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574B1 -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9574B1 KR101479574B1 KR20130008011A KR20130008011A KR101479574B1 KR 101479574 B1 KR101479574 B1 KR 101479574B1 KR 20130008011 A KR20130008011 A KR 20130008011A KR 20130008011 A KR20130008011 A KR 20130008011A KR 101479574 B1 KR101479574 B1 KR 1014795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engaging
- side member
- bottom member
- octago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68—Signs, boards or panels with tensioned or flexible display surfac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와, 상기 내함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함과, 상기 내함과 외함의 사이에 위치하여 흡습 및 흡취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내함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흡습부재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목재로 유골함을 형성하되 내함과 외함으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과 덮개부의 하단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함으로서 내함과 외부함의 밀폐력을 증대함으로서 방수 및 방습효과를 우수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며, 상기 내함의 바닥부재와 외함의 바닥부재 사이에 내함안착부가 형성함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통기가 원활하게 되며 상기 내함과 외함 사이에는 숯이나 갈탄 등을 약품 처리한 활성탄을 삽입하여 흡습 및 흡취의 효과를 증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목재로 유골함을 형성하되 내함과 외함으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과 덮개부의 하단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함으로서 내함과 외부함의 밀폐력을 증대함으로서 방수 및 방습효과를 우수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며, 상기 내함의 바닥부재와 외함의 바닥부재 사이에 내함안착부가 형성함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통기가 원활하게 되며 상기 내함과 외함 사이에는 숯이나 갈탄 등을 약품 처리한 활성탄을 삽입하여 흡습 및 흡취의 효과를 증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나무판재를 이용하여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유골함의 외측에 한지층와 옻층을 형성함으로써 살균효과 등의 보존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내함과 외함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함과 외함의 사이에 숯이나 활성탄을 이용한 흡습부재를 구비하여 흡습, 흡취 및 통기의 효과를 도모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골함은 유해를 화장하여 유골을 담아 납골당에 모시기 위한 용기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도자기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함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 되어 유골에 습기가 함습됨으로써 유골에 곰팡이나 세균번식 및 벌레의 발생으로 유골이 손상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어 유족들에게 불 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살충제나 방부제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골함을 목재로 제작한 다음, 이에 천연 옻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천연 옻은 오래전부터 생활용품, 각종 예술품 및 금속 등에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한방에서는 건칠(乾漆)이 어혈(瘀血)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구충이나 위산 과다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천연 옻이 오래전부터 천연도료로 사용되어 온 것은 매우 높은 내구성, 방수성 등의 기능성과 이외에도 아름다운 광택과 탁월한 촉감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옻칠은 열에 의한 변색이나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또한 옻 도막의 투명도가 현저히 낮아질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방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유골이 부패하거나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등록출원을 하여 등록된 제10-0639940호에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이 보관되는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에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뚜껑(3)과, 상기 유골보관홈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단에 결합되는 내부뚜껑(4)으로 이루어지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와 상기 상부뚜껑(3) 및 상기 내부뚜껑(4)의 외주면에는 적정 두께로 1차적으로 옻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1옻도포층과; 상기 제1옻도포층이 경화되기 전에 적정 매쉬로 이루어진 숯 분말을 뿌려 형성된 숯 분말층과; 상기 숯 분말층 상부에 적정 두께로 2차적으로 옻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2옻도포층으로 이루어진 도료층(5)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은 제1옻도포층과 숯 분말층 및 제2옻도포층을 차례로 도포하여 도료층을 형성함으로서 살균, 탈취효과 및 자외선 전자파 및 수맥파 등을 차단하여 유골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고 유골의 보전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목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되어 나뭇결이 갈라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장기간 보관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로 유골함을 형성하되 내함과 외함으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상기 내함과 외함 사이에는 숯이나 갈탄 등을 약품 처리한 활성탄을 삽입하여 흡습 및 흡취의 효과를 증대하였으며, 다수개의 나무판재의 테두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다각기둥 형상의 유골함이 장기간 보관시 갈라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에 한지를 복수회 부착한 뒤 옷칠을 함으로써 견고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와, 상기 내함이 수용되는 외함과, 상기 내함과 외함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흡습부재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함과 외함은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내함은 제1본체부와 제1본체부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1덮개부로 이루어지고, 외함은 제2본체부와 제2본체부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함의 하단은 외함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내함의 외측과 외함의 내측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내함의 제1본체부는 8개의 제1측면부재와, 상기 8개의 제1측면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1측면부재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재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와 다른 제1측면부재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측면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덮개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바닥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덮개결합부의 외측으로 제1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측면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덮개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바닥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덮개결합부의 외측으로 제1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내함의 제1덮개부는 제1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1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바닥부재결합부는 제1측면부재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닥부재결합부의 외측으로 바닥부재결합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바닥부재는 8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면은 상기 바닥부재결합단턱과 결합되고 테두리면은 바닥부재결합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바닥부재결합부는 제1측면부재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닥부재결합부의 외측으로 바닥부재결합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바닥부재는 8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면은 상기 바닥부재결합단턱과 결합되고 테두리면은 바닥부재결합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에서 덮개결합부의 외면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재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덮개결합부의 경사면의 상측 끝단은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결합부재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부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1덮개부재가 위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결합부재는 제1덮개부재와 결합하는 제1결합면과,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면은 하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본체부는 8개의 제2측면부재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재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와 다른 제2측면부재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본체부는 8개의 제2측면부재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재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와 다른 제2측면부재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에서 제2측면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2덮개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와, 하측에는 제2바닥부재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바닥부재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덮개결합부는 상기 제2측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부재와 덮개결합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와 덮개안착단턱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바닥부재의 상면에는 내함안착부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내함은 내함안착부의 상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덮개결합부는 상기 제2측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부재와 덮개결합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와 덮개안착단턱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바닥부재의 상면에는 내함안착부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내함은 내함안착부의 상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에서 제2덮개부는 제2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2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흡습부재는 내함과 외함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숯이나 활성탄을 한지로 감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흡습부재는 내함과 외함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숯이나 활성탄을 한지로 감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목재로 유골함을 형성하되 내함과 외함으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과 덮개부의 하단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함으로서 내함과 외부함의 밀폐력을 증대함으로서 방수 및 방습효과를 우수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며, 상기 내함의 바닥부재와 외함의 바닥부재 사이에 내함안착부가 형성함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통기가 원활하게 되며 상기 내함과 외함 사이에는 숯이나 갈탄 등을 약품 처리한 활성탄을 삽입하여 흡습 및 흡취의 효과를 증대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나무판재의 테두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다각기둥형상의 유골함이 장기간 보관시 갈라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에 한지를 여러번 부착하여 견고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외층에 옻칠을 함으로서 강력한 살균 및 살충, 항균, 악취, 유해물질 제거, 방수, 방습, 대전방지, 소취, 탈취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내염기성, 내화학성, 내후성, 내생 분해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게 되어 유골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고, 유골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와 제1덮개부의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흡습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와 제1덮개부의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흡습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와 제1덮개부의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흡습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5를 기준으로 측면부재의 좌우 방향을 '좌측면, 우측면'으로 하고, 세로 방향으로 '상면 및 하면'으로 하며, 내측 공간부를 향한 면을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방향을 '배면'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골함(100)은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10)와, 상기 내함(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함(20)과, 상기 내함(10)과 외함(20)의 사이에 위치하여 흡습 및 흡취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내함(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흡습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유골함(100)은 8개의 나무판재의 테두리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접착하여 8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목재로 가공하여 만들어 접촉될 시 표면이 매끄러워 안전하며 녹이 슬지 않고 외관이 수려하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다만, 다수개의 나무판재를 접착하여 외관을 형성하므로 장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접착력이 떨어져 접착된 나무판재와 다른 나무판재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하거나 쪼개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소박함과 자연스러움 및 동양의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된 유골함의 견고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한지의 외측에 옷칠을 더 함으로서 방수성, 방습성 및 살균효과 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은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함(1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이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1본체부(11)와, 상기 제1본체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본체부(1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덮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부(11)는 8개의 제1측면부재(111)와, 상기 8개의 제1측면부재(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1측면부재(1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1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바닥부재(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부재(1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1111)과 우측면(1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의 좌우측면(1111, 1112)과 서로 맞닿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와 다른 제1측면부재(111)의 내각은 135°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8개의 제1측면부재(111)를 모두 조립하였을 때 팔각기둥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상측에는 후술되는 제1덮개부(13)를 위치시켜 결합하고 하측에는 제1바닥부재(115)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제1측면부재(1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덮개결합부(1113)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바닥부재결합부(1116)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결합부(1113)는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덮개결합부(1113)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1덮개부(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111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외측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덮개부(13)와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11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상측 끝단 외측 모서리는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1덮개부(13)와 억지끼움으로 결합시 상호 충돌되어 덮개결합부(1113)의 끝단이 파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상하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는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제1측면부재(111)의 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도록 돌출되므로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의 내측으로는 바닥부재결합단턱(1117)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의 내측으로 바닥부재결합면(111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재결합면(1118)은 제1바닥부재(115)의 테두리면과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재결합면(1118)의 높이는 제1바닥부재(115)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제1바닥부재(115)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바닥부재(115)는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에 결합된 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8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바닥부재결합단턱(1117)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테두리면은 바닥부재결합면(1118)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덮개부(13)는 제1본체부(11)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의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1덮개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311)은 후술되는 제1덮개부재(133)의 결합단턱(1333)와 맞닿으며, 저면(1312)은 상기 제1본체부(11)의 덮개안착단턱(1115)과 맞닿아 결합되며, 좌우측면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른 제1결합부재(131)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시킨 뒤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1313)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1313)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1덮개부재(133)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제1본체부(11)의 제1측면부재(111)가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부(1313)의 상부로 내향하는 제1결합면(1314)이 구비되고 상기 돌부(1313)의 하부로 내향하는 제2결합면(1315)이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면(1314)은 후술되는 제1덮개부재(133)의 덮개부재결합면(1335)과 맞닿아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결합면(1314)과 덮개부재결합면(1335)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된 제1결합부재(131)와 제1덮개부재(13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면(1315)은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면부재(111)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향으로 갈수록 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 끝단을 내측 모서리는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31)를 제1측면부재(111)와 결합할 경우 상기 제2결합면(1315)과 제1측면부재(111)의 경사면(1114)이 서로 맞닿아 미끄러지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면(1315)의 하측 끝단 모서리와 경사면(1114)의 상측 끝단 모서리가 서로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므로 제1덮개부(13)를 가압할 경우 압력에 의해 상기 제2결합면(1315)의 하단과 경사면(1114)의 상단이 서로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덮개부재(133)는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8각의 판재형상으로 형성하되 저면은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턱부(13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상측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턱부(1331)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과 맞닿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향향하는 결합단턱(1333)과, 상기 결합단턱(1333)의 내측으로 외향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결합부재(131)의 제1결합면(1314)와 맞닿아 결합되는 덮개부재결합면(13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단턱(1133)은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와 맞닿아 결합되므로 결합단턱(1133)의 길이는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덮개부재결합면(1335)은 제1결합면(1314)과 맞닿아 결합되므로 덮개부재결합면(1335)의 높이와 제1결합면(1314)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 정확하게 맞춤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함(20)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1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2본체부(21)와, 상기 제2본체부(2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본체부(2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덮개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본체부(21)는 8개의 제2측면부재(211)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2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에 수납부(2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21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2111)과 우측면(2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211)의 좌우측면(2111, 2112)과 서로 맞닿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211)와 다른 제2측면부재(211)의 내각은 135°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8개의 제2측면부재(211)를 모두 조립하였을 때 팔각기둥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상측에 후술되는 제2덮개부(23)를 위치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상향되어 돌출된 덮개결합부(2113)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제1바닥부재(115)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곳에 가로 방향으로 오목하게 바닥부재결합홈(2119)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결합부(2113)는 상기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덮개결합부(2113)의 외측으로 상기 제2덮개부(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211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2113)의 외면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덮개부(23)와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21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면(2114)의 상측 끝단을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2덮개부(23)와 억지끼움으로 결합시 상호 접촉되어 덮개결합부(2113)의 끝단이 파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상하로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재결합홈(2119)은 제2측면부재(211)의 저면에서부터 상향 이격된 곳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형태의 홈으로서 제2바닥부재(215)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유골함(100)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바닥부재(215)는 상기 제2측면부재(211)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바닥부재결합홈(2119)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바닥부재(215)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내함안착부(2151)가 구비된다.
상기 내함안착부(2151)는 사다리꼴 형성으로 형성된 판재로서, 다수개의 내함안착부(2151)가 배열되어 8각형상을 이루며, 상측에 내함(10)을 안착시켜 외함(20)의 제2바닥부재(215)와 내함(10)의 제1바닥부재(115)가 서로 이격되므로 통기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8개의 내함안착부(2151)가 원형 배열되되 이웃하는 내함안착부(2151)와 다른 내함안착부(2151)의 사이에 간격를 형성하여 통기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웃하는 내함안착부(2151)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8개의 내함안착부(2151) 중에서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내함안착부(2151)를 제거하여 통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덮개부(23)는 제2본체부(21)의 상부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2결합부재(231)와,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2덮개부재(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결합부재(231)는 상면(2311)은 후술되는 제2덮개부재(233)의 결합단턱(2333)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고, 저면(2312)은 상기 제2본체부(21)의 덮개안착단턱(2115)와 맞닿아 결합되며, 좌우측면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른 제2결합부재(231)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시킨 뒤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2313)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2313)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2덮개부재(233)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제2본체부(21)의 제2측면부재(211)가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부(2313)의 상부로 내향하는 제1결합면(2314)이 구비되고 상기 돌부(2313)의 하부로 내향하는 제2결합면(2315)이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면(2314)은 후술되는 제2덮개부재(233)의 덮개부재결합면(2335)과 맞닿게 되며, 제1결합면(2314)과 덮개부재결합면(2335)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된 제2결합부재(231)와 제2덮개부재(23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면(2315)은 상기 제2본체부(21)의 제2측면부재(211)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향으로 갈수록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 끝단을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제2결합부재(231)를 제2측면부재(211)와 결합할 경우 상기 제2결합면(2315)과 제2측면부재(211)의 경사면(2114)이 서로 맞닿아 미끄러지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면(2315)의 하측 끝단과 경사면(2114)의 상측 끝단이 서로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므로 제2덮개부(23)를 가압할 경우 압력에 의해 상기 제2결합면(2315)의 하단과 경사면(2114)의 상단이 서로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되어 정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덮개부재(233)는 8개의 제2결합부재(231)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8각형상으로 판재형상으로 형성하되 저면은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턱부(2331)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231)와 상측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턱부(2331)는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면(2311)과 맞닿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하향하는 결합단턱(2333)과, 상기 결합단턱(2333)과 직교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2결합부재(231)의 제1결합면(2314)와 맞닿아 결합되는 외향하는 덮개부재결합면(2335)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단턱(2133)은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면(2311)와 맞닿아 결합되므로 결합단턱(2133)의 길이는 제2결합부재(231)의 상면(2311)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덮개부재결합면(2335)은 제1결합면(2314)과 맞닿아 결합되므로 덮개부재결합면(2335)의 높이와 제2결합면(2314)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 정확하게 맞춤됨으로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습부재(30)는 내함(10)의 외면과 외함(20)의 내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흡습부재(30)를 다수개 형성한 뒤 내삽된다. 상기 흡습부재(30)는 숯이나 목재나 갈탄 등을 염화아연 등의 약품으로 처리, 건조시켜 제조한 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서 흡습 및 흡취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숯이나 활성탄 등은 가루나 입자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고체로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지에 숯이나 활성탄 등의 입자를 놓고 표면을 쌈으로서 내함(10)와 외함(20)의 사이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골함(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오동나무 및 은행나무의 원목을 선택하여 내, 외함(10, 20)을 각각 제작하게 된다. 즉, 내,외함(10, 20)을 구성하고 있는 제1본체부(11)와 제1덮개부(13) 및 제2본체부(21)와 제2덮개부(23)를 팔각기둥 형상을 유지하여 각각 제작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유골함(1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10) 및 외함(20)을 형성하고자 하는 목재를 판재형태로 가공하는 목재 가공단계(S10)와, 가공된 목재를 접착제에 의해 조립하여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S20)와, 조립된 내함(10) 및 외함(20)의 내면 및 외면에 한지를 1회 이상 부착하여 견고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초벌 한지 부착단계(S30)와, 상기 초벌한지의 외측에 색상 한지를 부착하는 제2차 한지 부착단계(S40)와, 제2차 한지층에 옻칠을 하는 옻 도포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목재 가공단계(S10)는 내함(10)과 외함(20)에 사용하고자 하는 원목의 목재를 각각의 형태에 맞게 재단하여 가공하는 단계로서, 내함(10)은 유충이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살균 및 살충 작용이 뛰어난 은행나무나 편백나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함(20)은 항균, 항취작용, 습기흡수 억제 기능이 유지되며 화재에도 견딜 수 있는 오동나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S20)는 상기 목재 가공단계(S10)에서 가공된 각 부재를 이용하여 내함(10)과 외함(20)을 각각 팔각기둥의 형태로 조립하는 단계로서, 내함(10)은 제1본체부(11)의 조립과정과 제1덮개부(13)의 조립과정으로 나뉘어 형성하며, 외함(20) 또한 제2본체부(21)와 제2덮개부(23)의 조립과정으로 나뉜다.
먼저 내함(10)의 제1본체부(11)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8개의 제1측면부재(111)의 좌우측면(1111, 1112)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와 상호 결합하여 중공의 8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조립된 8개의 제1측면부재(111)를 상기 제1바닥부재(115)의 상측에 위치시킨 뒤 하향하여 상기 제1바닥부재(115)를 바닥부재결합부(1116)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먼저 접착제를 바닥부재결합단턱(1117)과 바닥부재결합면(1118)의 전체에 걸쳐 도포한 다음 상기 제1바닥부재(115)와 결합한다. 앞서 설명한 방법은 먼저 8개의 제1측면부재(111)를 조립한 다음 제1바닥부재(115)을 조립하였으나, 먼저 제1바닥부재(115)를 준비시킨 다음 제1측면부재(111)를 하나씩 순착적으로 상기 제1바닥부재(115)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제1측면부재(111)의 바닥부재결합부(1116)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1바닥부재(115)의 8각면 중 어느 한 측면과 바닥부재결합면(1118)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시켜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8번 반복하여 제1바닥부재(115)에 제1측면부재(111)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좌우측면(1111,1112)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웃하고자 하는 다른 제1측면부재(111)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1본체부(11)의 상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상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덮개부(13)는 먼저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좌우측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이웃하는 제1결합부재(131)와 상호 결합하여 8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제1덮개부재(133)의 결합턱부(1331)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조립된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상측에 제1덮개부재(133)를 위치시켜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내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덮개부재(133)의 결합단턱(1333)에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방법은 먼저 8개의 제1결합부재(131)를 조립한 다음 제1덮개부재(133)을 조립하였으나, 먼저 제1덮개부재(133)를 준비시킨 다음 제1결합부재(131)를 하나씩 순착적으로 상기 제1덮개부재(133)에 조립할 수도 있다.
외함(2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내함(10)의 조립과정과 비슷하나, 외함(20)의 제2본체부(11)에 구비된 제2측면부재(111)는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바닥부재결합홈(2119)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먼저 바닥부재결합홈(2119)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2바닥부재(215)를 내삽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부재결합홈(2119)에 제2바닥부재(215)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8개의 제2측면부재(111)를 순차적으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외함(20)의 제2본체부(21)를 조립한 다음에는 제2덮개부(23)를 조립하는데, 상기 제2덮개부(23)의 조립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1덮개부(13)의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한다.
상기 내함(10) 및 외함(20)을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는 폴리비닐 아세트산 42중량%와 물 58중량%로 혼합하여 형성된 목공용접착제로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는 공지된 기술이며 본원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초벌 한지 부착단계(S30)는 상기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S20)에서 각각 조립된 내함(10)과 외함(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한지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일반 목공용접착제에 의해 조립된 내함(10) 및 외함(20)의 견고성을 더하기 위하여 2회에 걸쳐 한지를 접착한다. 일반적으로 한지는 밀가루로 쑨 밀풀이나 찹쌀풀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데, 목재로 형성된 유골함(100)에 초벌 한지를 접착할 경우에 밀풀로만 접착을 하거나, 주식회사 오공의 수성접착제(#205)와 같은 목재용 접착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한지와 목재 사이가 들뜨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목재와 한지와의 접착성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내함(10) 및 외함(20)을 접착할 때 사용된 목공용접착제(예; 오공본드 #205) 밀풀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공용접착제와 밀풀은 목공용접착제 20∼30중량%에 밀풀 70∼8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풀을 80중량%보다 많게 하는 경우 건조 후 한지가 터서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밀풀을 70중량%보다 적게 하는 경우 건조 후 한지 고유의 색상이 변색되며 표면에서 광택이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서 밀풀은 밀가루와 물을 부피비 2:8로 혼합하고, 가열 교반하면서 제조된다. 목공용접착제는 환경 오염에 영향이 없거나 작은 친환경 수성 접착제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제2차 한지 부착단계(S40)는 상기 초벌 한지 부착단계(S30)의 상면에 색상 한지를 2∼6회 반복하여 한지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내함(10) 및 외함(20)의 외주면에만 부착함으로서 내함(10) 및 외함(20)의 외관을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표현함으로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2차 한지는 밀풀을 이용하여 접착하여도 무방하며, 제2차 한지의 외층에는 무늬 한지를 추가로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옻 도포단계(S50)는 상기 제2 한지의 외측에 옻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옻은 옻나무의 껍질에서 분비되는 액체로서 우루시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살균효과를 지니며, 옻이 목재 안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효과가 형성되므로 방습 및 방수의 효과를 지니며, 옻칠은 산이나 알칼리에 쉬 녹지 않으며 내열성, 내염성, 절연성이 띄어나므로 유골함(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옻은 스프레이나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며, 한번 이상 덫칠되도록 도포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내함 11 : 제1본체부
13 : 제1덮개부 20 : 외함
21 : 제2본체부 23 : 제2덮개부
30 : 흡습부재
S10 : 목재 가공단계 S20 :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
S30 : 초벌 한지 부착단계 S40 : 제2차 한지 부착단계
S50 : 옻 도포단계
13 : 제1덮개부 20 : 외함
21 : 제2본체부 23 : 제2덮개부
30 : 흡습부재
S10 : 목재 가공단계 S20 :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
S30 : 초벌 한지 부착단계 S40 : 제2차 한지 부착단계
S50 : 옻 도포단계
Claims (17)
-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10)와, 상기 내함(10)이 수용되는 외함(20)과, 상기 내함(10)과 외함(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흡습부재(30)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함(10)과 외함(20)은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내함(10)은 제1본체부(11)와 제1본체부(11)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1덮개부(13)로 이루어지고, 외함(20)은 제2본체부(21)와 제2본체부(21)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덮개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함(10)의 하단은 외함(20)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내함(10)의 외측과 외함(20)의 내측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내함(10)의 제1본체부(11)는 8개의 제1측면부재(111)와, 상기 8개의 제1측면부재(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1측면부재(1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에 수납부(1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바닥부재(1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재(1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좌측면(1111)과 우측면(1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와 다른 제1측면부재(111)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재(11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덮개부(1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1113)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바닥부재(11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결합부(1116)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결합부(1113)는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덮개결합부(1113)의 외측으로 제1덮개부(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1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10)의 제1덮개부(13)는 제1본체부(11)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1덮개부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는 제1측면부재(11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닥부재결합부(1116)의 외측으로 바닥부재결합단턱(1117)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바닥부재(115)는 8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면은 상기 바닥부재결합단턱(1117)과 결합되고 테두리면은 바닥부재결합면(1118)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외면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1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경사면(1114)의 상측 끝단은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1313)가 형성되며, 상기 돌부(1313)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1덮개부재(133)가 위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제1덮개부재(133)와 결합하는 제1결합면(1314)과, 제1본체부(11)의 제1측면부재(111)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면(1315)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면(1315)은 하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부(21)는 8개의 제2측면부재(211)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2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2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2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2111)과 우측면(2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211)와 다른 제2측면부재(211)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2덮개부(2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2113)와, 하측에는 제2바닥부재(215)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바닥부재결합홈(21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결합부(2113)는 상기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부재(211)와 덮개결합부(2113)의 사이에는 상기 제2덮개부(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211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2113)와 덮개안착단턱(2115)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부재(215)의 상면에는 내함안착부(2151)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내함(10)은 내함안착부(2151)의 상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부(23)는 제2본체부(21)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2결합부재(231)와,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2덮개부재(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부재(30)는 내함(10)과 외함(20)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숯이나 활성탄을 한지로 감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8011A KR101479574B1 (ko) | 2013-01-24 | 2013-01-24 |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8011A KR101479574B1 (ko) | 2013-01-24 | 2013-01-24 |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9587A Division KR20140095448A (ko) | 2014-05-19 | 2014-05-19 | 유골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5265A KR20140095265A (ko) | 2014-08-01 |
KR101479574B1 true KR101479574B1 (ko) | 2015-01-06 |
Family
ID=5174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08011A KR101479574B1 (ko) | 2013-01-24 | 2013-01-24 |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95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037B1 (ko) * | 2018-08-27 | 2020-09-16 | 주식회사 종이나무 | 유골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4483A (ko) * | 2004-04-29 | 2005-11-03 | 이종분 | 천연 셀룰로오스 유골함 |
JP3138096U (ja) * | 2007-10-09 | 2007-12-20 | 泰一 東條 | 屋内用骨箱 |
KR20100000472A (ko) * | 2008-06-25 | 2010-01-06 | 한재익 | 황토삼베층이 표면코팅된 종이재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
-
2013
- 2013-01-24 KR KR20130008011A patent/KR1014795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4483A (ko) * | 2004-04-29 | 2005-11-03 | 이종분 | 천연 셀룰로오스 유골함 |
JP3138096U (ja) * | 2007-10-09 | 2007-12-20 | 泰一 東條 | 屋内用骨箱 |
KR20100000472A (ko) * | 2008-06-25 | 2010-01-06 | 한재익 | 황토삼베층이 표면코팅된 종이재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5265A (ko) | 2014-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20705B (zh) | 保健防蛀实木复合地板及其制作工艺 | |
KR20140095448A (ko) | 유골함 | |
KR101479574B1 (ko) | 유골함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977863B1 (ko) |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 |
US2709293A (en) | Burial wrapper | |
KR100940348B1 (ko) | 황토삼베층이 표면코팅된 종이재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39940B1 (ko) |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 | |
KR101600145B1 (ko) | 다각형 포장상자 | |
KR20060021441A (ko) |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 | |
KR20140102836A (ko) | 조리도구 보관이 가능한 캠핑용 편백도마 | |
KR20100006916U (ko) | 통깔판 및 이를 구비한 침대프레임 | |
KR200399690Y1 (ko) |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 |
KR200257660Y1 (ko) |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 |
JP6433562B2 (ja) | 害虫駆除装置 | |
KR100600858B1 (ko) | 입체원목 무늬의 방염 랩핑지 및 그 제조방법 | |
CN210767615U (zh) | 一种硅藻泥装饰板 | |
KR200281069Y1 (ko) |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 |
KR200285292Y1 (ko) | 숯성분을 이용한 포장박스 | |
KR20150004503U (ko) | 음식물 보관 용기 | |
JPH08174515A (ja) | 化粧集成材 | |
ES2338712T3 (es) | Ataud o urna. | |
JP2009207635A (ja) | 骨壺 | |
KR200383226Y1 (ko) | 통풍이 강화된 도자기 납골함 | |
JP3184753U (ja) | 骨壺 | |
KR200346634Y1 (ko) | 입체원목 무늬의 방염 랩핑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