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132B1 -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132B1
KR100765132B1 KR1020060062897A KR20060062897A KR100765132B1 KR 100765132 B1 KR100765132 B1 KR 100765132B1 KR 1020060062897 A KR1020060062897 A KR 1020060062897A KR 20060062897 A KR20060062897 A KR 20060062897A KR 100765132 B1 KR100765132 B1 KR 10076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urethane foam
main body
cov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487A (ko
Inventor
김성호
도환주
김현숙
Original Assignee
도환주
김현숙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환주, 김현숙, 김성호 filed Critical 도환주
Priority to KR102006006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2Natural resins, e.g. ro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유해를 담아 보관하는 납골함이, 방부성이 우수하고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 기능 등을 하는 숯을 액상의 우레탄폼 및 송진과 혼합한 후 납골함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형틀에 주입하여 적정시간동안 압착시킨 상태에서 자연경화되어 일체로 고형화된 것임에 따라, 유해를 장기간 온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비치한 곳의 실내환경도 쾌적하고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된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가 담기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가 모두 숯덩어리와 숯가루와 송진 및 우레탄폼이 혼합되되, 상기 우레탄폼의 발포로 인해 자연경화되면서 일체로 고형화된 숯납골함과; 참나무 또는 대나무를 구워 만든 숯을 적정길이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적정길이의 숯덩어리와 120메쉬이상의 숯가루로 가공하는 제1단계와, 65중량% ~ 75중량%의 숯덩어리와 5중량% ~ 15중량%의 숯가루와 0.5중량% ~ 1.5중량%의 송진 및 15중량% ~ 25중량%의 우레탄폼을 본체 또는 덮개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형틀에 내입하는 제2단계와, 형틀을 1시간 정도로 압착 폐쇄하여 자연경화시키는 제3단계와, 형틀에서 자연경화된 본체 또는 덮개를 탈형한 후 표면가공하여 완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숯납골함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숯납골함, 제조방법, 숯덩어리, 숯가루, 우레탄폼, 송진

Description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A charnel urn formed of charco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숯납골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숯납골함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덮개
3 : 숯덩어리 4 : 숯가루
5 : 송진 6 : 우레탄폼
100 : 숯납골함
본 발명은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유해를 담아 보관하는 납골함이, 방부성이 우수하고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 기능 등을 하는 숯을 액상의 우레탄폼 및 송진과 혼합한 후 납골함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형틀에 주입하여 적정시간동안 압착시킨 상태에서 자연경화되어 일체로 고형화된 것임에 따라, 유해를 장기간 온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비치한 곳의 실내환경도 쾌적하고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된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참나무 또는 대나무를 재가 되기 이전까지 구워 만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숯은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음이온을 지속적으로 자연스럽게 방사한다. 이로 인해 숯 자체는 물론이고 주위에 놓인 사물의 부패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숯은 원적외선을 자연적으로 발산하여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무수히 많은 미세공극에 의하여 수분흡수 및 발산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실내의 습도를 알맞게 조절한다.
그 밖에 텔레비전 및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전자파와 수맥파 등을 차단하고, 담배 냄새 등의 각종 악취를 흡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등의 다양한 효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고 효능을 발휘하는 숯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숯은 경도가 아주 약하여 조금만 세게 만지더라도 쉽게 부서져 가루가 됨에 따라, 납골함이나 인터레어소품 등으로 적용하는데는 많은 제한이 따른다. 이에 따라 납골함은 내부에 숯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숯을 넣 어둘 수 밖에 없었고, 인터리어 소품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범위로 제한을 둘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자신은 물론 주위에 놓인 사물의 부패를 막을 수 있고, 실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숯의 단점인 약한 경도를 보완하여 유해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납골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납골함의 본체와 덮개가 모두 숯덩어리와 숯가루와 송진 및 우레탄폼이 혼합되되, 상기 우레탄폼의 발포로 인해 자연경화되면서 일체로 고형화된 숯납골함과, 상기 숯납골함을 제조하기 위한 숯납골함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숯납골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숯납골함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숯납골함(100)은 유해가 담기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2)로 이루어진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와 덮개(2)가 모두 숯덩어리(3)와 숯가루(4)와 송진(5) 및 우레탄폼(6)이 혼합되되, 상 기 우레탄폼(6)의 발포로 인해 자연경화되면서 일체로 고형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숯덩어리(3)는 적정길이로 절단된 것이고 숯가루(4)는 120메쉬이상의 입자로 분쇄된 것이다.
상기 본체(1)와 덮개(2)는 각각 원통체와 원형 또는 사각통체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숯납골함(100)은 묘지를 조성할 공간이 부족하여 보편화된 화장문화에 의해 생겨난 납골당이나 그 밖의 다른 장소에 고인의 유해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 용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숯납골함(100)은 유해를 보관하되 장기간동안 온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비치한 곳의 실내환경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납골함(100)을 이루는 본체(1)와 덮개(2)가 모두 참나무 또는 대나무를 구워 만든 숯덩어리(3)와 숯가루(4)와 송진(5) 및 우레탄폼(6)이 혼합되되, 압착된 상태에서 우레탄폼(6)의 발포로 인해 자연경화되면서 일체로 고형화됨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숯납골함(100)은 약한 경도를 갖는 숯의 단점을 우레탄폼(6)의 자연적인 경화현상을 통해 보완함과 동시에 숯과 송진의 효능을 그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해를 장기간동안 보존할 수 있고 실내환경도 개선할 수 있게 되는데, 이의 제조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참나무 또는 대나무를 구워 만든 숯을 적정길이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숯덩어리(3)와 숯가루(4)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숯덩어리(3)의 길이는 숯납골함(100)의 단면 길이를 결정하는 것임으로 일정하게 절단해야 한다. 그리고 숯가루(4)는 우레탄폼(6)과 혼합이 용이하도록 120메쉬이상으로 곱게 분쇄해야 한다.
제2단계는 숯덩어리(3)와 숯가루(4)와 송진(5) 및 액상의 우레탄폼(6)을 숯납골함(100)의 본체(1) 또는 덮개(2)를 본뜨기 위한 형틀에 내입하는 단계로서, 숯납골함(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는 숯덩어리(3)의 결이 노출되도록 측면으로 기립되게 내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숯덩어리(3)는 원통형이므로 숯덩어리(3)의 사이사이에 자연스럽게 생긴 빈공간을 채우기 위해서는 숯덩어리(3)와 함께 크고 작은 숯덩어리(3)의 파편을 내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형틀 내에 숯덩어리(3)를 촘촘하게 내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우레탄폼(6)은 모든 숯덩어리(3)를 일체로 고형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고, 송진(5)은 방충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숯덩어리(3)는 65중량% ~ 75중량%, 숯가루(4)는 5중량% ~ 15중량%, 송진(5)은 0.5중량% ~ 1.5중량%, 우레탄폼(6)은 15중량% ~ 25중량%의 비율로 형틀에 주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3단계는 형틀을 약 1시간 정도로 압착 폐쇄하여 자연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상기 형틀에 주입된 숯덩어리(3)와 숯가루(4)와 송진 및 우레탄폼(6)이 압착된 상태에서 고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액상의 우레탄폼(6)은 상기의 시간동안 액상의 우레탄폼(6)은 숯가루(4)와 송진(5)과 함께 숯덩어리(3)의 사이로 침투됨과 동시에 숯덩어리(3)의 미세기공에까지 침투되고, 자연스럽게 발포되면서 경화된다.
이때 형틀을 압착함에 따라 우레탄폼(2)의 발포로 인해 생기는 기공은 없어지게 되어, 강한 경도를 가진 숯납골함(100)의 본체(1) 또는 덮개(2)가 되는 것이다.
제4단계는 형틀에서 경화된 본체(1) 또는 덮개(2)를 탈형한 후 마무리 가공하여 숯납골함(10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연마기를 사용하여 본체(1) 또는 덮개(2)의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함으로써 숯납골함(100)의 본체(1)와 덮개(2)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숯납골함(100)은 약한 경도를 갖는 숯으로 구성되되, 우레탄폼(6)의 발포 및 경화작용에 의해 숯이 우레탄폼(6)과 함께 경화되면서 고형화된 것이므로 유해를 담아 보관하더라도 숯이 묻어나거나 쉽게 부서지지 않게 됨에 따라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숯납골함(100)은 곰팡이 및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작용과, 공기정화 기능과, 유해가스 탈취기능 등을 하는 숯의 특성 및 효능에 의해 본체(1)에 담긴 유해의 변색과 부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납골함과 비교하여 유해를 보다 오랫동안 온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량이지만 숯과 함께 혼합된 송진(5)에 의한 방충효과를 통해 해충 의 유입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해의 부패를 막는 것에 일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숯납골함(100)은 상기와 같이 유해를 온전하게 보존할 뿐만 아니라 이를 안치한 곳의 공기를 정화시켜 주고 습도도 알맞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실내환경도 쾌적하고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숯납골함(100)은 본체(1)와 덮개(2)가 모두 숯덩어리(3)와 숯가루(4)와 송진(5) 및 우레탄폼(6)으로 혼합 구성되되, 상기 우레탄폼(6)의 발포작용에 의해 자연경화되면서 일체로 고형화됨에 따라, 상기 숯덩어리(3)와 숯가루(4) 및 송진(5)에 의해 유해의 보관시 유해의 부패를 효과적으로 막아 유해를 장기간동안 온전하게 보조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숯덩어리(3)와 숯가루(4)에 의해 이를 안치한 곳의 실내환경도 쾌적하고 청결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유해가 담기는 상부가 개구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2)로 이루어진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와 덮개(2)가 모두 숯덩어리(3)와 숯가루(4)와 송진(5) 및 우레탄폼(6)이 혼합되되,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우레탄폼(6)의 발포로 인해 자연경화되면서 일체로 고형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 숯납골함.
  2. 참나무 또는 대나무를 구워 만든 숯을 적정길이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적정길이의 숯덩어리(3)와 120메쉬이상의 숯가루(4)로 가공하는 제1단계와; 65중량% ~ 75중량%의 숯덩어리(3)와 5중량% ~ 15중량%의 숯가루(4)와 0.5중량% ~ 1.5중량%의 송진(5) 및 15중량% ~ 25중량%의 우레탄폼(6)을 본체(1) 또는 덮개(2)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형틀에 내입하는 제2단계와; 형틀을 1시간 정도로 압착 폐쇄하여 자연경화시키는 제3단계와; 형틀에서 자연경화된 본체(1) 또는 덮개(2)를 탈형한 후 표면가공하여 완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숯납골함의 제조방법.
KR1020060062897A 2006-07-05 2006-07-05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897A KR100765132B1 (ko) 2006-07-05 2006-07-05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897A KR100765132B1 (ko) 2006-07-05 2006-07-05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235U Division KR200428693Y1 (ko) 2006-07-05 2006-07-05 숯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87A KR20060087487A (ko) 2006-08-02
KR100765132B1 true KR100765132B1 (ko) 2007-10-12

Family

ID=3717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897A KR100765132B1 (ko) 2006-07-05 2006-07-05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796B1 (ko) * 2006-09-25 2007-05-30 정태봉 유골의 보관 방법
KR100980472B1 (ko) * 2008-06-04 2010-09-07 강재윤 숯을 이용한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798A (ko) * 2000-08-04 2000-11-06 정영섭 납골함 용기의 제조방법
KR20020064566A (ko) * 2001-02-02 2002-08-09 추연구 분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
KR200298465Y1 (ko) * 2002-09-27 2002-12-16 남진석 납골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798A (ko) * 2000-08-04 2000-11-06 정영섭 납골함 용기의 제조방법
KR20020064566A (ko) * 2001-02-02 2002-08-09 추연구 분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
KR200298465Y1 (ko) * 2002-09-27 2002-12-16 남진석 납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87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132B1 (ko) 숯납골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0967B1 (ko) 보존성이 향상된 고강도 유골함
KR200428693Y1 (ko) 숯납골함
CN201234612Y (zh) 防潮除臭鞋垫
KR20060052738A (ko) 숯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090B1 (ko) 편백나무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121B1 (ko) 웰빙 온열의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43385B1 (ko) 복합 기능 납골함
KR100767162B1 (ko) 기능성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819480B1 (ko) 유골함의 제조방법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0340230Y1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
KR101399974B1 (ko) 흙 혼합물로 구성되는 푹신푹신한 흙 침대
KR200421935Y1 (ko) 숯판넬
KR100980472B1 (ko) 숯을 이용한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934523B1 (ko) 기능성 숯 조성물 제조방법
KR100827288B1 (ko) 숯을 이용한 숯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1079A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흡착탈취제
KR20060095750A (ko) 방충용 충진재가 충진된 납골함
KR200257660Y1 (ko)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KR20120006009U (ko)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KR100859887B1 (ko) 건강용품 설치용 숯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9108B1 (ko) 바이오세라믹 유골함의 제조방법
KR100537776B1 (ko) 황토 숯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황토숯블록
KR20130121542A (ko) 숯이 내장된 친환경 황토마감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