 一种控制风冷冰箱中风机稳速工作的方法及装置
KR101481314B1 (ko) 전동식 에어컨 컴프레서 제어기의 온도 제어방법
KR101305770B1 (ko) 차량용 전동식워터펌프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998514A (zh)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94902B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和系统
CN114320865A (zh) 一种压缩机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101905981B1 (ko) 차량의 모터 통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5393503B2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US1046439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ompressor
KR20190079197A (ko) Phev 차량의 cd 모드 난방시 엔진 파워 제어 방법
WO2019035195A1 (ja) 空気調和機
US10850592B2 (en) Engine control method for heating of hybrid electric vehicle
JP2008236955A (ja) 冷却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車両
JP2013201812A (ja) 圧縮機モ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CN112797576B (zh) 高温制冷空调控制方法
KR101856357B1 (ko) 에너지 기반 공조연비개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KR101730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JPH11211193A (ja) 室外ファンの制御装置
KR101633934B1 (ko) 압축기 예상토크 산출방법
KR101988980B1 (ko) 쿨링팬 모터의 제어방법
KR101393248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0774B1 (ko) 압축기의 운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