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519B1 -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519B1
KR101480519B1 KR20130087342A KR20130087342A KR101480519B1 KR 101480519 B1 KR101480519 B1 KR 101480519B1 KR 20130087342 A KR20130087342 A KR 20130087342A KR 20130087342 A KR20130087342 A KR 20130087342A KR 101480519 B1 KR101480519 B1 KR 10148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rtemisia annua
mixture
fermented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면
임준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해오름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해오름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8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개똥쑥(Artemisia annua) 어린잎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개똥쑥 어린잎을 미생물 발효제와 혼합하여 개똥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당화시켜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개똥쑥 당화액에 사과농축액, 액상과당, 구연산, 글리신, 비타민 C, 젤란검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ermented drinks with young leaves of Artemisia annua}
본 발명은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미·이취가 적고 효소활성이 높으며 풍미가 우수한 개똥쑥 당화액을 이용한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효소식품이란 식물성 원료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켜 효소를 다량 함유하게 하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로 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가공한 것을 의미하며, 신진대사 기능에 관여하여 건강증진 및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품공전상 효소식품의 유형은 (1) 곡류효소함유제품 : 곡류(6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2) 배아효소함유제품 : 곡물의 배아(4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3) 과·채류효소함유제품 : 과·채류(6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4) 기타식물효소함유제품 : 곡류, 곡물배아 또는 과·채류 이외의 식물성 원료(6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으로 나뉜다.
또한, 식품공전상 효소식품의 규격은 (1) 수분(%) : 10.0 이하(단, 액상제품은 제외한다.), (2) 조단백질(%) : 10.0 이상, (3) α-아밀라아제 : 양성, (4) 프로테아제 : 양성, (5) 대장균 : 음성, (6) 붕해시험 : 적합(정제, 캡슐에 한한다. 단, 씹어먹는 것은 제외한다)하여야 한다.
한편,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은 진잎쑥, 개땅쑥이라고도 하며, 어린잎이 식용가능하다.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60~90cm이며,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3회 가늘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길이 4∼7cm로 모양은 바소꼴이고 겉에 잔털과 선점(腺點)이 있다. 잎 가운데가 빗살 모양으로 되어 있고 위쪽 잎이 작다. 길가, 냇가, 들에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와 동부 아시아, 유럽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전초에는 0.04-0.64%의 정유, 탄닌질, 수지, 쓴맛물질, 약간의 비타민 K,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한방에서는 발열감기·학질·소아경기·소화불량·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최근에는 개똥쑥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개똥쑥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1851호에는 개똥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29508호에는 개똥쑥을 이용한 저염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5648호에는 개똥쑥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 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똥쑥을 이용한 액상 효소식품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풍미와 효소활성을 지닌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기간이 짧아 제조적성이 우수한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개똥쑥(Artemisia annua) 어린잎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개똥쑥 어린잎을 미생물 발효제와 혼합하여 개똥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당화시켜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개똥쑥 당화액에 사과농축액, 액상과당, 구연산, 글리신, 비타민 C, 젤란검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겠다.
(A) 개똥쑥(Artemisia annua) 어린잎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본 단계는 개똥쑥(Artemisia annua) 어린잎을 전처리하는 단계로, 선별된 개똥쑥 (Artemisia annua) 어린잎을 수세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이다.
어린잎은 새로 나온 연한 잎을 의미하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면 개똥쑥은 어린잎에 한하여 식용이 가능한 것으로 허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똥쑥의 어린잎을 선별하여 수세한 후, 건조하고 분쇄시킨다.
이때, 건조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연 건조, 음지 건조, 열풍 건조, 진공건조 또는 동결 건조법 등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 어린잎을 분쇄시킨 후, 가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액상 발효음료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B) 상기 분쇄된 개똥쑥 어린잎을 미생물 발효제와 혼합하여 개똥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분쇄된 개똥쑥 어린잎을 이미 또는 이취의 발생이 적은 미생물 발효제와 혼합하여 개똥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제는 기존 효소식품에서 나타나는 고미(쓴맛)의 발생을 낮추기 위하여, 이미 또는 이취의 발생이 적은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리조푸스속(거미줄곰팡이속)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화력이 뛰어난 리조푸스속 델레마(Rizopus delema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제는 호화 백미에 리조푸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으로, 호화 백미에 리조푸스 델레마(Rizopus delemar)를 접종하여 30 ~ 35℃에서 48 ~ 50시간 동안 발효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25 ~ 27℃, 70 ~ 72시간 동안 전배양한 후 균질(Stomacher/2분)처리된 리조푸스 델레마(Rizopus delemar)를 호화 백미에 접종하여 종균을 제조한 후, 수득된 종균을 호화 백미에 접종하여 30 ~ 35℃에서 48 ~ 50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발효 종료 후 출국 및 건조(24시간, 45℃, 수분 8% 이하)한 후, 40 ~ 60메쉬로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리조푸스 델레마(Rizopus delemar) 발효제를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조푸스 델레마 발효제와 함께 개똥쑥 어린잎을 당화시키면, 쓴맛이 탁월하게 감소되어 관능적 특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당화시켜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당화시켜 개똥쑥 추출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유의 쓴맛을 낮추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당화력이 뛰어난 리조푸스속 미생물을 호화 백미에 접종하여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제와 함께 개똥쑥 어린잎을 당화시킴에 따라 당화공정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50 ~ 55℃에서 18 ~ 22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것이 좋은데, 이에 따라 무미한 다당류가 가수분해되어 감미가 있는 당으로 바꾸게되어 개똥쑥 추출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유의 쓴맛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화액을 110 ~ 130 메쉬 크기의 체에 걸러 여과하는 단계를 더욱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상기 개똥쑥 당화액에 사과농축액, 액상과당, 구연산, 글리신, 비타민 C, 젤란검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
본 단계는 풍미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똥쑥 당화액에 풍미증진소재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똥쑥 당화액에 사과농축액, 액상과당, 구연산, 글리신, 비타민 C, 젤란검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똥쑥 당화액 50 ~ 52중량%, 사과농축액 12 ~ 14중량%, 액상과당 5.2 ~ 5.8중량%, 구연산 0.05 ~ 0.07중량%, 글리신 0.03 ~ 0.04중량%, 비타민 C 0.005 ~ 0.007중량%, 젤란검 0.02 ~ 0.04중량% 및 정제수 29 ~ 31중량%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관능적 특성이 매우 향상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매우 만족시킬 수 있다.
(E) 최종 제품화하는 단계
본 단계는 개똥쑥 발효음료를 최종 제품화하는 단계로, 상기 (A) 내지 (D)단계를 거쳐 제조된 개똥쑥 발효음료를 간헐살균한 후 냉각 및 반전하여 현탁안정화시키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내지 (D)단계를 거쳐 제조된 개똥쑥 발효음료를 병입한 후, 65 ~ 70℃에서 60분씩 4회(24시간 마다) 살균한 후, 15℃이하로 냉각하여 3회 반전하여 현탁안정화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개똥쑥 발효음료는 개똥쑥 당화액 50 ~ 52중량%, 사과농축액 12 ~ 14중량%, 액상과당 5.2 ~ 5.8중량%, 구연산 0.05 ~ 0.07중량%, 글리신 0.03 ~ 0.04중량%, 비타민 C 0.005 ~ 0.007중량%, 젤란검 0.02 ~ 0.04중량% 및 정제수 29 ~ 31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똥쑥 당화액 51.250중량%, 사과농축액 12.500중량%, 액상과당 5.500중량%, 구연산 0.063중량%, 글리신 0.038중량%, 비타민 C 0.006중량%, 젤란검 0.030중량% 및 정제수 30.613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관능적성이 매우 우수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하여 액상 발효음료(기타식물효소함유제품)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분말상 효소식품과는 달리 당화공정을 통해 액상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소비자가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조푸스속 미생물의 사용으로 기존 효소식품에서 나타나는 쓴맛의 발생을 탁월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당화공정을 통해 개똥쑥 추출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유의 쓴맛을 낮출 수 있어 풍미가 매우 우수한 개똥쑥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조푸스속 미생물의 사용으로 이취발생이 적으며 발효기간도 짧아 제조적성이 매우 우수한 효소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이취가 적고 효소활성(α-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이 높으며 풍미가 우수한 개똥쑥 당화액을 이용하여 관능적 특성이 매우 높은 개똥쑥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제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내지 8 : 개똥쑥 당화액의 제조
10분도 백미를 2시간 동안 침미시키고, 1시간 동안 세척 및 탈수시킨 후, 115℃에서 60분간 증자한 후, 35℃로 냉각시켜 호화 백미를 제조하였다.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25 ~ 27℃, 70 ~ 72시간 동안 전배양후 균질(Stomacher/2분)처리된 8종의 미생물(하기 표 1 참조)을 각각 호화 백미 중량 대비 0.2% 접종하여 종균을 제조하였다.
앞서 호화 백미를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화 백미를 제조한 후, 앞서 제조된 종균을 각각 호화 백미 중량 대비 0.2% 접종하여 30 ~ 35℃, 48 ~ 50시간, 습도 95% 조건으로 배양한 후, 출국하고 45℃에서 24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8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후, 40 ~ 6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8종의 발효제를 제조하였다.
개똥쑥 어린 잎을 수세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50g 개량한 후 1550ml 가수한 후, 상기 8종의 발효제를 각각 400g 혼합한 후, 53℃에서 20시간 동안 당화시킨 후, 120메쉬의 체로 여과하여 8종의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미생물의 종류
실시예 1 Asp. oryzae 1-1
실시예 2 Asp. acidus
실시예 3 Asp. oryzae 1-2
실시예 4 Rhi. oryzae 1-1
실시예 5 Rhi. oryzae 1-2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5의 혼합균주
실시예 7 Rhi. delemar
실시예 8 Asp. acidus
실험예 1 : 개똥쑥 당화액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8의 개똥쑥 당화액에 대하여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2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에 의해 관능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색(color) 3.625 3.620 2.225 3.750 3.700 3.768 2.800 2.440
맛(taste) 2.510 2.780 3.550 1.470 1.360 2.732 4.125 3.360
향(flavor) 2.561 2.450 3.474 2.621 2.511 2.778 3.600 3.420
기호도
(overall)
2.750 2.550 3.629 1.500 1.260 2.311 3.750 3.605
평균 2.86 2.85 3.22 2.34 2.21 2.90 3.57 3.21
순위 5 6 2 7 8 4 1 3
상기 5점 척도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와 기타 점도, 기능성, 종균 제조적성, 발효적성, 수율, 최종 Brix 등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개똥쑥 당화액의 제조시 리조푸스 델레마(Rhizopus delemar)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9 내지 12 : 개똥쑥 발효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의 개똥쑥 당화액에 하기 비율로 사과농축액, 액상과당, 정백당, 구연산, 글리신, 비타민 C, 젤란검, 정제수를 혼합한 후, 병입하고 65~70℃에서 60분씩 4회(24시간 마다) 살균한 후, 15℃이하로 냉각하고 3회 반전하여 개똥쑥 발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개똥쑥 당화액 41.250 51.250 48.250 51.250
사과농축액 12.500 9.500 15.500 12.500
액상과당 7.500 3.500 4.500 5.500
정백당 2.000 4.000 1.000 0.000
구연산 0.063 0.063 0.063 0.063
글리신 0.038 0.038 0.038 0.038
비타민 C 0.006 0.006 0.006 0.006
젤란검 0.030 0.030 0.030 0.030
정제수 36.613 31.613 30.613 30.613
합계 100 100 100 100
(단위 : 중량%)
실험예 2 : 개똥쑥 발효음료의 관능평가
개똥쑥 발효음료의 관능 개선을 위해 상기 실시예 9 내지 12의 개똥쑥 발효음료에 대하여 훈련된 남여 관능검사요원 2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에 의해 관능평가하였다. 부원료 첨가에 따른 개똥쑥 발효음료의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남자 40 40 38 41
여자 35 38 40 42
합계 75 78 78 83
1. 매우나쁨(0~20), 2. 나쁨(21~40), 3. 보통(41~60), 4. 좋음(61~80), 5. 매우좋음(81~100)
상기 표 4에 의하면, 실시예 12의 개똥쑥 발효 음료가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종합하면, 리조푸스 델레마(Rhi. delemar) 발효제를 사용하여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12의 배합비율로 부원료을 혼합하는 경우, 이미·이취가 적고 풍미가 우수한 개똥쑥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 개똥쑥 발효 음료의 제조 및 품질 적성
10분도 백미를 2시간 동안 침미시키고, 1시간 동안 세척 및 탈수시킨 후, 115℃에서 60분간 증자한 후, 35℃로 냉각시켜 호화 백미를 제조하였다.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25 ~ 27℃, 70 ~ 72시간 동안 전배양후 균질(Stomacher/2분)처리된 리조푸스 델레마(Rhi. delemar)를 호화 백미 중량 대비 0.2% 접종하여 종균을 제조하였다. 앞서 호화 백미를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화 백미를 제조한 후, 앞서 제조된 종균을 호화 백미 중량 대비 0.2% 접종하여 30 ~ 35℃, 48 ~ 50시간, 습도 95% 조건으로 배양한 후, 출국하고 45℃에서 24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8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후, 40 ~ 6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리조푸스 델레마(Rhi. delemar) 발효제를 제조하였다. 개똥쑥 어린 잎을 수세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50g 개량한 후 1550ml 가수하였다. 여기에 상기 리조푸스 델레마(Rhi. delemar) 발효제 400g을 혼합한 후, 53℃에서 20시간 동안 당화시킨 후, 120메쉬의 체로 여과하여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개똥쑥 당화액 51.250중량%, 사과농축액 12.500중량%, 액상과당 5.500중량%, 구연산 0.063중량%, 글리신 0.038중량%, 비타민 C 0.006중량%, 젤란검 0.030중량% 및 정제수 30.613중량% 혼합한 후, 병입하고 65~70℃에서 60분씩 4회(24시간 마다) 살균한 후, 15℃이하로 냉각하고 3회 반전하여 개똥쑥 발효 음료를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개똥쑥 당화액과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품 성적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는 당화력(sp)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α-아밀라아제(α-amylase) 및 프로테아제(Protease)는 식품공전 중 효소식품의 효소활성 분석법에 따라 정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성적 Brix pH glucoamylase(Unit/g) α-amylase Protease
개똥쑥 당화액 19.0 5.17 0.1794 양성 양성
개똥쑥 발효음료 18.2 3.46 0.0141 양성 양성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개똥쑥 발효음료는 식품공전 분류상 효소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액상 발효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A) 개똥쑥(Artemisia annua) 어린잎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개똥쑥 어린잎을 미생물 발효제와 혼합하여 개똥쑥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당화시켜 개똥쑥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개똥쑥 당화액에 사과농축액, 액상과당, 구연산, 글리신, 비타민 C, 젤란검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발효제는 호화 백미에 리조푸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개똥쑥 어린잎을 분쇄시킨 후, 가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조푸스속 미생물은 리조푸스 델레마(Rizopus delem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개똥쑥 혼합물을 50 ~ 55℃에서 18 ~ 22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개똥쑥 당화액 50 ~ 52중량%, 사과농축액 12 ~ 14중량%, 액상과당 5.2 ~ 5.8중량%, 구연산 0.05 ~ 0.07중량%, 글리신 0.03 ~ 0.04중량%, 비타민 C 0.005 ~ 0.007중량%, 젤란검 0.02 ~ 0.04중량% 및 정제수 29 ~ 31중량%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7. 개똥쑥 당화액 50 ~ 52중량%, 사과농축액 12 ~ 14중량%, 액상과당 5.2 ~ 5.8중량%, 구연산 0.05 ~ 0.07중량%, 글리신 0.03 ~ 0.04중량%, 비타민 C 0.005 ~ 0.007중량%, 젤란검 0.02 ~ 0.04중량% 및 정제수 29 ~ 31중량% 포함하고,
    상기 개똥쑥 당화액은 개똥쑥 어린잎을 미생물 발효제와 함께 당화시킨 것이며,
    상기 미생물 발효제는 호화 백미에 리조푸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발효음료.
  8. 삭제
KR20130087342A 2013-07-24 2013-07-24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148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342A KR101480519B1 (ko) 2013-07-24 2013-07-24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342A KR101480519B1 (ko) 2013-07-24 2013-07-24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519B1 true KR101480519B1 (ko) 2015-01-19

Family

ID=5259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342A KR101480519B1 (ko) 2013-07-24 2013-07-24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5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183A (ko) * 2008-02-12 2009-08-17 조아제약주식회사 음료 조성물
KR20090098254A (ko) * 2008-03-13 2009-09-17 김진섭 발효를 이용한 쑥 농축액의 제조 방법
KR20120045558A (ko) * 2010-10-29 2012-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곡물발효제를 이용한 곡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곡물발효음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183A (ko) * 2008-02-12 2009-08-17 조아제약주식회사 음료 조성물
KR20090098254A (ko) * 2008-03-13 2009-09-17 김진섭 발효를 이용한 쑥 농축액의 제조 방법
KR20120045558A (ko) * 2010-10-29 2012-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곡물발효제를 이용한 곡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곡물발효음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5090B (zh) 一种富含γ-氨基丁酸米制品的生产方法及产品
KR101679388B1 (ko) 강글리오사이드 및 시알산 함량이 증진된 녹용 또는 녹각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을 함유하는 관절 및 연골 건강제품
US2016011331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ermented product
CN104886254A (zh) 一种含有肉苁蓉酵素的食品及其制备工艺
CN1271944C (zh) 黄豆酱混合菌种发酵剂的生产方法
KR101415125B1 (ko) 탁주제조용 양조재료 및 이를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
KR101660796B1 (ko) 녹두 식혜의 제조방법
CN108185250A (zh) 一种杂粮全液发酵饮料的制作方法
KR20150105700A (ko) 버섯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의 제조방법 및 식품첨가물을 포함한 밀가루 반죽
KR101605540B1 (ko) 소나무와 매실을 이용한 향목 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671905B1 (ko) 호박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788925B1 (ko) 유자 스파클링 약주의 제조방법
KR101733549B1 (ko) 와송 당류 추출액을 발효하여 제조한 와송 와인 또는 식초
KR101759311B1 (ko) 발아 현미 모주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 모주
CN104171979A (zh) 利用发芽米生产γ-氨基丁酸米制品的方法的应用
KR20140063263A (ko)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733B1 (ko) 쌀 발효물을 이용한 인삼 쌀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8626B1 (ko) 무화과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480519B1 (ko) 개똥쑥 어린잎을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1638108B1 (ko) 보리감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리감주
KR20110011176A (ko) 상황버섯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KR101262826B1 (ko) 속성 쌀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쌀 막걸리
KR100617582B1 (ko) 고농도의 루틴과 쿼세틴 함유 메밀 코지의 제조방법 및메밀고추장
KR20160079388A (ko) 개량식 한식메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된장과 간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